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벌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벌꿀은 꿀벌이 꽃의 꿀이나 진딧물 등의 분비물을 모아 만든 달콤한 액체로, 인류 역사와 함께 시작된 오래된 식품이다. 꿀은 고대 이집트, 그리스, 인도 등에서 식량, 약재, 종교 의식 등에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종류와 형태로 생산 및 소비된다. 꿀의 종류는 밀원 식물, 가공 방법, 색상 등에 따라 구분되며, 과당과 포도당을 주로 포함하는 영양 성분과 항균, 항염, 항산화 효과 등 다양한 효능을 지닌다. 그러나 유아에게는 영아 보툴리누스증의 위험이 있으며, 일부 꿀은 독성을 가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2020년에는 중국이 세계 최대 생산국이며, 요리, 제빵, 의약품, 화장품 등 다방면에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벌꿀 - 꽃꿀
    꽃꿀은 꽃에서 꿀샘을 통해 분비되는 달콤한 액체로, 꽃가루 매개자를 유인하여 수분을 돕고, 꿀의 주요 성분은 당분이며, 다양한 식물화학물질을 포함한다.
  • 벌꿀 - 레프쿠헨
    레프쿠헨은 독일의 전통 쿠키로, 꿀과 향신료를 넣어 만들며 지역별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뉘른베르크의 레프쿠헨은 원산지 보호 명칭으로 지정될 만큼 유명하며 크리스마스 시장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과자이다.
  • 양봉 - 밀랍
    밀랍은 꿀벌이 분비하는 고체 왁스로 벌집을 만드는 데 사용되며,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 양봉 - 꿀벌
    꿀벌은 Apis 속의 사회성 곤충으로, 꿀과 꽃가루를 먹으며 전 세계에 약 2만 종이 있고 작은꿀벌아속, 큰꿀벌아속, 꿀벌아속으로 나뉘며, 꿀과 밀랍을 얻기 위해 사육되거나 이용되고 화분 매개, 꿀, 밀랍, 로열젤리 생산, 문화와 예술에도 영향을 미친다.
  • 비목재 임산물 - 송이
    송이는 소나무 숲에서 자라는 고가의 식용 버섯으로, 독특한 향을 지니며 동아시아, 유럽, 북미 등지에 분포하지만 서식지 파괴와 과도한 채취로 인해 개체수가 감소하여 IUCN 적색 목록에 위기종으로 등재되었고, 인공 재배가 어려워 자연산만이 유통된다.
  • 비목재 임산물 - 후추
    후추는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가 원산지인 후추나무 열매를 말린 향신료로, 수확 및 가공 방식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전 세계 요리에 널리 사용된다.
벌꿀
기본 정보
꿀
다양한 종류의 꿀
종류단화밀
혼화밀
사양벌꿀
생산자꿀벌
주성분포도당, 과당
칼로리100g당 304kcal
특성
정의꿀벌이 꽃의 꿀샘이나 식물의 다른 부분에서 분비되는 감미로운 물질을 모아 꿀벌 자신의 몸에서 변화시켜 벌집에 저장한 것
달콤함
향기꽃의 종류에 따라 다름
질감점성이 있는 액체 또는 결정체
보관성뛰어남 (수분 함량이 낮고, 산성도(pH)가 낮아 미생물 번식 억제)
생산 및 이용
생산 과정꿀벌이 꽃꿀을 모아 효소로 분해, 수분 증발 과정을 거쳐 농축
주요 생산 지역전 세계
용도식용 (단맛을 내는 식품)
약용 (피부 진정, 기침 완화 등)
미용 (피부 보습, 각질 제거 등)
성분 정보
주요 성분탄수화물 (약 80%, 주로 포도당과 과당)
(약 17%)
기타 (소량의 비타민, 미네랄, 아미노산, 효소, 항산화 물질)
영양 정보 (100g 기준)열량:
역사
기원기원전 5500년 ~ 기원전 6400년 (벌집 그림 발견)
기록수메르 점토판, 이집트 파피루스, 베다 경전 등 고대 문헌에서 확인
문화적 의미신성한 음식, 약, 화폐 등으로 사용
추가 정보
결정화꿀의 종류, 보관 온도 등에 따라 결정화될 수 있음 (결정화된 꿀은 따뜻하게 데우면 다시 액체 상태로 만들 수 있음)
품질꽃의 종류, 꿀벌의 종류, 생산 지역, 가공 방식 등에 따라 품질이 달라짐
보관 방법서늘하고 건조한 곳에 보관 (직사광선, 습기, 이취 주의)
주의사항12개월 미만의 영아에게는 보툴리누스균 감염 위험으로 인해 섭취를 금지함

2. 역사

꿀 채집은 인류의 역사와 함께 시작된 매우 오래된 활동이다. 스페인 발렌시아에 있는 비코르프 아라냐 동굴 벽화에는 8,000년 전 꿀 채집을 하는 사람들의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136] 이 그림에는 사람들이 바구니나 박을 들고 사다리나 밧줄을 사용하여 야생 벌집에 접근하는 모습이 나타나 있다.[136]

8,000년 된 발렌시아 비코르프 아라냐 동굴 벽화에 묘사된 꿀 사냥꾼


고대 이집트에서는 기원전 5000년경부터 양봉을 시작했다는 기록이 있다. 꿀은 케이크, 비스킷 등 식품을 달게 하는 데 사용되었고, 연고의 재료로도 쓰였다. 고대 메소포타미아를 비롯한 여러 지역에서는 죽은 사람을 꿀과 함께 매장하거나, 꿀 속에 넣어 매장하는 풍습이 있었다. 사원에서는 제사에 사용하거나 미라를 만들 때 꿀을 사용하기 위해 벌을 길렀다.[144]

고대 그리스에서는 고졸 시대부터 헬레니즘 시대까지 꿀을 생산했다. 기원전 594년 아테네 주변에서는 양봉이 매우 널리 퍼져 솔론이 법률을 제정해야 할 정도였다.[145] 이 법률은 벌통을 설치할 때 다른 사람이 이미 설치한 벌통으로부터 약 91.44m 이상 떨어져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146][4] 콜루멜라에 따르면, 헬레니즘 시대의 그리스 양봉가들은 더 많은 꿀을 얻기 위해 벌통을 먼 거리로 옮기기도 했다.[147]

고대 인도베다아유르베다 기록에는 꿀이 영적, 치료적 목적으로 사용되었다는 내용이 남아있다.[148]

3. 형성

꿀은 꿀벌이 꿀이나 감로를 수집하여 생산된다. 꿀벌은 꿀의 당분을 중요하게 여기는데, 이는 꿀벌이 일반적인 신진대사 활동, 특히 먹이 활동 중의 비행 근육 활동을 지원하고, 애벌레의 먹이로 사용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꿀벌은 일반적인 먹이 활동뿐만 아니라 월동과 같이 식량이 부족한 시기에도 사용할 꿀을 비축한다.[10][12]

벌집을 떠난 후 먹이 활동을 하는 꿀벌은 설탕이 풍부한 꿀이나 감로를 수집한다. 꽃에서 나온 꿀은 일반적으로 70~80%의 수분 함량을 가지며, 약 18%의 수분 함량을 가진 완제품 꿀보다 점성이 훨씬 덜하다.[13][14] 꿀벌은 꿀이나 감로를 주둥이를 통해 빨아들여 꿀벌의 꿀 위 또는 "꿀 주머니"로 전달한다.[11] ''Apis mellifera''에서 꿀 주머니는 약 40mg의 액체를 담을 수 있는데, 이는 짐을 싣지 않은 꿀벌 무게의 절반 정도이다. 이러한 양을 꿀로 수집하려면 천 개 이상의 꽃을 방문해야 할 수도 있다.

꿀벌의 과 하인두선에서 나오는 효소와 단백질이 꿀벌의 꿀 위 안으로 들어가면 꿀에 분비된다. 이러한 소화 효소 물질은 가수분해를 시작하여 자당과 전분과 같은 복합 당류를 포도당과 과당과 같은 단순한 당으로 분해한다. 이 과정은 부분적으로 소화된 꿀의 수분 함량과 산도를 약간 높인다.[10][16]

꿀벌들은 일단 꿀 주머니가 채워지면 벌집으로 돌아온다. 거기서 꿀벌들은 꿀을 역류시키고 벌집 벌에게 전달한다. 벌집 벌들은 자신의 꿀 주머니에 꿀을 담은 후, 꿀을 다시 역류시키고 턱 사이에서 반복적으로 거품을 형성하여 소화와 농축을 가속화한다. 이 거품은 부피당 큰 표면적을 만들고, 이를 통해 꿀벌은 꿀의 물을 벌집의 따뜻한 공기로 증발시킨다.[10][11][17]

벌집 벌들은 꿀을 처리하는 그룹을 형성한다. 이 그룹들은 릴레이 방식으로 작동하며, 한 꿀벌이 처리된 꿀에 거품을 일으킨 다음 정제된 액체를 다른 꿀벌에게 전달한다. 제품이 저장 품질에 도달하려면 최대 20분 동안의 연속적인 역류, 소화 및 증발이 필요할 수 있다.[11] 그런 다음 새로운 꿀은 덮개가 없는 벌집 세포에 놓인다. 정제의 이 단계에서 꿀의 수분 함량은 효모 포자가 번식할 수 있을 만큼 높으며, 이 과정은 방치할 경우 새로운 꿀의 당을 빠르게 발효시킬 것이다.[18] 이를 방지하기 위해 꿀벌은 곤충에게 드문 능력, 즉 내생적인 열 발생 능력을 사용한다.

꿀벌은 많은 양의 체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몇 안 되는 곤충 중 하나이다. 꿀벌은 이러한 능력을 사용하여 벌집에 일정한 주변 온도를 생성한다. 벌집 온도는 꿀 저장 지역에서 일반적으로 유지된다. 이 온도는 체내에서 열을 발생시키거나 물의 증발을 통해 열을 제거하여 조절된다. 증발은 저장된 꿀에서 물을 제거하여 군체로부터 열을 빼앗는다. 꿀벌은 날개를 사용하여 벌집을 냉각시킨다. 조절된 날개짓은 젖은 꿀 위로 공기를 이동시켜 물과 열을 빼낸다. 벌집의 환기는 결국 과도한 물과 열을 외부 세계로 배출한다.

증발 과정은 꿀이 최종 수분 함량 15.5%~18%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된다.[13] 삼투압적 이유로 이러한 높은 농도의 설탕은 미생물학적 번식에 극도로 불리하며, 따라서 모든 발효가 중단된다.[12][11] 그런 다음 꿀벌은 완제품 꿀의 세포에 왁스 덮개를 씌운다. 이렇게 하면 오염으로부터 밀봉되고 추가적인 증발을 방지할 수 있다.[11]

꿀벌은 꿀을 생산하는 유일한 사회성 곤충이 아니다. 모든 비기생성 호박벌과 무침벌도 꿀을 생산한다. 남아메리카와 중앙아메리카에서 발견되는 ''Brachygastra lecheguana''와 ''Brachygastra mellifica''와 같은 일부 말벌 종은 꿀을 먹고 꿀을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9] ''Polistes versicolor''와 같은 다른 말벌들도 꿀을 소비한다. 이들은 생활사 중간에 단백질이 풍부한 꽃가루를 먹는 것과 훨씬 더 에너지 밀도가 높은 식품 에너지원인 꿀을 먹는 것을 번갈아 한다.[20]

꿀의 원료가 되는 꽃의 꿀은 암컷 꿀벌에 의해 채집된다. 채집된 꽃의 꿀은 설탕 용액, 즉 수분을 포함한 수크로스(설탕) 상태로 위 앞부분에 있는 꿀주머니라고 불리는 기관에 저장된다. 꿀주머니가 꽃의 꿀로 가득 차면 꿀벌은 둥지로 돌아간다.

일반적으로 꿀벌이 채집한 꽃의 꿀을 꿀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꽃의 꿀이 둥지 안에서 가공, 저장된 것이 꿀이며, 둘의 성질에는 물리적, 화학적인 차이가 있다. 먼저, 꽃의 꿀은 꿀보다 당도가 낮다. 일반적으로 꽃의 꿀의 당도는 꿀벌이 채집한 단계에서는 40% 미만이지만, 둥지로 가져간 후 수분 발산이 이루어지는 결과, 꿀의 당도는 80% 전후로 상승한다. 또한, 수분을 발산시키기 위한 작업의 하나로서 꿀벌은 둥지 안에서 입을 사용하여 꿀을 막 모양으로 늘리는데, 이 때 꿀벌의 침에 포함된 효소(인버테이스, 전위 효소)가 꿀에 혼입되어 그 작용에 의해 꿀 속의 수크로스가 글루코스(포도당)와 프럭토스(과당)로 분해된다.

꿀벌이 금불초꽃받침에 주둥이를 뻗어 꿀을 빨아들이고 있다


꿀벌이 꿀을 저장하기 위해 육각형 프리즘 벌집의 밀랍 세포로 구성된 벌집을 보여준다

4. 채집

꿀은 야생 벌집이나 사육된 벌통에서 채취한다. 평균적으로 벌통 하나는 1년에 약 약 29.48kg의 꿀을 생산한다.[23] 야생 벌집은 때때로 꿀잡이새를 따라가 위치를 파악하기도 한다.

벌통에서 안전하게 꿀을 채취하기 위해 양봉가들은 일반적으로 벌 연기기를 사용하여 벌들을 진정시킨다. 연기는 먹이 본능을 유발하여 (화재로부터 벌집의 자원을 구하려는 시도), 벌들을 덜 공격적으로 만들고, 벌들이 의사소통에 사용하는 페로몬을 가린다. 벌집은 벌통에서 꺼내지고 꿀은 으깨거나 꿀 추출기를 사용하여 추출될 수 있다. 그런 다음 꿀은 일반적으로 밀랍 및 기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여과된다.

벌집에서 꿀을 추출


벌집에서 꿀을 여과


이동식 벌집틀이 발명되기 전에는 꿀을 수확하기 위해 벌집을 희생하는 경우가 많았다. 수확자는 사용 가능한 모든 꿀을 가져가고 다음 해 봄에 벌집 전체를 교체했다. 이동식 벌집틀의 발명 이후, 사육 원칙에 따라 대부분의 양봉가들은 벌들이 벌통에 꿀을 남겨두거나 설탕물 또는 결정 설탕(종종 "캔디보드" 형태로)과 같은 꿀 대체물을 제공하여 겨울을 날 수 있도록 충분한 저장량을 확보하도록 했다. 겨울을 나기 위해 필요한 음식의 양은 벌의 종류와 지역 겨울의 길이와 추위에 따라 다르다.

꿀을 뜨는 일을 '''채밀'''(採蜜)이라고 하며, 과정은 다음과 같다.

----
연기로 벌 쫓기
------
----
벌꿀을 단지에 붓고 숙성시키기



에바 크레인의 연구에 따르면 1만 년 전부터 인류가 꿀을 채취하기 시작했다.[162] 인류는 처음에는 야생 꿀벌의 벌집에서 꿀을 채취했다. 1919년에 스페인의 알라냐 동굴에서 발견된 신석기 시대의 암벽 조각은 인류와 꿀의 관계를 보여주는 가장 오래된 자료로, 한 손에 바구니 모양의 용기를 들고 밧줄 사다리를 타고 천연 동굴에 접근하여 꿀 채집을 시도하는 인물이 그려져 있다. 이 벽화에서는 동굴과 꿀벌이 매우 크게 그려져 있어, 고대인의 꿀에 대한 관심과 꿀벌에 대한 두려움이 컸음을 알 수 있다.

이윽고 인류는 양봉, 즉 꿀벌을 사육하여 꿀을 얻는 방법을 터득했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약 5000년 전에 점토로 만든 관 모양의 벌통을 사용하여 양봉이 시작되었으며, 벌통을 이동시키면서 꿀을 채취하는 것(전지 양봉)도 이루어졌다. 그리스 신화에는 양봉의 신 아리스타이오스가 등장한다.

양봉은 좁은 공간 안에 벌집을 짓는 꿀벌의 습성을 이용하여, 안쪽을 파낸 통나무나 토관, 짚으로 만든 스케프, 나무 통 등을 사용하여 행해진다. 과거에는 벌집을 잘라내고 으깨서 꿀을 짜내는 방법을 사용했지만, 이는 꿀벌에게 큰 피해를 주는 것이었다. 현대적인 양봉에서는 나무로 만든 틀 안에 벌집을 만들게 하고, 꿀이 차면 꿀 추출기(원심 분리기)를 사용한다. 원심 분리기를 이용한 꿀 채취법은 1865년에 오스트리아의 풀슈카에 의해 고안되었다. 원심 분리기의 활용으로 꿀벌 한 군집당 꿀 채취량은 약 5배에서 10배까지 증가했다.

채집한 꿀에는 미량의 꽃가루와 벌집 조각이 포함되어 있다. 시장에 유통되는 꿀의 대부분은 이를 여과한 후에 용기에 담겨져 있지만, 여과에는 한계가 있어 약간의 불순물이 잔류한다.

5. 종류

꿀은 밀원 식물, 포장 및 가공 방법, 색상 등에 따라 분류된다.

일본의 대표적인 밀원 식물인 연꽃


일반적으로 꿀은 액체 형태로 병에 담겨 판매되지만, 다른 형태로도 판매되며 다양한 가공 방법을 거칠 수 있다. 가공 방법에 따른 분류는 다음과 같다.

  • '''결정 꿀'''(과립 꿀, 사탕 꿀): 포도당의 일부가 단수화물로 용액에서 자연적으로 결정화된 것이다. 따뜻하게 하면 액체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74] 결정화는 꿀이 상했음을 의미하지 않는다.[75][76]
  • '''살균 꿀''': 약 71.7°C 이상의 온도로 살균 과정을 거친 꿀이다. 효모 세포를 파괴하고 미세 결정체를 액화시켜 결정화를 지연시킨다. 그러나 과도한 열은 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HMF) 수준을 높이고 효소 활성을 감소시켜 제품 열화를 초래하며, 꿀을 어둡게 하고 맛과 향에 영향을 미친다.[77]
  • '''생 꿀''': 벌집에 있는 그대로 또는 열을 가하지 않고 추출, 침전, 여과하여 얻은 꿀이다.[78] 약간의 화분과 왁스 입자가 있을 수 있다.
  • '''여과 꿀''': 화분, 미네랄, 효소를 제거하지 않고 왁스 조각, 프로폴리스 등 입자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메쉬 재료를 통과시킨 꿀이다.[79]
  • '''필터링 꿀''': 미세 입자, 꽃가루, 기포 등이 제거될 정도로 여과된 꿀이다.[80] 약 65.6°C~약 76.7°C로 가열하여 필터를 통과시키며, 매우 깨끗하고 결정화가 덜 일어나 슈퍼마켓에서 선호된다.[81][82]
  • '''초음파 처리 꿀''': 초음파 처리를 통해 가공된 꿀이다. 효모 세포를 파괴하고 결정화를 억제하며, 약 35.0°C 근처의 낮은 온도에서 액화 시간을 30초 미만으로 줄일 수 있다.[84]
  • '''크림 꿀'''(휘핑 꿀, 스핀 꿀, 교반 꿀, 꿀 퐁당, 굳은 꿀): 결정화를 제어하기 위해 가공된 꿀로, 작

5. 1. 밀원 식물에 따른 분류

꿀은 꿀이 만들어진 식물 공급원에 따라 분류된다. 꿀은 특정 종류의 꽃 꿀에서 나오거나 수집 후 혼합될 수 있다. 꿀 속의 화분은 꽃의 공급원과 그 지역을 추적할 수 있다.[66]

  • 단일꽃꿀 (Monofloral honey)


주로 한 종류의 꽃의 꿀에서 만들어진 꿀을 단일꽃꿀이라고 한다. 단일꽃꿀은 주된 꿀의 원천의 차이로 인해 독특한 맛과 색상을 띈다.[67] 단일꽃꿀을 생산하기 위해 양봉가들은 가능한 한 꿀벌이 한 종류의 꽃에만 접근할 수 있는 지역에 벌집을 둔다.

지역단일꽃꿀 종류
북미클로버, 오렌지 블라썸, 세이지, 튜펠로, 메밀, 파이어위드, 메스키트, 사워우드,[83] 벚나무, 블루베리
유럽백리향, 엉겅퀴, 헤더, 아카시아, 민들레, 해바라기, 라벤더, 인동덩굴, 보리수밤나무 종류
북아프리카 (이집트 등)클로버, 목화, 감귤 (주로 오렌지 꽃)
호주옐로우 박스, 블루 검, 아이언바크, 부시 말리, 태즈메이니아 레더우드, 마카다미아


  • 다화꿀 (Polyfloral honey, 야생화 꿀)


여러 종류의 꽃의 꿀에서 추출된 꿀은 다화꿀(야생화 꿀)이라고 하며, 맛은 해마다 다를 수 있으며, 어떤 꽃이 피어나는지에 따라 향과 풍미가 강하거나 약할 수 있다.

  • 감로꿀 (Honeydew honey)


꿀벌이 소나무, 전나무, 밤나무, 참나무와 같은 나무에서 직접 분비물을 채취하거나, 진딧물이나 기타 식물 수액을 빨아먹는 곤충의 달콤한 분비물(감로)을 채취하여 꽃꿀이 아닌 다른 물질로 생산한 꿀을 감로꿀이라고 한다.[70][71] 감로꿀은 꽃꿀을 기반으로 한 꿀보다 맛이 더 강하고 덜 달콤하며, 유럽 국가들이 감로꿀의 주요 시장이다.[70] 그리스에서는 감로꿀의 일종인 소나무꿀이 꿀 생산량의 60~65%를 차지한다.[73]

꿀벌은 하나의 꽃에서 꿀을 채집하면, 가능한 한 다른 꽃의 꿀을 채집하지 않는 성질(방화의 일정성)이 있다.[203] 꿀벌은 꿀벌의 춤을 통해 동료에게 밀원을 알리는데, 풍부한 밀원에 대해서는 격렬하게 알리는 반면, 빈약한 밀원에 대해서는 거의 알리려고 하지 않는다.[203] 이러한 이유로, 하나의 꽃에서 꿀을 채집하여 만들어진 꿀을 채집하는 것이 가능하다. 꿀은 주요 밀원 식물에 따라 연꽃꿀, 아카시아꿀 등으로 분류되며,[203] 밀원 식물이 여러 개인 경우에는 "백화꿀"이라고 불린다.[203]

꿀의 풍미와 색은, 밀원이 된 꽃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같은 종류의 꽃에서 만들어진 꿀이라도 지역에 따라 품질이 다르다.[203] 국가나 지역에 따라 선호하는 꿀이 있으며, 예를 들어 메밀꿀은 일본에서 기피되는 반면, 프랑스에서는 진저브레드의 원료로 애용되고 있다.[203] 중국에서는 겨우살이, 대추, 회화나무, 피나무, 여지 꽃에서 채취한 꿀을 "5대 명밀"이라고 부르며, 널리 식용되고 있다.[184]

진딧물이 배설한 감로를 꿀벌이 채집한 것을 감로꿀이라고 한다. 독일에서 전나무 등의 침엽수에 기생하는 진딧물에서 유래한 감로꿀이 전나무 꿀로 최고급품으로 취급받는 등 게르만 국가에서 인기가 높다.[203] 감로꿀의 색은 검은색이나 갈색이며, 일본에서는 오가사와라 제도에서 채취한다.[185][186]

5. 2. 포장 및 가공 방법에 따른 분류

일반적으로 꿀은 액체 형태로 병에 담겨 판매되지만, 다른 형태로도 판매되며 다양한 가공 방법을 거칠 수 있다.

  • 결정 꿀: 포도당의 일부가 단수화물로 용액에서 자연적으로 결정화될 때 발생한다. "과립 꿀" 또는 "사탕 꿀"이라고도 한다. 결정화된 꿀은 따뜻하게 하면 액체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74] 결정화는 꿀이 상했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75][76]
  • 살균 꿀: 약 71.7°C 이상의 온도를 필요로 하는 살균 과정을 거쳐 가열된 꿀이다. 살균은 효모 세포를 파괴한다. 또한 꿀의 미세 결정체를 액화시켜 가시적인 결정화의 시작을 지연시킨다. 그러나 과도한 열 노출은 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HMF)의 수준을 증가시키고 효소(예: 디아스타아제) 활성을 감소시키므로 제품 열화를 초래한다. 열은 또한 꿀을 어둡게 하고 맛과 향에 영향을 미친다.[77]
  • 생 꿀: 벌집에 있는 그대로 또는 열을 가하지 않고 추출, 침전 또는 여과하여 얻은 꿀이다.[78] 생 꿀에는 약간의 화분과 왁스 입자가 작을 수 있다.
  • 여과 꿀: 화분, 미네랄 또는 효소를 제거하지 않고 입자 물질(왁스 조각, 프로폴리스 등)을 제거하기 위해 메쉬 재료를 통과시킨 꿀이다.[79]
  • 필터링 꿀: 일반적으로 부유 상태로 발견되는 모든 또는 대부분의 미세 입자, 꽃가루, 기포 또는 기타 물질이 제거될 정도로 여과된 꿀이다.[80] 이 과정은 일반적으로 꿀을 약 65.6°C에서 약 76.7°C로 가열하여 필터를 더 쉽게 통과시킨다.[81] 필터링된 꿀은 매우 깨끗하며 결정화가 덜 일어나[81] 슈퍼마켓에서 선호된다.[82]
  • 초음파 처리 꿀: 꿀에 대한 비열적 가공 대안인 초음파 처리를 통해 가공된 꿀이다. 꿀이 초음파 처리에 노출되면 대부분의 효모 세포가 파괴된다. 초음파 처리에서 살아남은 세포는 일반적으로 성장 능력을 잃어 꿀 발효 속도를 실질적으로 줄인다. 초음파 처리는 또한 기존의 결정체를 제거하고 꿀의 추가 결정화를 억제한다. 초음파를 이용한 액화는 약 35.0°C 근처의 실질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작동할 수 있으며 액화 시간을 30초 미만으로 줄일 수 있다.[84]
  • 크림 꿀(휘핑 꿀, 스핀 꿀, 교반 꿀, 꿀 퐁당, 굳은 꿀(영국)): 결정화를 제어하기 위해 가공된 꿀이다. 크림 꿀은 많은 수의 작은 결정을 포함하여 가공되지 않은 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더 큰 결정의 형성을 방지한다. 이 공정은 또한 부드럽고 바르기 쉬운 농도의 꿀을 생성한다.[85]
  • 건조 꿀: 액체 꿀에서 수분을 추출하여 완전히 고체, 비점착성 과립을 만든 꿀이다. 이 과정은 건조제 및 고결 방지제의 사용을 포함할 수도 있고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86] 건조 꿀은 구운 식품[86]과 디저트 장식에 사용된다.[87]
  • 벌집 꿀: 벌꿀의 왁스 벌집 안에 그대로 있는 꿀이다. 전통적으로 표준 나무 벌집 틀을 사용하여 벌집 통에서 수집된다. 틀을 수집하고 포장하기 전에 덩어리로 벌집을 잘라낸다. 이 노동 집약적인 방법의 대안으로 벌집을 수동으로 절단할 필요가 없고 포장 속도를 높이는 플라스틱 링 또는 카트리지를 사용할 수 있다. 전통적인 방식으로 수확한 벌집 꿀은 "벌집 절단 꿀"이라고도 한다.[74][88]
  • 덩어리 꿀: 넓은 입구 용기에 포장되며 추출한 액체 꿀에 담긴 하나 이상의 벌집 덩어리로 구성된 꿀이다.[74]

5. 3. 색상에 따른 분류

미국에서는 꿀이 USDA 표준에 따라 색상 및 광학 밀도로 등급이 매겨진다. 이때 사용되는 척도는 "워터 화이트" 꿀에 0, "다크 앰버" 꿀에 114 이상으로 범위가 정해진 Pfund 척도이다.[90]

미국에서는 꿀의 색상을 기준으로 한 분류법도 존재한다. 다만, 색이 같은 꿀이라고 해서 맛이 반드시 같은 것은 아니며, 밀원 식물이 같더라도 저장되는 벌집 상태에 따라 색이 달라진다.

6. 성분

꿀은 당분과 수분, 그리고 여러 미량 성분들로 구성된 복합 혼합물이다.[206] 꿀의 성분은 꿀벌이 어떤 꽃에서 꿀을 얻었는지, 그리고 꿀을 채취한 계절에 따라 달라진다.[164] 하지만 일반적으로 약 72%의 당분과 약 21%의 수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164] 비타민, 미네랄, 아미노산, 유기산, 효소, 색소, 향기 물질 등도 소량 포함되어 있다.[164]

꿀의 평균 pH는 3.9이지만 3.4에서 6.1까지 다양할 수 있으며,[60] 다양한 종류의 유기산아미노산을 포함한다.[60] 유기산은 꿀의 산 성분 대부분을 차지하며, 혼합물의 0.17–1.17%를 차지하고, 글루코스 산화 효소의 작용으로 생성된 글루콘산이 가장 많이 존재한다.[60] 소량의 다른 유기산에는 개미산, 아세트산, 뷰티르산, 구연산, 젖산, 사과산, 피로글루탐산, 프로피온산, 발레르산, 카프로산, 팔미트산, 호박산 등이 있다.[60][61]

꿀에는 100가지가 넘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s)이 함유되어 있으며,[62][63][64] 이는 꿀의 냄새를 결정하는 데 주요한 역할을 한다.[62][63][64] VOC는 주로 꽃에서 분비되어 개별적인 향기를 부여하는 꿀에서 유래하며,[62] 특정 VOC의 종류와 농도는 단일 꽃 꿀을 생산하는 데 사용된 식물의 종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62][64]

6. 1. 영양

꿀 100g은 약 304kcal의 에너지를 제공하며, 필수 영양소는 유의미한 양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95] 꿀은 17%의 물과 82%의 탄수화물로 구성되며, 지방, 식이 섬유, 단백질 함량이 낮다.

꿀은 당과 기타 탄수화물의 혼합물로, 주로 과당 (약 38%)과 포도당 (약 32%)으로 구성되어 있으며,[5] 나머지 당으로는 말토스, 자당, 그리고 기타 복합 탄수화물이 포함되어 있다.[5] 꿀의 혈당 지수는 종류에 따라 31에서 78까지 다양하다.[96]

일반적인 꿀의 성분은 다음과 같다.

  • 과당: 38%
  • 포도당: 31%
  • 자당: 1%
  • 수분: 17%
  • 다른 당분: 9% (맥아당 등)
  • : 0.17%
  • 기타: 3.38%


꿀에는 과당이 매우 많이 들어 있어 혈당이 크게 올라간다.[207]

꿀 100g 중의 당분(평균값)[165]
프럭토스50.49%
글루코스41.88%
수크로스1.35%



꿀은 꿀을 얻는 식물과 채취 계절에 따라 변동하지만, 약 72%의 당분과 약 21%의 수분으로 구성되며,[164] 비타민, 미네랄, 아미노산, 유기산, 효소, 색소, 향기 물질 등 미량의 영양소도 포함된다. 유효 성분이 꿀 안에서 하는 역할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점이 많다. 비타민, 미네랄, 아미노산의 대부분은 꽃가루에서 유래한다.

꿀의 수소 이온 지수 (pH)는 효소에 의해 생성된 유기산을 포함하기 때문에 3.2에서 4.9 (평균 3.7[165])로 약산성이지만, 꿀을 섭취할 때는 신맛이 느껴지지 않는 경향이 있다. 이는 포도당과 과당의 단맛이 강하고, 유기산의 7할을 차지하는 글루콘산의 신맛이 부드럽기 때문이다.

꿀의 표준 칼로리는 100 그램당 약 294 킬로칼로리[168] 또는 356 킬로칼로리[169]이다.

7. 물리적 및 화학적 특성

꿀의 물리적 특성은 수분 함량, 꿀을 생산하는 데 사용된 식물의 종류(목초지), 온도, 그리고 포함된 특정 당의 비율에 따라 달라진다. 신선한 꿀은 과포화 액체로, 상온에서 물이 일반적으로 용해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당을 함유하고 있다. 실온에서 꿀은 과냉각 액체로, 포도당이 고체 입자로 침전된다. 이는 과당과 기타 성분의 용액 내에서 침전된 포도당 결정의 반고체 용액을 형성한다.[40]

꿀의 밀도는 일반적으로 20°C에서 1.38~1.45 kg/L이다.[40]

결정화된 벌꿀의 녹는점은 성분에 따라 다르다. 이 온도 이하에서 벌꿀은 준안정 상태에 있을 수 있는데, 이는 종자 결정이 첨가될 때까지 결정화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더 흔하게는 자발적으로 결정화될 만큼 충분한 당분으로 포화된 "불안정한" 상태에 있다.[41] 결정화 속도는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지만, 주요 요인은 주요 당의 비율, 즉 과당과 포도당의 비율이다. 브라시카 꿀과 같이 포도당 비율이 매우 높은 과포화 꿀은 수확 직후 거의 즉시 결정화되는 반면, 밤나무 꿀 또는 터펄로 꿀과 같이 포도당 비율이 낮은 꿀은 결정화되지 않는다. 일부 종류의 꿀은 매우 크지만 소수의 결정을 생성할 수 있는 반면, 다른 종류는 많은 작은 결정을 생성한다.[42]

결정화는 수분 함량의 영향을 받는데, 높은 수분 비율은 높은 덱스트린 함량과 마찬가지로 결정화를 억제하기 때문이다. 온도 역시 결정화 속도에 영향을 미치며, 가장 빠른 성장은 13°C 에서 17°C 사이에서 발생한다. 꿀을 교반, 흔들기 또는 휘젓는 등 방해하는 경우, 가만히 두는 경우보다 결정 핵(씨앗)이 더 쉽게 형성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미세한 씨앗 결정의 핵형성은 5°C 에서 8°C 사이에서 가장 크다. 따라서 더 크지만 더 적은 결정은 더 높은 온도에서 형성되는 경향이 있는 반면, 더 작지만 더 많은 결정은 일반적으로 더 낮은 온도에서 형성된다. 5°C 이하에서는 꿀이 결정화되지 않으므로 원래의 질감과 맛을 무기한 보존할 수 있다.[42]

꿀은 일반적으로 녹는점 이하로 저장될 때 과냉각 액체이다. 매우 낮은 온도에서 꿀은 고체로 얼지 않고 점도가 증가한다. 대부분의 점성 액체와 마찬가지로 꿀은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끈적해지고 느려진다. -20°C에서 꿀은 고체처럼 보일 수 있고 느껴질 수도 있지만, 매우 느린 속도로 흐르는 것을 지속한다. 꿀은 -42°C 에서 -51°C 사이에서 유리 전이를 갖는다. 이 온도 이하에서 꿀은 유리 상태로 들어가 비정질 고체 (비결정질)가 된다.[43][44]

꿀의 점도는 온도와 수분 함량 모두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 수분 비율이 높을수록 꿀은 더 쉽게 흐른다. 그러나 녹는점 이상에서는 물이 점도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다. 수분 함량 외에도 대부분의 꿀 종류의 조성은 점도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25°C에서 수분 함량이 14%인 꿀은 일반적으로 약 400 푸아즈의 점도를 갖는 반면, 수분 함량이 20%인 꿀은 약 20 푸아즈의 점도를 갖는다. 점도는 적당한 냉각과 함께 매우 천천히 증가한다. 수분 함량이 16%인 꿀은 70°C에서 약 2 푸아즈의 점도를 갖는 반면, 30°C에서는 약 70 푸아즈의 점도를 갖는다. 더 냉각되면 점도 증가는 더 빨라져 14°C에서 약 600 푸아즈에 도달한다.[47][48] 그러나 꿀은 점성이 있지만 50–60 mJ/m2의 낮은 표면 장력을 가지고 있어 젖음성이 물, 글리세린 또는 대부분의 다른 액체와 유사하다.[49] 꿀의 높은 점도와 젖음성은 부착을 유발하며, 이는 유리 전이 온도(Tg)와 결정 용융 온도 사이의 과냉각 액체에서 시간 의존적인 과정이다.[50]

대부분의 꿀 종류는 뉴턴 유체이지만, 일부 종류는 비뉴턴 유체 점성 특성을 갖는다. 헤더 또는 마누카에서 얻은 꿀은 요변성 특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종류의 꿀은 움직이지 않을 때는 젤 상태가 되지만, 저어주면 액화된다.[51]

벌꿀은 산과 미네랄 형태의 전해질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정도의 전기 전도도를 나타낸다. 전기 전도도 측정은 회분 함량 측면에서 벌꿀의 품질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48]

벌꿀이 빛에 미치는 영향은 종류와 품질을 결정하는 데 유용하다. 벌꿀의 수분 함량 변화는 굴절률을 변화시킨다. 수분 함량은 굴절계로 쉽게 측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벌꿀의 굴절률은 수분 함량 13%에서 1.504, 25%에서 1.474 범위이다. 벌꿀은 또한 편광 면을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편광된 빛에 영향을 미친다. 과당은 음의 회전을, 포도당은 양의 회전을 나타낸다. 전체 회전은 혼합물의 비율을 측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48][52] 벌꿀은 일반적으로 옅은 노란색과 짙은 갈색을 띠지만, 당 공급원에 따라 다른 색상이 나타날 수 있다.[53] 예를 들어, (''Pueraria montana'' var. ''lobata'') 꽃에서 먹이를 구하는 벌집은 빨간색에서 보라색까지 다양한 색상의 벌꿀을 생산한다.[54]

꿀은 공기 중에서 직접 수분을 흡수하는 능력이 있으며, 이는 흡습성이라고 불리는 현상이다. 꿀이 흡수하는 수분의 양은 공기의 상대 습도에 따라 달라진다. 꿀은 효모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흡습성으로 인해 꿀을 발효를 막기 위해 밀폐된 용기에 보관해야 한다. 발효는 꿀의 수분 함량이 25% 이상으로 높아지면 일반적으로 시작된다. 꿀은 개별 당류가 자체적으로 허용하는 것보다 이러한 방식으로 더 많은 물을 흡수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꿀이 함유하고 있는 다른 성분 때문일 수 있다.[52]

꿀의 발효는 보통 결정화 후에 발생하는데, 포도당이 없으면 꿀의 액체 부분은 주로 과당, 산, 물의 농축 혼합물로 구성되어 효모가 성장하기에 충분한 수분 비율 증가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실온에서 장기간 보관할 꿀은 효모를 죽이기 위해 70°C 이상으로 가열하여 살균하는 경우가 많다.[52]

크림 꿀: 왼쪽은 신선한 꿀이고, 오른쪽은 실온에서 2년 동안 숙성된 꿀이다. 마이야르 반응은 숙성된 꿀의 색상과 풍미에 상당한 차이를 만들어내며, 섭취 가능하다.


모든 당 화합물과 마찬가지로 꿀은 충분히 가열되면 캐러멜화되어 색이 더 어두워지고 결국 타게 된다. 그러나 꿀에는 과당이 들어있어 포도당보다 낮은 온도에서 캐러멜화된다.[55] 캐러멜화가 시작되는 온도는 조성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70°C 에서 110°C 사이이다. 꿀에는 캐러멜화를 위한 촉매 역할을 하는 산도 들어 있다. 이러한 산의 종류와 양은 정확한 온도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56] 이러한 산 중에서 아주 소량으로 존재하는 아미노산은 꿀을 어둡게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아미노산은 마이야르 반응 동안 멜라노이딘이라고 하는 어두운 화합물을 형성한다. 마이야르 반응은 실온에서 서서히 일어나 눈에 띄는 어두워짐을 나타내기까지 몇 달에서 여러 달이 걸리지만,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극적으로 속도가 빨라진다. 그러나 꿀을 더 낮은 온도에서 보관하면 반응 속도를 늦출 수도 있다.[57]

다른 많은 액체와 달리 꿀은 13%의 수분 함량에서 열전도율이 0.5 W/(m⋅K)로 매우 낮아(구리의 401 W/(m⋅K)에 비해) 열평형에 도달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린다.[58] 높은 동점성 때문에 꿀은 운동량 확산(대류)을 통해 열을 전달하지 않고 열전도를 통해 전달한다(고체와 유사). 따라서 결정화된 꿀을 녹일 때 열원이 너무 뜨겁거나 균일하게 분산되지 않으면 국소적인 캐러멜화가 쉽게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꿀은 녹는점 바로 위에서 높은 온도에서보다 훨씬 더 오래 액화된다.[48] 20kg의 결정화된 꿀을 40°C에서 녹이는 데 최대 24시간이 걸릴 수 있으며, 50kg은 두 배의 시간이 걸릴 수 있다. 이러한 시간은 50°C에서 가열하면 거의 절반으로 줄일 수 있지만, 꿀에 들어있는 많은 소량 물질은 가열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아 맛, 향 또는 기타 특성이 변할 수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가장 낮은 온도에서 가능한 가장 짧은 시간 동안 가열한다.[59]

꿀은 저온에서 입자 모양의 결정이 생겨 하얗게 굳는 성질이 있는데, 이는 포도당의 성질 때문이다. 단, 저온일수록 결정화되기 쉬운 것은 아니고, 결정화되기 쉬운 온도는 5°C 에서 14°C 정도이며, -18°C 이하에서는 거의 결정화되지 않는다. 포도당을 많이 함유한 꿀일수록 빨리 결정화되며, 포도당 함량이 적고 과당을 많이 함유한 꿀은 결정화되기 어렵다. 또한, 결정화가 빠를수록 결정의 입자가 미세해지는 경향이 있다. 결정화가 어떻게 진행되는지는 꿀의 비중에 따라 다르다. 비중이 작은 꿀의 경우, 액체 상태의 꿀보다 비중이 큰 결정이 바닥에 침전하므로 바닥부터 결정화되는 인상을 준다. 비중이 큰 꿀의 경우, 액체 상태의 꿀과 결정의 비중 차이가 거의 같으므로 꿀 전체가 결정화된다. 가열하면 결정은 녹지만, 너무 가열하면 색이 짙어지거나 풍미가 약간 변하는 등의 영향이 생긴다. 결정을 거친 꿀은 다시 결정되기 어렵지만, 녹지 않은 결정이 있는 경우 잠시 후 그것을 핵으로 하여 다시 결정화가 진행된다.

8. 품질

꿀은 때때로 다른 설탕, 시럽 또는 화합물을 첨가하여 변조되기도 한다. 이는 맛이나 점도를 바꾸거나, 비용을 줄이거나, 결정화를 억제하기 위해 과당 함량을 높이기 위함이다.[28] 꿀의 변조는 고대 시대부터 있어 왔으며, 당시에는 단풍 시럽, 자작나무 시럽, 수수 시럽 등을 섞어 순수한 꿀로 판매하기도 했다.[28] 현대에는 옥수수 시럽이 가장 흔한 변조제로 사용되며, 변조된 꿀은 순수한 꿀과 구별하기 어려울 수 있다.[28]

국제식품규격위원회에 따르면 "꿀" 또는 "순수한 꿀"로 표시된 제품은 완전히 자연산이어야 하지만, 라벨링 법률은 국가마다 다르다.[29] 꿀의 진위성을 보장하는 것은 꿀 산업의 중요한 과제 중 하나이며, 식품 사기를 탐지하기 위한 여러 방법이 개발되었지만, 모든 유형의 변조를 감지할 수 있는 단일 분석 방법은 아직 없다.[30] 탄소 동위원소 신호를 이용한 동위원소 질량 분석법으로 옥수수 시럽이나 사탕수수 첨가를 7% 수준까지 감지할 수 있다.[30]

국가마다 벌꿀 등급 기준이 다르다. 미국 농무부(USDA)는 수분 함량, 맛과 향, 결점 부재, 투명도 등을 기준으로 꿀 등급을 매긴다.[90]
USDA 벌꿀 등급 척도

등급가용성 고형물맛과 향결점 부재투명도
A≥ 81.4%우수실질적으로 무결점투명
B≥ 81.4%상당히 우수상당히 무결점상당히 투명
C≥ 80.0%꽤 우수꽤 무결점꽤 투명
기준 미달등급 C 미달등급 C 미달등급 C 미달등급 C 미달



인도는 Fiehe's test와 기타 경험적 측정을 포함한 추가 요소를 기반으로 벌꿀 등급을 인증한다.[91]

고품질의 꿀은 향, 맛, 농도로 구별할 수 있다. 20°C의 잘 익은 꿀은 칼에서 끊어지지 않고 일직선으로 흘러야 하며, 떨어진 후에는 방울을 형성해야 한다.[92] 꿀을 따를 때 층이 빨리 사라지면 점도가 높은 것이고, 그렇지 않으면 수분 함량이 높은 것이다.[92] 과도한 수분 함량(20% 이상)을 가진 꿀은 장기 보존에 적합하지 않다.[93]

병에 담긴 신선한 꿀은 순수하고 균일한 액체로 보여야 하며, 층으로 분리되어서는 안 된다. 꿀은 저온에서 포도당의 성질 때문에 하얗게 굳는 결정이 생길 수 있다. 결정화되기 쉬운 온도는 섭씨 5도에서 14도 정도이다. 포도당 함량이 높은 꿀일수록 빨리 결정화된다.

9. 이용

벌꿀은 그 구성과 화학적 특성 덕분에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며, 오랜 시간이 지나도 쉽게 흡수된다. 벌꿀의 긴 유통 기한은 벌의 위에서 발견되는 효소 때문인데, 벌이 꿀을 배출할 때 글루코스 산화 효소를 섞어 글루콘산과산화 수소를 생성한다. 이 물질들은 벌꿀의 산성도를 높이고 세균 번식을 억제한다.[7]

꿀은 가열하면 캐러멜화되어 색이 어두워지는데, 꿀에 포함된 과당은 포도당보다 낮은 온도에서 캐러멜화된다.[55] 꿀에는 캐러멜화를 촉진하는 산도 들어있어, 마이야르 반응을 통해 멜라노이딘이라는 어두운 화합물을 형성한다.[57]

꿀은 낮은 열전도율과 높은 동점성 때문에 열을 전달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린다.[58] 따라서 결정화된 꿀을 녹일 때는 국소적인 캐러멜화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48]

꿀의 평균 pH는 3.9 정도이며, 다양한 유기산아미노산을 포함한다.[60] 특히 유기산은 꿀의 풍미에 큰 영향을 미친다.[60] 꿀에는 100가지가 넘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s)이 함유되어 있어 꿀의 맛과 냄새를 결정한다.[62] 이러한 VOC는 꽃에서 유래하며, 꿀벌의 소화 효소 작용이나 보관 과정에서 생성되기도 한다.[62][63]

꿀은 버튼형 전지를 삼켰을 때 전지 제거 전까지 식도 손상을 줄이는 임시 조치로 사용될 수 있다.[119][120][121] 또한, 방사선 치료나 화학 요법의 부작용을 조절하는 데 유용할 수 있지만, 치료에 도움이 된다는 증거는 없다.[123][122] 꽃가루 알레르기 치료 효과는 결정적이지 않으며,[122] 알레르기 결막염 치료에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간주된다.[122][124]

꿀은 과당 함량이 높아 과다 섭취 시 체중 증가를 유발할 수 있지만,[125] 변비와 복부 팽만감을 완화하는 약한 완하 효과가 있다.[126] 꿀은 독특한 풍미를 지니는데, 이는 비타민, 미네랄, 아미노산, 유기산, 효소 등 미량 성분 때문이며, 밀원 식물의 종류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꿀은 식품, 의약품 외에도 화장품[1], 방향제[1], 방부제[5], 수채 물감 안료의 보습제 등으로 사용된다.

9. 1. 식품

꿀은 요리, 제빵, 디저트, 빵에 발라 먹는 스프레드, 차와 같은 다양한 음료에 첨가되어 왔다.[32] 또한 일부 상업용 음료의 감미료로도 사용된다.[32]

꿀은 잼, 레몬이나 유자 등의 과일 절임, 생강 등의 채소를 절인 식품, 꿀을 굳혀 만든 목캔디, 꿀 음료 등 다양한 가공 식품의 원료로 사용된다.

생선 요리에 사용하면 꿀에 포함된 산이 생선 냄새의 원인인 아민의 휘발성을 없애 냄새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56] 생선 조림이나 데리야키를 만들 때 된장이나 간장에 꿀을 섞으면 향이 좋아지는데, 이는 꿀의 향이 생선 냄새를 덮고, 꿀의 포도당과 과당이 생선 단백질이나 된장・간장의 아미노산과 아미노 카르보닐 반응을 일으켜 생긴 향 성분이 아민과 결합하여 냄새를 없애기 때문이다.[56]

육류 요리에 사용하면 침투성이 높아 육류 조직에 침투하여 과열에 의한 수축과 경화를 방지한다. 또한 꿀에 포함된 유기산은 육류의 보수성을 높여 연하게 만들고, 포도당과 과당은 열에 의해 짧은 시간 안에 캐러멜화되어 육류 표면을 굳히고 내부에 수분과 풍미를 가둔다.[57]

밥을 지을 때 꿀을 넣으면 포도당과 과당이 쌀 내부에 침투하여 보수성을 높이고, 가열된 아밀라아제가 쌀의 전분을 포도당으로 전환시켜 맛을 좋게 한다.[57]清水|시미즈|2003|pp=57-58일본어

그 외, 조미료로서의 꿀은 사과, 연근, 우엉 등의 갈변 변화를 막고, 효모의 발효를 촉진하는 효과를 낸다.[58]

9. 2. 벌꿀술

꿀과 물을 섞은 액체(꿀물)의 당분이 발효하면 알코올이 된다. 그 결과 만들어지는 것이 벌꿀술이며, 인류 최초의 술로 여겨진다.[35] 꿀에는 내당성 효모가 포함되어 있어[36][37] 발효하기 쉽고, 물에 타서 따뜻한 곳에 두는 것만으로 벌꿀술을 만들 수 있다. 벌꿀술은 고대 유럽, 특히 북유럽에서 애음되었으며, 사람들의 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 북유럽 신화에는 벌꿀술이 자주 등장한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와인을 마시기 전에는 벌꿀술을 애음했으며,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풍요와 포도주와 주취의 신 디오니소스는 원래 벌꿀술의 신이었다고 한다. 로마 시대에는 각 가정에서 상비약으로 벌꿀술을 두었다. "허니문"이라는 말은 부부가 신혼 1개월을 벌꿀술을 마시며 보낸다는 고대 게르만 민족의 풍습에서 기원했다는 설도 있다. 맥주나 와인이 등장한 후에도 벌꿀술은 유럽에서 지역 술로 애음되었다.

고대 로마의 문헌에는 다음과 같은 벌꿀술 제조법이 기록되어 있다.

벌꿀술의 발효에 대해 인류는 처음에는 꿀에 포함된 야생 효모에 의존했지만, 발효 속도나 발효 결과 얻어지는 풍미를 조절하는 기술을 습득해 갔다.

올라우스 마그누스의 저서 『북방 민족 문화지』에는, 중세의 북유럽에서의, "생맥주풍 벌꿀술"이라고 할 수 있는 벌꿀술 제조법이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9. 3. 의약

꿀은 인류의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예로부터 다양한 약효가 있다고 알려져 왔다.[206] 구약성서에는 "유쾌한 말은 꿀처럼 영혼에 달콤하고 몸을 건강하게 한다"는 속담이 등장하는데, 이를 통해 꿀의 건강상 효능이 일찍부터 인식되었음을 알 수 있다.[206]

고대 이집트의 의학서인 에베르스 파피루스와 에드윈 스미스 파피루스에는 내복약과 외용약(연고, 습포제, 좌약)으로 꿀을 활용한 내용이 묘사되어 있다.[206] 사무엘기 상에는 피로와 허기로 눈이 흐릿해진 요나단이 꿀을 먹고 회복하는 일화가 등장한다.[206]

고대 그리스에서는 의학자 히포크라테스염증, 궤양, 여드름 등에 대한 꿀의 치유 효과를 칭찬했다.[206] 기원전 5세기에 히포크라테스가 기록한 꿀로 단맛을 낸 "독사 가루" 처방은 14세기 중반 전염병으로부터 사람들을 보호하는 데 다시 사용되었다.[206] 고대 로마 황제 네로의 시의 안드로마코스는 꿀을 사용한 연고 테리아카를 고안했는데, 이는 광견병에 걸린 개나 독사에 물린 경우, 그리고 페스트 치료제로 사용되었다.[206] 테리아카는 나라 시대에 일본에 전해졌고, 에도 시대에 네덜란드인에 의해 현물이 반입되었다.[206]

중국 신농본초경(후한-삼국 시대 무렵 성립)에는 "석밀"이라는 야생 꿀의 효능에 대해 "심복의 사기로 인한 병을 치료하고, 놀라기 쉬운 신경 불안과 간질 발작을 진정시킨다. 오장(심장, 간장, 폐장, 신장, 비장)을 편안하게 하고, 모든 부족한 것을 보충하며, 중을 보충하고, 통증을 멈추게 하며, 해독하고 많은 병을 제거하며, 모든 약과 잘 조화된다. 오래 복용하면 뜻이 강해지고, 신체가 가벼워지며, 굶주리지 않고, 늙지도 않는다"라고 기록되어 있다.[206]

한방약에서는 생약 가루를 꿀로 반죽하여 환제(알약)를 만들기도 한다. 예를 들어 팔미지황환이 있다.[206]

일본 약국방에서도 꿀은 생약 중 하나로 취급되며, 서양 꿀벌 또는 동양 꿀벌이 벌집에 모은 것으로 정의된다.[171] 2024년 현재 고자이 제약[172], 야마젠 제약[173], 겐에이 제약에서 제3류 의약품 "일본 약국방 꿀"로 판매되고 있다. 환약의 결합제, 맛을 내기 위한 목적, 영양제, 점막이나 피부 보호제로 사용된다.[172][173]

이처럼 고대부터 찬양받아 온 꿀의 약효는 과학적인 검증을 통해 어느 정도 신빙성이 확인되었다.[206]

꿀은 설탕과 마찬가지로 심장, 혈관계에 악영향을 미치지만,[174][175][176] 상기도 감염증(감기 등)의 증상인 목구멍 통증이나 기침을 완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2020년 11월 하버드 의과대학에서 발표했다. 꿀에는 항균 특성이 있으며, 과학자들은 성인(1세 미만 어린이 제외)의 상기도 감염증 증상에 대처하는 무해한 방법이라고 결론 내렸다.[177] 다만, 항균 특성은 제한된 조건에서 유효하다고 보고된다.[178]

꿀은 예로부터 외과적 치료에 사용되어 왔다.[206] 고대 로마 군대는 꿀에 적신 붕대를 사용하여 상처를 치료했다.[206] 꿀은 무독성, 비알레르기성이며, 상처에 들러붙지 않고, 통증을 주지 않으며, 마음을 안정시키고, 살균 스펙트럼이 광범위하고, 항생제 내성균에도 유효하며, 내성균을 만들지 않는다.[179][180] 원료가 되는 꽃의 종류는 효과에 차이를 ഉണ്ടാ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179] 창상(상처)에 대한 유효성을 보인 연구가 적지 않으며,[181] 화상의 경우 흐르는 물에 씻은 후 화상 부위에 직접 바르거나 거즈에 적셔 사용하거나, 폐쇄성 드레싱 재료로 덮어도 된다.[179]

꿀은 강한 살균력을 가지고 있어 살모넬라균(티푸스균)은 48시간 이내, 살모넬라균(파라티푸스균)은 24시간, 세균성 이질균은 10시간 안에 사멸한다.[206] 피부 이식편을 깨끗하고 희석하거나 가공하지 않은 꿀 속에 넣어 12주 동안 보존하는 데 성공했다는 보고도 있다.[206] 꿀의 살균력은 높은 삼투압과 3.2~4.9의 약산성 수소 이온 지수에 기인한다.[206] 높은 당분은 세균으로부터 수분을 빼앗아 증식을 억제한다.[206]

꿀은 하제로 사용되기도 했으며,[206] 동시에 설사에도 효과가 있다고 여겨져 왔다.[206] 꿀에 포함된 글루콘산은 장내 비피더스균을 늘리는 효능이 있어 변비에 효과적인 것으로 생각된다.[206]

고대 이집트 의학서에는 눈이 먼 말의 눈을 소금을 섞은 꿀로 3일간 씻었더니 눈이 보이게 되었다는 기록이 있다.[206] 마야 문명에서는 자포니카 꿀벌이 만든 꿀을 안질 치료에 사용했고,[206] 이후 꿀이 백내장 치료에 효과적임이 과학적으로 밝혀졌다.[206]

구미에는 "꿀이 암에 효과가 있다는 막연한 '신앙'에 가까운 것"이 깊이 뿌리내리고 있다.[206]

숙취에는 꿀을 넣은 찬 물이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206] 꿀의 프룩토스는 간의 알코올 분해 기능을 강화하고,[206] 콜린과 판토텐산도 간 기능을 높이는 작용을 한다.[206]

고대 로마 시인 오비디우스는 『사랑의 기술』에서 정력제로 히메토스산 꿀을 언급했다. 19세기 과학자들은 꿀의 정력 증강 작용에 회의적이었지만, 20세기 이탈리아의 세로나는 0.9그램의 꿀 속에 20국제 단위의 발정 물질이 포함되어 있다고 발표했다.[206]

꿀은 혈압을 낮추는 효능이 있다고 여겨져 왔다.[206] 꿀에는 칼륨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식염 과잉 섭취 시 칼륨을 섭취하면 혈압을 낮출 수 있다.[206] 꿀에 포함된 콜린은 고혈압의 원인이 되는 콜레스테롤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206]

고대 이집트와 중국 문헌에는 꿀의 구충 작용에 관한 기술이 있으며, 감초와 밀가루, 꿀로 만든 한약 "감초분밀당"은 구충약으로 알려져 있다.[206]

그 외에도 진정 작용,[206] 기침 멎이,[206] 진통제,[206] 신경통 및 류마티스,[206] 소화성 궤양,[206] 당뇨병[206]에 대한 효능이 언급되고 있다.

9. 4. 화장품

꿀은 고대 이집트와 그리스 시대부터 화장품에 사용되었으며, 클레오파트라 7세는 꿀을 사용하여 화장했고[1], 고대 로마 황제 네로의 아내는 꿀과 당나귀 젖을 섞은 로션을 사용했다고 전해진다[2]. 꿀을 사용한 가장 유명한 화장품 중 하나는 팩이다[1]. 꿀의 당분은 피부를 정돈하는 작용을 하며[1], 비타민 B1은 피부의 혈행을 좋게 하고 신진대사를 높이는 작용이 있다[3].

9. 5. 기타

꿀은 예로부터 방향제로 이용되어 왔다.[1] 고대 이집트에는 꿀과 몰약, 송진, 와인에 담근 창포계피를 섞어 만든 키피(Kyphi영어)라는 연향이 있었다.[1] 고대 중국과 헤이안 시대 일본에도 꿀을 사용한 향이 있었다.[1] 겐지 이야기』의 「스즈무시」에는 꿀을 넣어 만든 명향에 대한 기록이 있으며,[2] 코이치조인 황후의 뇨보는 꿀을 사용한 향에 벌레가 꼬인다는 기록을 남겼다.[3] 향 중에는 사탕처럼 맛을 보거나, 계속 복용하면 세숫물이나 안은 아이에게까지 냄새가 옮겨가는 것도 있었다.[3] 담배 중에는 향 조절에 꿀을 사용하는 것도 있다.[4]

서양에서는 꿀이 수채 물감 등 안료의 보습제로 오랫동안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글리세린 같은 저렴한 화학 합성 물질이 등장하면서 꿀 사용이 줄었다. 현재는 전통적인 물감 제조사나 특별판 제품에만 꿀이 쓰인다.

꿀은 방부제로도 사용되어 죽은 사람의 시신과 함께 무덤에 넣기도 했다. 이는 죽은 사람이 사후 세계에서 꿀을 맛보도록 하기 위함이었다.[5]

10. 안전성

꿀은 일반적으로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지만,[115][122] 과다 섭취, 질병 유무, 약물과 함께 복용 여부에 따라 부작용이나 약물 상호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122] 일부 연구에서는 어린이의 약 10%가 꿀을 과다 섭취했을 때 불안, 불면증, 과잉 행동과 같은 가벼운 반응을 보였으나,[115] 다른 연구에서는 위약과 비교했을 때 꿀 섭취로 인한 불안, 불면증, 과잉 행동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다.[115] 꿀은 알레르기, 당뇨병과 같이 높은 혈당 수치를 가진 경우, 또는 출혈을 조절하는 항응고제와 같은 임상 조건과 부정적인 상호작용을 할 수 있다.[122]

면역 저하 상태의 사람은 꿀을 섭취하면 세균이나 진균 감염의 위험이 있을 수 있다.[127]

10. 1. 영아 보툴리누스증

꿀에는 보툴리누스균 포자가 들어 있을 수 있다. 이 포자는 고온 고압 멸균(120℃에서 4분 이상)으로 비활성화되지만, 꿀은 효소가 변질되므로 이 처리는 적합하지 않다.[187] 당시 일본 후생성 조사에 따르면 약 5%의 꿀에서 보툴리누스균 포자가 발견되었다.[190]

보통 섭취해도 그대로 배출되지만, 유아는 장내 세균총이 갖춰져 있지 않아 체내에서 포자가 발아해 독소를 생성, 영아 보툴리누스증을 일으켜 심하면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보툴리누스균


따라서 현재 유아에게는 절대 주면 안 되는[188][189] 식품 중 하나이다. 일본에서는 1987년(쇼와 62년) 후생성이 "1세 미만 유아에게는 주지 말 것"을 통지했고, 꿀 포함 식품에는 "1세 미만 유아에게는 주지 마십시오"라는 표시를 하도록 했다.[190] 1세 이상은 장내 환경이 정돈되므로 피할 필요는 없다.[191]

2017년 3월 30일, 이유식으로 준 꿀 때문에 영아 보툴리누스증으로 생후 6개월 남자아이가 사망했다(같은 해 4월 7일 도쿄도청 발표[192]).

10. 2. 유독 꿀

미친 꿀 중독은 그라야노톡신을 함유한 꿀을 먹었을 때 나타나는 증상이다.[132] 진달래, 미국산 월계수, 양 벚나무, 진달래 꽃에서 생산된 꿀은 꿀 중독을 일으킬 수 있다. 꿀 중독 증상으로는 어지럼증, 쇠약, 과도한 발한, 메스꺼움 및 구토가 있고, 드물게 저혈압, 쇼크, 심장 리듬 이상 및 경련이 발생하며, 아주 드물게는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따르면, 여러 출처의 꿀을 모아 독소를 희석시키는 상업적 가공 방식 때문에, 소수 벌통을 가진 농부로부터 "자연산" 미가공 꿀을 사용할 때 꿀 중독이 더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133]

벌이 투투 덤불(''Coriaria arborea'')과 덩굴 호퍼 곤충 (''Scolypopa australis'') 근처에 있을 때도 독성 꿀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둘은 모두 뉴질랜드 전역에서 발견된다. 벌은 투투 식물을 먹는 덩굴 호퍼 곤충이 생산하는 감로를 모으는데, 여기에는 독성 물질인 투틴이 들어있다.[134] 뉴질랜드 코로만델 반도, 동부 베이 오브 플렌티 지역, 말보로 사운즈 등 일부 지역에서만 독성 꿀이 자주 생산된다. 투틴 중독 증상으로는 구토, 헛소리, 어지럼증, 흥분 증가, 혼미, 혼수 및 격렬한 경련이 있다.[135] 투틴 중독 위험을 줄이기 위해 뉴질랜드 위험 지역에서는 야생 벌통에서 채취한 꿀을 먹지 않아야 한다. 2001년 12월부터 뉴질랜드 양봉가들은 양봉장 3km 이내에서 투투, 덩굴 호퍼 및 먹이 활동 조건을 면밀히 모니터링하여 독성 꿀 생산 위험을 줄이고 있다. 그러나 중독은 드물게 위험하다.[132]

전문 양봉업자가 채취한 꿀에 의한 중독 보고 사례는 극히 드물지만, 의도치 않게 유독 식물의 꿀이 섞여 식중독 사례가 보고되기도 한다.[193] 예를 들어 투구꽃, 철쭉, 둥굴레[194]꽃가루나 꿀은 유독하다.[195][196]

세계적으로는 진달래과[197] 유독성이 오래전부터 알려져 있었다. 기원전 4세기 그리스 군인이자 저술가인 크세노폰은 병사들이 진달래속 식물과 하늘매발톱 꿀에 의해 중독 증상을 일으킨 모습을 기록했다.[198] 고대 로마 시대에도 그나이우스 폼페이우스가 이끄는 군대가 적 계략에 빠져 진달래에서 유래한 꿀을 먹고 중독 증세를 보이자 습격당해 병사가 살해되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11. 생산

2020년 전 세계 벌꿀 생산량은 180만 톤으로, 중국이 전 세계 생산량의 26%를 차지하며 선두를 달렸다.[31] 튀르키예, 이란, 아르헨티나, 우크라이나가 그 뒤를 이었다.[31]

2020년 천연 벌꿀 생산량[31]
국가생산량 (톤)
중국458,100
튀르키예104,077
이란79,955
아르헨티나74,403
우크라이나68,028
미국66,948
전 세계1,770,119


12. 종교적 의미

고대 그리스 신화에서 제우스올림포스 신들의 음식은 꿀이었으며, 넥타와 암브로시아의 형태로 제공되었다.[149]

히브리 성경에서 약속의 땅(가나안, 이스라엘)은 풍요로움을 비유하여 "젖과 꿀이 흐르는 땅"으로 16번 묘사된다.[150] 히브리 성경에 "꿀"이라는 단어가 55번 나오는데, 그 중 16번이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이라는 표현의 일부이며, 단 두 번만 꿀이 벌과 명시적으로 연관되어 있는데, 둘 다 야생 벌과 관련된 경우이다.[150] 현대 성경 연구자들은 오랫동안 성경에서 사용된 원래 히브리어 단어(דבש, ''devash'')가 무화과 또는 대추야자에서 생산되는 달콤한 시럽을 지칭한다고 여겼다. 그러나 2005년, 이스라엘 텔 레호브에서 기원전 10세기의 양봉장이 발견되었는데, 여기에는 100개의 벌집이 있었고, 연간 반 톤의 꿀을 생산한 것으로 추정되었다.[151][150]

유대교에서 꿀은 새해, ''로쉬 하샤나''의 달콤함을 상징하며, 전통적으로 사과 조각과 함께 먹는다


유대교 전통에서 꿀은 새해, ''로쉬 하샤나''를 상징한다. 이 명절의 전통적인 식사에서, 새해를 달콤하게 맞이하기 위해 사과 조각을 꿀에 찍어 먹는다. 일부 ''로쉬 하샤나'' 축하 카드에는 꿀과 사과가 묘사되기도 한다.

이슬람교에서, 코란의 한 장(수라)은 ''안-나흘''(벌)이라고 불린다. 무함마드는 치료 목적으로 꿀을 강력하게 권장했다.[154][155]

힌두교에서 꿀(''마두'')은 삶의 다섯 가지 영약(''판차미르타'') 중 하나이다. ''베다''와 기타 고대 문헌에는 꿀을 훌륭한 약용 및 건강 식품으로 사용하는 것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156]

불교에서 꿀은 인도와 방글라데시에서 기념되는 ''마두 푸르니마'' 축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날은 고타마 붓다가 광야로 물러나 제자들 사이의 평화를 이룬 것을 기념한다. 전설에 따르면, 그가 그곳에 있는 동안 원숭이가 꿀을 가져다 주었다고 한다. ''마두 푸르니마''에, 불교도들은 이 행위를 기억하며 승려에게 꿀을 바친다.[156]

참조

[1] 학술지 Honey from honeybees and other insects
[2] 서적 Stingless Bees: Their Behaviour, Ecology and Evolution https://link.springe[...] Springer New York 2020
[3] 서적 Directory of important world honey sources International Bee Research Association 1984
[4] 서적 The World History of Beekeeping and Honey Hunting Routledge 1999
[5] 웹사이트 Carbohydrates and the Sweetness of Honey https://web.archive.[...] National Honey Board 2011-07-01
[6] 웹사이트 What is the relative sweetness of different sugars and sugar substitutes? https://web.archive.[...] Oregon State University 2012-11-01
[7] 뉴스 The Science Behind Honey's Eternal Shelf Life https://www.smithson[...] 2013-08-22
[8] 서적 Microbiology https://archive.org/[...] WCB/McGraw-Hill
[9] 서적 Stingless Bees of Mexico https://link.springe[...] Springer New York 2018
[10] 학술지 Energy metabolism, enzymatic flux capacities, and metabolic flux rates in flying honeybees. 1996-10-29
[11] 뉴스 How bees make honey is complex process https://www.dispatch[...] 2014-08-31
[12] 웹사이트 Honey and Bees http://www.honey.com[...] National Honey Board
[13] 웹사이트 Did you know there's water in honey? https://southmountai[...]
[14] 문서 Beekeeping: Everything You Need to Know to Start Your First Beehive Weldonowen 2015
[15] 학술지 Composition of the honeydew of the aphid Brevicoryne brassicae (L.) feeding on swedes (Brassica napobrassica DC.) https://dx.doi.org/1[...] 1959-02-01
[16] 학술지 What Are the Proteolytic Enzymes of Honey and What They Do Tell Us? A Fingerprint Analysis by 2-D Zymography of Unifloral Honeys 2012-11-07
[17] 웹사이트 Fact sheets http://maarec.cas.ps[...] Mid-Atlantic Apiculture Research and Extension Consortium 2020
[18] 서적 Beekeeping as a Business Commonwealth Secretariat 1999
[19] 학술지 The Nearctic social wasps of the subfamily polybiinae (Hymenoptera; Vespidae) 1932
[20] 학술지 Morphological Features and Occurrence of Degenerative Characteristics in the Hypopharyngeal Glands of the Paper Wasp Polistes versicolor (Olivier) (Hymenoptera: Vespidae)
[21] 서적 The lives of bees : the untold story of the honey bee in the wild https://www.worldcat[...] 2019
[22] 웹사이트 When do you add a honey super? https://mountainswee[...] 2019-04-15
[23] 웹사이트 How honey is made https://www.honey.co[...] National Honey Board (NHB) 2018
[24] 서적 Animals that eat nectar and honey https://books.google[...] Holiday House 1979
[25] Wikisource The History of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Museums
[26] 문서 The Mummy: A Handbook of Egyptian Funerary Archaeology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94
[27] 문서 Some Evidence of Bees and Honey in Ancient Egypt https://gwern.net/do[...] 1975
[28] 문서 The Hive: The Story of the Honeybee and Us St. Martins Press 2004
[29] 서적 Food Authentication
[30] 웹사이트 FAQS on honey testing methods for detecting adulteration with sugar syrups https://honey.com/im[...] 2023
[31] 웹사이트 Production quantity of honey (natural) in 2020, Livestock Primary/World Regions/Production Quantity from picklists http://www.fao.org/f[...]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2020
[32] Citation Honey Academic Press
[33] 학술지 Honey, Hadza, hunter-gatherers, and human evolution 2014-06-01
[34] 학술지 Reciprocal signaling in honeyguide-human mutualism https://www.science.[...]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2016-07-22
[35] 학술지 Fermented beverages of pre- and proto-historic China 2004-12-21
[36] 논문 Improvement of mead fermentation by honey-must supplementation 2015
[37] 논문 Developments in the fermentation process and quality improvement strategies for mead production
[38] 간행물 Making Mead in a Space-Age World https://www.theatlan[...] 2017-06-20
[39] 웹사이트 Braggot: The Best of Mead and Beer https://www.homebrew[...] American Home Brewers Association 2017-06-19
[40] 서적 Chem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Food Saccharides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03-10-20
[41] 문서 Root
[42] 서적 Chem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food saccharides CRC Press 2004
[43] 논문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Honey as a Function of Water Content As Determined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American Chemical Society (ACS) 1999-05-06
[44] 논문 Direct observation of molecular cooperativity near the glass transition
[45] 서적 Physics of Continuous Matter, Second Edition: Exotic and Everyday Phenomena in the macroscopic world CRC Press 2011
[46] 웹사이트 Lecture 6: Real fluids – viscosity and turbulence http://www.physics.u[...] 2022-01-21
[47] 서적 Value-added products from beekeeping https://archive.org/[...]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2016-01-05
[48] 웹사이트 Physical Properties of Honey http://www.bee-hexag[...] 2009
[49] 문서 Wetting of Real Surfaces by Edward Yu. Bormashenko – Walter D Gruyter 2013 Page 4
[50] 문서 Food Engineering Interfaces by José Miguel Aguilera, Ricardo Simpson, Jorge Welti-Chanes, Daniela Bermudez Aguirre, Gustavo Barbosa-Canovas – Springer 2011 Pages 479–487
[51] 문서 Krell
[52] 문서 Root
[53] 뉴스 Bees 'producing M&M's coloured honey' https://www.telegrap[...] 2014-12-30
[54] 웹사이트 Kudzu: the dark secret of purple honey? https://www.honeybee[...] 2021-05-30
[55] 서적 Food chemistry https://books.google[...] Springer Verlag, Berlin-Heidelberg 2004
[56] 서적 Chem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food components CRC Press 2007
[57] 문서 Root
[58] 웹사이트 Solids, Liquids and Gases – Thermal Conductivities https://www.engineer[...] 2018-04-11
[59] 문서 Krell
[60] 웹사이트 pH and acids in honey http://www.honey.com[...] National Honey Board Food Technology/Product Research Program 2012-03-01
[61] 논문 Extractives from New Zealand Honeys. 5. Aliphatic Dicarboxylic Acids in New Zealand Rewarewa (Knightea excelsa) Honey
[62] 논문 Volatile organic compounds of Thai honeys produced from several floral sources by different honey bee species 2017-02-13
[63] 논문 Volatile compounds of Argentinean honeys: Correlation with floral and geographical origin
[64] 서적 Bee Products: Chem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volatiles, page 61--67, 114) https://books.google[...] Springer International 2020-09-19
[65] 웹사이트 Value-added products from beekeeping. Chapter 2 http://www.fao.org/d[...]
[66] 웹사이트 The Rheological & Mellisopalynological Properties of Honey http://www.minervasc[...] Minerva Scientific 2012-12-10
[67] 웹사이트 Honey Varietals https://www.honey.co[...] National Honey Board 2018-06-25
[68] 웹사이트 Honey Color and Flavor http://www.honey.com[...] National Honey Board 2011-02-03
[69] 웹사이트 Varieties of honey: Polyfloral honey http://www.honeybook[...] The Honey Book 2007-11-10
[70] 논문 Differences between honeydew and blossom honeys: A review 2017-01
[71] 논문 An overview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health-promoting properties of honeydew honey 2019-05
[72] 뉴스 A Short Story About A Wintering Colony With Dysentery {{!}} Bee Culture https://www.beecultu[...] 2018-10-09
[73] 논문 Studies on the phenology of [[Marchalina hellenica]] (gen.) (Hemiptera: coccoidea, margarodidae) in relation to honeydew flow
[74] 서적 The Backyard Beekeeper: An Absolute Beginner's Guide to Keeping Bees in Your Yard and Garden https://books.google[...] Quarry Books 2016-01-05
[75] 웹사이트 August 10, 2018 https://www.seriouse[...] 2024-06-24
[76] 간행물 What Do You Do With Crystallized Honey? https://www.wired.co[...] 2024-06-24
[77] 논문 Processing of Honey: A Review
[78] 웹사이트 Definition of Honey and Honey Products http://www.honey.com[...] 1996-06-15
[79] 서적 Food Safety Management: Chapter 11. Honey, Confectionery and Bakery Products https://books.google[...] Elsevier Inc. Chapters 2013-11-01
[80] 웹사이트 United States Standards for Grades of Extracted Honey http://www.ams.usda.[...] U.S. Agricultural Marketing Service (AMS) 2012-01-20
[81] 서적 The Backyard Homestead Guide to Raising Farm Animals: Choose the Best Breeds for Small-Space Farming, Produce Your Own Grass-Fed Meat, Gather Fresh Eggs, Collect Fresh Milk, Make Your Own Cheese, Keep Chickens, Turkeys, Ducks, Rabbits, Goats, Sheep, Pigs, Cattle, & Bees https://books.google[...] Storey Publishing, LLC 2016-01-05
[82] 서적 First Regional Training Workshop for Beekeepers https://books.google[...] Bib. Orton IICA / CATIE 2016-01-05
[83] 웹사이트 Extracted Honey Grading Manual https://www.ams.usda[...] U.S. Agricultural Marketing Service (AMS) 2019-05-17
[84] Youtube Ultrasonic Honey Processing https://www.hielsche[...]
[85] 서적 Improve your Health! with Honey https://books.google[...] Diamond Pocket Books 2016-01-05
[86] 서적 Value-added Products Froom Beekeeping https://books.google[...] Food & Agriculture Org. 2016-01-05
[87] 서적 The Honey Book https://books.google[...] James Direct, Inc. 2012-04-22
[88] 웹사이트 Honey Processing http://www.beeworks.[...]
[89] 웹사이트 "Honey Regulations 2003" http://www.food.gov.[...] UK Food Standards Agency
[90] 웹사이트 United States Standards for Grades of Extracted Honey https://www.ams.usda[...] U.S. Agricultural Marketing Service (AMS) 2016-04-08
[91] 웹사이트 NOTIFICATION http://agmarknet.nic[...] MINISTRY OF AGRICULTURE (Department of Agriculture and Co-operation) New Delhi 2008-12-24
[92] 웹사이트 Honey production http://www.bee-hexag[...] 2008
[93] 논문 Basic Honey Processing http://www.beedata.c[...]
[94] 논문 Keeping Tabs on Honey
[95] 웹사이트 Full Report (All Nutrients): 19296, Honey http://ndb.nal.usda.[...] USDA National Nutrient Database,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Release 28 2015-10-30
[96] 웹사이트 A Preliminary Assessment of the Glycemic Index of Honey https://www.agrifutu[...] A report for the Rural Indust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Corporation 2005-03
[97] 서적 Honey and Its Uses in the Home http://babel.hathitr[...]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Farmers' Bulletin, No. 653 2015-04-02
[98] 웹사이트 Beesource Beekeeping: Honey Composition and Properties http://www.beesource[...] Beesource.com 2011-02-06
[99] 논문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Control of Honeys Using NMR Spectroscopy and Chemometrics https://zenodo.org/r[...] 2019-09-06
[100] 논문 Honey as a topical treatment for wounds https://espace.libra[...]
[101] 논문 Honey: an immunomodulator in wound healing 2014
[102] 논문 Antibiotics and antiseptics for venous leg ulcers Wiley 2014-01-10
[103] 논문 Interventions for ingrowing toenails Wiley 2012-04-18
[104] 논문 Honey and Wound Healing: An Update 2017-01-06
[105] 서적 Herbal Antibiotics: Natural Alternatives for Treating Drug-Resistant Bacteria Storey Publishing 2012
[106] 서적 Honey in Traditional and Modern Medicine CRC Press 2014
[107] 논문 Antibacterial Effect of Honey 1979
[108] 논문 Dissecting the Antimicrobial Composition of Honey 2019-12-05
[109] 논문 Honey: A Biologic Wound Dressing. 2015-06
[110] 논문 Honey: a sweet solution to the growing problem of antimicrobial resistance?
[111] 논문 Methylglyoxal-induced modifications of significant honeybee proteinous components in manuka honey: Possible therapeutic implications 2012-06-01
[112] 논문 Antibacterial components of honey
[113] 논문 Honey and lozenges for children with non-specific cough http://espace.librar[...]
[114] 논문 Honey for acute cough in children 2018
[115] 논문 Honey for treatment of cough in children http://www.cfp.ca/co[...] 2015-10-15
[116] 논문 Therapeutic Options for Acute Cough Due to Upper Respiratory Infections in Children 2012-02
[117] 웹사이트 Cough http://www.nhs.uk/co[...] NHS Choices 2014-06-18
[118] 웹사이트 Cough and cold remedies for the treatment of acute respiratory infections in young children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119] 웹사이트 Button Battery Ingestion: Triage and Treatment Guideline https://www.poison.o[...] National Capital Poison Center, Washington, DC 2018-07-05
[120] 논문 Diagnosis,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Button Battery Ingestion in Childhood: A European Society for Pa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and Nutrition Position Paper Ovid Technologies (Wolters Kluwer Health) 2021-01-14
[121] 논문 Current management of button battery injuries Wiley 2021-04-15
[122] 웹사이트 Honey http://www.mayoclini[...] Mayo Clinic 2013-11-01
[123] 논문 A systematic review of honey uses and its potential value within oncology care Wiley 2008-09-17
[124] 논문 Topical therapies in the management of chronic rhinosinusitis: an evidence-based review with recommendations Wiley 2012-10-08
[125] 논문 Effect of Fructose on Body Weight in Controlled Feeding Trial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126] 웹사이트 The health benefits of honey https://www.news24.c[...] News24 2022-05-01
[127] 서적 Regulating Safety of Traditional and Ethnic Foods Academic Press 2015-11-25
[128]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s://www.honey.co[...] 2011-02-06
[129] 웹사이트 Report on Minimally Processed Infant Weaning Foods and the Risk of Infant Botulism http://www.food.gov.[...] 2012-01-09
[130] 간행물 Botulism in the United States, 1899–1996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1998
[131] 웹사이트 Infant Botulism and Honey http://edis.ifas.ufl[...] 2020-07-05
[132] 논문 Grayanotoxin Poisoning: 'Mad Honey Disease' and Beyond
[133] 웹사이트 "Grayanotoxin" http://www.fda.gov/F[...] 2009-07-13
[134] 간행물 Tutu Bush and Toxic Honey http://nba.org.nz/up[...]
[135] 웹사이트 Tutu toxicity: three case reports of Coriaria arborea ingestion, review of literature and recommendations for management – New Zealand Medical Journal https://www.nzma.org[...] 2018-10-09
[136] 서적 The Archaeology of Beekeeping Cornell University Press 1983
[137] 논문 Honeyguides and honey gatherers: interspecific communication in a symbiotic relationship http://pdfs.semantic[...]
[138] 서적 Honeyguides Firefly Books 2003
[139] 논문 A Review of African Birds Feeding in Association with Mammals
[140] 논문 The first find in southern Georgia of fossil honey from the Bronze Age, based on palynological data
[141] 웹사이트 Georgian ancient honey http://www.cncworld.[...] cncworld.tv 2012-03-31
[142] 웹사이트 Report: Georgia Unearths the World's Oldest Honey http://www.eurasiane[...] 2012-03-30
[143] 웹사이트 The world's first winemakers were the world's first beekeepers. http://guildofscient[...] guildofscientifictroubadours.com 2012-04-02
[144] 서적 Encyclopedia of the History of Science, Technology and Medicine in Non-Western Cultures Springer 2008
[145] 서적 XI.9.19
[146] 서적 Life of Solon
[147] 서적 The Making of the Ancient Greek Economy: Institutions, Markets and Growth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5-11-03
[148] 논문 Burns treatment in ancient times
[149] 서적 Harvard Studies in Classical Philology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980-04-01
[150] 웹사이트 First Beehives In Ancient Near East Discovered https://www.scienced[...] 2015-10-06
[151] 논문 It Is the Land of Honey: beekeeping at Tel Rehov https://pdfs.semanti[...] 2007
[152] 서적 Napa Valley's Jewish Heritage https://books.google[...] Arcadia Publishing 2020-11-12
[153] 웹사이트 Why is honey kosher? http://www.chabad.or[...] Chabad.org 2010-11-30
[154] 문서 Al-Quran 16:68–69
[155] 서적 An Nahl, Al-Quran Chapter 16 (The Bee) quoted from "The Holy Qur'an: Original Arabic Text with English Translation & Selected Commentaries" http://muslimaccess.[...] Saba Islamic Media 2013-05-20
[156] 웹사이트 A Meaningful Story of Buddha, Elephant and Monkey http://www.fjnet.com[...] 2006-11-16
[157] 뉴스 Winnie the Pooh Day 2023 https://www.bbc.co.u[...] BBC 2023-01-18
[158] 뉴스 The world's 'strongest bear' celebrates 50th anniversary https://sverigesradi[...] Sveriges Radio 2016-01-19
[159] 뉴스 【加藤智一 大人の身だしなみ塾】はちみつで喉のケアを https://www.sankei.c[...] 産経新聞社 2023-06-17
[160] 웹사이트 世界の養蜂状況 https://www.beekeepi[...] 日本養蜂協会 2024-11-24
[161] 서적 視聴草
[162] 서적 The Archaeology of Beekeeping Duckworth 1983
[163] 웹사이트 青や緑の蜂蜜が出現、フランス https://natgeo.nikke[...] 日経ナショナル ジオグラフィック 2024-11-24
[164] 논문 〈原報〉市販蜂蜜の品質に関する研究 https://gifu-pu.repo[...] 岐阜薬科大学 1969-11-30
[165] 논문 蜂蜜の特性とその利用 日本醸造協会 1977
[166] 웹사이트 公正競争規約 https://honeykoutori[...] 全国はちみつ公正取引協議会 2024-11-24
[167] 논문 蜂蜜の品質に関する研究 (第2報)加熱による品質変化 日本食品科学工学会 1975
[168] 간행물 2003
[169] 간행물 2003
[170] 백과사전 巣蜂 https://www.weblio.j[...] 日外アソシエーツ 2013-09-23
[171] 웹사이트 第十八改正日本薬局方 医薬品各条 生薬等 https://www.mhlw.go.[...] 2024-12-25
[172] 웹사이트 日本薬局方 ハチミツ https://www.info.pmd[...] 2024-12-25
[173] 웹사이트 消毒剤 局方医薬品 山善製薬株式会社 | ハチミツ https://www.yamazen-[...] 2024-12-25
[174] 웹사이트 The bitter truth about added sugar https://www.health.h[...] 2023-11-24
[175] 웹사이트 Are natural sugar alternatives healthier? https://www.health.h[...] 2024-11-24
[176] 웹사이트 The sweet danger of sugar https://www.health.h[...] 2022-01-06
[177] 웹사이트 Got a cold? Try some honey https://www.health.h[...] 2020-11-01
[178] 학술지 純粋ハチミツが必ずしも抗菌効果をもつとは限らない https://fukuoka-pu.r[...] 福岡県立大学看護学部 2018-03-31
[179] 학술지 Topical application of honey for burn wound treatment - an overview 2007
[180] 학술지 Up-to-date use of honey for burns treatment 2014
[181] 학술지 The evidence supporting the use of honey as a wound dressing 2006
[182] 학술지 Activity of 10-Hydroxydecenoic Acid from Royal Jelly against Experimental Leukæmia and Ascitic Tumours 1959
[183] 학술지 Preliminary researches regarding the utilisation of some melliferous products in the auxiliary therapeutics of hepatic pathology 1965
[184] 웹사이트 荊条蜜 http://baike.baidu.c[...] 2012-09-16
[185] 뉴스 小笠原で"幻の蜂蜜" 国内初 地域振興へ期待 2021-09-03
[186] 뉴스 小笠原ハチミツ、正体は『甘露』 2019-03-12
[187] 웹사이트 蜂蜜の知識 http://www.honey-com[...] 福島商事 2011-09-28
[188] 웹사이트 "授乳・離乳の支援ガイド"の策定について 2007年3月14日 雇児母発第0314002号 厚生労働省雇用均等・児童家庭局母子保健課長通知、8頁 http://wwwhourei.mhl[...] 厚生労働省 2014-02-07
[189] 웹사이트 1歳未満の子どもには、なぜはちみつを与えてはいけないのでしょうか? http://www.shimajiro[...] ベネッセコーポレーション 2014-04-17
[190] 웹사이트 はちみつを1歳未満の子供に与えてはいけないのはなぜですか https://qa.meiji.co.[...] 明治 2024-11-28
[191] 웹사이트 ハチミツによる乳児のボツリヌス症 https://www.caa.go.j[...] 消費者庁 2024-11-28
[192] 뉴스 乳児ボツリヌス症で初の死亡例 ハチミツ与える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社 2022-10-09
[193] 학술지 過去50年間のわが国の高等植物による食中毒事例の傾向 日本食品衛生学会 2014
[194] 학술지 邦産有毒蜂蜜源としてのホツツジTripetaleia Paniculata, ''Sieb. et Zucc.'' の意義に就て 日本薬理学会 1957
[195] 학술지 Poisoning by toxic honey in Turkey 1993
[196] 웹사이트 アセビ http://niah.naro.aff[...] 農業・食品産業技術総合研究機構 動物衛生研究所 2011-09-28
[197] 학술지 ニュージーランド産ハチミツに混入した神経毒:更なる成分の解明 日本薬学会 2016
[198] 웹사이트 蓮華躑躅(レンゲツツジ)の毒性 http://www.drugsinfo[...] 2011-09-29
[199] 웹사이트 Food and Agricultural commodities production http://faostat.fao.o[...] FAO STAT 2011-10-22
[200] 웹사이트 はちみつがタジキスタンを変える? 障害者自立支援の新事業スタート http://www.aarjapan.[...] 難民を助ける会 2011-10-22
[201] 웹사이트 農家が悲鳴を上げる消えたミツバチの謎 http://eco.nikkeibp.[...] 日経BP 2011-10-22
[202] 학술지 "花蜜資源"を求めて:アルゼンチンにおける日系人養蜂業者の移動と経営戦略 北海道地理学会 2007
[203] 웹인용 Honey.com - The National Honey Board http://www.honey.com[...] 2010-07-22
[204] 웹인용 UC Master Gardeners of Napa County - UC Master Gardeners of Napa County http://groups.ucanr.[...] 2007-04-14
[205] 웹인용 Honey Bee Nutrition And Supplemental Feeding http://maarec.cas.ps[...] 2010-07-22
[206]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sugaralli[...] 2005-09-10
[207] 웹인용 제5강: 대사증후군과 피검사 장항준 박사의 내과TV 2019-07-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