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의 도시 철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도시 철도는 1974년 서울 지하철 1호선 개통을 시작으로, 서울, 부산, 대구, 광주, 대전 등 주요 도시에서 운영되고 있다. 1990년 도시철도법 개정으로 '지하철' 대신 '도시철도'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현재는 각 도시의 도시철도 노선들이 활발히 운영되고 있다. 수도권에서는 서울 지하철을 중심으로 여러 노선이 연계되어 운행되며, 부산, 대구, 광주, 대전에서도 도시철도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다. 도시 철도는 표준궤, 직류 전철 방식을 사용하며, 버스와의 환승 시스템, 다양한 형태의 교통카드 사용, 스크린도어 설치 등의 특징을 갖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도시 철도 - 울산 도시철도
    울산 도시철도는 울산광역시의 도시 교통망 확충을 위해 추진 중인 도시 철도 시스템으로, 경제성 문제 등으로 어려움을 겪다가 2023년 1호선 트램 건설이 확정되어 2029년 개통을 목표로 총 4개 노선이 계획되었으며 수소전기 노면전차 실증 노선도 구상 중이다.
  • 대한민국의 철도 - 경부선
    경부선은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간선 철도로,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 KTX 개통 등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고속철도 시대를 열었지만, 선로 용량 부족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 대한민국의 철도 - 서울 지하철 6호선
    서울 지하철 6호선은 서울특별시 은평구에서 중랑구까지 이어지는 총 36.4km의 지하철 노선으로, 2000년 개통 이후 2019년 신내역까지 연장되었으며, 현재 39개의 역을 운영하고 다른 노선들과 환승이 가능하다.
  • 대한민국의 교통에 관한 - 경제로 (시흥시)
    시흥시 정왕동에 위치한 경제로는 경제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는 의지를 담아 제정된 도로명으로, 서해안로 등과 교차하며 다양한 기업 및 시설이 주변에 위치한다.
  • 대한민국의 교통에 관한 -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는 대한민국 동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MICE 산업, 금융, 서비스업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하며, 세계적인 무역항인 부산항을 중심으로 다양한 문화 유적과 관광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도시 철도

2. 역사

대한민국의 도시 철도는 주로 대도시권 내부 교통을 위해 건설되며, 이미 형성된 도시에 건설되는 특성상 지하 구간이 많다. 지하 건설에는 막대한 비용이 들어 서울특별시광역시를 중심으로 건설되었으나, 2000년대부터는 건설비를 절감할 수 있는 경량전철 방식도 도입되는 추세이다.

1990년 「지하철도의건설및운영에관한법률」이 「도시철도법」으로 개정되면서 법률 용어가 '지하철'에서 '도시 철도'로 변경되었다. 이 법에서는 지하철 외에 모노레일이나 신교통 시스템 등도 '도시 철도'로 규정하고 있다. 법 개정 이후 '도시 철도'라는 명칭을 사용하는 사업자가 늘어나, 2019년 기준으로 사업자명에 '지하철'을 사용하는 곳은 없으며 일부 안내 등에서만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지하철'이라는 명칭도 널리 사용되며, 전기 철도의 줄임말인 '전철' 역시 비슷한 의미로 쓰인다.

도시 철도 건설 이전, 서울특별시부산광역시에 존재했던 노면전차모터리제이션의 진전으로 1968년 모두 폐지되었다. 이후 대량 수송을 위한 새로운 대중교통 수단으로 지하철 건설이 추진되어, 대한민국 최초의 지하철인 서울 지하철 1호선(서울역~청량리역)이 1974년 8월 15일 개통되었다.[7] 이를 시작으로 도시 철도 노선은 꾸준히 확장되었다. 1983년에는 서울 지하철 2호선이, 1985년에는 수도권 전철 3호선수도권 전철 4호선이 개통되었다. 같은 해 7월에는 부산광역시에서도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일부 구간이 운행을 시작했다. 1990년대에는 대구광역시(1997년 11월, 대구 도시철도 1호선)와 인천광역시(1999년 10월, 인천 도시철도 1호선)에서도 도시 철도 시대가 열렸으며[8], 2000년대에는 광주광역시대전광역시에서도 도시 철도가 운행을 시작하였다.

대한민국의 모든 도시 철도 노선은 철 바퀴를 사용하는 철륜식이며 궤간표준궤를 채택하고 있다. 이 때문에 차량 폭이 비교적 넓고 정원이 크지만, 출퇴근 시간대에는 과도한 혼잡이 발생하기도 한다. 모든 역에는 스크린도어 설치가 완료되었다. 서울특별시, 경기도, 부산광역시 등에서는 버스와 호환되는 비접촉식 IC 카드 방식의 교통카드(티머니, 이즐 등)가 도입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하는 노선은 좌측 통행이지만, 도시 철도는 원칙적으로 우측 통행으로 운행한다(도시 철도 건설 규칙 제5조, 도시 철도 운전 규칙 제36조). 다만,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하는 서울 지하철 1호선 구간은 한국철도공사 구간과의 직결 운행을 위해 예외적으로 좌측 통행을 한다. 또한 서울 지하철 4호선남태령역과천선 선바위역 사이 터널 구간에서 입체 교차를 통해 통행 방향을 전환한다.

전철화 방식은 대부분 직류 1,500V(부산 도시철도 4호선,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은 750V)를 사용한다. 반면, 광역철도 노선은 일산선을 제외하고 대부분 교류 25,000V를 사용하므로, 도시 철도와의 경계 지점에는 절연구간이 설치되어 있다. 노선 명칭은 번호를 사용하여 '○호선'으로 부르는 경우가 많다.

2. 1. 주요 사건

대한민국 최초의 지하철인 서울 지하철 1호선(서울역~청량리역) 건설은 수도권 교통난 해소와 대도시 교통 체계 개편의 필요성 속에서 시작되었다. 박정희가 5·16 군사 정변으로 집권한 이후, 1960년대부터 이어진 한강의 기적이라 불리는 고도 경제 성장으로 서울 및 수도권에 인구가 집중되면서 대규모 대중교통 수단의 필요성이 커졌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외부 철도 기술 도입이 검토되었으며, 요도호 납치 사건의 여파로 일본의 기술 지원이 결정되는 정치적 상황도 영향을 미쳤다.

이에 따라 1971년 4월 12일, 서울 지하철 1호선이 착공되었다.[7] 당시 공사 구간은 도로를 파낸 뒤 지하 구조물을 만들고 다시 메우는 개착식 공법을 주로 사용하였다. 1974년 8월 15일, 마침내 서울역청량리역을 잇는 대한민국 최초의 지하철 구간이 개통되었다. 이는 세계에서 22번째로 개통된 지하철 노선이었다.[7] 이와 함께 구로역~인천역경인선서울역~수원역경부선 구간도 기존 선로를 복선 전철화하여 직결 운행을 시작함으로써 수도권 전철 시대의 막을 열었다.

3. 법적 구분: 철도와 도시철도

대한민국에서는 법적으로 「철도」와 「도시철도」를 전혀 다른 것으로 간주한다. 도시철도는 「도시철도법」의 규정에 따라 건설 및 운영되며, 다른 철도 관련 법령은 도시철도에는 적용되지 않는다.[5] 「대중교통의 육성 및 이용촉진에 관한 법률」 등 다른 교통 관련 법령에서도 「철도」와 「도시철도」를 반드시 구분하여 언급한다. 이러한 법적 구분으로 인해 철도와 도시철도 사이에는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존재한다.

# 궤간: 철도는 반드시 1435mm 표준궤로 건설되어야 한다(철도건설규칙 제6조). 도시철도 역시 표준궤를 표준으로 하지만(도시철도건설규칙 제6조), 경량전철로 건설할 경우에는 다른 궤간을 사용할 수 있다(제72조).

# 전철화 방식: 철도를 전철화할 때는 교류 25000V 60Hz를 표준으로 하지만, 직류 1500V로 건설할 수도 있다(철도의 건설기준에 관한 규정 제35조). 반면, 도시철도는 원칙적으로 직류 1500V로 전철화해야 한다(도시철도건설규칙 제26조). 이 역시 경량전철의 경우 다른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제79조).

# 통행 방향: 철도는 좌측통행이 일반적이지만, 이는 법적으로 명시된 사항은 아니며 일산선이나 인천교통공사 소속 7호선 부천 및 인천 구간처럼 예외가 존재한다. 도시철도는 반드시 우측통행으로 운행해야 하지만, 철도와 직결 운행하는 경우에는 좌측통행을 할 수 있다(도시철도건설규칙 제5조).

# 건설 가능 지역: 철도는 전국적으로 건설될 수 있으나, 도시철도는 「도시교통권역」[6] 내에서만 건설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2021년 5월 22일 개통된 서울 지하철 7호선 석남역 연장 구간은 부천시인천광역시가 각자의 도시교통권역 내에 구간을 나누어 건설하고, 서울교통공사인천교통공사직결 운행하는 방식으로 건설되었다.

# 사업 면허권자: 철도사업의 면허권자는 국토교통부장관이다. 도시철도 역시 과거에는 국토교통부장관이 면허권자였으나, 2014년 7월 8일 「도시철도법」 개정으로 면허권자가 해당 노선이 속한 광역자치단체의 장(특별시장, 광역시장, 특별자치시장, 도지사, 특별자치도지사)으로 변경되었다.

# 시설 소유 및 운영: 철도는 국가가 시설을 소유하고, 국가 외의 자가 운영하는 상하분리방식을 원칙으로 한다(철도산업발전기본법 제20조, 21조). 하지만 도시철도법에는 이러한 규정이 없어, 도시철도 노선을 반드시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소유할 필요는 없다.

한편, 1990년 「지하철도의건설및운영에관한법률」이 「도시철도법」으로 개정되면서 법률 용어가 지하철에서 도시철도로 변경되었으나, 여전히 '지하철'이라는 명칭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전기 철도의 줄임말인 '''전철'''이라는 용어도 도시철도와 유사한 의미로 혼용되기도 한다.

4. 운영 현황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수도권, 부산·경남, 대구·경북, 광주광역시, 대전광역시 등 5개 주요 권역에서 도시 철도 시스템이 운영되고 있다.


  • 수도권 전철: 서울 지하철인천 도시철도를 포함하며, 1974년 8월 15일 최초 개통 이후 대한민국에서 가장 규모가 큰 도시철도망으로 성장했다. 총 23개 노선, 768개 역이 있으며 총 연장은 1262.2km에 달한다.
  • 부산 도시철도: 1985년 7월 19일 개통하였으며, 부산과 경남 일부 지역을 연결한다. 6개 노선, 158개 역, 총 연장 205.6km 규모이다.
  • 대구 도시철도: 1997년 11월 26일 개통하여 대구와 경북 일부 지역을 운행한다. 3개 노선, 90개 역, 총 연장 83.7km 규모이다.
  • 광주 도시철도: 2004년 4월 28일 개통하였으며, 현재 1개 노선, 20개 역, 총 연장 20.6km으로 운영 중이다.
  • 대전 도시철도: 2006년 3월 16일 개통하였으며, 현재 1개 노선, 22개 역, 총 연장 22.7km으로 운영 중이다.

4. 1. 수도권 전철

수도권 전철 노선도


'''수도권 전철'''은 서울 지하철인천 도시철도를 포함하여 경기도,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충청남도 천안시아산시까지 이어지는 광역적인 전철망이다.[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43][44][45][46][47][48][49] 2023년을 기준으로 총 23개 노선, 768개 역이 있으며, 총 길이는 1262.2km에 달한다.

노선 운영은 주로 한국철도공사, 서울교통공사, 인천교통공사가 담당한다. 일반적으로 광역 철도 구간은 한국철도공사가, 도시 철도 구간은 서울교통공사인천교통공사가 운영하는 방식으로 나뉜다. 다만, 9호선 일부 구간은 민간기업인 서울시메트로9호선이, 신분당선은 신분당선주식회사 등 민간 컨소시엄이 운영하는 등 예외도 존재한다. 수도권 전철망 내에서 서울교통공사서울시메트로9호선이 운영하는 구간을 통칭하여 '''서울 지하철''', 인천교통공사가 운영하는 구간을 '''인천 도시철도'''로 구분하기도 한다.

여러 사업자가 노선을 운영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사업자를 넘나들며 환승할 때 별도의 개찰구를 통과하거나 추가 요금을 낼 필요가 없다. 티머니와 같은 IC 교통카드를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1985년부터 도입된 역 번호 시스템 덕분에 이용이 편리하다.

수도권 전철망에는 서울 지하철인천 도시철도 외에도 다음과 같은 민영·반민영 철도 및 경전철 노선이 포함된다.

4. 1. 1. 노선 목록 (수도권)

(경기도 연천군)
소요산역
(경기도 동두천시)
광운대역
(서울특별시 노원구)
청량리역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남영역
(서울특별시 용산구)
구로역
(서울특별시 구로구)
봉명역
(충청남도 천안시)
금천구청역
(서울특별시 금천구)
병점역
(경기도 화성시)회기역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서울역
(서울특별시 중구)
신도림역
(서울특별시 구로구)
인천역
(인천광역시 중구)
천안역
(충청남도 천안시)
신창역
(충청남도 아산시)
광명역
(경기도 광명시)
서동탄역
(경기도 오산시)200.6km98대한민국 정부[9]
서울특별시[10]한국철도공사[11]
서울교통공사[12]2호선시청역
(서울특별시 중구)
성수역
(서울특별시 성동구)
신도림역
(서울특별시 구로구)시청역
(서울특별시 중구)
신설동역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까치산역
(서울특별시 강서구)60.2km51서울특별시서울교통공사3호선대화역
(경기도 고양시)
지축역
(경기도 고양시)삼송역
(경기도 고양시)
오금역
(서울특별시 송파구)57.4km44대한민국 정부[13]
서울특별시[14]한국철도공사[15]
서울교통공사[16]4호선진접역
(경기도 남양주시)
불암산역
(서울특별시 노원구)
선바위역
(경기도 과천시)
산본역
(경기도 군포시)별내별가람역
(경기도 남양주시)
남태령역
(서울특별시 서초구)
금정역
(경기도 군포시)
오이도역
(경기도 시흥시)85.7km51대한민국 정부[17]
서울특별시[18]한국철도공사[19]
서울교통공사[20]남양주도시공사5호선방화역
(서울특별시 강서구)
강일역
(서울특별시 강동구)
강동역
(서울특별시 강동구)상일동역
(서울특별시 강동구)
하남검단산역
(경기도 하남시)
마천역
(서울특별시 송파구)59.7km56서울특별시[21]
하남시[22]서울교통공사6호선응암역
(서울특별시 은평구)신내역
(서울특별시 중랑구)36.4km39서울특별시7호선장암역
(경기도 의정부시)석남역
(인천광역시 서구)61km53서울특별시[23], 부천시[24], 인천광역시[25]서울교통공사[26]
인천교통공사[27]8호선별내역
(경기도 남양주시)모란역
(경기도 성남시)30.2km24서울특별시[28],경기도[29]서울교통공사[30]
구리도시공사[31]남양주도시공사[32]
9호선개화역
(서울특별시 강서구)중앙보훈병원역
(서울특별시 강동구)40.9km38서울특별시서울시메트로9호선[33]
서울교통공사[34]경강선판교역
(경기도 성남시)여주역
(경기도 여주시)57km11대한민국 정부한국철도공사경의·중앙선임진강역
(경기도 파주시)
문산역
(경기도 파주시)용문역
(경기도 양평군)
지평역
(경기도 양평군)
서울역
(서울특별시 중구)140.3km56경춘선청량리역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광운대역
(서울특별시 노원구)춘천역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85.6km24수인·분당선청량리역
(서울특별시 동대문구)인천역
(인천광역시 중구)106.9km63인천국제공항철도서울역
(서울특별시 중구)인천공항2터미널역
(인천광역시 중구)63.8km14공항철도서해선일산역
(경기도 고양시)원시역
(경기도 안산시)41.8km17한국철도공사[35]
서해철도[36]
이레일[37]
서부광역철도[38]신분당선신사역
(서울특별시 강남구)광교역
(경기도 수원시)33.4km16신분당선주식회사[39]
경기철도주식회사[40]
네오트랜스[41]
새서울철도[42]용인 경전철기흥역
(경기도 용인시)전대·에버랜드역
(경기도 용인시)18.4km15용인시용인경량전철[43]
네오트랜스[44]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북한산우이역
(서울특별시 강북구)신설동역
(서울특별시 동대문구)11.4km13서울특별시우이신설경전철[45]
우이신설경전철운영[46]서울 경전철 신림선샛강역
(서울특별시 영등포구)관악산역
(서울특별시 관악구)8.1km11남서울경전철
로템SRS[47]의정부 경전철발곡역
(경기도 의정부시)차량기지 임시승강장
(경기도 의정부시)10.6km16경기도 의정부시의정부경량전철[48]
우진산전[49]인천 도시철도 1호선계양역
(인천광역시 계양구)송도달빛축제공원역
(인천광역시 연수구)30.3km30인천광역시인천교통공사인천 도시철도 2호선검단오류역
(인천광역시 서구)운연역
(인천광역시 남동구)29.1km27김포 도시철도양촌역
(경기도 김포시)김포공항역
(서울특별시 강서구)23.6km10경기도 김포시김포골드라인운영


4. 2. 부산 도시철도

부산광역시경상남도 일부 지역을 운행하는 도시 철도 시스템이다. 부산교통공사1호선, 2호선, 3호선, 4호선의 4개 노선을 운영하고 있으며, 부산-김해 경전철은 별도의 민자 기업(부산-김해경전철)이 운영한다. 또한, 한국철도공사동해선 광역전철을 운영하여 울산광역시까지 연결되는 광역철도망을 구성하고 있다.

현재 부산광역시영도구를 제외한 모든 자치구와 기장군, 그리고 경상남도 양산시김해시 일부 지역에서 운행되고 있다. 상세한 노선 정보는 하위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4. 2. 1. 노선 목록 (부산)

(부산광역시 사하구)노포역
(부산광역시 금정구)40.6km40부산광역시부산교통공사2호선장산역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양산역
(경상남도 양산시)45.2km433호선수영역
(부산광역시 수영구)대저역
(부산광역시 강서구)18.1km174호선미남역
(부산광역시 동래구)안평역
(부산광역시 기장군)12.7km14부산-김해 경전철사상역
(부산광역시 사상구)가야대역
(경상남도 김해시)23.4km21부산광역시[50], 경상남도 김해시[51]부산-김해경전철동해선 광역전철부전역
(부산광역시 부산진구)태화강역
(울산광역시 남구)63.8km23대한민국 정부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4. 3. 대구 도시철도

대구교통공사가 운영하는 도시 철도 시스템으로, 대구광역시경상북도 경산시 일부 지역을 운행한다. 현재 총 3개 노선, 90개의 역이 있으며, 총 운행 거리는 83.7km이다.

4. 3. 1. 노선 목록 (대구)

(대구광역시 달성군)하양역
(경상북도 경산시)28.4km32대구광역시대구교통공사style="background-color: #00AA7F; color: white;" |2호선문양역
(대구광역시 달성군)영남대역
(경상북도 경산시)31.4km29style="background-color: #FFB100; color: white;" |3호선칠곡경대병원역
(대구광역시 북구)용지역
(대구광역시 수성구)23.1km30style="background-color: #0052A4; color: white;" |대경선구미
(경상북도 구미시)경산
(경상북도 경산시)61.85km8대구광역시, 경상북도한국철도공사


4. 4. 대전 도시철도

대전광역시도시 철도 시스템으로, 대전교통공사가 운영하고 있다.[53] 2006년 3월 16일 처음 개통되었으며, 현재 대전 도시철도 1호선 1개 노선이 운행 중이다. 총 22개의 역이 있으며, 영업 거리는 22.7km이다. 현재 충청권 광역철도가 공사 중에 있다.

4. 4. 1. 노선 목록 (대전)

대전 도시철도공사에서 운영하고 있다.

운영 기관노선 색상노선역 수총 연장 (km)기점 및 종점개통일
대전 도시철도공사
대전 1호선 색상
대전 도시철도 1호선2222.7km판암반석2006년 3월 16일


4. 5. 광주 도시철도

광주 도시철도 노선도


'''광주 도시철도'''는 광주광역시 관내를 운행하는 도시 철도 시스템이다.[4] 광주교통공사가 운영을 맡고 있으며, 현재 1호선(녹동역-평동역) 총 20.5km, 20개 역 구간이 운행 중이다. 전국 도시 철도 노선 중 이용객 수가 적은 편으로 알려져 있다.

광주광역시 도시철도건설본부가 건설을 담당하며, 현재 2호선 건설과 광역철도인 광주-나주 광역철도가 추진되고 있다.

4. 5. 1. 노선 목록 (광주)

(광주광역시 동구)평동역
(광주광역시 광산구)20.5km20광주광역시광주교통공사


5. 특징

모든 도시의 노선은 철륜식이며 표준궤로 건설되었다. 이 때문에 차량 폭이 비교적 넓고 정원이 크지만, 출퇴근 시간대에는 과도한 차내 혼잡과 과밀 수송이 관찰된다. 또한, 모든 도시의 모든 역에 스크린도어 설치가 완료되었다.

서울특별시, 경기도, 부산광역시 등에서는 공공 버스와 공통으로 비접촉식 IC 카드 방식의 승차권인 티머니이즐 등이 도입되었으며, 신용 카드 형태 외에 열쇠고리 형태나 휴대 전화와 일체형인 승차권도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지역에서는 버스와 도시철도 간 환승 시 통합 요금제가 적용되는 경우가 많다.

대한민국의 일반 철도는 좌측통행이지만, 도시철도는 원칙적으로 우측통행으로 정해져 있다(도시 철도 건설 규칙 제5조, 도시 철도 운전 규칙 제36조). 따라서 대부분의 도시철도 노선은 우측통행을 따른다(한국철도공사 일산선 포함). 그러나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하는 서울 지하철 1호선한국철도공사 구간과의 직결 운행 편의를 위해 좌측통행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서울 지하철 4호선과천선안산선과 직결 운행하는데, 남태령역선바위역 사이의 터널 구간에서 입체 교차를 통해 통행 방향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바뀐다.

전철화 방식은 모든 도시철도 노선이 직류 1,500 V를 사용한다. 다만, 부산 도시철도 4호선인천 도시철도 2호선은 직류 750V를 사용한다. 반면, 광역철도 노선은 일산선을 제외하고 모두 교류 25,000V로 전철화되어 있어, 직류 구간인 도시철도와의 경계 지점에는 전력 공급 방식을 전환하기 위한 절연구간이 설치되어 있다.

노선 명칭은 번호를 사용하여 "○호선"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1990년 제정된 도시 철도법에서 지하철 외에 모노레일이나 신교통 시스템 등을 포함한 교통 기관을 "도시 철도"로 규정함에 따라, 기존에 "지하철"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던 운영 기관들이 "도시 철도"로 명칭을 변경하는 추세이다. 2011년 인천메트로가 합병으로 사명을 변경한 이후, 2019년 현재 운영 기관의 공식 명칭에서 "지하철"을 사용하는 경우는 없으며, 일부 안내 등에서만 사용되고 있다.

참조

[1] 문서 高陽市(ソウル交通公社3号線、一山線)、議政府市(ソウル交通公社7号線)、光明市(ソウル交通公社7号線)、富川市(ソウル交通公社7号線)、城南市(ソウル交通公社8号線、盆唐線)、果川市、安養市(果川線)、龍仁市(盆唐線)、水原市(盆唐線)
[2] 문서 梁山市(釜山都市鉄道2号線)
[3] 문서 慶山市(大邱都市鉄道2号線)
[4] 서적 ポケット図解 韓国の鉄道の旅をとことん楽しむ本 Shuwasystem 2008-11
[5] 문서 철도안전법 등 극히 일부 법령이 적용되기도 하지만 이는 도시철도법에 안전에 관해서는 철도안전법을 적용한다는 규정이 있기 때문이다.
[6] 문서 「도시교통정비 촉진법」 제4조에 근거하여 국토교통부장관이 지정, 고시한다. 1988년에 서울, 부산, 대구, 광주, 대전에 최초로 설정된 후 점차 확대되어 지금은 인구 10만 이상(도농복합형태의 시일 경우 읍면지역을 제외한 인구 10만 이상)인 도시는 모두 도시교통권역이 설정되어 있다.
[7] 간행물 인천지하철 인천지하철공사(현 인천교통공사) 2007-11
[8] 문서 지하철
[9] 문서 경원선, 경인선, 경부선, 경부고속선, 병점기지선, 장항선
[10] 문서 서울 지하철 1호선
[11] 문서 경원선, 경인선, 경부선, 경부고속선, 병점기지선, 장항선
[12] 문서 서울 지하철 1호선
[13] 문서 일산선
[14] 문서 서울 지하철 3호선
[15] 문서 일산선
[16] 문서 서울 지하철 3호선
[17] 문서 과천선, 안산선
[18] 문서 서울 지하철 4호선
[19] 문서 과천선, 안산선
[20] 문서 서울 지하철 4호선
[21] 문서 방화역 ~ 강일역, 서울 지하철 5호선 지선
[22] 문서 미사역 ~ 하남검단산역
[23] 문서 장암역 ~ 온수역
[24] 문서 까치울역 ~ 상동역
[25] 문서 삼산체육관역 ~ 석남역
[26] 문서 장암역 ~ 온수역
[27] 문서 까치울역 ~ 석남역
[28] 문서 모란역 ~ 암사역사공원역
[29] 문서 장자호수공원역 ~ 별내역
[30] 문서 모란역 ~ 암사역사공원역
[31] 문서 장자호수공원역 ~ 동구릉역
[32] 문서 다산역 ~ 별내역
[33] 문서 개화역 ~ 신논현역
[34] 문서 언주역 ~ 중앙보훈병원역
[35] 문서 전동차 정비 및 승무 담당.
[36] 문서 역 구간 역무 관리 및 선로 유지보수운영 담당
[37] 문서 역 구간 건설 담당
[38] 문서 역 구간 건설 및 역무 관리, 선로 유지보수운영 담당
[39] 문서 강남역 ~ 정자역 운영
[40] 문서 정자역 ~ 광교역 운영
[41] 문서 신분당선 전구간 운영
[42] 문서 용산역 ~ 강남역 구간 건설
[43] 문서 사업 시행 담당
[44] 문서 운영 및 유지보수 담당
[45] 문서 사업 시행 담당
[46] 문서 운영 및 유지보수 담당
[47] 문서 운영 및 유지보수 담당
[48] 문서 사업 시행 담당
[49] 문서 운영 및 유지보수 담당
[50] 문서 사상역 ~ 대사역 소유
[51] 문서 불암역 ~ 가야대역 소유
[52] 문서 한 쪽 끝 부분이 순환선이다
[53] 문서 상행 막차 한정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