맨위로가기

우크라이나의 역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크라이나의 역사는 선사 시대부터 시작되어 다양한 민족과 문화의 교차점을 이루며 발전해 왔다. 기원전 5000년경부터 사람이 거주하기 시작했으며, 스키타이인, 킴메르인, 사르마트인 등이 차례로 이 지역에 등장했다. 드네스트르 강과 드니프로 강 사이에서는 트리필리아 문화가 번성했고, 청동기 시대에는 끈 무늬 토기 문화와 야마 문화가 나타났다. 철기 시대에는 킴메르인, 스키타이인, 사르마티아인 등이 등장했으며, 그리스인들의 식민화와 보스포루스 왕국의 발전도 있었다.

중세 시대에는 동슬라브족이 등장하여 루스 카간국을 거쳐 키예프 루스를 건설했다. 키예프 루스는 동방 정교회를 수용하며 번성했지만, 13세기에 몽골의 침략으로 멸망했다. 이후 갈리치아-볼히니아 대공국이 키예프 루스의 유산을 이었으며,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시대를 거치며 코자크 시대에 이르렀다. 코자크 헤트만국은 러시아 차르국의 압력 속에서도 자치를 유지하려 했으나, 결국 분할되었다.

근대 시기에는 우크라이나 민족 부흥 운동이 일어났으나 러시아 제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지배를 받았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이 수립되었으나 내전과 외세의 침략으로 붕괴되었다. 소비에트 연방에 편입된 우크라이나는 홀로도모르와 대숙청 등 끔찍한 시련을 겪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나치의 점령을 경험했다.

1991년 소련 붕괴 이후 독립을 선언하고 탈소련 전환을 겪었으며, 오렌지 혁명과 유로마이단을 거치며 민주화를 위한 노력을 이어갔다.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과 돈바스 전쟁 발발,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현재까지 전쟁의 고통을 겪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크라이나의 역사 - 바랑기아인
    바랑기아인은 스칸디나비아 출신 용병을 지칭하는 명칭으로, 9세기부터 11세기까지 동유럽과 비잔티움 제국 등지에서 무역 및 군사 활동을 했으며, 키예프 루스 형성과 비잔티움 제국 바랑기아 친위대 구성에 기여했다.
  • 우크라이나의 역사 - 보흐단 흐멜니츠키
    보흐단 흐멜니츠키는 17세기 우크라이나의 카자크 헤트만이자 흐멜니츠키 봉기의 지도자로서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에 대항하여 봉기를 일으켰으며, 러시아의 보호를 받는 페레야슬라프 조약을 체결하는 등 우크라이나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그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우크라이나의 역사
지도
기본 정보
공식 명칭우크라이나 (Україна)
위치동유럽
수도키이우
공용어우크라이나어
역사
선사 시대쿠쿠테니-트리필리아 문화
얌나야 문화
카타콤 문화
킴메르
타우리카
스키티아
보스포루스 왕국
사르마티아
자루비네치카 문화
체르냐코프 문화
훈족
전근대동슬라브족 / 루스인
고대 대불가리아
크로바티아
하자르
루스 카간국
노브호로드 루스
키이우 루스
키이우 공국

체르니히우 공국
페레야슬라우 공국
타타르의 멍에

몰다비아 공국

크림 칸국
근대코자크

자포로자 코자크
흐멜니츠키 봉기
루이나
코자크 수장국
좌안 우크라이나
슬로보다 우크라이나
우안 우크라이나
다뉴브 지크
러시아 제국
소러시아
노보로시야
합스부르크 군주국

부코비나
자카르파탸
현대1차 세계대전 기간 우크라이나
러시아 혁명 이후의 우크라이나
우크라이나 독립 전쟁
우크라이나 인민공화국
서우크라이나 인민공화국
우크라이나국
우크라이나 위원회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우크라이나 공산당
홀로도모르
2차 세계대전 기간 우크라이나
우크라이나 민족주의 조직
체르노빌
카세트 스캔들
오렌지 혁명
러시아-우크라이나 가스 분쟁
유로마이단
러시아의 군사 개입
크림반도 위기
돈바스 전쟁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2. 선사 시대 및 고대

우크라이나 지역에 사람이 살기 시작한 것은 최소 기원전 5000년 경부터이다. 기원전 10세기부터는 여러 민족들이 역사에 등장했다. 스키타이인과 킴메르인은 기원전 10세기경부터, 사르마트인은 기원전 7세기 경에 우크라이나에 진출했다. 동고트족의 일부는 게르만족의 대이동 시기에 우크라이나에 들어왔지만, 7세기부터는 동유럽 평원에서 독자적인 세력을 형성하기 시작했다.[14]

2. 1. 구석기 시대 및 신석기 시대

우크라이나 지역에 사람이 살기 시작한 것은 최소 기원전 5000년 경부터이다. 기원전 10세기부터는 여러 민족들이 역사에 등장했다. 스키타이인, 킴메르인은 기원전 10세기경부터, 사르마트인은 기원전 7세기 경에 우크라이나에 진출했다. 동고트족의 일부는 게르만족의 대이동 시기에 우크라이나에 들어왔지만, 7세기부터는 동유럽 평원에서 독자적인 세력을 형성하기 시작했다.

유럽의 거석 석상


우크라이나 서부 코롤레보에서 발견된 140만 년 전의 석기는 유럽에서 호미닌의 존재를 증명하는 가장 초기 사례 중 하나이다.[14] 이 도구들은 구석기 시대에 호모 에렉투스를 포함한 ''호모''속 초기 구성원들의 행동과 적응 전략에 대한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우크라이나에서의 네안데르탈인 존재는 고고학적 발견, 특히 오늘날 체르니우치 지역에 위치한 몰로도바 유적에서 증거가 발견되었다.[15] 이 유적들은 중기 구석기 시대에 속하며, 네안데르탈인의 활동 (불의 사용, 매머드 뼈 가공, 원시적인 쉘터 건설)에 대한 중요한 증거를 제공한다.[16][17]

크림 산맥은 후기 구석기 시대의 초기 현생 인류(''호모 사피엔스'')에 대한 중요한 증거를 보존하고 있다. 부란-카야 동굴 유적에서는 기원전 32,000년경으로 추정되는 도구, 장신구와 같은 유물과 골격 유해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그라베티안 정착지는 잎날 기반의 석기 기술과 예술적 표현으로 알려진 정교한 수렵 채집 문화를 반영한다.[18]

마이다네츠케, 쿠쿠테니-트리필리아 문화, 기원전 3800년


쿠쿠테니-트리필리아 문화는 현재의 루마니아, 몰도바, 우크라이나를 중심으로 유럽에서 가장 발전된 신석기 시대 문명 중 하나를 대표한다. 이들은 인상적인 정착지로 유명했으며, 일부는 당시 세계에서 가장 컸고 인구가 최대 10,000명에 달했다. 종종 점토목재를 사용하여 동심원 형태의 가옥을 건설하여, 뛰어난 계획성을 보여주었다. 빨간색, 검은색, 흰색의 기하학적이고 상징적인 디자인이 특징인 정교한 채색 도자기로 유명하다. 경제는 주로 농업에 기반을 두었고, 축산업과 소규모 무역이 이를 보완했다. 고고학적 발견은 다수의 조각상과 상징적 유물을 통해 비옥함을 숭배했음을 시사한다. 쿠쿠테니-트리필리아 문화는 기원전 3000년경에 환경 변화, 자원 고갈 또는 인접한 스텝 문화의 압력으로 인해 쇠퇴하기 시작했다.[19]

스레드니 스토그 문화는 폰토스-카스피 스텝 지역의 쿠쿠테니-트리필리아 지역 동쪽에서 나타났다. 이는 신석기 시대와 초기 청동기 시대 스텝 문화의 출현 사이의 과도기적 단계를 나타낸다. 이 문화는 말의 가축화 증거를 보여주는 가장 초기의 문화 중 하나이며, 이는 스텝 사회의 특징이 되었다. 초기 고분 매장(쿠르간)의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진화하는 사회 계층과 의례적 관행을 반영했다. 스레드니 스토그 문화는 이후의 얌나 문화의 기원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20]

Chalcolithic 시대의 얌나 또는 "피트 무덤" 문화의 범위, 기원전 3천년기


얌나 문화 (피트 무덤 문화)는 폰토스-카스피 스텝 전역에서 초기 청동기 시대에 지배적인 세력이었다. 이 문화는 종종 인도유럽어족의 확산과 연결되며, 더 이동적이고 목축적인 생활 방식으로의 변화를 반영한다. 얌나 문화는 무덤 물품과 함께 무기, 장신구, 동물 희생 등이 포함된 매장 고분(쿠르간)이 특징이다. 경제는 , , 을 포함한 가축에 크게 의존하여, 반-유목 생활 방식을 뒷받침했다. 구리와 청동 도구와 무기를 사용하여, 초기 야금 기술을 보여주었다. 많은 학자들은 얌나 문화를 원시 인도유럽어 사용과 관련시키며, 그들의 이주와 문화적 확산은 유럽아시아의 광대한 지역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21]

얌나 문화에 이어 카타콤 문화가 등장하여, 대부분 동일한 지리적 영역을 포함했다. 이는 무덤 구덩이 내에 특별히 조각된 틈새에 시신을 매장하는 독특한 매장 관행으로 구별된다. 청동 야금을 더욱 발전시켜, 다양한 도구, 무기 및 장신구를 생산했다. 카타콤 문화는 얌나 문화의 많은 전통을 유지하면서, 서쪽과 남쪽의 인접 그룹과도 교류했다.[22]

현재의 우크라이나에서 인류가 나타난 것은 구석기 시대 초기로, 약 30만 년 전이다. 원인 단계의 인류는 중동에서 코카서스 산맥과 발칸 반도를 거쳐 흑해 북안으로 이동한 것으로 보인다. 12만 년 전부터 네안데르탈인이 등장하고, 4만 년 전에 크로마뇽인이 출현했다. 우크라이나에서 발견된 구석기 시대 후기의 현생 인류의 유적은 약 800개이며, 현생 인류의 인구는 약 2만 명으로 추정된다. 1만 년 전 이후, 중석기 시대유럽기후가 정해지면서 우크라이나에서는 북부의 삼림 지대, 중부의 삼림 초원 지대, 남부의 초원 지대와 같은 기후 지대가 형성되었다. 각 지대에서는 서로 다른 문화권이 형성되었다. 인류는 활과 화살을 사용하고 동물을 사육할 수 있게 되었다. 기원전 6천 년기부터 인류는 농업을 시작했고, 토기 등을 제작하게 되면서 신석기 시대에 들어섰다. 우크라이나에서 발견되는 신석기 시대의 농경취락 유적은 동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여겨진다.[307]

기원전 4천 년대 후반, 드네스트르 강과 드니프로 강 사이의 지역에서는 트리필리아 문화(Трипільська культура|트리필리아 문화uk)가 발전했다. 트리필리아인들은 정착하여 농경과 축산을 하며 수백 명의 인구를 가진 큰 취락에서 살았다. 그들은 우크라이나에서 처음으로 쟁기, 드릴과 구리 가공 기술을 사용한 사람들이었다. 트리필리아 문화는 동지중해 문화권에 속했던 것으로 보인다. 기원전 3천 년기 말에는 트리필리아 문화를 대신하여 청동기 시대의 끈 무늬 토기 문화(Культура шнуркової кераміки|끈 무늬 토기 문화uk)와 야마 문화(Ямна культура|야마 문화uk)라는 새로운 문화가 탄생했다. 전자는 농경 문화로, 중앙 및 동유럽까지 퍼져 우크라이나의 삼림 지대 및 삼림 초원 지대에까지 미쳤다. 후자는 축산 문화로, 초원 지대를 중심으로 흑해 북부에서 카스피 해 북부까지 확대되었다. 끈 무늬 토기 문화의 사람들은 인도유럽어족게르만족·발트족슬라브족의 조상이 되었고, 야마 문화의 담당자는 우크라이나 남부의 유목민의 조상이 된 것으로 추정된다.[307][308]

2. 2. 청동기 시대 및 철기 시대

우크라이나에서 인류가 나타난 것은 구석기 시대 초기로, 약 30만 년 전이다. 원인 단계의 인류는 중동에서 코카서스 산맥과 발칸 반도를 거쳐 흑해 북안으로 이동한 것으로 보인다. 12만 년 전부터 네안데르탈인이 등장하고, 4만 년 전에 크로마뇽인이 출현했다.

기원전 6천 년기부터 인류는 농업을 시작했고, 토기 등을 제작하게 되면서 신석기 시대에 들어섰다. 우크라이나에서 발견되는 신석기 시대의 농경취락 유적은 동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여겨진다[307]

기원전 4천 년대 후반, 드네스트르 강과 드니프로 강 사이의 지역에서는 트리필리아 문화(Трипільська культура|트리필랴 문화uk)가 발전했다. 트리필리아인들은 정착하여 농경과 축산을 하며 수백 명의 인구를 가진 큰 취락에서 살았다. 그들은 우크라이나에서 처음으로 쟁기, 드릴과 구리 가공 기술을 사용한 사람들이었다.

기원전 3천 년기 말에는 트리필리아 문화를 대신하여 청동기 시대의 끈 무늬 토기 문화(Культура шнуркової кераміки|쿨투라 슈누르코보이 케라미키uk)와 야마 문화(Ямна культура|얌나 쿨투라uk)가 나타났다. 끈 무늬 토기 문화는 농경 문화로, 중앙 및 동유럽까지 퍼져 우크라이나의 삼림 지대 및 삼림 초원 지대에까지 미쳤다. 야마 문화는 축산 문화로, 초원 지대를 중심으로 흑해 북부에서 카스피 해 북부까지 확대되었다. 끈 무늬 토기 문화의 사람들은 인도유럽어족게르만족·발트족슬라브족의 조상이 되었고, 야마 문화의 담당자는 우크라이나 남부의 유목민의 조상이 된 것으로 추정된다[307][308]

기원전 2천 년대 말부터 기원전 1천 년기에, 끈 무늬 토기 문화는 트시네츠-코마리우 문화(Тшинецько-комарівська культура|트시네츠코-코마리우스카 쿨투라uk)와 빌로그루디우카 문화(Білогрудівська культура|빌로그루디우스카 쿨투라uk)로 이행했지만, 야마 문화는 즈루브나 문화(Зрубна культура|즈루브나 쿨투라uk)에 의해 대체되었다. 즈루브나 문화의 사람들은 축산을 하는 유목민으로, 인도유럽어족의 이란어파에 속했다. 기원전 15세기 이후, 그들에게서 킴메르인, 스키타이, 사르마티아인 등이 갈라져 나왔다고 여겨진다[308]

킴메르인은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를 비롯한 고기록·고문헌에서 보이는 우크라이나의 최초의 민족이다. 킴메르인은 전통적인 목축을 하면서, 기원전 10세기부터 생산 기술을 발전시켜 주변 지역을 지배했다. 기원전 7세기 말에는 킴메르인의 동쪽에 살던 스키타이가 킴메르인을 흑해 북안에서 서쪽으로 몰아냈다[307][308]

3. 중세

철기 시대 우크라이나 지역에는 다양한 민족과 문화가 나타나고 상호 작용했다. 청동기 시대 이후, 다키아인들은 유목 집단인 킴메르인(노보체르카스크 고고학 문화와 관련), 스키타이인, 사르마티아인과 함께 이 지역을 지배했다. 이들 중 스키타이인들은 기원전 750년에서 250년 사이에 번성했던 강력한 왕국을 세웠으며, 기마전과 광대한 영토에 걸친 무역 네트워크를 특징으로 했다.[23]

기원전 513년 다리우스 1세의 스키타이 원정 때, 아케메네스 페르시아 왕은 스키타이인을 정복하기 위한 원정을 이끌었다. 스키타이인들은 초토화 전술과 게릴라 전술을 사용해 전면적인 패배를 피했지만, 이 원정으로 트라키아인흑해 북부 해안을 따라 있는 여러 지역이 페르시아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오늘날의 불가리아, 루마니아, 우크라이나, 남부 러시아의 일부를 포함하는 이 영토들은 아케메네스 제국의 세력권에 편입되었지만, 직접적인 통제는 불안정하게 유지되었다.[24][25]

그리스인들은 기원전 7세기 또는 6세기 고대기에 크림 반도와 현대 우크라이나의 일부 지역을 포함하여 흑해 북부 해안에 식민지를 건설했다. 케르소네소스와 올비아와 같은 식민지는 무역, 문화 교류, 헬레니즘의 영향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이 상황에서 형성된 그리스-스키타이 정체인 보스포루스 왕국은 지역 강대국이 되어 그리스 전통과 지역 요소를 혼합했다. 이 왕국은 4세기까지 번성했지만, 고트족과 훈족의 침략으로 불안정해졌다.[26][27]

로마 제국은 황제 네로 치하에서 기원후 62년부터 68년까지 잠시 보스포루스 왕국을 병합했다. 이 기간 동안 보스포루스 왕 티베리우스 율리우스 코티스 1세는 폐위되었고, 왕국은 로마에 의해 직접 통치되었다. 네로의 통치 이후, 보스포루스 왕국은 현지 통치를 유지하지만 로마 군사의 감독하에 로마의 속국으로 복원되었다. 1세기 중반 동안 이 지역은 로마의 경제적, 전략적 영향력 안에 머물게 되었다.[28][29][30]

3. 1. 동슬라브족의 등장과 초기 국가 형성

동슬라브족은 5세기부터 투르크 민족 국가인 사바르 카간국, 아바르 카간국의 지배를 받았다. 이후 북게르만족 루스인의 초기 국가인 루스 카간국에 영향을 준 하자르 카간국에 정복되었다. 하자르 카간국의 영향으로 동슬라브인 정체성이 형성되기 시작했고, 8세기에서 9세기에 루스 카간국이 등장했다. 동슬라브족튀르크족의 지배를 받으며 튀르크 문화의 영향을 받아 서유럽과는 다른 문화적 특징을 가지게 되었다.[320]

동슬라브족은 현재의 우크라이나 북부, 벨라루스, 러시아 지역에 거주하며 고대 동슬라브어를 사용했다. 이들은 삼림 지대에서 농경 생활을 했으며, 서쪽에는 발트족, 동쪽과 북쪽에는 핀족이 있었다. 남쪽 흑해 북해안의 스텝 지역에는 유목화된 동슬라브족들이 거주했으며, 이들은 튀르크인의 지배로 투르크어족에 동화되었다. 돌궐 붕괴 이후에는 볼가강 하류의 하자르 한국에 정복당했다.

서유럽에서 프랑크 왕국게르만족 왕국이 형성될 무렵, 스칸디나비아반도노르만인들이 발트해북해 교역에 종사하며 동로마 제국이슬람 제국과의 교역로를 통해 동슬라브족에게 영향을 주었다. 동슬라브족노르만인하자르의 영향으로 국가를 형성하기 시작했다.

753년 스타라야라도가가 형성된 후 튀르크족과 동슬라브인의 영향으로 루스인 정체성이 확립되기 시작했고, 830년루스 카간국이 등장했다. 루스인우크라이나인, 벨라루스인, 러시아인의 원형이 되었으며, 루스 카간국은 류리크 왕조와 키예프 루스의 전신이 되었다. 원초 연대기에 따르면, 862년 류리크가 노브고로드에 정착하면서 류리크 왕조가 탄생했다. 루스인들은 10세기까지 투르크족의 영향을 받았지만, 류리크 왕조 개창 이후 동슬라브족에 동화되어 카간 대신 대공 칭호가 주로 사용되었다.

3. 2. 키예프 루스

키예프 루스는 9세기부터 13세기까지 현재의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러시아 지역에 존재했던 동슬라브족의 국가이다.

6세기 후반, 동슬라브족키이우 주변을 지배하게 되었다.[316]원초 연대기』에는 동슬라브족 중 폴랸족이었던 , 셰크, 호리프 형제와 그들의 여동생인 리비지에 의해 이 땅에 도시가 건설되어 키예프라고 이름 붙여졌다고 기록되어 있다.[316]

10세기까지 키예프 루스기독교를 수용하여 기독교 문화권의 한 국가가 되었다. 11세기에는 중세 유럽에서 가장 발전된 국가 중 하나였지만, 12세기 이후에는 대공조의 내분과 인접국의 압박으로 쇠퇴했다.

1240년, 몽골의 침략으로 키이우가 함락되어 사실상 붕괴되었다. 키예프 루스가 멸망한 이후 우크라이나 땅에는 갈리치아볼히니아 두 공국이 그 뒤를 이었다. 갈리치아와 볼히니아는 갈리치아-볼히니아 대공국으로 합쳐졌다가 분열되었고, 결국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에 의해 정복되었다.

3. 2. 1. 키예프 루스의 기원과 발전

753년 루스인 최초의 도시인 스타라야라도가가 형성된 이후 튀르크족과 동슬라브인들의 영향으로 루스인들의 정체성이 확립되기 시작하였다. 830년 경에는 튀르크의 군주 칭호인 카간루스인들의 군주의 칭호로 사용하면서 루스인의 첫 국가인 루스 카간국이 등장하였다. 루스인들은 이후 우크라이나인, 벨라루스인, 러시아인의 원형이 되었으며, 이들이 세운 국가인 루스 카간국은 류리크 왕조와 키예프 루스의 전신이 되었다.

보스포루스 왕국 왕 티베리우스 율리우스 사우로마테스 2세의 금 스타테르. 앞면에는 "바실레오스 사우로마토스(BACΙΛΕΩC CΑΥΡΟΜΑΤΟΥ)"라는 그리스어 문구와 함께 그의 흉상이, 뒷면에는 로마 황제 셉티미우스 세베루스카라칼라의 두상이 새겨져 있다. (서기 198년 또는 199년)


보스포루스 왕국의 판티카파이움에서 발견된 그리스 프레스코 속 여신 데메테르. (서기 1세기, 크림 반도)


원시 슬라브족 및 초기 슬라브족과 관련된 고고학적 문화: 체르노레스 문화 (기원전 500년 이전), 자루빈치 문화 (기원전 300년 ~ 서기 100년), 프셰보르스크 문화 (기원전 300년 ~ 서기 400년), 프라하-코르차크 지평선 (6~7세기, 슬라브족 팽창)


이후 루스 카간국의 마지막 카간이자 류리크 왕조의 시조인 류리크가 오늘날 노브고로드 방면으로 정착하였다. 원초 연대기에 의하면 추드인, 동슬라브인, 메레인, 벱스인, 크리비치인들이 루스인들을 내쫓고 스스로 통치하려 하였으나 그 후 부족들이 서로 싸우기 시작하였기 때문에 질서를 잡기 위해 다시 루스인들을 불러들였다. 862년 류리크가 노브고로드에 정착하게 되면서 류리크 왕조가 탄생하였다. 루스인들은 10세기까지 투르크족의 영향을 받았고, 류리크 왕조의 시조인 류리크 또한 위대한 카간이자 왕으로 불렸지만, 류리크 왕조가 개창된 이후에는 피지배층인 동슬라브족에 서서히 동화되었으며, 카간이라는 호칭보다는 대공이라는 호칭이 자주 쓰이게 되었다.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러시아의 원형인 키예프 루스882년 노브고로드의 2대 공작인 올레그 베시가 키이우를 점령한 후 형성되었다. 현재 우크라이나 영토는 키예프 루스의 남부 지방이었다. 키예프 루스와 류리크 왕조는 스칸디나비아에서 온 루스인들이 세웠으며 이들은 동슬라브인들에게 흡수되었다. 키예프 루스는 9세기에 동로마 제국으로부터 동방 정교회와 비잔틴 문화를 수용하였고 10세기와 11세기에는 유럽에서 가장 강력한 국가 중 하나가 되어 후의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러시아 3국의 국가 정체성 형성의 바탕이 되었다.

3. 2. 2. 키예프 루스의 기독교화

키예프 루스는 9세기에 동로마 제국으로부터 동방 정교회와 비잔틴 문화를 수용하였다.[23] 이는 이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러시아 3국의 국가 정체성 형성의 바탕이 되었다.[23]

3. 2. 3. 키예프 루스의 쇠퇴와 멸망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러시아의 기원이 된 키예프 루스는 882년 노브고로드의 2대 공작 올레그 베시가 키이우를 점령하면서 형성되었다. 류리크 왕조 출신인 스칸디나비아 출신 루스인들이 키예프 루스를 세웠으며, 이들은 동슬라브인들에게 흡수되었다. 키예프 루스는 10세기와 11세기에 유럽에서 가장 강력한 국가 중 하나가 되었고, 이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러시아 3국의 국가 정체성 형성에 기반이 되었다.[23]

키예프 루스는 13세기 류리크 왕조의 분할 상속으로 인한 내부 분열과 몽골의 침략으로 쇠퇴하여 멸망하였다.[23]

3. 3. 갈리치아-볼히니아 대공국

갈리치아-볼히니아 대공국은 현재의 우크라이나 지역에서 중요한 역사적 국가였다.

4. 근세

17세기 중반, 우크라이나 중부에 카자크 수장국이 세워져 백년 이상 러시아 차르국의 압력을 견뎠으나 결국 폴란드러시아에 의해 분할되었다. 18세기 후반 폴란드 분할을 통해 우크라이나 중부와 동부는 러시아 제국에, 서부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합병되었다.

4. 1.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시대

죄송합니다.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시대"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 해당 섹션에 대한 위키텍스트를 작성할 수 없습니다. 제공된 소스는 키예프 루스 시대까지만 다루고 있으므로, 이전 답변과 동일하게 해당 섹션은 비어있는 상태로 유지됩니다.

4. 2. 코자크 시대



코자크는 15세기 말부터 우크라이나 중남부 드니프로 강 하류의 섬들을 중심으로 형성된 군사적 자치 공동체였다. 이들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오스만 제국, 러시아 제국 등 주변 강대국들 사이에서 독자적인 세력을 유지했다.

코자크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에 속해 있었지만, 폴란드의 지배 강화와 종교적 탄압에 맞서 여러 차례 봉기를 일으켰다. 특히 1648년 보흐단 흐멜니츠키가 주도한 흐멜니츠키 봉기는 우크라이나 역사에서 중요한 사건으로, 코사크 헤트만국이라는 자치 국가 수립으로 이어졌다.

1654년 페레야슬라프 조약을 통해 코자크는 러시아의 보호를 받게 되었으나, 이후 러시아와 폴란드에 의해 분할되었다. 일부 코자크는 오스만 제국의 보호를 받기도 했다.

1699년 폴란드는 우안 우크라이나에서 코자크 자치제를 폐지했지만, 러시아는 좌안 우크라이나에서 코자크 국가를 존속시켰다. 1708년 대북방 전쟁 중 코자크는 스웨덴의 보호를 받으려 했으나, 1709년 폴타바 전투에서 패배하면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식민지화가 시작되었다.

1764년 러시아는 코자크의 헤트만 정부를 폐지하고, 1775년에는 자포로지예 시치(코사크의 근거지)를 파괴하여 자포로지예 지방을 러시아에 병합했다. 1781년에는 코사크의 자치제가 완전히 폐지되고 러시아의 행정 구분이 설치되었다.

4. 2. 1. 코자크 헤트만국

1648년부터 1657년까지 보흐단 흐멜니츠키가 주도한 흐멜니츠키 봉기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에 대항하여 우크라이나 독립 전쟁을 일으켰고, 코사크 국가의 탄생으로 이어졌다.[83]

1654년 페레야슬라프 조약을 통해 코사크는 러시아의 보호를 받게 되었으나, 1656년 러시아는 이 조약을 파기했다. 코사크 국가는 오스만 제국스웨덴의 보호를 모색하는 외교 협상을 시작했다.[83]

1657년 흐멜니츠키가 사망하면서 코사크 국가는 내란에 휩싸였다. 1658년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를 침공하자, 코사크는 하자차 조약을 통해 "루스 대공국"으로서 폴란드의 보호를 받게 되었다. 1659년 코노토프 전투에서 코사크 군은 러시아군을 격파했지만, 1667년 안드루소보 조약을 통해 코사크의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와 폴란드에 의해 분할되었다.[83]

1672년 코사크의 일부는 오스만 제국의 보호를 받게 되었고, 1681년부터 1686년까지 코사크의 우크라이나는 바흐치사라이 조약과 영원한 평화 조약을 통해 러시아, 오스만 제국, 폴란드에 의해 다시 분할되었다.[83]

1699년 폴란드 정부는 우안 우크라이나에서 코사크 자치제를 폐지했지만, 러시아 정부는 좌안 우크라이나에서 코사크 국가를 존속시켰다. 1702년부터 1704년까지 우안 우크라이나에서는 폴란드에 대항한 코사크의 반란(세멘 팔리이)이 일어났다.[83]

1708년 대북방 전쟁 중, 코사크는 러시아에서 이탈하여 스웨덴의 보호를 받았다. 그러나 1709년 폴타바 전투에서 코사크 군은 러시아군에게 패배했고, 이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식민지화 시작으로 이어졌다.[83]

1764년 러시아 정부는 코사크의 헤트만 정부를 폐지하고 우크라이나를 통치하기 위해 "소러시아성"을 설치했다. 1775년에는 자포로지예의 시치 (코사크의 근거지)를 파괴하고 자포로지예 지방을 러시아에 병합했다. 1781년 러시아 정부는 코사크의 자치제를 폐지하고 코사크 영내에 러시아의 행정 구분을 설치했다.[83]

4. 2. 2. 자포로지아 시치

자포로지아 시치는 15세기 말에서 18세기 말까지 우크라이나 중남부에 존재했던 코사크들의 자치 공동체였다. 이들은 드니프로 강 하류의 섬들을 중심으로 군사적 조직을 갖추고,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오스만 제국, 러시아 제국 등 주변 강대국들 사이에서 독자적인 세력을 유지했다.

16세기 초부터 18세기 말까지 크림 칸국은 노예 무역의 핵심 주체로 부상하여 1500년에서 1700년 사이에 약 200만 명의 노예를 오스만 제국중동으로 수출했다.[94]

자포로지아 코사크들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에 속해 있었지만, 폴란드의 지배 강화와 종교적 탄압에 맞서 여러 차례 봉기를 일으켰다. 특히 1648년 보흐단 흐멜니츠키가 주도한 대규모 봉기는 우크라이나 역사에서 중요한 사건으로, 코사크 헤트만국이라는 자치 국가 수립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코사크 헤트만국은 러시아 제국의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되었고, 1775년 예카테리나 2세의 명령으로 자포로지아 시치는 해체되었다. 이는 러시아 제국의 우크라이나 지배 강화와 중앙 집권화 정책의 일환이었다.

5. 근대

1569년 루블린 연합으로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이 성립되면서 우크라이나는 폴란드 왕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이 시기 폴란드는 우크라이나 지역에 대한 식민지화를 추진하여 새로운 도시와 마을이 많이 건설되었다. 이러한 발전은 갈리치아, 볼히니아 등 우크라이나 지역 간의 연결을 강화하여 내부적 유대를 증진시켰다.[96]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르네상스 사상은 새로운 학교와 기관의 확산을 통해 우크라이나 사회에 전파되기 시작했다. 폴란드 정착민들이 대거 유입되어 현지인들과 섞이면서 문화적 동화가 진행되었다. 많은 우크라이나 귀족들이 폴란드 관습과 언어를 받아들이고 로마 가톨릭교로 개종하는 '폴란드화' 현상이 나타났다. 반면, 대다수의 루테니아어 사용 농민들은 동방 정교회 신앙을 고수하며 사회적 긴장을 야기했다.[96]

1600년 우크라이나 영토의 지배권


가혹한 농노제에 대한 저항으로 많은 루테니아 농민들이 코사크로 알려진 자유를 찾아 국경 지대로 도망쳤다. 코사크는 뛰어난 무술 실력과 독립 정신으로 명성을 얻었다. 일부는 연방에 의해 병사로 징집되어 타타르족의 침략으로부터 남동부 국경을 방어했다. 페트로 코나셰비치-사하이다치니와 같은 인물은 1621년 호틴 전투에서 연방의 승리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등 해외 원정에도 참여했다.[97]

그러나 코사크의 군사적 기여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정치적, 사회적 자율성을 얻지 못했다. 연방의 지배 귀족들은 코사크를 파괴적인 세력으로 간주하고 농노제로 편입시키려 했다. 이러한 소외와 권리 박탈은 코사크 반란을 촉발시켰고, 이는 코사크와 연방 간의 더 큰 갈등으로 이어졌다.[98]

16세기의 보이보드십 크기 및 인구[99]
보이보드십면적(km²)인구 (추정)
갈리치아45000km2446,000
볼히니아42000km2294,000
포돌리아19000km298,000
브라츠와프35000km2311,000
키예프117000km2234,000
벨즈 (두 지역)19000km2133,000
피들라세10000km2233,000


5. 1. 러시아 제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지배

17세기 중반, 우크라이나 중부에 카자크 수장국이 세워져 백년 이상 러시아 차르국의 압력을 견뎠으나, 결국 폴란드러시아에 의해 분할되었다. 18세기 후반 폴란드 분할을 통해 우크라이나 중부와 동부는 러시아 제국에, 서부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합병되었다.

1569년 루블린 연합 이후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이 결성되면서 우크라이나는 폴란드의 행정 구역으로 편입되어 폴란드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이 시기에는 이 지역의 정치적, 사회적 지형에 중대한 변화가 일어났다. 연방 수립 후 우크라이나 토지를 식민지화하려는 노력이 다시 시작되었고, 많은 새로운 도시와 마을이 건설되었다. 이러한 발전은 갈리치아볼히니아와 같은 다양한 우크라이나 지역 간의 연결을 촉진하여 우크라이나 내부의 유대를 강화하는 데 기여했다.[96]

새로운 학교와 기관의 확산을 통해 르네상스 사상이 우크라이나 사회에 스며들기 시작했다. 폴란드 정착민들이 대거 유입되었고, 점차 현지 인구와 섞이면서 문화 동화 과정이 시작되었다. 우크라이나 귀족의 상당수는 폴란드 관습, 언어를 채택하고 로마 가톨릭교로 개종하면서 '폴란드화'되었다. 한편, 다수의 루테니아어 사용 농민들은 동방 정교회에 충성을 유지했으며, 이로 인해 사회적 긴장이 고조되었다.

루테니아 농민들에게 가해진 가혹한 조건은 광범위한 저항을 불러일으켰다. 농노제에서 도망친 사람들은 국경 지대에서 자유를 찾아 코사크로 알려지게 되었다. 코사크는 무술 실력과 독립심으로 빠르게 명성을 얻었다. 이들 중 일부는 연방에 의해 병사로 징집되어 타타르족의 습격으로부터 남동부 국경을 방어하는 데 기여했으며, 페트로 코나셰비치-사하이다치니처럼 1621년 호틴 전투에서 연방의 승리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등 해외 원정에 참여하기도 했다.[97]

코사크가 연방의 군사적 노력에 기여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에게는 실질적인 정치적 또는 사회적 자율성이 일관되게 부인되었다. 연방의 지배 귀족들은 코사크를 주로 파괴적인 세력으로 간주하고 그들을 농노제로 바꾸려 했다. 이러한 지속적인 소외와 권리 박탈은 일련의 코사크 반란을 촉발하여 자율성과 삶의 방식을 지키려 했고, 궁극적으로 코사크와 연방 간의 더 큰 갈등의 발판을 마련했다.[98]

16세기의 보이보드십 크기 및 인구[99]
보이보드십제곱 킬로미터인구 (추정)
갈리치아45000km2446,000
볼히니아42000km2294,000
포돌리아19000km298,000
브라츠와프35000km2311,000
키예프117000km2234,000
벨즈 (두 지역)헬름19000km2133,000
피들라세10000km2233,000


5. 1. 1. 우크라이나 민족 부흥 운동

18세기 말 이반 코틀랴레프스키를 필두로 현대 우크라이나 문학이 등장하면서 우크라이나 민족 부흥이 시작되었다. 19세기 저명한 우크라이나 작가로는 타라스 셰우첸코, 미하일로 코치우빈스키, 레샤 우크라인카(러시아 제국)와 이반 프랑코(오스트리아-헝가리)가 있다.[118]

이반 코틀랴레프스키의 에네이다 출판 100주년을 기념하여 리비우에서 열린 셰브첸코 과학 협회 이사회와 회원들 (1898년 10월 31일).
첫 번째 줄: 미하일로 파블리크, 예브헤니야 야로신스카, 나탈리아 코브린스카, 올하 코빌랸스카, 실베스터 렙키, 안드리 차이코프스키, 코스트 판키우스키.


두 번째 줄: 이반 코파치, 볼로디미르 흐나티우크, 오십 마코베이, 미하일로 흐루셰우스키, 이반 프랑코, 올렉산드르 콜레사, 보흐단 렙키.


세 번째 줄: 이반 페트루셰비치, 필라레트 콜레사, 요십 키샤케비치, 이반 트루시, 데니스 루키아노비치, 미콜라 이바슈크.]]

알렉산드르 1세(1801–1825) 치하에서 우크라이나 내 러시아의 존재는 주로 제국 군대와 관료에 국한되었으나, 니콜라이 1세(1825–1855) 치하에 이르러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에 중앙 집권적 행정부를 수립했다. 11월 봉기(1830) 진압 후 차르 정권은 특히 우크라이나 드네프르강 서안에 대해 러시아화 정책을 시행했다. 이는 우크라이나어를 억압했을 뿐만 아니라 러시아 정교회에 대한 충성을 강조함으로써 지역 전통을 약화시키려는 목표도 가지고 있었다.[117]

평민과 농민 출신 우크라이나 지식인층이 부상하면서 전통적인 귀족의 지배에 도전했고, 민족의 권리와 사회 정의를 위한 운동에 불을 지폈다. 그러나 러시아 정부는 분리주의를 우려하여 우크라이나어와 문화에 엄격한 제한을 가했다. 1863년 발루예프 칙령은 종교 및 교육 텍스트에서 우크라이나어 사용을 금지했다. 1876년 엠스 칙령으로 억압이 더 심해졌는데, 우크라이나어 출판물, 외국에서 우크라이나 서적 수입, 극장에서의 우크라이나어 사용, 공공 독서조차 금지했다. 우크라이나 학교도 폐쇄되었다. 미하일로 드라호마노프, 미하일로 흐루셰우스키 등 많은 우크라이나 지식인들이 오스트리아령 서우크라이나로 도망갔다.[118] 프로스비타 같은 지하 교육 기관의 발전은 우크라이나 문화를 보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오스트리아 제국 아래 우크라이나인들의 운명은 달랐다. 오스트리아령 갈리치아에서 우크라이나인들은 중부 및 남부 유럽에서 영향력을 위한 러시아-오스트리아 경쟁 속에서 미묘한 입장에 놓였다. 러시아 제국과 달리 갈리치아 지배 엘리트는 주로 오스트리아 또는 폴란드계였고, 루테니아 인구는 주로 농민이었다. 19세기 동안 루스파일리아는 처음에 갈리치아 슬라브 인구 사이에서 흔했다. 그러나 러시아의 억압을 피해 온 우크라이나 지식인들의 유입과 오스트리아의 개입으로 루스파일리아는 점차 우크라이나파일리아로 대체되었다. 이러한 감정은 러시아령 우크라이나로 다시 확산되어 민족 부흥에 불을 지폈다.[117]

19세기 말, 우크라이나 도시 인구는 완만하지만 꾸준히 성장했고 정치적 각성이 시작되었다. 갈리치아 우크라이나인들은 최고 루테니아 평의회를 결성하고 토지 재분배 등 자율성과 개혁을 옹호했다. 러시아령 우크라이나에서는 지하 네트워크가 농민들 사이에 문학, 교육, 민족적 사상을 퍼뜨려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우크라이나 정체성이 유지되었다.

6. 현대

1991년 우크라이나는 소련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하였다.[187] 2010년 대통령 선거에서 빅토르 야누코비치가 율리아 티모셴코를 꺾고 당선되었으나, 2014년 유로마이단 혁명으로 축출되었다. 이후 페트로 포로셴코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고, 2019년 볼로디미르 젤렌스키가 제6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독립 이후 우크라이나는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돈바스 전쟁을 겪었고, 2022년에는 러시아의 전면 침공을 받았다.

6. 1. 제1차 세계 대전과 우크라이나 독립 전쟁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오스트리아 지배 하의 서부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지배 하의 동부 우크라이나는 각각 독립을 선언했다. 1920년, 이들은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이라는 이름으로 동서 통일을 선언했으나, 외부 군대의 침략으로 인해 신생 독립국은 오래가지 못했다. 결국 1922년, 서부는 폴란드, 동부는 소비에트 연방의 영토가 되었다.[100]

소비에트 연방에 합병된 우크라이나1921년-1922년 간, 1932년-1933년 간 두 차례에 걸쳐 큰 기근을 겪었다. 특히 1930년대의 두 번째 기근은 홀로도모르(Holodomor)라 불리며, 스탈린이 집단 농장 체제에 저항이 심했던 우크라이나에 대해 인위적으로 일으킨 기근으로 여겨진다. 이로 인한 사망자 수는 적게는 8백만여 명에서 많게는 1천만여 명 이상으로 추산되고 있다.[100]

이 시기 우크라이나에서는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 서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 외에도 마흐노우슈치나, 홀로드니 야르 공화국, 쿠반 인민 공화국 등 다양한 세력들이 독립을 추구했다.[131][132][133][135][136][137]

캐나다 학자 오레스트 수브텔니는 1919년 우크라이나의 상황을 "완전한 혼란"이라고 묘사하며, 여러 군대가 우크라이나 영토에서 작전을 수행하고, 도시와 지역이 서로 단절되었으며, 굶주린 사람들이 식량을 찾아 시골로 이동하는 등 극심한 혼란을 겪었다고 설명한다.[141]

역사학자 폴 쿠비첵은 1917년에서 1920년 사이에 여러 세력들이 우크라이나 독립을 추구했지만, 혁명, 국제전 및 내전, 강력한 중앙 권력의 부재로 인해 결국 실패하고, 대부분의 우크라이나 땅이 소련에 편입되거나 폴란드, 체코슬로바키아, 루마니아로 분할되었다고 평가한다.[142]

6. 1. 1.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

노란색과 파란색 깃발과 국가 가사를 든 집단이 러시아의 쌍두 독수리로부터 자신들을 방어하는 모습을 묘사한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UPR) 엽서 (1917년 11월~12월)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UPR)은 러시아 혁명의 혼란과 러시아 제국의 붕괴 속에서 1917년 11월 20일에 공식적으로 선포되었다. 처음에는 우크라이나 중앙 라다가 연방 러시아 내에서 자치를 추구했다. 그러나 러시아의 정치 상황이 불안정해지자 1918년 1월 22일에 완전한 독립을 선언했다.

출범 이후, UPR은 상당한 도전에 직면했다. 내부적으로는 사회주의자, 민족주의자, 연방주의자 간의 정치적 분열이, 외부적으로는 볼셰비키의 위협이 있었다. 경제적으로는 물자 부족, 인플레이션, 약화된 인프라 문제가 발생했다. 볼셰비키는 우크라이나 영토에 대한 지배권을 주장하며 군사 작전을 시작했고, UPR 군대와 장기간 충돌했다.[120]

1919년 1월 22일, 키이우의 성 소피아 대성당에서 통일법 조인식


1919년 1월 22일,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UPR)과 서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WUPR)은 통일법(Act Zluky) 서명을 통해 공식적으로 통합되었으나, 이는 상징적인 의미에 그쳤다. UPR과 WUPR 간의 효과적인 통합 부족으로 군사적 협력은 미미했다. UPR은 볼셰비키 세력에, WUPR은 동갈리시아 영유권 분쟁으로 폴란드 군대와 충돌했다.

망명한 우크라이나 지도자 시몬 페틀류라 (오른쪽 앞)가 폴란드와의 동맹 후 폴란드 장군 안토니 리스토프스키와 대화하고 있다.


1919년 초, 시몬 페틀류라가 이끄는 UPR 정부는 볼셰비키군에 의해 키이우에서 쫓겨났다. 1920년, 페틀류라는 폴란드와의 동맹을 모색, 바르샤바 조약을 체결했다. UPR은 볼셰비키에 대항하기 위한 폴란드의 군사적 지원을 대가로 서부 우크라이나에 대한 폴란드의 지배를 인정했다.[138]

폴란드-우크라이나 연합 작전은 1920년 5월 키이우를 일시적으로 탈환했으나, 볼셰비키의 반격으로 밀려났다. 1921년 3월, 폴란드가 소비에트 러시아와 리가 조약을 체결하면서 우크라이나는 분할되었다. UPR 정부는 망명했고, 페틀류라는 1926년 파리에서 암살될 때까지 정치 활동을 계속했다.[139][140]

6. 1. 2. 서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붕괴 이후인 1918년 10월 19일, 서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WUPR)이 선포되었다. 이 국가는 리비우를 포함한 동갈리치아를 중심으로, 우크라이나인이 다수 거주하는 부코비나와 자카르파티아 일부 지역까지 영토를 확장했다. 예브헨 페트루셰비치가 이끄는 WUPR 정부는 폴란드러시아의 영향에서 벗어나 서우크라이나에 독립적인 우크라이나 국가를 건설하려 했다.[126][127]

우크라이나 갈리시아군의 최고 사령부. 왼쪽에서 5번째부터 7번째까지 앉아있는 사람은 게네랄 미하일로 오멜리아노비치-파블렌코, 대령 빅토르 쿠르마노비치, 오타만 알프레드 샤마넥


WUPR은 행정 구조를 빠르게 발전시켜 우크라이나 갈리시아군을 창설하여 영토를 방어하고, 사회 및 경제 개혁을 도입하여 새로운 국가를 안정시키려 했다. 그러나 동갈리치아에 대한 WUPR의 주장은 해당 지역에 대한 통제권을 추구하던 제2 폴란드 공화국과의 즉각적인 갈등을 일으켰다. 이러한 영토 분쟁은 폴란드-우크라이나 전쟁(1918-1919)으로 이어졌고, 폴란드 준군사 세력이 우크라이나의 권위에 저항한 리비우에서 격렬한 전투가 벌어지면서 시작되었다.[128]

우크라이나군이 초기에 우세를 보였지만, 연합국의 물적 지원을 받은 폴란드군은 곧 주도권을 되찾았다. 1919년 중반까지 폴란드군은 대규모 공세를 시작하여 우크라이나 갈리시아군을 밀어내고 분쟁 지역에 대한 통제권을 확보했다. 압도적인 반대에 직면한 WUPR군은 1919년 7월까지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UPR) 영토로 후퇴했고, 이는 독립 국가로서의 WUPR의 종말을 의미했다.[129]

6. 1. 3. 기타 우크라이나 국가 및 세력

제1차 세계 대전과 러시아 10월 혁명 등 유럽을 휩쓴 혁명의 물결은 오스트리아-헝가리러시아 제국과 같은 제국을 무너뜨렸고, 우크라이나는 지정학적 격변 속에 갇히게 되었다. 1917년에서 1919년 사이에 여러 우크라이나 공화국이 독립을 선언하면서 주권을 추구하는 복잡한 국가와 영토가 등장했는데,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 우크라이나 국가, 서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과 더불어 마흐노우슈치나, 홀로드니 야르 공화국, 쿠반 인민 공화국이 있었다.[131][132][133][135][136][137]

1918년부터 1921년까지 존재했던 마흐노 운동은 네스토르 마흐노가 이끈 우크라이나 남부의 혁명적 아나키스트 운동이었다. 러시아 내전의 혼란 속에서 등장한 이 운동은 농민과 노동자들이 토지와 공장을 통제하는 아나키즘 원칙에 기반한 무국가 자치 사회를 건설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마흐노의 군대는 볼셰비키, 백군, 외세 침략자들을 포함한 다양한 세력과 싸웠으나, 초기의 성공에도 불구하고 결국 볼셰비키에 의해 진압되었다.[131]

유로마이단 당시 키이우의 홀로드니 야르 공화국 국기


1919년부터 1922년까지 존재했던 홀로드니 야르 공화국은 치히린 지역에 위치한 작은 우크라이나 반군 국가였다. 러시아 내전 동안 볼셰비키의 적군과 백군에 모두 반대하는 지역 저항군과 농민들에 의해 결성되었으며, 우크라이나 독립과 민족주의적 이상에 영감을 받아 몇 년 동안 독립을 유지했지만 결국 볼셰비키 군대에 의해 압도되었다.[132][133]

1919년 5월, 우크라이나 중부에서 우크라이나에서 가장 큰 반소비에트 봉기인 흐리호리우 봉기가 시작되었으나, 정규군에 의해 잔혹하게 진압되었다.[134]

1918년부터 1920년까지 존재했던 쿠반 인민 공화국은 흑해 근처의 쿠반 지역에서 코사크족에 의해 세워진 단명한 국가였다. 혁명으로 인한 러시아 제국의 붕괴 이후, 쿠반 코사크족은 독립을 선언하고 통치를 위해 쿠반 라다를 결성했다. 그들의 목표는 러시아 내전 속에서 문화적 정체성을 보존하고 토지에 대한 통제권을 유지하는 것이었다. 공화국은 볼셰비키에 대항하여 백군과 동맹을 맺었으며, 코사크 유산과 상호 전략적 이익을 공유했기 때문에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UPR)과 통합을 모색했으나, 이러한 협상은 공식적인 연합으로 이어지지 못했다. 고립된 채, 공화국은 1920년 진격해 오는 볼셰비키 적군에 의해 멸망하여 짧은 독립을 끝냈다.[135][136][137]

6. 2. 소련 시대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오스트리아와 러시아의 지배를 받던 서부와 동부 우크라이나는 각각 독립을 선언했다. 1920년, 이들은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이라는 이름으로 통일을 선언했지만, 외세의 침략으로 인해 오래가지 못했다. 1922년, 서부는 폴란드에, 동부는 소비에트 연방에 합병되었다.

소비에트 연방에 합병된 우크라이나는 1921년부터 1922년, 그리고 1932년부터 1933년까지 두 차례의 큰 기근을 겪었다. 특히 1930년대의 두 번째 기근은 홀로도모르(Holodomor)라 불리며, 요시프 스탈린이 집단 농장 체제에 저항하던 우크라이나를 억압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일으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로 인한 사망자는 적게는 8백만 명에서 많게는 1천만 명 이상으로 추산된다.[149][150]

6. 2. 1.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볼셰비키가 옛 러시아 제국 영토 전역으로 영향력을 확대하려 할 때, 우크라이나는 중요한 격전지가 되었다. 1917년 12월, 러시아 혁명의 혼란과 제국 권력의 붕괴 속에서 소비에트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이 선포되었다. 이는 그해 초 러시아 제국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한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에 대한 직접적인 도전이었다. 민족주의자와 민주주의자들이 이끌던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은 독립적인 우크라이나 국가를 건설하려 했다. 반면 볼셰비키가 지원하는 소비에트 인민 공화국은 우크라이나를 소비에트의 통제 하에 두고 러시아 볼셰비키의 목표에 맞추려 했다.[121]

1918년 3월, 이 새로 설립된 공화국은 도네츠크-크리보이로크 소비에트 공화국과 오데사 소비에트 공화국과 합병되었다. 이들 공화국은 우크라이나의 주요 산업 및 전략 지역에 소비에트 권력을 확립하려는 지역 볼셰비키 그룹에 의해 형성되었다. 이 합병의 결과는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공화국이었으며, 이는 소비에트 러시아와 제휴하고 내전 및 외세 개입의 혼란스러운 시기에 볼셰비키가 우크라이나에 대한 통제를 확보하기 위한 더 광범위한 노력의 일부였다. 이 기간은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 아나키스트, 외세 등 다양한 우크라이나 세력 간의 격렬한 갈등과 함께 진격하는 볼셰비키 군대에 의해 특징지어졌으며, 이는 이 지역의 전반적인 불안정에 기여했다. 1918년 4월 18일, 볼셰비키 군대가 영토에서 철수했을 때,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공화국은 공식적으로 해산되었다.[122][123]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Ukrainian SSR)의 영토 변천 (1919–1954)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UPR)과 서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WUPR)이 모두 패배하면서 볼셰비키 세력은 우크라이나에 대한 통제를 강화했다. 1919년 12월 30일, 볼셰비키는 우크라이나 사회주의 소비에트 공화국(Ukrainian SSR)의 설립을 선포하고, 이를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RSFSR)의 위성 국가로 자리매김했다. 새로운 소비에트 정부는 모든 우크라이나 영토에 대한 완전한 소비에트 권력을 확립하여 우크라이나를 더 넓은 소비에트 확장 틀에 통합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143]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설립은 우크라이나에서 소비에트 통치의 시작을 알렸다. 그 후 2년 동안, 붉은 군대는 남아있는 우크라이나 군대, 민족주의 저항 운동, 그리고 다른 반볼셰비키 세력을 체계적으로 제압했다. 1921년까지 볼셰비키군은 조직적인 저항을 거의 분쇄했으며, 1922년 소련의 창립 공화국 중 하나로서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을 통합하는 길을 열었다.[144]

6. 2. 2. 우크라이나화 정책과 신경제 정책

우크라이나화 프로그램은 우크라이나 인구 사이에서 우크라이나 민족 정체성을 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1921년의 이 모집 포스터는 우크라이나 철자법을 사용하여 "아들아, 에 입대하여 소련 우크라이나 방어를 보장하라"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1920년대 소련 정부는 비러시아 공화국에서 소련 정권에 대한 지지를 강화하기 위한 광범위한 전략의 일환으로 "우크라이나화" 정책을 시행했다. 이 정책은 교육, 정부, 언론에서 우크라이나어 사용을 장려했고, 우크라이나 문화와 역사는 지역 주민과 지식인 엘리트를 포섭하기 위해 홍보되었다. 우크라이나화는 수년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지배 이후 어느 정도의 문화적 부흥을 허용하여 우크라이나 문학, 연극, 예술은 상당한 성장을 경험했고, 학교는 우크라이나어로 가르치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 정책은 공산당에 의해 신중하게 통제되어 문화 발전이 소련 이데올로기에 부합하도록 했다.[145]

전쟁과 혁명의 참혹한 피해 이후, 소련 정부는 경제를 안정시키기 위해 신경제정책(NEP)을 도입했다. 이는 순수한 사회주의 정책에서 일시적으로 후퇴하여 일부 사기업과 시장 메커니즘이 국가 통제 산업과 함께 작동하도록 허용한 정책이다. NEP는 우크라이나에 복합적인 영향을 미쳤는데, 한편으로는 특히 농업과 소규모 산업에서 제한적인 경제 회복을 허용했다. 농민들은 시장에서 잉여 제품을 판매할 수 있었고, 소규모 사업은 특정 조건 하에 운영될 수 있었다. 다른 한편으로는 대규모 산업은 국가 통제하에 남아 있었고, 우크라이나가 의존했던 중공업 부문은 비효율적이고 회복이 느렸다. NEP가 농민들에게 어느 정도의 안도감을 제공했지만, 많은 농민들은 특히 내전 기간 동안의 가혹한 곡물 징발 정책 이후, 소련 권력에 대한 의심을 품고 있었고 농민과 소련 정권 사이의 긴장은 계속해서 고조되었다.[146]

이 기간 동안 공산당은 우크라이나에 대한 통제를 강화했다. 우크라이나 공산당(CPU)은 소련 정책을 시행하고 질서를 유지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정치 권력은 고도로 중앙 집중화되어 모스크바에서 내려진 결정이 우크라이나의 정책을 결정했다. 우크라이나화의 상대적인 문화적 자유에도 불구하고, 소련 정권에 대한 모든 정치적 반대는 가혹하게 탄압받았다. 전직 민족주의자, 지식인, 소련 권력 반대자들은 소외되었고, 진정한 우크라이나 자율성을 향한 모든 움직임은 신속하게 억압되었다.

드미트리 카르도프스키의 만화 "넵맨"(1920년대)


소련 초기에는 전쟁으로 파괴된 우크라이나 경제를 재건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우크라이나는 석탄, 철강, 기계 생산에서 특히 중요한 산업 중심지였다. 일부 기반 시설이 재건되었지만, 국가 통제의 비효율성과 전쟁의 잔재로 인해 경제적 어려움이 여전히 존재했다. 우크라이나는 농업이 풍부한 지역으로서, 농민들이 곡물 생산에 대한 국가 통제를 받으면서 어려움에 직면했다. NEP에도 불구하고, 농촌 지역은 빈곤으로 계속 고통받았으며, 이는 나중에 소련 정책에 대한 저항을 부추겼다.[147]

1920년대 후반에 이르러, 소련은 스탈린 치하에서 더욱 중앙 집중화되고 국가 통제적인 경제 정책으로 전환할 준비를 하면서 NEP가 점차 폐지되었다. 초점은 중공업화와 강제 집단화로 이동했으며, 홀로도모르를 포함한 1930년대의 극적이고 비극적인 사건을 위한 무대를 마련했다. 우크라이나화는 1920년대에 비교적 성공적이었지만, 10년이 끝나갈 무렵 스탈린 정권은 러시아 중앙 집중화에 초점을 맞추면서 이 정책을 뒤집기 시작했다. 앞으로 몇 년 동안 스탈린이 소련 공화국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기 위한 더 큰 노력의 일환으로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와 문화에 대한 탄압이 이루어질 것이다.

6. 2. 3. 강제 집단화와 홀로도모르

요시프 스탈린은 1929년 우크라이나를 포함한 소련 전역에서 강제 집단화 정책을 시작했다. 이 정책은 개별 농민의 농장을 콜호스라 불리는 대규모 국가 통제 집단 농장으로 통합하여 농업 생산성을 높이고 급속한 산업화를 위한 곡물 공급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그러나 "쿨라크"로 알려진 부유한 농민들을 포함한 우크라이나 농민들은 집단화에 저항했다. 소련 정권은 토지, 가축, 곡물을 압수하고 저항하는 사람들을 추방하거나 처형하는 등 잔혹한 힘으로 대응했다. 부실한 계획, 인센티브 부족, 농민들의 저항으로 인해 농업 생산량이 급감했고, 전통적인 농업 관행의 붕괴와 국가의 곡물 징발은 식량 부족을 악화시켜 농촌 지역에 광범위한 혼란을 초래했다.[148]

홀로도모르 기간을 포함한 1929~1933년 인구 감소.


1932~33년, 우크라이나어로 "굶주림"(holoduk)과 "절멸"(morytyuk)을 뜻하는 단어에서 유래된 홀로도모르는 소련 정부의 곡물 징발 정책과 집단화에 저항하는 사람들에 대한 징벌적 조치로 인해 발생한 인위적인 기근이었다. 수백만 명의 우크라이나인들이 홀로도모르 기간 동안 굶어 죽었으며, 마을 전체가 초토화되었다. 이 사건은 우크라이나 역사에서 가장 비극적인 사건 중 하나로 남아 있다. 소련 정부는 기근의 존재를 부인했고 위기 속에서도 곡물 수출을 계속했다. 홀로도모르는 농촌 인구를 황폐하게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우크라이나 민족 정체성과 문화를 약화시켰다. 이는 소련 권위에 대한 모든 저항에 대한 혹독한 경고 역할을 했다.[149][150]

6. 2. 4. 대숙청과 정치적 탄압

스탈린 정권은 1930년대 내내 편집증적인 모습과 권위에 대한 잠재적 위협을 제거하려는 끊임없는 노력으로 특징지어졌다. 이러한 의혹은 소련 전역에서 광범위한 정치적 탄압을 일으켰고, 우크라이나 사회 모든 계층에 큰 영향을 미쳤다. 숙청은 특히 민족주의적 성향을 가졌거나 반대 의견을 가질 것으로 의심되는 우크라이나 지식인, 예술가, 정치 지도자, 그리고 일반 시민들을 대상으로 했다. 스탈린의 목표는 소련 통치에 대한 반대 가능성이 있는 모든 근원을 제거하는 것이었다.[152]

비키우냐의 집단 매장지


대숙청은 1936년에서 1938년 사이에 절정에 달하며 우크라이나를 황폐하게 만들었다. 이 기간 동안 수만 명이 체포, 고문, 처형되었으며, 소련 외딴 지역의 강제 노동 수용소(굴라그)로 보내졌다. 1920년대 우크라이나화 정책 동안 지원을 받았던 우크라이나 지식인들은 소련의 이념적 순응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되면서 특히 표적이 되었다. 스탈린의 비밀 경찰인 내무인민위원회(NKVD)는 우크라이나의 문화 및 지적 공동체를 해체했다. 이 지식인들 대다수는 투옥되거나 처형되거나 절망과 자살로 내몰렸다. 많은 저명한 우크라이나 지식인들이 거주했던 하르키우의 슬로보 빌딩은 거주자들이 감시를 받다가 숙청에서 체포된 곳으로 악명이 높아졌다.[153][154]

이러한 탄압은 1934년 하르키우를 대신하여 우크라이나 SSR의 수도가 된 키이우에도 큰 피해를 입혔다. 수만 명의 키이우 시민들이 소련 보안군에 의해 납치되어 고문을 받고 날조된 혐의로 즉결 처형되었다. 피해자들은 증거 없이 반역, 간첩 또는 민족주의 활동 혐의로 기소되었고 가짜 재판에서 사형을 선고받았다. 그들의 시신은 키이우 근처 숲인 비키우냐에 비밀리에 매장되었고, 그곳은 나중에 우크라이나에서 가장 큰 집단 매장지 중 하나가 되었다. 우크라이나가 독립하고 국가보안위원회(KGB) 기록이 기밀 해제된 후 비키우냐에서 수천 개의 무덤이 발견되었고, 비키우냐 묘지 기념 단지가 설립되었다. 소련 당국은 오랫동안 진실을 부인하고 대신 나치의 잔학 행위가 집단 매장을 초래했다고 주장했다.[155][156]

이 숙청은 공개 재판으로 특징지어졌는데, 저명한 인물들은 잔혹한 심문을 통해 반소련 활동에 대한 날조된 혐의를 자백하도록 강요받았다. 우크라이나의 교육받고 숙련된 시민들의 손실은 수십 년 동안 지적, 문화적, 사회적 발전을 저해했으며, 우크라이나의 발전을 방해하고 오늘날까지 우크라이나에서 기억되는 상처를 남긴 두려움의 유산을 만들었다.[157]

6. 2. 5. 제2차 세계 대전과 나치 점령

1938년 10월, 뮌헨 협정 이후 카르파토-우크라이나는 체코슬로바키아 내에서 자치를 획득했다.[158] 그러나 1939년 3월, 나치 독일의 압력으로 체코슬로바키아가 붕괴되면서 카르파토-우크라이나는 카르파토-우크라이나 공화국으로 독립을 선언했지만, 며칠 만에 헝가리군이 나치 독일의 지원을 받아 이 지역을 점령했다.[159]

1939년 9월 1일, 제2차 세계 대전나치 독일의 폴란드 침공으로 시작되었다. 16일 후, 소련은 몰로토프-리벤트로프 조약에 따라 동부 폴란드를 침공하여 동유럽을 나치 독일과 소련의 세력권으로 분할했다. 갈리치아와 볼히니아를 포함한 폴란드의 동부는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 합병되었고, 소련은 민족주의 운동과 종교 기관을 탄압하는 소련화 정책을 시행했다.[160]

1941년 6월 22일, 나치 독일과 그 동맹국바르바로사 작전을 시작하여 소련을 침공했고, 우크라이나는 주요 전장이 되었다. 독일 점령은 처음에는 억압적인 소련 정권으로부터의 해방으로 여겨졌지만, 곧 나치 이데올로기에 따라 레벤스라움(생활 공간) 계획과 자원 착취의 대상이 되었다.

UPA 선전 포스터. OUN/UPA의 공식 인사는 수평선 두 줄에 우크라이나어로 쓰여 있다. "우크라이나에 영광을 – (그녀의) 영웅에게 영광을". 병사는 소련과 나치 독일의 깃발 위에 서 있다.


약 450만에서 600만 명의 우크라이나인이 소련 붉은 군대에서 나치 독일과 싸웠으며, 파르티잔 저항도 활발했다. 일부 우크라이나인들은 독립을 위해 독일인과 협력했고,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 기구(OUN)가 결성한 우크라이나 반군군 (UPA)은 독립 우크라이나를 위해 나치와 소련군 모두와 충돌했다.[161]

우크라이나 민족주의 운동 내 일부 파벌은 전쟁 전 친 폴란드적 틀 내에서 자치를 추구했지만, 강제 동화 정책으로 폴란드인과 우크라이나인 사이의 긴장이 고조되었다. 독일 점령 기간 동안 이러한 긴장은 볼히니아-갈리치아 비극으로 알려진 폭력적인 민족 갈등으로 확대되었다. 우크라이나 반군군 (UPA)과 아르미아 크라요바를 포함한 폴란드 지하군은 1943-1944년 동안 상호 폭력 캠페인을 벌였다. UPA는 볼히니아와 동부 갈리치아에서 폴란드 민간인을 표적으로 삼아 최대 10만 명의 폴란드인이 사망했으며, 폴란드군은 우크라이나 민간인에 대한 공격을 감행하여 수만 명의 우크라이나인이 사망했다.[162]

우크라이나의 나치 점령은 특히 유대인에 대한 극심한 잔혹 행위로 특징지어졌다. 약 150만 명의 유대인이 우크라이나의 홀로코스트 기간 동안 살해되었으며, 바비 야르 학살과 같은 만행이 발생했다.[163]

1943년 스탈린그라드 전투 이후, 소련군이 독일군을 우크라이나에서 몰아내기 시작했고, 1944년에는 국가 전체가 다시 소련의 통제를 받게 되었다. 그러나 소련 정부는 나치 협력 혐의자들에게 가혹한 보복을 가했고, NKVD(소련 비밀 경찰)는 대량 체포, 추방, 처형을 실시했다. UPA 파르티잔은 1940년대 후반과 1950년대 초까지 저항했지만, 소련 당국은 결국 이 반란을 진압했다.[164]

소비에트 우크라이나와의 통일을 선언하는 자카르파티아 우크라이나 신문의 표지, 1944년


헝가리 점령 기간 동안 카르파토-우크라이나는 심각한 탄압에 직면했다. 1944년, 소련 붉은 군대는 헝가리와 독일군으로부터 카르파토-우크라이나를 "해방"시켰다.[165] 몰로토프-리벤트로프 조약 및 그에 따른 전쟁 사건의 결과로 부코비나, 베사라비아의 일부, 카르파토-우크라이나 (자카르파티아)가 우크라이나 SSR에 통합되었다.[166][167]

6. 2. 6. 전후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우크라이나 SSR 헌법이 수정되어 우크라이나는 소련의 일부로 남으면서도 국제법에서 별도의 주체로 활동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로 우크라이나 SSR은 벨로루시 SSR과 함께 국제법의 창립 회원국이 되었다. 이는 총회에서 소련에 유리한 균형을 맞추기 위한 미국과의 합의였다. 우크라이나 SSR은 유엔 회원국으로서 1948–1949년과 1984–1985년에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회원국으로 선출되었다.[168][169]

피난민들은 이러한 객차로 수송되었다.


그러나 이 시기는 심각한 탄압과 사회적 격변으로 특징지어진다. 1946-1947년 기근은 우크라이나의 광대한 지역을 황폐화시켰는데, 이는 소련 정부가 곡물 수확량 전체를 징발하여 식량 부족을 악화시켰기 때문이다. 그러나 서부 우크라이나는 우크라이나 반군 군대 (UPA)의 저항으로 기근의 영향을 덜 받았다. 소련 정권은 1947년에 "서부" 작전을 시작하여 77,000명 이상의 사람들을 서부 우크라이나에서 시베리아로 강제 이주시켰다. 이들은 노릴스크 봉기 등 소련 굴라그 시스템 내 봉기를 조직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70][171][172]

1953년 스탈린 사망과 니키타 흐루쇼프의 집권 이후, 많은 정치범들이 굴라그에서 석방되었으며, 여기에는 많은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와 지식인들이 포함되었다. 그러나 소련 권위에 위협이 된다고 여겨지는 사람들은 종종 면밀한 감시를 받았다. 스탈린주의 숙청의 일부 희생자들은 공식적으로 복권되었지만, 이 과정은 선택적이고 불완전했다.[173]

처녀지 개발 25주년을 기념하는 1979년의 소련 우표


흐루쇼프는 농업 개발에 초점을 맞추어, 소련 식량 생산에서 우크라이나의 비옥한 토지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는 처녀지 개척 사업과 관련하여 특히 중요했는데, 이 사업은 카자흐스탄시베리아의 농지를 개발하기 위해 자원과 인력을 투입했다. 그러나 우크라이나 집단 농장은 비효율적이었고, 관료적 관리 부실에 시달렸다. 산업 성장이 지속되었으며, 제철 산업과 광업과 같은 중공업에 특히 중점을 두었다. 그러나 오래된 기반 시설과 부실한 계획은 종종 진전을 훼손했다.[174]

흐루쇼프 해빙은 상대적으로 문화적 자유화 시기였으며, 특히 문학, 예술, 역사 연구를 통해 우크라이나 정체성을 제한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했다. 올레스 혼차르와 리나 코스텐코와 같은 저명한 우크라이나 작가들이 등장하여 민족 정체성과 사회 변화의 주제를 반영했다. 산업화는 또한 많은 우크라이나인들이 도시로 이동하면서 급격한 도시화를 촉발했다. 교육 과정은 이데올로기적으로 주도되었고, 독립적인 사고나 민족 정체성보다 공산당에 대한 충성을 우선시했다.[175]

1954–1991년 소련 내의 우크라이나 SSR 위치(노란색)


1954년에 크림반도는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RSFSR)에서 우크라이나 SSR로 이관되었다. 이 이관은 주로 행정적인 것이었다.[176] 한편,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들은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 기구 (OUN)와 우크라이나 반군 군대 (UPA)의 잔당을 포함하여 계속해서 박해를 받았다. UPA의 무장 저항은 1950년대 초에 대부분 진압되었지만, 민족주의적 정서는 특히 지식인과 농촌 인구 사이에서 은밀한 힘으로 남아 있었다. 소련 이데올로기에서 너무 벗어난 사람들은 검열, 괴롭힘, 때로는 투옥에 직면했다. 짧은 문화 부흥과 생활 수준의 개선에도 불구하고, 이 시대는 지속적인 경제적 비효율성과 정치적 탄압으로 특징지어졌다.[177][178]

1964년 니키타 흐루쇼프에서 레오니트 브레즈네프로의 권력 이양은 공산당 지도부가 조작한 쿠데타의 결과였다. 탈스탈린화와 경제 개혁과 같은 흐루쇼프의 정책은 당 엘리트들 사이에서 불만을 야기했다. 1964년 10월, 정치국 회의에서 흐루쇼프는 정책 실패로 기소되어 사임을 강요받았다. 레오니트 브레즈네프는 흐루쇼프를 대신하여 최고 서기가 되었다.[179]

브레즈네프 치하에서, 종종 "정체" 시기와 연관되는 우크라이나는 심각한 도전에 직면했다. 모스크바로부터의 중앙 집권적 통제는 볼로디미르 시체르비츠키와 같은 우크라이나 공산당 지도자들을 크렘린 정책의 단순한 집행자로 만들었다. 러시아화 정책이 강화되어 우크라이나어와 문화는 소련 러시아의 지배를 위해 소외되었다. 정치적 탄압은 심각했다. KGB는 우크라이나 자치 또는 정체성을 옹호하는 반체제 인사, 지식인, 문화 인물을 표적으로 삼았다. 바실 스투스, 이반 즈유바, 비야체슬라프 초르노빌과 같은 인물들은 괴롭힘, 투옥 또는 망명을 겪었다. 탄압에도 불구하고, 지하 운동이 지속되어 사미즈다트를 사용하여 금지된 작품을 유포하고 소련의 인권 침해에 대한 인식을 높였다.[179][180]

경제적으로 우크라이나는 여전히 강철, 석탄, 기계를 생산하고 소련의 "곡창" 역할을 하는 산업 강국으로 남아 있었다. 그러나 비효율적인 계획, 구식 기반 시설, 환경 파괴가 경제를 괴롭혔다. 열악한 농업 생산량과 관료적 관리 부실은 식량 부족으로 이어졌다. 도시화가 증가했지만, 주택 부족과 부적절한 서비스는 정체를 강조했다. 환경 문제는 악화되었는데, 특히 돈바스와 같은 산업 지역에서는 오염이 공중 보건에 심각한 영향을 미쳤다.[179]

우크라이나 헬싱키 그룹


우크라이나 정체성의 억압과 반체제 인사들의 고투는 저항의 씨앗을 뿌렸다. 바실 스투스와 우크라이나 헬싱키 그룹과 같은 활동가들은 소련의 인권 침해를 폭로했지만, 가혹한 처벌을 받았다.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우크라이나는 소련 내 반체제 활동의 초점이 되었다.[181]

1982년 레오니트 브레즈네프가 사망한 후, 소련유리 안드로포프 (1982–1984)와 콘스탄틴 체르넨코 (1984–1985) 치하에서 짧은 기간의 리더십을 경험한 후, 1985년에 미하일 고르바초프가 권력을 잡았다. 고르바초프의 ''글라스노스트''(개방)와 ''페레스트로이카''(개혁)의 도입은 전환점을 맞이하여 개혁의 분위기를 조성하고 소련 통치에 대한 대중의 불만을 증폭시켰다. 글라스노스트는 표현의 자유를 확대하여 우크라이나 지식인, 활동가 및 반체제 인사들이 러시아화, 환경 파괴, 그리고 홀로도모르와 같은 역사적 잔학 행위와 같은 오랫동안 억압된 문제들을 공개적으로 다룰 수 있게 했다. 이 기간 동안, 우크라이나 헬싱키 그룹과 같은 조직과 루흐 (1989년에 설립된 우크라이나 인민 운동)와 같은 운동은 더 큰 자율성, 문화 부흥, 궁극적으로 독립을 위한 핵심 옹호자로 등장했다. 소련 내 주요 산업 및 농업 중심지로서 우크라이나는 광범위한 소련 경제 정체의 어려움을 겪었다.[182][183]

프리피야트와 멀리 보이는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1986년 4월 26일, 우크라이나 도시 프리피야트는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4호 원자로가 폭발하면서 역사상 최악의 핵 재해 중 하나가 발생한 장소가 되었다. 이로 인해 상당량의 방사성 물질이 대기 중으로 방출되었고, 이는 유럽 전역으로 바람에 의해 운반되었다. 그 결과 발생한 방사성 낙진은 북부 우크라이나와 인근 벨라루스의 광대한 지역을 오염시켰다. 폭발 직후의 상황은 참혹했다. 사고 당일 밤에 발전소 직원 2명이 사망했고, 그 후 몇 주 동안 28명의 응급 구조 대원이 급성 방사선 질환으로 사망했다. 이 재해로 인해 프리피야트와 주변 지역에서 10만 명 이상이 대피해야 했으며, 오늘날까지도 사람이 살 수 없는 유령 도시와 오염된 체르노빌 배제 구역이 남았다. 이 비극은 심오한 환경적, 건강적, 정치적 결과를 초래했다. 체르노빌 재앙은 루흐와 같은 지역 독립 운동에 활력을 불어넣어 1980년대 후반에 상당한 추진력을 얻었고, 결국 소련 해체에 기여했다.[184]

1980년대 후반은 우크라이나어, 전통, 역사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특징으로 하는 우크라이나의 문화적 각성을 목격했다. 우크라이나 문화 정체성을 부활시키려는 노력은 수십 년간의 소련 정책에 도전하여 이를 억압하려 했다. 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 교회의 재설립과 독립적인 우크라이나 정교회를 옹호하는 운동은 소련의 무신론에 대한 증가하는 불만을 강조하고 민족주의적 정서를 부추겼다.[185][186]

6. 3. 독립 우크라이나

1991년 우크라이나는 소련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하였다.[187] 2010년 대통령 선거에서 빅토르 야누코비치가 율리아 티모셴코를 꺾고 당선되었으나, 2014년 유로마이단 혁명으로 축출되었다. 이후 페트로 포로셴코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고, 2019년 볼로디미르 젤렌스키가 제6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독립 이후 우크라이나는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돈바스 전쟁을 겪었고, 2022년에는 러시아의 전면 침공을 받았다.

1991년 소련 우표에 표시된 우크라이나의 국가 주권 선언

6. 3. 1. 독립 선언과 탈소련 전환

1990년 무렵, 우크라이나에서는 수십 년간의 문화적 억압, 경제적 착취, 그리고 우크라이나인들 사이에서 성장하는 민족 의식으로 인해 주권 요구가 절정에 달했다. 1990년 1월 21일, 30만 명이 넘는 우크라이나인들이 키이우에서 리비우까지 이어진 "인간 사슬"을 형성하여 단결과 결의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시위를 벌였다. "단결의 사슬"로 알려진 이 행위는 1919년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과 서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의 통일법 기념일에 맞춰 진행되었으며, 동부와 서부 우크라이나의 단결과 독립 의지를 보여주었다.[187]

1991년 3월, 소련 보존에 관한 국민투표가 실시되었고, 우크라이나에서는 다수의 유권자가 우크라이나 국가 주권 선언에 기초한 소련 가입을 지지했다. "우크라이나가 우크라이나의 국가 주권 선언을 기반으로 하는 소련 주권 국가 연합의 일부가 되어야 한다고 동의하십니까?"라는 질문에 유권자의 81.7%가 지지 의사를 밝혔다.[188]

의회 신문 ''홀로스 우크라이니''의 1991년 8월 27일자 신문 1면에 독립 선언문이 하단에 인쇄되어 있다.


1991년 8월 24일, 최고 라다(우크라이나 의회)는 우크라이나의 독립을 선언하여 소련으로부터 탈퇴했다. 이는 8월 쿠데타 실패 이후에 취해진 결정적인 조치였다.[189] 이 결정은 1991년 12월 1일에 실시된 전국적인 국민 투표로 강화되었는데, 유권자의 90.32% 이상이 독립을 지지했으며, 모든 지역(크림반도에서 54.19% 포함)에서 다수가 독립을 지지했다.[190] 같은 날, 우크라이나는 첫 번째 대통령 선거를 치렀고, 전직 고위 소련 관리였던 레오니드 크라우추크가 선거에서 승리하여 초대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되었다. 크라우추크는 재임 기간 동안 안정을 유지하고, 우크라이나를 모스크바의 영향력에서 벗어나게 하며, 내부 정치적 과제를 관리하기 위해 노력했다.[191]

소련의 해체는 벨라루스의 벨로베자 숲에서 공식화되었는데, 레오니드 크라우추크, 스타니슬라프 슈슈케비치, 보리스 옐친 등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러시아의 지도자들이 1991년 12월 8일에 벨로베자 조약에 서명했다. 이 조약은 소련의 종말을 선언하고, 구 소련 공화국들의 느슨한 연합체인 독립 국가 연합(CIS)을 설립했다. 1991년 12월 26일까지 소련은 공식적으로 소멸되었고, 우크라이나의 독립은 국제 사회로부터 사실상 인정을 받았다.[192]

독립을 선언한 후, 우크라이나는 새로운 독립 국가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하기 위해 복잡한 탈소련 전환을 시작했다. 1991년부터 1996년까지 우크라이나는 세계 무대에서 주권 국가로서의 입지를 다지기 위해 상당한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변화를 겪었다.[193]

독립 초기에 최고 라다는 국가의 법적, 정치적 틀을 구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우크라이나의 입법 기구로서 라다는 우크라이나의 정치 및 경제 구조의 기초를 세우기 위한 법안을 작성하고 통과시키는 책임을 맡았다. 그러나 서방 통합을 지향할 것인지, 아니면 러시아 연방과의 유대를 더 강화할 것인지에 대한 회원들의 논쟁으로 이념적 분열에 직면했다. 이러한 논쟁은 광범위한 사회적 분열을 반영했고, 입법 개혁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194]

현대 우크라이나 국기


국가 정체성을 공고히 하기 위해 우크라이나는 역사적, 문화적 의미를 담은 국가 상징을 채택했다. 의회는 청황색 깃발과 트라이주브 (삼지창)를 국가 문장으로 선정했는데, 이는 우크라이나의 주권과 통일을 강력하게 나타내는 상징이 되었다.[195][196]

이 기간의 중요한 역사적 순간은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 대통령 미콜라 플라비우크가 1992년 8월 22일 키이우에서 열린 최고 라다의 공식 회의에서 새로 선출된 독립 우크라이나 대통령 레오니드 크라우추크에게 권력을 이양한 것이다. 이 이양은 대체로 상징적이었지만 우크라이나의 독립 투쟁의 연속성을 보여주며, 과거 지도자들의 노력을 새로운 정부의 노력과 연결했다. 이 행위는 70년 이상에 걸친 우크라이나의 국가적 열망의 정점을 나타냈고, 국가의 주권과 역사적 연속성에 대한 헌신을 심화시키는 신호탄이 되었다.[199][197] 플라비우크는 선언에서 현재의 우크라이나 국가는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의 합법적인 후계자이며, 그 권위와 국가적 전통을 이어받는다고 선언했다.[198][199]

1994년 12월 5일에 우크라이나, 러시아, 미국, 영국이 서명한 부다페스트 안전 보장 각서는 탈소련 지정학에서 중요한 협약이었다. 이 각서는 소련 붕괴 이후 상속받은 세계 3위 규모의 핵무기를 우크라이나가 포기하는 과정을 공식화했는데, 여기에는 약 1,900개의 전략 핵탄두가 포함되어 있었다. 이러한 무기는 우크라이나 영토에 배치되었지만, 작전 통제는 모스크바가 했으며, 우크라이나가 그러한 무기를 보유하는 것은 세계적 핵 확산 방지 노력에 심각한 우려를 야기했다. 무기를 포기하는 대가로 서명국들은 우크라이나의 주권, 영토 보전, 독립을 보장했다. 이 각서는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력 또는 무력 위협을 사용하지 않고, 우크라이나의 지위를 훼손하기 위한 경제적 또는 정치적 압력을 가하지 않을 것을 보장했다. 또한 우크라이나에 대한 침략이 발생할 경우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가 개입할 것을 확약했다. 그러나 이러한 보장은 법적 구속력이 있는 보장이 아닌 정치적 약속이었으며, 그 시행은 서명국들의 선의에 달려 있었다.[201][202]

시장 경제로의 전환은 인플레이션과 정치적 불안정으로 더욱 악화되었다. 즉각적인 개혁의 부재는 광범위한 좌절을 초래했고, 이는 1994년의 조기 대통령 선거로 이어졌는데, 여기서 레오니드 크라우추크는 엔지니어이자 전직 소련 관리였던 레오니드 쿠치마에게 자리를 물려주었다. 쿠치마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경제를 현대화하고, 러시아와 서유럽 모두와 균형 잡힌 관계를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했는데, 이는 복잡한 지정학적 압력 속에서 우크라이나의 독립을 지키기 위한 신중한 접근 방식이었다.[203]

11~12세기 키이우 흐리우냐, 우크라이나 국립 은행의 복제품


1992년에 경제를 안정시키기 위해 우크라이나는 임시 통화인 우크라이나 카르보바네츠를 도입했다. 이 통화는 보다 영구적인 해결책이 시행될 때까지 임시 방편으로 사용될 예정이었다. 카르보바네츠는 빠르게 평가 절하되어 경제 불안정에 기여했다.[204] 1996년, 우크라이나는 흐리우냐를 국가 통화로 도입했는데, 이는 국가의 경제 전환에서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고, 독립을 더욱 공고히 했다.[205][206] 이는 키예프 루스에서 사용된 무게 단위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207]

최고 라다에서는 개혁 계획에 대한 합의를 도출하고, 친서방 및 친러시아 파벌의 이익을 조화시키는 데 어려움을 겪었지만, 우크라이나는 1996년 6월 28일에 우크라이나 헌법을 채택함으로써 법적 구조를 정의하는 데 결정적인 조치를 취했다. 이 문서는 우크라이나를 대통령-의회 제도를 갖춘 민주적 법치 국가로 확립하여 행정, 입법, 사법부 간의 권력 분립을 명확하게 규정했다. 다양한 정치 세력과 학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작성된 헌법은 법치주의와 인권에 대한 우크라이나의 헌신을 명시하여, 독립 국가로서 우크라이나의 발전을 위한 초석이 되었다.[208]

전환기 말에 우크라이나는 독립의 주요 구성 요소를 만들었다. 자체 통화, 헌법, 국가 상징, 그리고 국가 정체성에 대한 증가하는 인식을 바탕으로 우크라이나는 주권 국가로서의 길을 개척하기 시작했다. 탈소련 전환 기간이 수많은 경제적, 정치적 과제를 야기했음에도 불구하고, 이 형성기는 현대 우크라이나의 방향과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6. 3. 2. 오렌지 혁명과 명예 혁명

2004년 대통령 선거레오니드 쿠치마 대통령이 두 번의 임기를 마치고 재선에 출마하지 않겠다고 발표하면서 시작되었다. 이로 인해 현직 총리였던 빅토르 야누코비치와 야당 지도자 빅토르 유셴코 간의 치열한 경쟁이 벌어졌다. 야누코비치는 쿠치마와 러시아 연방의 지지를 받았으며 러시아와의 긴밀한 관계를 옹호했다. 반면 유셴코는 개혁주의자로서 민주적 변화와 유럽 연합과의 통합을 강조했다.[221][222]

선거 운동 기간 동안 우크라이나 내의 지역 및 문화적 분열이 두드러졌다. 서부 및 중부 지역은 유셴코를, 동부 및 남부 지역은 야누코비치를 지지했다. 율리아 티모셴코는 유셴코 연합의 주요 인물로서, 그녀의 연설과 리더십은 변화를 위한 운동의 상징이 되었다.[223]

2004년 11월 21일, 2차 투표에서 야누코비치가 공식적으로 승리자로 선언되었다. 그러나 광범위한 선거 부정 의혹이 제기되었고, 유셴코가 다이옥신으로 독살 시도를 당한 사건까지 겹치면서 정치적 위기가 발생했다.[224][225]

오렌지 혁명 중 우크라이나 및 외국 대표와의 원탁 회담


야누코비치의 승리 발표는 오렌지 혁명으로 이어진 대규모 시위를 촉발시켰다. 2004년 11월 22일부터 수십만 명의 우크라이나인들이 키이우의 독립 광장에 모여 정의, 민주주의, 공정한 선거를 요구했다. 시위대는 오렌지색을 상징으로 채택했다.[220]

오렌지색 옷을 입은 시위대가 키이우 독립 광장에 모여있다


티모셴코는 혁명의 중심 인물로 부상하여 군중에게 영감을 주고 운동을 지속하기 위한 노력을 조정했다. 2004년 12월 3일, 우크라이나 대법원은 부정 행위의 증거를 근거로 선거 결과를 무효화하고 재투표를 명령했다. 2004년 12월 26일 재선거에서 유셴코가 52%의 득표율로 승리했다. 야누코비치는 총리직에서 사임했고, 그의 내각은 2005년 1월 5일에 해임되었다. 유셴코의 대통령 취임은 오렌지 혁명의 정점을 찍었다.[226][220]

2005년 2월, 티모셴코는 총리로 임명되었으나, 오렌지 연합은 유셴코 대통령 임기 동안 내부 갈등에 직면했다. 유셴코와 티모셴코의 관계 악화로 인해 2005년 9월 티모셴코는 총리직에서 해임되었다.[220][227]

유셴코 재임 기간 동안 우크라이나의 외교 정책은 유럽 연합과의 관계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전환되었고, 이는 러시아와의 관계를 악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특히 2005년 러시아와의 천연 가스 가격 분쟁은 유럽 전역에 가스 부족 사태를 야기했다.[228][229]

2006년 우크라이나 국회의원 선거 결과, 각 선거구에서 가장 인기 있는 정당을 보여준다


2006년 우크라이나 국회의원 선거는 빅토르 야누코비치의 재등장을 보여주었다. 그의 지역당은 상당한 지지를 확보하여 그가 총리가 되었다. 2007년 조기 선거로 티모셴코가 총리로 복귀했지만, 정치 환경은 여전히 불안했다. 유셴코와 티모셴코 간의 갈등은 지속되었고, 이는 정부를 더욱 약화시켰다.[230][231][232]

2008-2009년 세계 금융 위기는 우크라이나 경제에 심각한 영향을 미쳤다. 국제 통화 기금 (IMF)의 구제 금융에 의존해야 했으며, 러시아와의 에너지 분쟁이 고조되었다. 2009년 가스 분쟁은 우크라이나의 취약성과 러시아 에너지 의존성을 부각시켰다.[233]

러시아에서 유럽으로 가는 천연 가스 파이프라인


2009년 1월, 가스프롬은 우크라이나를 경유하여 유럽으로의 가스 공급을 중단하여 겨울철에 여러 유럽 국가가 에너지 위기에 빠졌다. 이 위기는 우크라이나의 신뢰할 수 있는 통과 국가로서의 평판을 손상시키고 러시아 및 유럽 연합과의 관계를 악화시켰다.[234]

빅토르 유셴코 우크라이나 제3대 대통령 공식 초상화


2005년 4월 기자 회견에서 유셴코와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


2010년 대통령 선거에서 유셴코와 티모셴코는 앙숙이 되었고,[235][210] 티모셴코는 유셴코와 야누코비치 모두를 상대로 출마했다. 유셴코는 출마를 고수했고, 많은 친 오렌지 지지자들이 투표를 포기했다.[236] 결선 투표에서 야누코비치는 48%를 득표하여 티모셴코(45%)를 이겼다.[237]

야누코비치는 재임 기간(2010-2014년) 동안 권력을 집중시키려 했으며, 2011년 율리야 티모셴코의 유죄 판결은 서방 정부로부터 정치적 동기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비난을 받았다.[238][239]

2014년 유로마이단 시위 (키이우)


2013년 11월, 야누코비치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유럽 연합 협정에 서명하지 않고 러시아와의 관계 강화를 추진하면서 키이우 거리에서의 시위를 촉발했고, 이는 명예 혁명으로 이어졌다.[240][241] 시위대는 키이우의 마이단 독립 광장에 캠프를 설치했고,[242] 2013년 12월과 2014년 1월에는 다양한 정부 청사를 점거하기 시작했다.[243] 2014년 2월 시위대와 경찰 간의 충돌로 약 80명이 사망했다.[244][245]

폭력 사태 이후, 2월 22일 우크라이나 의회는 야누코비치의 권한을 박탈하고 티모셴코를 석방하기로 투표했다. 야누코비치 지지자인 볼로디미르 바실리요비치 릐바크는 의회 의장직에서 사임했고, 티모셴코의 측근인 올렉산드르 투르치노프가 임시 대통령으로 임명되었다.[246] 야누코비치는 키이우에서 도주하여 러시아 로스토프나도누에서 기자 회견을 열었다.[247]

6. 3. 3.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과 동부 및 남부 우크라이나에서의 친러시아 소요 사태로 인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시작되었다.[262][263] 도네츠크 인민 공화국과 루간스크 인민 공화국을 자칭한 우크라이나 분리주의 세력은 국민투표를 실시, 독립에 찬성한다고 주장했다.[264][263] 이후 우크라이나군과 친우크라이나 세력, 그리고 도네츠크 및 루간스크 인민 공화국 지지 세력 간의 전투는 돈바스 전쟁으로 확대되었다.[263][265] 이 분쟁으로 2014년 12월까지 6,400명 이상이 사망했고, 수많은 우크라이나 국내 실향민과 난민이 발생했다.[266][267][268][269]

부다페스트 양해 각서는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과 돈바스 전쟁 지원으로 인해 그 취약성이 드러났다. 러시아는 자국민 보호를 명분으로 내세웠지만, 국제 사회는 이를 널리 인정하지 않았다. 우크라이나와 서방 국가들은 러시아의 행동이 양해 각서 위반이라고 비판했지만, 실질적인 강제 조치는 없었다.[277][278]

2018년 케르치 해협 사건이 발생하여 러시아 연방보안국 (FSB) 해안 경비대가 우크라이나 해군 선박 3척에 발포, 나포하는 사건이 있었다.[283][284]

2022년 6월 18일 우크라이나군과 함께 있는 젤렌스키 대통령


2021년부터 러시아는 러시아-우크라이나 국경 일대에 군사력을 증강했고,[285] 2022년 2월 24일, 우크라이나를 침공했다.[286]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동부와 남부 지역 대부분을 점령했지만, 북부에서는 철수해야 했다.[287] 이후 우크라이나의 반격으로 하르키우주에서 축출된 후,[288] 러시아는 9월 30일 도네츠크 인민 공화국, 루한스크 인민 공화국, 헤르손, 자포리자 일부를 합병했다.

유엔 총회는 결의안을 통해 러시아의 침공을 규탄하고 철수를 요구했으며,[289] 국제 사법 재판소는 군사 작전 중단을 명령했다. 많은 국가들이 러시아와 벨라루스에 제재를 가하고, 우크라이나에 인도적 및 군사적 지원을 제공했다.[289] 발트 3국은 러시아를 테러 국가로 선언했다.[289] 전 세계적으로 반전 시위가 일어났고, 러시아 내에서는 시위대에 대한 대규모 체포와 미디어 검열 강화가 이루어졌다.[289] 1,000개 이상의 기업이 러시아와 벨라루스에서 운영을 중단했다.[289]

러시아의 침공으로 우크라이나 경제는 큰 타격을 입었으며, 침공 첫해에만 GDP가 35%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었다.[296]

7. 역사학

우크라이나 역사학은 소비에트 시대에는 크게 두 가지 학파가 주도했다. 하나는 우크라이나, 벨라루스를 동슬라브족으로 묶고 이를 러시아와 동일시하려는 학파였고, 다른 하나는 우크라이나의 목표를 소비에트 통합으로 해석하려는 학파였다. 그러나 현대 우크라이나에서는 이 두 학파는 사라지고, 우크라이나의 발전 과정을 러시아와 구별하여 독자적으로 보려는 학파가 주류를 이루게 되었다.

우크라이나는 우크라이나의 발전 과정을 러시아와 구별하기 위해, 서구식 방법인 영토접근법(Territorial approach)을 사용하여 우크라이나 영토에 존재했던 모든 사건과 그 지역을 거쳐 간 모든 종족, 민족을 우크라이나 역사에 포함시킨다.[319] 이 방법은 캐나다 토론토 대학의 폴 마고시(Paul Magocsi) 교수가 창안하여 주로 사용하던 방법으로, 현대 중국에서도 사용되고 있으며, 국가의 민족주의화를 위한 역사적 접근 방법이다. 이러한 영토적 접근 방법은 우크라이나에 존재했던 키메르족, 트리필랴 문화, 스키타이, 사르마티아 등 루스인 이전의 우크라이나에 거주했던 종족들을 우크라이나 조상으로 포함시키게 된다.[319]

세계 다른 지역에서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식은 비교적 최근까지 주로 러시아의 2차 자료에서 얻었다. 17세기 후반, 모스크바와 이후 러시아 제국이 우크라이나 영토의 상당 부분을 장악한 이후, 러시아 작가들은 우크라이나를 러시아 역사의 일부로 포함시켰다. 여기에는 중세 시대의 키예프 루스를 "키예프 러시아"로, 그 고대 동슬라브 문화와 주민들을 "키예프 러시아" 또는 "고대 러시아"로 칭하는 것이 포함되었다.[31] 이후 우크라이나 또는 그 일부는 "소 러시아", "남 러시아", "서 러시아"(벨라루스와 함께), 또는 "신 러시아" 등으로 불렸다.[31] 그러나 러시아의 영향력이 미치지 않는 우크라이나 지역은 루테니아라고 불렸고, 그 사람들은 루테니아인이라고 불렸다.[31] 우크라이나와 우크라이나인을 지칭하기 위해 선택된 이름은 종종 특정한 정치적 입장을 반영했으며, 때로는 우크라이나 민족성의 존재를 부정하기까지 했다.[31]

우크라이나 역사에 대한 학문적 연구는 19세기 후반 독일 낭만주의가 동유럽으로 확산되면서 낭만적 충동에서 시작되었다. 뛰어난 지도자들은 키예프에 기반을 둔 볼로디미르 안토노비치(1834–1908)와 그의 제자 미하일로 흐루셰프스키(1866–1934)였다.[298] 우크라이나에 대한 러시아의 관점에 대한 첫 번째 진지한 도전은 흐루셰프스키의 1904년 논문이었다. 처음으로 기록 보관소 자료, 현대 연구 기법, 현대 역사 이론을 기반으로 한 본격적인 학문적 연구가 가능해졌다.

키예프 루스 중세 국가에 대한 매우 다른 해석이 우크라이나 내의 네 가지 역사학 학파에서 나타난다. 즉, 러시아 애호, 소련 애호, 동슬라브, 그리고 우크라이나 애호 학파이다. 소련에서는 미하일 포크롭스키를 중심으로 1921년 이후 급진적인 단절이 있었다. 스탈린 치하에서 국가와 그 공식 역사학은 뚜렷한 러시아적 성격을 부여받았고, 일종의 러시아 중심주의가 나타났다.[299] 러시아 애호 및 소련 애호 학파는 독립 우크라이나에서 주변부로 밀려났고, 21세기 초에는 우크라이나 애호 학파가 지배적이었다. 우크라이나 애호 학파는 러시아와 상호 배타적인 정체성을 장려한다.[300] 동슬라브 학파는 이념적, 상징적 기반이 약하지만, 우크라이나의 중도주의 전 엘리트들이 선호한다.[300]

최근 수년간 많은 역사학자들이 민족사를 대체할 대안을 모색해 왔으며, 우크라이나 역사는 민족적 패러다임을 넘어선 접근 방식을 요구했다. 초국가적 역사는 우크라이나를 다양한 제국의 국경 지대로 묘사하며, 지역 연구는 우크라이나를 동유럽-중부 유럽의 일부로, 또는 드물게 유라시아의 일부로 분류한다. 세르히 플로키는 국가의 민족사를 넘어선 연구를 통해 우크라이나, 그 국민, 주변 지역에 대한 더 풍부한 이해가 가능해졌다고 주장한다.[301]

1991년 이후, 역사적 기억은 탈소련 우크라이나 국가의 정치적 동원과 정당성을 위한 강력한 도구였다. 우크라이나는 발트 3국리투아니아, 라트비아, 그리고 에스토니아—과 같은 다른 일부 탈소련 국가에서 전형적인 복원주의 패러다임을 경험하지 않았지만, 독립, 우크라이나 정교회, 소련 시대의 탄압, 대기근, 그리고 제2차 세계 대전 협력의 다면적 역사는 우크라이나 민족성을 발전시키기 위한 다른 구성 틀을 제공하는 데 사용되었다.[303]

소련 우크라이나에서는 20세기 역사가들이 다룰 수 있는 모델과 주제의 범위가 엄격히 제한되었으며, 모스크바는 공식적인 마르크스주의적 접근 방식을 고수했다. 그러나, 캐나다 우크라이나인 망명자들은 마르크스주의를 무시하고 서구 역사학의 경향을 공유하는 독립적인 학문을 발전시켰다.[304] 조지 W. 심슨과 오레스트 서브텔니는 캐나다 학계에서 우크라이나 연구를 장려하는 지도자들이었다.[305] 1991년까지, 캐나다의 역사가들은 국가 정체성의 출현과 관련하여 광범위한 접근 방식을 자유롭게 탐구했다. 독립 이후, 캐나다에서는 우크라이나 학문이 우크라이나 민족주의를 폄하하고 진정한 우크라이나인은 항상 러시아와 재결합하려고 했다고 주장하는 소련-마르크스주의 정통성에서 벗어나도록 돕는 것이 높은 우선순위였다. 우크라이나 학자들은 캐나다 역사가들이 발전시키는 데 기여한 "국가 패러다임"을 환영했다. 1991년 이후, 우크라이나 국가 건설 연구는 점점 더 세계적이고 협력적인 사업이 되었다.[306]

참조

[1] 서적 Shaping World History
[2] 웹사이트 What We Theorize – When and Where Did Domestication Occur http://imh.org/histo[...] 2010-12-12
[3] 뉴스 Horsey-aeology, Binary Black Holes, Tracking Red Tides, Fish Re-evolution, Walk Like a Man, Fact or Fiction http://www.cbc.ca/qu[...] CBC Radio 2009-03-07
[4] 서적 The Vikings in History Taylor & Francis
[5] 웹사이트 Kyivan Rus https://www.encyclop[...]
[6] 웹사이트 Polianians https://www.encyclop[...] 2024-10-26
[7] 문서 Ukraine. A History https://diasporiana.[...]
[8] 서적 The Polish–Lithuanian Commonwealth, 1733–1795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21
[9] 웹사이트 Moscow – Historical background http://www.economist[...]
[10] 서적 Od ugody hadziackiej do Cudnowa. Kozaczyzna między Rzecząpospolitą a Moskwą w latach 1658-1660 2008
[11] 서적 Europe. A History Pimlico
[12] 웹사이트 Macroeconomic Indicators http://www.bank.gov.[...] National Bank of Ukraine
[13] 뉴스 Ukraine – macroeconomic economic situation http://unian.net/eng[...] Inozmi 2009-06
[14] 간행물 East-to-west human dispersal into Europe 1.4 million years ago 2024-03-28
[15] 웹사이트 Molodova I and V (Ukraine) http://archaeology.a[...] 2011-12-04
[16] 뉴스 Neanderthals built homes with mammoth bones https://www.telegrap[...] 2011-12-18
[17] 간행물 The Oldest Anatomically Modern Humans from Far Southeast Europe: Direct Dating, Culture and Behavior plosone 2011-06-17
[18] 뉴스 Early human fossils unearthed in Ukraine https://www.bbc.co.u[...] BBC 2011-06-20
[19] 웹사이트 Trypillian Civilization 5,508 – 2,750 BC http://www.trypillia[...] 2007-12-16
[20] 서적 Serednʹo-stogivsʹka kulʹtura epokhy midi Naukova Dumka
[21] Youtube The Genetic Origin of the Indo-Europeans https://www.youtube.[...] 2024-04-24
[22] 간행물 Indo-European cereal terminology suggests a Northwest Pontic homeland for the core Indo-European languages 2022-10-12
[23] 백과사전 Scythian https://www.britanni[...] 2007-09-12
[24] 서적 A companion to Ancient Macedonia John Wiley & Sons
[25] 서적 The Oxford Classical Dictionary
[26] 서적 A history of Greece to 322 B.C.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2013-08-08
[27] 서적 The Ancient & Classical World, 600 B.C.-A.D. 650 https://books.google[...] Hawkins Publications 1978
[28] 서적 A dictionary of the Roman Empire Oxford University Press
[29] 웹사이트 Ancient period - History - About Chersonesos, Sevastopol http://www.chersones[...]
[30] 서적 Cassio Dione e l'impero romano da Nerva ad Anotonino Pio: alla luce dei nuovi documenti https://books.google[...] Vita e Pensiero
[31] 서적 A History of Ukrain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32] 간행물 The Question of Continuity in the Late Classical Bosporus On the Basis of Numismatic Data https://brill.com/vi[...] 1999
[33] 문서 Archaeology of the Slavic Migrations https://hal.archives[...] BRILL 2020
[34] 서적 History of Humanity: From the seventh century B.C. to the seventh century A.D. UNESCO
[35] 서적 The Greeks Overseas: Their Early Colonies and Trade https://archive.org/[...] Thames and Hudson Ltd
[36] 서적 Encyclopedia of the Byzantine Empire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5
[37] 간행물 "Le dossier d'un haut fonctionnaire byzantin d'Alexis Ier Comnène, Manuel Stra-boromanos" Paris 1965
[38] 서적 The early Slavs: Culture and society in early medieval Eastern Europe Cornell University Press 2001
[39] 문서 М. Грушевський – "Історія України". Том І, розділ IV, Велике слов'янське розселення: Історія Антів, їх походи, війна з Словянами, боротьба з Аварами, останні звістки, про Антів
[40] 뉴스 Slavs https://bigenc.ru/et[...] Great Russian Encyclopedia 2015
[41] 백과사전 Khazar https://www.britanni[...] 2020-03-29
[42] 학술지 Pax Khazarica 2019-08-31
[43] 서적 Russia and the Russians: A History Harvard University Press
[44] 웹사이트 Normanist Controversy https://www.encyclop[...]
[45] 백과사전 The name of Rus' https://www.encyclop[...] 2021-12-16
[46] 문서 2006
[47] 웹사이트 "Siege of Constantinople (860): The Rus' First Strike on Byzantium" https://historyexpla[...]
[48] 학술지 «Руська» термінологія в Київському та Галицько-Волинському літописних зводах http://dspace.nbuv.g[...] 2009
[49] 백과사전 Dnieper River https://www.britanni[...] 2012-09-07
[50] 웹사이트 Korosten (Iskorosten): A small town with a great history http://www.geocities[...] geocities.com 2014-02-16
[51] 서적 The Nature and the Image of Princely Power in Kievan Rus', 980-1054: A Study of Sources https://books.google[...] BRILL 2013-10-10
[52] 백과사전 Kievan Rus. Medieval State, Europe, Culture & Religion https://www.britanni[...] 2024-10-25
[53] 백과사전 Kiëv; Rusland §2. Het Rijk van Kiëv Microsoft Corporation/Het Spectrum 2002
[54] 문서 Serpent Walls (ЗМІЄВІ ВАЛИ) http://resource.hist[...]
[55] 웹사이트 Yaroslav I (prince of Kiev) – Encyclopædia Britannica Britannica.com 2014-05-22
[56] 문서 О времени существования Древнерусского государства (историография вопроса) http://www.runivers.[...]
[57] 문서 Удельная раздробленность Руси. http://www.al24.ru/w[...] Институт истории Украины НАН Украины 2013
[58] 웹사이트 Любечский съезд 1097 https://bigenc.ru/c/[...] 2023-08-17
[59] 문서 Рождение Руси http://lib.ru/HISTOR[...]
[60] 문서 Извлеченіе изъ древнихъ Русскихъ л?тописей типографія Е. Я. Федорова 1874
[61] 서적 The dynasty of Chernigov. 1054-1146 Pontifical Institute of Mediaeval Studies 1994
[62] 학술지 Collateral Succession in Kievan Rus
[63] 문서 Рогволод и Рогнеда: скандинавские корни полоцкой княжеской династии Квадрига 2015
[64] 간행물 "Was the Prince of Novgorod a 'Third-rate bureaucrat' after 1136?" 2008
[65] 기타 The Emergence of Russia 750–1200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0-11-14
[66] 웹사이트 КАЛКА, БИТВА НА РІЧЦІ 1223 http://resource.hist[...] 2024-07-01
[67] 서적 The gates of Europe: A history of Ukraine. Basic Books
[68] 백과사전 Rusland §2. Het Rijk van Kiëv Microsoft Corporation/Het Spectrum 2002
[69] 웹사이트 Mongol Conquests http://users.erols.c[...] 1978
[70] 웹사이트 Археологические исследования показали, что Свислочь в 100 км юго-восточнее Минска была подвергнута монгольскому нашествию 1237—1240 годов. http://news.tut.by/s[...] 2023-04-07
[71] 서적 Ukraine and Russia in their historical encounter https://books.google[...] Canadian Institute of Ukrainian Studies Press, University of Alberta 1992
[72] 웹사이트 КОРОЛІВСТВО РУСЬ http://resource.hist[...] 2024-07-01
[73] 서적 Sloveni u ranom srednjem veku https://books.google[...] Akademska knjiga
[74] 백과사전 Romanovych dynasty [Romanovyc] http://www.encyclope[...] Canadian Institute of Ukrainian Studies 2001
[75] 서적 Ukraine: A History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88
[76] 웹사이트 Voivodeship of Ruthenia. Historic geography of old Polish lands (Województwo Ruskie. Geografia historyczna ziem dawnej Polski) http://literat.ug.ed[...]
[77] 웹사이트 Лев Данилович http://www.history.o[...]
[78] 서적 Галицько-Волинське князівство Наукова думка 1984
[79] 웹사이트 Юрій Львович та його політика http://chtyvo.org.ua[...] 2001
[80] 웹사이트 Андрій Юрійович http://www.history.o[...]
[81] 웹사이트 Лев Юрійович http://resource.hist[...]
[82] 서적 Rodowód Piastów mazowieckich Wydawnictwo Historyczne
[83] 웹사이트 Галицько-Волинське князівство http://litopys.org.u[...]
[84] 웹사이트 Генуэзские колонии в Одесской области - Бизнес-портал Измаила http://izm-biz.info/[...] 2018-02-05
[85] 웹사이트 О СОПЕРНИЧЕСТВЕ ВЕНЕЦИИ С ГЕНУЕЮ В XIV-м ВЕКЕ https://www.vostlit.[...] 2023-09-19
[86] 웹사이트 Эпиграфические памятники Каффы https://old-museum.o[...] 2019-03-26
[87] 서적 The colonies of Genoa in the Black Sea region: Evolution and transformation Routledge 2017
[88] 문서 Byzantine Weights Excavated at Mangup https://www.academia[...]
[89] 서적 Authority and Identity: A Sociolinguistic History of Europe before the Modern Age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0-07-21
[90] 서적 The Polish-Lithuanian Commonwealth: History, Memory, Legacy
[91] 웹사이트 Hungarians of Ukraine https://www.ukrainer[...]
[92] 웹사이트 History http://www.encyclope[...]
[93] 웹사이트 Mukha rebellion http://www.encyclope[...]
[94] 웹사이트 The Sultan's Raiders: The Military Role of the Crimean Tatars in the Ottoman Empire http://www.jamestown[...]
[95] 간행물 Slaves, Money Lenders, and Prisoner Guards:The Jews and the Trade in Slaves and Captivesin the Crimean Khanate
[96] 서적 Ukrainian nobility from the end of 14th century to the mid of 17th century Критика (видавництво) 2008
[97] 서적 The History of the Ukrainian Cossacks, Vol. 1, The Cossack Age to 1625 Canadian Institute of Ukrainian Studies Press 1999
[98] 웹사이트 The Cossacks of Poland https://www.britanni[...]
[99] 문서 Źródła Dziejowe Warsaw 1889
[100] 문서 Yekelchyk 2007
[101] 백과사전 Treaty of Karlowitz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102] 서적 Russia and Ukraine. Literature and the Discourse of Empire from Napoleonic to Postcolonial Times https://www.jstor.or[...]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2001
[103] 서적 Peter the Great: His Life and World Random House Publishing Group 2012
[104] 서적 Ukraine: What everyone needs to know Oxford University Press
[105] 웹사이트 Baturyn, a Small Town With a Grand History https://www.kyivpost[...] 2023-08-07
[106] 웹사이트 Baturyn massacre which brought Russian Empire to rank of global powers and destroyed Ukrainian Cossack state recalled https://euromaidanpr[...] 2021-11-20
[107] 논문 "The Battle of Poltava in Russian Historical Memory." ''Harvard Ukrainian Studies'' 31.1/4 (2009): 195–204 https://www.jstor.or[...]
[108] 논문 "Gazing Anew at Poltava: Perspectives from the Military Revolution Controversy, Comparative History, and Decision-Making Doctrines." ''Harvard Ukrainian Studies'' 31.1/4 (2009): 107–133. https://www.jstor.or[...]
[109] 서적 Запорожжя в залишках старовини і переказах народу: Ч. І; Ч.ІІ Веселка 1995
[110] 서적 The Russo-Turkish War, 1768–1774 Bloomsbury Academic
[111] 웹사이트 Конец Запорожской Сечи http://www.kuban-xxi[...] Кубань, XXI век 2008-10-01
[112] 문서 ОСТАННІЙ ЗАПОРІЗЬКИЙ КОШОВИЙ КАЛНИШЕВСЬКИЙ ОПИНИВСЯ НА СОЛОВКАХ, БО ЗАВАЖАВ ТВОРИТИ https://romny-vk.gov[...]
[113] 문서 Останнього кошового відправили на Соловки https://m.gazeta.ua/[...]
[114] 문서 СОЛОВКИ В ИСТОРИИ УКРАИНЫ https://www.solovki.[...]
[115] 문서 Haidamaka uprisings http://www.encyclope[...]
[116] 서적 Ukraine: A Histor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17] 웹사이트 History of Ukraine http://www.encyclope[...] 2022-09-14
[118] 웹사이트 Документи про заборону української мови http://ridivira.com/[...] 2022-10-04
[119] 서적 The History of the Political Thought of the Galician Ukrainians, 1848–1914 Lviv
[120] 문서 The Russian Civil War, 1917–1921 https://link.springe[...]
[121] 서적 The Formation of the Soviet Union: Communism and Nationalism, 1917-1923 Harvard University Press 1997
[12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ussian Civil Wars, 1916-1926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123] 문서 Donets–Kryvyi Rih Soviet Republic http://www.encyclope[...] Encyclopedia of Ukraine
[124] 서적 Eastern Europe and the Commonwealth of Independent States, 1999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25] 웹사이트 'World War I History, Summary, Causes, Combatants, Casualties, Map, & Facts' https://www.britanni[...] 2023-10-30
[126] 서적 Russia And Ukraine https://books.google[...]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2001
[127] 뉴스 Ukraine marks anniversary of establishment of West Ukrainian People's Republic https://www.ukrinfor[...]
[128] 문서 Polish-Ukrainian Conflict over Eastern Galicia https://encyclopedia[...]
[129] 문서 Encyclopedia of Ukraine, vol. 5, 1993 http://www.encyclope[...]
[130] 서적 Ukraine: A Histor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31] 서적 Nestor Makhno and Rural Anarchism in Ukraine, 1917–1921 Pluto Press
[132] 뉴스 Uprising in Lukyanovka Prison: How the Last Battle of the Cold Yar Atamans took place https://espreso.tv/a[...] 2020-02-09
[133] 웹사이트 Ukrainian writer & publisher: Language is the most important marker of national identity http://euromaidanpre[...] 2018-10-07
[134] 간행물 Травнева військово-політична криза в УСРР, 1919 р.
[135] 웹사이트 Примарний день незалежності // Українська Кубань http://kuban.in.ua/i[...] 2013-05-04
[136] 서적 C''ivil War in South Russia, 1919-1920: The Defeat of the Whit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37] 서적 Ukraine: A Concise Encyclopedia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38] 서적 Survival and Consolidation: The Foreign Policy of Soviet Russia, 1918–1921 https://books.google[...] McGill-Queen's Press
[139] 서적 Identity and Continuity of States in Public International Law Librairie Droz
[140] 문서 Petliura, Symon https://www.encyclop[...]
[141] 서적 Ukraine: A History https://archive.org/[...] U of Toronto Press
[142] 문서 The History of Ukraine
[143] 백과사전 History of Ukraine §Ukraine in the interwar period https://www.britanni[...] 2024-02-08
[144] 웹사이트 Договор об образовании Союза Советских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их Республик — Викитека https://ru.wikisourc[...] 2023-07-10
[145] 문서 Енциклопедія українознавства Kyiv
[146] 서적 Resources for Teaching History : 14–16 Bloomsbury Education
[147] 학술지 War Communism to NEP: the road from serfdom https://cdn.mises.or[...] 1981
[148] 서적 The Rise and Fall of Communism in Russia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08-10-01
[149] 잡지 Review of: Anne Applebaum's ''Red Famine: Stalin's War on Ukraine'', New York: Doubleday. 2017. 496 http://www.h-net.org[...] 2018-04
[150] 서적 Ungleiche Brüder: Russen und Ukrainer vom Mittelalter bis zur Gegenwart C.H.Beck oHG
[151] 문서 Reconstruction of the Technical School and the Five-Year Frame http://alkruglov.nar[...] Leningrad, Gostekhizdat
[152] 웹사이트 Stalin’s Great Purge: Gulags, Show Trials, and Terror https://www.thecolle[...]
[153] 문서 Дискурс модернізму в українській літературі К.: Либідь
[154] 문서 Українська література XX століття Харків: Вид-во НУА
[155] 서적 The Rise and Fall of the Soviet Empire https://archive.org/[...] Palgrave
[156] 서적 Ukraine: Perestroika to Independence Canadian Institute of Ukrainian Studies Press
[157] 웹사이트 Britannica: Great-Purge https://www.britanni[...]
[158] 서적 Podkarpatská Rus v dějinách Československa 1918–1946 https://books.google[...] Vyšehrad
[159] 웹사이트 Today is the 80th anniversary of the proclamation of Carpatho-Ukraine https://ukrinform.ua[...] 2019-03-15
[160] 웹사이트 German-Soviet Pact https://encyclopedia[...] 2022-07-27
[161] 서적 The Soviet Partisan Movement, 1941–1944: A Critical Historiographical Analysis Routledge
[162] 웹사이트 Mariusz Zajączkowski: ''1943 Volhynia massacre'' http://www.volhyniam[...] 2014-04-09
[163] 서적 The Rise and Fall of the Third Reich William Shirer 2011
[164] 웹사이트 Ukrainian Insurgent Army: Myths and facts - Oct. 12, 2012 https://www.kyivpost[...] 2012-10-12
[165] 학술지 A kárpátaljai magyar és német polgári lakosság tömeges elhurcolása szovjet hadifogságba https://www.academia[...] Károli Gáspár Református Egyetem 2012
[166] 웹사이트 Bukovyna http://www.encyclope[...] Internet Encyclopedia of Ukraine 2021-06-22
[167] 웹사이트 On this Day, in 1945: Carpathian Ruthenia was annexed by the Soviet Union https://kafkadesk.or[...] Kafkadesk 1992-06-29
[168] 서적 Summits: six meetings that shaped the twentieth century https://www.worldcat[...] Basic Books 2009
[169] 문서 Stalin: The Man and His Era
[170] 웹사이트 Чому радянська влада зробила масову депортацію українців у Сибір http://24tv.ua/chomu[...]
[171] 문서 История сталинского Гулага. Конец 1920-х — первая половина 1950-х годов: Собрание документов в 7 томах. — Т. 6: Восстания, бунты и забастовки заключённых М.: РОССПЭН
[172] 문서 Норильское восстание
[173] 웹사이트 Joseph Stalin killer file http://www.moreorles[...]
[174] 서적 Khrushchev: The Man and His Era https://archive.org/[...] W.W. Norton & Company
[175] 문서 Khrushchev: A Political Life New York: St. Martin's Press
[176] 뉴스 Crimea profile – Overview https://www.bbc.com/[...] BBC News
[177] 서적 Nikita Khrushchev and the Creation of a Superpower Penn State Press
[178] 서적 Khrushchev Remembers: The Glasnost Tapes Little, Brown and Company
[179] 서적 Khrushchev and Brezhnev As Leaders
[180] 웹사이트 ВЛАДИМИР ЩЕРБИЦКИЙ И ЕГО ВРЕМЯ https://liva.com.ua/[...] 2022-08-05
[181] 간행물 Дисиденти. Антологія текстів Національний університет «Києво-Могилянська академія»
[182] 간행물 How 'Glasnost' and 'Perestroika' Changed the World https://time.com/551[...] 2024-02-02
[183] 웹사이트 Perestroika: Glasnost, Definition & Soviet Union https://www.history.[...] 2024-02-02
[184] 웹사이트 Accident of 1986 https://chnpp.gov.ua[...] 2022-07-14
[185] 서적 A Sacred Space is Never Empty: A History of Soviet Atheism https://hdiplo.org/t[...] Princeton UP
[186] 문서 Religious Situation in the Soviet Ukraine
[187] 서적 Ukraine: A Histor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88] 문서 Nohlen & Stöver, p1985
[189] 서적 A History of Ukraine: The Land and Its Peoples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0] 서적 Elections in Europe: A data handbook
[191] 뉴스 Independence - over 90% vote yes in referendum; Kravchuk elected president of Ukraine http://www.ukrweekly[...] The Ukrainian Weekly 1991-12-08
[192] 뉴스 14 Years of Belavezha Accords' Signing http://www.charter97[...] Charter'97 2005-12-08
[193] 뉴스 Non-nuclear status of Ukraine: past, present, and future (Без'ядерний статус України: минуле, сучасне, майбутнє) The Ukrainian Week 2018-05-31
[194] 웹사이트 Verkhovna Rada of Ukraine Resolution On Declaration of Independence of Ukraine http://gska2.rada.go[...] 2007-10-11
[195] 웹사이트 Ukraine's national flag celebrating 25th anniversary today https://www.unian.in[...] 2022-03-04
[196] 뉴스 The story behind 2 top Ukrainian symbols: National flag and trident https://www.kyivpost[...] Kyiv Post 2016-08-27
[197] 웹사이트 10 years since the Government center of the UNR in exile gave to the free and sovereign Ukraine the symbols of government authority. This establishes that Ukraine is the legal successor to the Ukrainian National Republic. This action was proclaimed by the former President of the UNR in exile Mykola Plaviuk http://www.uvkr.com.[...] Ukrainian World Coordination Council 2008-12-18
[198] 뉴스 Tenth President http://www.umoloda.k[...] Ukrayina Moloda 2008-12-30
[199] 웹사이트 Ukraine is the legal successor of the Ukrainian People's Republic https://www.istpravd[...] 2023-08-22
[200] 서적 A History of Ukraine: The Land and Its Peopl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1] 웹사이트 Budapest Memorandums on Security Assurances, 1994 -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http://www.cfr.org/n[...] Cfr.org 2017-03-07
[202] 문서 War in Ukraine: Treaty to Treachery
[203] 간행물 The Ukrainian parliamentary and presidential elections of 1994 http://dx.doi.org/10[...] 1995
[204] 문서 History of Hryvnia http://www.bank.gov.[...]
[205] 웹사이트 National Bank of Ukraine http://www.bank.gov.[...] 2017-02-11
[206] 웹사이트 Volodymyr Matvienko. Autograph on Hryvnia http://www.obriy.pib[...]
[207]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Medieval Russia Scarecrow Press 2022-03-02
[208] 뉴스 Ukraine celebrating 20th anniversary of Constitution http://www.unian.inf[...] UNIAN 2016-06-28
[209] 서적 Elections in Europe: A data handbook
[210] 뉴스 Ukraine country profile – Overview https://www.bbc.com/[...] BBC News
[211] 논문 Ukraine's Orange Revolution https://www.jstor.or[...] 2005-03
[212] 웹사이트 Vyacheslav Chornovil was murdered, rather than killed in road accident http://www.nrcu.gov.[...] 2022-06-05
[213] 웹사이트 Ukrainian Government Archives https://www.archives[...] 2017-10-26
[214] 뉴스 Country profile: Ukraine http://news.bbc.co.u[...] BBC News
[215] 서적 The Conflict in Ukraine: What Everyone Needs to Know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16] 백과사전 Viktor Yushchenko https://www.britanni[...] 2024-12-06
[217] 웹사이트 Ukraine's popular PM forced out https://www.theguard[...] 2001-04-27
[218] 서적 Ukraine on Its Meandering Path Between East and West https://books.google[...] Peter Lang 2015-11-07
[219] 서적 Energy Dependency, Politics and Corruption in the Former Soviet Union: Russia's Power, Oligarchs' Profits and Ukraine's Missing Energy Policy, 1995–2006 https://books.google[...] Routledge
[220] 서적 Revolution in Orange: The Origins of Ukraine's Democratic Breakthrough https://books.google[...] Carnegie Endowment for International Peace
[221] 서적 Revolution in Orange: The Origins of Ukraine's Democratic Breakthrough https://books.google[...] Carnegie Endowment for International Peace
[222] 웹사이트 Yanukovych is president https://www.uawarexp[...] 2022-03-29
[223] 웹사이트 Tymoshenko does not regret supporting Yushchenko in 2004 https://en.for-ua.co[...] En.for-ua.com 2013-12-28
[224] 뉴스 Doctors: Yushchenko was poisoned http://www.cnn.com/2[...] CNN 2007-04-02
[225] 뉴스 Yushchenko: 'Live And Carry On' https://www.cbsnews.[...] CBS News 2005-01-30
[226] 뉴스 Half of Ukrainians ready to deprive Yushchenko of presidency http://en.for-ua.com[...] ForUm News agency 2007-08-15
[227] 뉴스 Peace deal that frees Yulia Tymoshenko a harsh blow to Ukraine's President https://www.theglobe[...] The Globe and Mail 2015-11-07
[228] 뉴스 Profile: Viktor Yushchenko http://news.bbc.co.u[...] BBC News
[229] 뉴스 Ukraine country profile – Overview 2012 http://news.bbc.co.u[...] BBC News
[230] 뉴스 Ukraine Is the Winner as Nation Heads to the Polls https://www.latimes.[...] Los Angeles Times 2006-03-26
[231] 뉴스 Ukraine leaders agree on poll date http://www.president[...] Secretariat of President of Ukraine 2007-05-27
[232] 뉴스 Ukraine leaders sign joint statement http://en.for-ua.com[...] 2007-05-27
[233] 웹사이트 Quarterly gross domestic product estimates of Ukraine for 2001 – 2012 http://ukrstat.org/e[...] State Statistics Service Of Ukraine 2023-06-10
[234] 뉴스 Russia to cut Ukraine gas supply http://news.bbc.co.u[...] 2009-01-05
[235] 웹사이트 The Orange Revolution https://www.uawarexp[...] 2022-03-29
[236] 웹사이트 Ukraine's New President: Is the Orange Revolution Over? https://web.archive.[...] 2010-02-11
[237] 웹사이트 The Orange Revolution https://www.uawarexp[...] 2022-03-29
[238] 뉴스 Our Ukraine comes to defense of Tymoshenko, Lutsenko, Didenko, Makarenko in statement http://www.interfax.[...] Interfax-Ukraine 2011-05-25
[239] 웹사이트 U.S. Government Statement of Concern about Arrest of Former Prime Minister Yulia Tymoshenko https://www.bbc.co.u[...] Embassy of the United States, Kyiv 2011-09-24
[240] 뉴스 Why is Ukraine in turmoil? https://www.bbc.co.u[...] BBC News 2014-02-21
[241] 웹사이트 Ukraine 'still wants to sign EU deal' http://www.aljazeera[...]
[242] 뉴스 Ukraine crisis: Police storm main Kyiv 'Maidan' protest camp https://www.bbc.co.u[...] BBC News 2014-02-19
[243] 뉴스 Ukraine protests timeline https://www.bbc.co.u[...] BBC News 2014-02-21
[244] 뉴스 Ukraine crisis: Renewed Kyiv assault on protesters https://www.bbc.co.u[...] 2014-02-19
[245] 뉴스 Ukraine crisis: Yanukovych announces 'peace deal' https://www.bbc.co.u[...] 2014-02-21
[246] 뉴스 Profile: Olexander Turchynov https://www.bbc.co.u[...] 2014-02-25
[247] 뉴스 Profile: Ukraine's ousted President Viktor Yanukovych https://www.bbc.co.u[...] 2014-05-04
[248] 웹사이트 European Commission - EU-Ukraine Association Agreement fully enters into force https://europa.eu/ra[...]
[249] 뉴스 Ukraine's real power broker https://www.business[...] 2023-12-18
[250] 웹사이트 Україна остаточно вийшла з СНД https://espreso.tv/n[...] 2018-05-19
[251] 뉴스 Президент підписав Указ про остаточне припинення участі України у статутних органах СНД — Офіційне інтернет-представництво Президента України http://www.president[...] 2018-05-19
[252] 뉴스 Україні не потрібно виходити із СНД – вона ніколи не була і не є зараз членом цієї структури https://www.radiosvo[...] 2020-11-26
[253] 웹사이트 Οικουμενικό Πατριαρχείο https://ec-patr.org/ 2021-06-14
[254] 웹사이트 The law amending the Constitution on the course of accession to the EU and NATO has entered into force https://eu-ua.org/no[...] 2021-03-23
[255] 웹사이트 Кабінет Міністрів України — Новим Прем'єр-міністром України став Олексій Гончарук https://www.kmu.gov.[...] 2020-07-06
[256] 뉴스 Гончарука звільнили з посади прем'єра й відставили весь уряд https://www.bbc.com/[...] 2020-07-06
[257] 웹사이트 Денис Шмигаль – новий прем'єр України http://www.pravda.co[...] 2020-07-06
[258] 웹사이트 Lithuania, Poland and Ukraine Inaugurate 'Lublin Triangle' https://jamestown.or[...]
[259] 웹사이트 Україна, Грузія та Молдова створили новий формат співпраці для спільного руху в ЄС https://www.eurointe[...]
[260] 웹사이트 Brussels Summit Communiqué issued by the Heads of State and Government participating in the meeting of the North Atlantic Council in Brussels 14 June 2021 https://www.nato.int[...]
[261] 웹사이트 У 2024 році Україна подасть заявку на вступ до ЄС https://www.ukrinfor[...] 2019-01-29
[262] 뉴스 Crimea referendum: Voters 'back Russia union' https://www.bbc.co.u[...] 2014-05-04
[263] 웹사이트 Ukraine crisis timeline https://www.bbc.co.u[...]
[264] 뉴스 Putin Tells Separatists In Ukraine To Postpone 11 May Referendum https://www.npr.org/[...] 2014-05-07
[265] 웹사이트 Ukraine underplays role of far right in conflict https://www.bbc.co.u[...] 2014-12-13
[266] 웹사이트 Fergal Keane reports from Mariupol on Ukraine's 'frozen conflict' https://www.bbc.com/[...] 2014-12-12
[267] 웹사이트 Half a million displaced in eastern Ukraine as winter looms, warns UN refugee agency https://www.un.org/a[...] 2014-12-05
[268] 웹사이트 Ukraine conflict: Refugee numbers soar as war rages https://www.bbc.com/[...] 2014-08-05
[269] 웹사이트 UN Says At Least 6,400 Killed In Ukraine's Conflict Since April 2014 http://www.rferl.mob[...] 2015-06-01
[270] 웹사이트 Petro Poroshenko becomes President of Ukraine https://www.uawarexp[...] 2022-03-29
[271] 웹사이트 Ukraine Reform Monitor: August 2015 http://carnegieendow[...] Carnegie Endowment for International Peace 2015-12-22
[272] 뉴스 Ukraine Is in Danger of Becoming a Failed State http://www.bloomberg[...] 2015-11-08
[273] 뉴스 Money Still Rules Ukraine https://foreignpolic[...] 2015-12-22
[274] 뉴스 Ukraine's constitution: reform or crisis? https://opendemocrac[...] OpenDemocracy 2016-02-19
[275] 웹사이트 Separate districts of Donbas and Luhansk regions (ORDLO) https://www.uawarexp[...] 2022-03-29
[276] 웹사이트 At Least 9,115 Killed in Ukraine Conflict, U.N. Says https://www.nytimes.[...] 2015-12-09
[277] 뉴스 Address of the Verkhovna Rada of Ukraine to the Guarantor States in accordance with the Budapest Memorandum of 1994 on Security Assurances in connection with Ukraine's accession to the Treaty on the Non-Proliferation of Nuclear Weapons https://uk.mfa.gov.u[...]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Ukraine 2022-08-19
[278] 웹사이트 Ukrainian parliament appeals to Budapest Memorandum signatories http://en.interfax.c[...] Interfax Ukraine 2014-03-01
[279] 웹사이트 УКАЗ ПРЕЗИДЕНТА УКРАЇНИ №43/2021 https://www.presiden[...] 2021-02-06
[280] 뉴스 Зеленський‌ ‌"вимкнув"‌ ‌112,‌ ‌ZIK‌ ‌і‌ ‌NewsOne‌ ‌з‌ ефіру. Що відомо‌ https://www.bbc.com/[...] 2021-02-06
[281] 웹사이트 УКАЗ ПРЕЗИДЕНТА УКРАЇНИ №64/2021 https://www.presiden[...] 2021-02-20
[282] 웹사이트 Зеленський ввів у дію санкції проти Медведчука https://www.pravda.c[...] 2021-02-20
[283] 뉴스 Tension escalates after Russia seizes Ukraine naval ships https://www.bbc.com/[...] 2021-06-14
[284] 뉴스 Russia fires on and seizes Ukrainian ships near annexed Crimea https://www.reuters.[...] 2021-06-14
[285] 뉴스 Buildup of Russian forces along Ukraine's border that has some talking of war https://www.npr.org/[...] 2022-10-04
[286] 웹사이트 Russian forces invade Ukraine https://www.cnbc.com[...] 2022-02-24
[287] 뉴스 Russia invaded Ukraine more than 200 days ago. Here is one key development from every month of the war. https://www.nytimes.[...] 2022-10-04
[288] 웹사이트 Russians admit defeat in Kharkiv; Zelenskyy visits Izium after troops flee shattered city: Ukraine updates https://www.usatoday[...] 2022-10-04
[289] 뉴스 Putin illegally annexes territories in Ukraine, in spite of global opposition https://www.npr.org/[...] 2022-10-04
[290] 웹사이트 GDP per capita (Current US$) | Data https://data.worldba[...]
[291] 웹사이트 Welcome to Ukraine, the most corrupt nation in Europe https://www.theguard[...] 2021-03-03
[292] 웹사이트 Ukraine: Can meaningful reform come out of conflict? https://www.bruegel.[...] 2022-07-25
[293] 웹사이트 Why the reforms in Ukraine are so slow? https://neweasterneu[...] 2023-03-17
[294] 웹사이트 The slow-reform trap https://www.bruegel.[...] 2023-03-17
[295] 웹사이트 Ukraine Country Assistance Evaluation https://www.oecd.org[...] 2000-11-08
[296] magazine The Battle to Save Ukraine's Economy From the War https://foreignpolic[...] 2024-10-02
[297] 뉴스 Moscow's Invasion Of Ukraine Triggers 'Soul-Searching' At Western Universities As Scholars Rethink Russian Studies https://www.rferl.or[...] 2023-12-17
[298] 서적 Unmaking Imperial Russia: Mykhailo Hrushevsky and the Writing of Ukrainian History 2005
[299] 서적 Shaping Identity in Eastern Europe and Russia: Soviet-Russian and Polish Accounts of Ukrainian History, 1914–1991 Palgrave Macmillan 1993
[300] 논문 "National Identity and History Writing in Ukraine," ''Nationalities Papers'' 2006
[301] 논문 "Beyond Nationality" 2007
[302] 서적 The politics of memory in Poland and Ukraine: From reconciliation to de-conciliation Routledge, Taylor & Francis Group 2022
[303] 논문 "Exercises with history Ukrainian style (notes on public aspects of history's functioning in post-Soviet Ukraine)" 2007
[304] 논문 "Ukrainian Studies in Canada Since the 1950s: An Introduction." 2018
[305] 논문 "Ukrainian studies in Canada." 1978
[306] 논문 "Studying the Blueprint for a Nation: Canadian Historiography of Modern Ukraine," https://www.ewjus.co[...] 2018
[307] 서적 Ukraine : a history University of Toronto Press in association with the Canadian Institute of Ukrainian Studies 1988
[308] 서적 Нарис історії України з найдавніших часів до кінця XVIII століття Генеза 1997
[309] 간행물 2002
[310] 간행물 2002
[311] 간행물 2002
[312] 간행물 2002
[313] 간행물 2002
[314] 간행물 2002
[315] 간행물 2002
[316] 서적
[317] 서적
[318] 서적
[319] 웹사이트 https://terms.naver.[...]
[320] 웹인용 З Енциклопедії Українознавства; Назва "Україна" http://litopys.org.u[...] Litopys.org.ua 2011-10-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