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의 역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마의 역사는 고대 로마, 로마 공화정, 로마 제국 시대를 거쳐 중세, 근세, 근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시대를 아우르는 방대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로마는 기원전 753년 로물루스에 의해 건국되었으며, 왕정, 공화정을 거쳐 옥타비아누스가 아우구스투스라는 칭호를 받으며 제정 시대를 열었다. 로마는 팍스 로마나 시대를 통해 번영을 누렸지만, 3세기의 위기와 제국의 분열, 기독교의 공인과 쇠퇴를 겪으며 서로마 제국이 멸망했다. 이후 동로마 제국, 교황령, 신성 로마 제국 시대를 거치며 로마는 르네상스와 바로크 시대를 통해 예술과 건축의 중심지로 발전했다. 이탈리아 통일 이후 로마는 이탈리아의 수도가 되었으며, 파시즘 시대를 거쳐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현재까지 이탈리아의 수도로서 정치, 문화, 경제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 로마의 역사 지구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고대 로마 유적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시대의 유산을 간직하고 있다.
고대 로마는 기원전 8세기 중반 이탈리아반도 중부 테베레강 하류에 위치한 작은 마을에서 시작되었다. 전설에 따르면 로물루스가 로마를 건국했다고 전해진다.
2. 고대 로마
로마 연표 로마 왕정과 공화정 시기 내용 기원전 753년 로물루스가 로마 건국. 기원전 753–509년 로마 일곱 왕들의 통치. 기원전 509년 공화정 성립. 기원전 390년 갈리아인들의 로마 침입 및 약탈. 기원전 264–146년 포에니 전쟁. 기원전 146–44년 동맹시 전쟁 및 내전기. 마리우스, 술라, 폼페이우스, 카이사르 등 등장. 기원전 44년 율리우스 카이사르 암살.
로마는 왕정, 공화정을 거쳐 제정으로 발전했으며, 지중해 세계를 지배하는 거대한 제국으로 성장했다.
2. 1. 로마의 기원과 건국 신화
로마는 최소 5,000년 전부터 사람이 살았던 곳이지만, 초기 유적은 후대의 유물에 가려져 잘 보이지 않는다.[103] 이러한 이유로 로마의 기원은 로물루스와 레무스 신화와 같은 전설에 가려져 있다.
로마 건국 신화에 따르면, 로마는 전쟁의 신 마르스의 아들이자 트로이 영웅 아이네이아스의 후손인 로물루스와 레무스 형제가 세웠다고 한다. 이들은 늑대의 젖을 먹고 자랐으며, 도시 건설 과정에서 형제간 다툼으로 로물루스가 레무스를 죽이고 도시 이름을 자신의 이름을 따서 '로마'라고 지었다.
로물루스는 도시를 세운 후, 모든 계층의 사람들을 시민으로 받아들였다.[109] 또한, 사비니 여인들의 납치 사건을 통해 부족 간 통합을 이루었고, 사비니족 왕 티투스 타이투스와 공동 통치하였다.[110] 로물루스는 원로원을 구성하고, 기사 계층과 쿠리아 민회를 조직하는 등 초기 로마의 정치 체제를 확립했다.[111]
로마의 건국과 관련된 이야기는 다음과 같다.
| 로마 건국 관련 주요 내용 | |
|---|---|
| 사건 | 내용 |
| 로마 건국 | 로물루스가 레무스를 죽이고 로마를 건국함 (기원전 753년).[104] |
| 시민 구성 | 로물루스는 모든 계층의 사람들을 시민으로 받아들임.[109] |
| 사비니 여인들의 납치 | 로물루스는 인근 부족들을 축제에 초대하여 젊은 여성들을 납치함.[110] |
| 사비니족과의 전쟁 | 사비니족과의 전쟁 후, 로물루스는 사비니족 왕 티투스 타이투스와 왕위를 공유함.[110] |
| 정치 체제 확립 | 로마 원로원, 기사 계층, 쿠리아 민회 조직.[111] |
2. 1. 1. 로마의 지리적, 언어적 기원
로마는 테베레강 하류의 팔라티노 언덕을 비롯한 일곱 개의 언덕에서 시작된 도시이다. 테베레 강은 Z자 모양으로 굽이치는데, 이 굽이치는 지점에 섬이 있어 강을 걸어서 건널 수 있었다. 이 강과 여울목 덕분에 로마는 테베레 강 유역의 교통과 이탈리아 반도 서부를 남북으로 오가는 상인들의 교차 지점이 되었다.[12]'로마'라는 이름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가장 유력한 설은 로마의 건국자이자 초대 왕인 로물루스의 이름에서 따왔다는 것이다.[108] 다른 설로는, '용기' 또는 '용감함'을 뜻하는 그리스어 Ῥώμη|로메grc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2] 테베레 강의 옛 이름인 ''Rumon''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다.[2]
2. 1. 2. 로물루스와 레무스 신화
마르쿠스 테렌티우스 바로에 따르면 로마 건국의 전통적인 시기는 기원전 753년 4월 21일이며,[104] 로마와 그 주변 라티움 지역에는 그 이후로 거의 중단 없이 사람이 거주해왔다. 2014년에 이루어진 발굴에서 로마의 공식 건립 연도 이전에 세워진 성벽이 발견되었다. 고고학자들은 기원전 9세기와 8세기 초로 추정되는 돌벽과 도자기 조각들을 발견했으며, 기원전 10세기 초에 팔라티노 언덕에 사람이 살았다는 증거도 있다.[105][106]산토모보노 유적지는 상고 시대 말 로마의 국가 형성, 기념물 형성, 도시화와 관련된 과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 산토모보노 신전은 기원전 7~6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며, 로마에 남아있는 신전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107]
로마라는 이름은 전설적인 로마의 건국자이자 초대 왕인 로물루스의 이름에서 유래했다고 알려져 있다.[108] 전쟁의 신 마르스의 아들이자 트로이의 영웅 아이네이아스의 후손인 로물루스와 그의 쌍둥이 형제 레무스는 버려진 후 암늑대의 젖을 먹고 자랐고, 그 후에 도시를 세우기로 결심했다. 형제는 다툼을 벌였고, 로물루스는 레무스를 살해했다. 그 후 그는 자신의 이름을 따서 도시의 이름을 지었다. 로마를 세우고 이름을 붙인 후, 그는 노예와 자유민을 가리지 않고 모든 계층의 사람들을 시민으로 받아들였다.[109] 시민들에게 아내를 제공하기 위해 로물루스는 인근 부족들을 로마에서 열리는 축제에 초대하여 이 부족들의 젊은 여성들을 납치했다(사비니 여인들의 납치). 이로 인해 사비니족과의 전쟁이 벌어졌고, 로물루스는 사비니족 왕 티투스 타이투스와 왕위를 공유했다.[110] 로물루스는 왕의 자문회인 원로원을 만들기 위해 가장 고귀한 인물 100명을 선정했다. 그가 파트레스(patres)라고 부른 이들과 그들의 후손들은 파트리키 계층이 되었다. 로물루스는 람네스(Ramnes, 로마인을 의미), 티티에스(Tities, 타이투스 왕의 이름에서 따옴), 루케레스(Luceres, 에트루리아인) 등 세 개의 켄투리아로 된 기사 계층을 만들었다. 그는 또한 민중을 세 개의 쿠리아로 나누었고, 로물루스와 타이투스 간의 전쟁을 종식시키는 데 중재했던 사비니 여인들 30명의 이름을 따서 붙였다. 쿠리아들은 쿠리아 민회의 투표단을 구성했다.[111]
2. 2. 로마 왕정 (기원전 753년 ~ 기원전 509년)
마르쿠스 테렌티우스 바로에 따르면 로마 건국의 전통적인 시기는 기원전 753년 4월 21일이며,[104] 이 시기부터 로마와 그 주변 라티움 지역에는 거의 공백기 없이 인간이 거주해왔다.로마는 기원전 753년부터 509년까지 일곱 왕의 지배를 받았다. 전설에 따르면, 로물루스가 형제인 레무스와 함께 도시 로마를 세웠다고 한다. 일곱 왕 중 마지막 세 왕인 타르퀴니우스 프리스쿠스, 세르비우스 툴리우스, 타르퀴니우스 수페르부스는 에트루리아인이었다고 한다. 이들의 이름은 에트루리아 마을 타르퀴니아를 나타내기도 한다.
리비우스, 플루타르코스, 할리카르나소스의 디오니시오스 등은 로마가 초기 몇 세기 동안 일곱 왕들의 지배를 받았다고 하였다. 바로가 집대성한 로마의 전통 연대기는 이들의 집권 기간을 평균 35년인 243년으로 책정하였는데, 이는 바르톨트 게오르크 니부어의 저서 이후 현대 학계에서 일반적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갈리아인들이 기원전 390년 알리아 전투 이후 도시를 약탈할 때 로마의 옛 문헌들의 대다수를 파괴하였고 남은 것들은 시간이 흘러 소실되거나 약탈되어 사라졌다. 로마 왕국에 관한 동시대 기록이 존재하지 않기에, 일곱 왕들에 관한 모든 내용들은 신중히 따져봐야만 한다.[123] 마지막으로 언급된 왕들이 역사적 인물이라 할지라도, 왕들의 목록 역시도 역사적 가치에 대해서 의문이 제기된다.
일부 역사학자들은 로마가 대략 한 세기 동안 에트루리아의 영향력 하에 있었다고 믿는다. 이 기간에, 테베레강 여울을 없앤 폰스 수블리키우스라는 다리가 세워졌고, 클로아카 막시마 역시도 이때 세워졌으며, 에트루리아인들이 이런 종류의 건축물에 대단한 기술자들이었다고 전해진다. 문화적, 기술적 관점에서, 에트루리아인들은 분명하게 그리스인들 다음으로 로마의 발달 과정에 영향을 미쳤다.
로마는 팔라티노 언덕과 주변 언덕의 목축 정착지에서 성장했으며, 티레니아해에서 약 30km 떨어진 테베레 강 남쪽에 위치해 있었다. 퀴리날레 언덕은 또 다른 이탈리아어족을 사용하는 민족인 사비니족의 전초 기지였을 것이다. 이 지역에서 테베레 강은 Z자 형태의 곡선을 이루며, 그 안에 강을 건널 수 있는 섬이 있다. 강과 여울 덕분에 로마는 강 계곡을 따라 이동하는 교통과 반도 서쪽에서 남북으로 이동하는 상인들의 교차로에 위치해 있었다.
2. 3. 로마 공화정 (기원전 509년 ~ 기원전 27년)

로마 공화정은 전통적으로 로마 왕정이 무너진 기원전 509년부터 옥타비아누스가 악티움 해전에서 승리하고 원수정을 시작한 기원전 27년까지를 말한다.
기원전 500년 이후, 로마는 사비니족들의 침입에 맞서 라틴족 도시들과 공동 방어에 가담하였다. 기원전 493년 레길루스호 전투에서 승리하여 라틴 국가들에 대한 패권을 다시 확립했다. 기원전 393년에는 볼스키족과 아이퀴족을 제압하고, 기원전 394년에는 에트루리아 도시 베이를 정복하여 라티움의 지배 도시가 되었다. 기원전 6세기 말에는 카르타고와 공식 조약을 체결하여 두 도시의 영향권과 교역을 규정했다. 헤라클리데스는 기원전 4세기의 로마를 그리스인 도시라고 하였다.[126]
로마는 끊임없는 전쟁을 통해 영토를 확장했다. 초기에는 인근 부족들과 싸웠고, 이후 갈리아족과 충돌했다. 기원전 387년 브렌누스가 이끄는 세노네스족에게 로마가 약탈당했지만,[127] 빠르게 도시를 재건하고 반격했다. 에트루리아를 정복하고 북쪽 갈리아인들의 영토를 차지했으며, 기원전 345년 이후 남쪽으로 확장하여 삼니움인들과 대립했다. 카우디네 지류 전투 (기원전 321년)에서 패배하기도 했지만, 기원전 290년 무렵 이탈리아반도의 거의 절반 이상을 통제하게 되었다.[130] 기원전 3세기에는 남쪽의 그리스 폴리스들도 세력권에 두었다.
이 과정에서 로마는 플레브스(평민)와 파트리키(귀족) 간의 정치적 투쟁인 계급 갈등이라는 사회적 위기를 겪었다. 이는 로마 공화정의 국가 구조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기원전 494년 호민관 관직 개설과 플레브스의 첫 권력 획득으로 이어졌다.[131]
포에니 전쟁(기원전 264-146년)은 로마가 지중해 패권을 장악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이 전쟁에서 승리하여 시칠리아, 사르데냐, 히스파니아 등 이탈리아반도 밖의 영토를 얻고, 그리스 세계에도 관여하게 되었다.
그러나 잦은 전쟁과 라티푼디움 확대로 로마 사회는 심각한 내분에 휩싸였다. 동맹시 전쟁과 노예전쟁은 공화정 존립을 위협했다.[133] 가이우스 마리우스, 술라, 폼페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등 강력한 군사 지도자들이 등장하여 권력 투쟁을 벌였다.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권력을 장악했지만 기원전 44년에 암살당하고, 이후 마르쿠스 안토니우스와 옥타비아누스 간의 권력 다툼이 벌어졌다. 기원전 31년 악티움 해전에서 옥타비아누스가 승리하면서 공화정은 막을 내리고 원수정이 시작되었다.[135][136]
2. 3. 1. 공화정 초기: 발전과 갈등
기원전 509년 로마는 왕정을 폐지하고 공화정을 수립했다. 이후 라틴족 도시들과 연합하여 사비니족의 침입에 맞섰고, 레길루스호 전투 (기원전 493년)에서 승리하여 라티움 지역의 패권을 다시 확립했다. 기원전 393년에는 볼스키족과 아이퀴족을 제압하고, 기원전 394년에는 에트루리아 도시 베이를 정복하여 라티움 지역의 지배적인 도시로 성장했다.[126]로마는 주변 부족들과의 잦은 전쟁을 통해 영토를 확장했다. 초기에는 볼스키족, 아이퀴족, 에트루리아 부족들과 싸웠고, 이후에는 이탈리아 북부의 갈리아족과 충돌했다. 기원전 387년에는 브렌누스가 이끄는 세노네스족에게 로마가 약탈당하기도 했지만,[127] 곧 도시를 재건하고 반격에 나서 에트루리아를 정복하고 갈리아인들의 영토를 차지했다. 기원전 345년 이후에는 남쪽으로 세력을 확장하여 삼니움인들과 대립했고, 카우디네 지류 전투 (기원전 321년)에서 패배하기도 했지만, 꾸준한 군사 활동을 통해 기원전 290년 무렵에는 이탈리아반도의 거의 절반 이상을 통제하게 되었다.[130]
공화정 초기에는 파트리키 (귀족)와 플레브스 (평민) 간의 신분 투쟁이 격렬하게 벌어졌다. 이 갈등은 로마 공화정의 국가 구조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기원전 494년에는 플레브스들이 도시를 떠나는 사건(제1차 플레브스 철수)이 발생했고, 그 결과 호민관 제도가 설치되어 플레브스들이 처음으로 실질적인 정치 권력을 획득하게 되었다.[131]
2. 3. 2. 포에니 전쟁과 지중해 패권
포에니 전쟁 기간 (기원전 264-146년) 로마는 카르타고와의 해양 제국 경쟁에서 승리하여 지중해의 패권을 장악하고 도시의 규모가 더욱 커졌다. 제1차 포에니 전쟁에서 카르타고에 대한 승리는 시칠리아와 사르데냐 등 이탈리아반도 외 최초의 속주 두 곳을 가져다주었다.[132] 스페인 (히스파니아)의 일부가 넘어간 뒤, 기원전 2세기 시작 시점에 로마는 그리스 세계권의 문제에도 관여되었다.50년도 안 되어서 그리스 본토 전역이 정복되었다. 로마 군단은 마케도니아의 팔랑크스를 기원전 197년과 168년에 두 차례나 무너트렸으며, 기원전 146년에 집정관 루키우스 뭄미우스는 코린토스를 불태워, 자유로운 그리스의 종말을 알렸다. 같은 해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의 아들인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아이밀리아누스는 도시 카르타고를 파괴하고, 로마의 속주로 만들었다.
2. 3. 3. 공화정 말기의 혼란
잦은 전쟁과 노예 노동력에 의존한 라티푼디움 확대로 로마 사회의 경제적 불평등은 심화되었다. 티베리우스 그라쿠스와 같은 유력 정치인 및 군사 지도자들이 등장하여 권력 투쟁을 벌였다.[132] 가이우스 마리우스는 군제 개혁을 단행하고 게르만족을 상대로 승리하였다.[133]기원전 마지막 세기의 첫 30여 년간은 공화정의 존재를 위협했던 극심한 내부 문제들로 특징지어진다. 로마와 동맹시들 간의 동맹시 전쟁, 그리고 노예전쟁은 심각한 충돌이었다.[134] 로마의 동맹들은 자신들이 로마 편에서 싸우지만, 아직까지 자신들이 시민권자들이 아니고 거의 보상을 받지 못한다는 것에 불만을 품었다. 이들은 전쟁에서 졌지만, 자신들이 요청하던 것을 얻었고, 서기 1세기가 시작할 무렵에 실제로 이탈리아의 모든 자유민들은 로마 시민권자들이었다.
임페리움 로마눔(로마의 힘)의 성장은 옛 로마 공화정의 체계가 갖고 있는 매년 선출된 정무관들과 권력의 공유 등으로 해결할 수 없는 새로운 문제들을 만들어냈다. 술라의 독재정, 폼페이우스 마그누스의 과도한 명령권, 제1차 삼두 정치는 이런 점을 분명히 하였다. 기원전 49년 1월,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갈리아를 정복하고, 로마를 향해 자신의 군단을 데리고 진격하였다. 다음 해에, 그는 경쟁 상대들을 패배시키고, 4년간 로마를 다스렸다. 기원전 44년에 그가 암살당한 뒤, 원로원은 공화정을 다시 세워보고자 했지만, 공화정파의 수장인 마르쿠스 유니우스 브루투스 (공화정 설립자의 후손)와 가이우스 카시우스 롱기누스 등이 카이사르의 부관 마르쿠스 안토니우스와 카이사르의 조카 옥타비아누스에게 패하고 만다.[135]
기원전 44–31년 기간은 마르쿠스 안토니우스와 옥타비아누스 간의 권력 다툼이 두드러진 시기였다. 최종적으로, 기원전 31년 9월 2일, 악티움 해전에서 옥타비아누스가 승리하며 로마의 유일한 지배자가 되었다. 이 시기를 공화정의 종말이자 원수정의 시작 시기로 여겨진다.[136]
2. 4. 로마 제정 (기원전 27년 ~ 서기 476년)
아우구스투스가 기원전 27년 로마 제국을 건국한 후, 로마는 약 200년간 '팍스 로마나'라 불리는 평화와 번영의 시대를 맞이했다. 3세기 초, 로마는 '3세기의 위기'라는 혼란에 빠졌고, 아우렐리아누스 황제는 273년에 아우렐리아누스 성벽을 건설했다. 로마는 제국의 공식 수도였지만, 황제들은 다른 곳에서 시간을 보냈고, 디오클레티아누스의 개혁으로 행정 수도의 역할도 잃었다. 서로마 제국 황제들은 밀라노나 라벤나 등에서 통치했고, 330년 콘스탄티누스 1세는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제2의 수도로 삼았다.기독교는 서력기원 1세기에 로마에 전파되었다. 초기에는 유대교의 한 분파로 여겨졌으나, 네로 황제 때 로마 대화재의 책임을 물어 박해하기도 했다.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는 303년부터 311년까지 대대적인 박해를 가했지만, 313년 밀라노 칙령으로 기독교는 공인되었다. 콘스탄티누스 1세는 최초의 기독교 황제가 되었고, 380년 테오도시우스 1세는 기독교를 국교로 선포했다.
테오도시우스 1세 치하에서 전통 신앙은 탄압받았다. 포로 로마노에 있던 베스타 신전의 영원의 불이 꺼졌고, 베스타 무녀들은 해산되었으며, 조복과 마술 행위는 처벌받았다. 원로원 내 승리의 제단 복구는 거부되었다.[147]

380년 테살로니카 칙령으로 로마 주교(이후 교황)는 서방 제국의 최고 종교 지도자가 되었다. 로마는 라테라노 궁전과 구 성 베드로 대성당 건설 등 마지막 건설 활동기를 맞았다.
그러나 로마는 410년 알라리크 1세의 서고트족, 455년 가이세리크의 반달족에게 약탈당했다. 410년 약탈은 서로마 제국 멸망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히에로니무스는 "온 세상을 정복했던 도시가 스스로 함락되었다"고 기록했다.[150]
로마 인구는 4세기 말부터 감소했지만, 5세기 중반에는 65만 명 이상이었다.[151] 반달족의 아프리카 프로콘술라리스 점령으로 곡물 공급이 끊기자 인구 감소는 가속화되었다.
동로마 제국 유스티니아누스 1세는 벨리사리우스와 나르세스를 보내 로마를 일시 회복했다. 이를 고트 전쟁이라 한다. 그러나 잦은 전쟁으로 로마는 황폐해졌고, 6세기 초 인구는 10만 명 이하로 감소했다.
2. 4. 1. 제정 초기와 팍스 로마나
아우구스투스는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계획을 완료하고 아우구스투스 포럼과 평화의 제단 등 자신의 많은 계획을 추가하여 로마의 웅장함을 더했다. 그는 로마를 벽돌 도시로 발견하여 대리석 도시로 만들었다고 전해진다(Urbem latericium invenit, marmoream reliquitla).[33] 아우구스투스의 후계자들은 그의 성공을 모방하여 도시에 자신들의 기여를 더했다. 서기 64년, 네로 통치 기간 동안 로마 대화재가 발생하여 도시의 상당 부분이 파괴되었지만, 여러 면에서 새로운 개발의 구실이 되었다.[34][35]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는 180년에 사망했으며, 그의 통치는 "다섯 현제"와 로마의 평화의 마지막 시기였다.[38][39]
2. 4. 2. 오현제 시대와 제국의 확장
네르바, 트라야누스, 하드리아누스, 안토니누스 피우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로 이어지는 오현제 시대(1세기 말~2세기)에 로마 제국은 번영의 정점에 도달했다. 트라야누스 황제는 다키아와 파르티아를 정복하여 로마 제국의 영토를 최대로 확장했다.[45] 소 플리니우스가 비티니아 총독으로 재직할 당시 트라야누스 황제에게 보낸 서신에는 기독교인 박해에 대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는데, 트라야누스는 기독교인을 적극적으로 찾거나 익명의 고발에 의존하지 말고, 신앙을 굽히지 않는 이들만 처벌하라고 지시했다.[45]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 시기에는 안토니누스 역병이 발생하여 하루에 2,000명이 사망하기도 했다.[37] 180년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가 사망하면서 오현제 시대와 로마의 평화는 막을 내렸다.[38][39]
2. 4. 3. 3세기의 위기와 제국 분열
3세기 초, 로마 제국은 '3세기의 위기'라 불리는 재앙과 정치적 혼란을 겪으며 붕괴 직전에 놓였다. 야만족 침입의 위협이 커지자, 아우렐리아누스 황제는 273년에 수도 로마를 보호하기 위해 둘레 약 20km의 거대한 아우렐리아누스 성벽을 건설했다. 로마는 여전히 제국의 공식 수도였지만, 황제들은 로마에 머무는 시간이 줄어들었다. 3세기 말 디오클레티아누스의 개혁으로 로마는 행정 수도의 역할마저 잃었다. 이후 서로마 제국 황제들은 밀라노, 라벤나 등 다른 도시에서 통치했다. 330년에는 콘스탄티누스 1세가 콘스탄티노폴리스에 제2의 수도를 건설했다.2. 4. 4. 기독교 공인과 제국의 쇠퇴
콘스탄티누스 1세는 313년 밀라노 칙령을 통해 기독교를 공인한 최초의 황제가 되었고, 380년 테오도시우스 1세는 기독교를 로마 제국의 국교로 선포하였다.[40][41][42][43][44] 테오도시우스 황제 치하에서는 전통 신앙을 믿는 이교도 신전 방문이 금지되었고,[48] 포로 로마노에 있던 베스타 신전의 영원의 불이 꺼졌으며, 베스타 무녀들은 해산되었다. 또한, 조복과 마술 행위는 처벌받았으며, 남아있던 전통 신앙을 숭배하던 원로원 의원들의 요청에도 불구하고, 원로원 내 승리의 제단 복구를 거부하였다.[48]로마 제국이 기독교로 개종하면서, 380년 테살로니카 칙령에 따라 로마 주교(이후 교황으로 불림)는 서방 제국의 최고 종교 지도자가 되었다. 로마는 제국 내에서 점차 주변적인 역할을 수행했지만, 역사적 권위를 유지했고, 이 시기에는 마지막 건설 활동이 이루어졌다. 콘스탄티누스 1세는 라테라노 궁전을 교황에게 기증했고, 최초의 대형 바실리카인 구 성 베드로 대성당을 건설했다.
하지만, 로마는 여전히 귀족과 원로원 의원들이 이끄는 전통 신앙의 거점 중 하나였다. 새로운 성벽은 410년 8월 24일 알라리크 1세가 이끄는 서고트족에게, 455년 6월 2일 가이세리크가 이끄는 반달족에게, 심지어 472년 7월 11일에는 리키메르 장군의 봉급을 받지 못한 로마 군대(대부분 야만인으로 구성)에게 약탈당하는 것을 막지 못했다.[49][50] 410년 약탈은 서로마 제국의 쇠퇴와 멸망의 주요 사건으로 여겨진다. 당시 히에로니무스는 "온 세상을 정복했던 도시가 스스로 함락되었다"고 기록했다.[51]
로마의 인구는 4세기 후반부터 감소하기 시작했지만, 5세기 중반경에는 65만 명 이상의 주민이 살았던 것으로 보인다.[52] 그러나 반달족이 아프리카 프로콘술라리스를 점령하면서 쇠퇴는 크게 가속화되었고, 많은 주민들이 5세기 중반부터 아프리카에서 더 이상 곡물을 공급받을 수 없게 되자 도시를 떠났다.
2. 4. 5. 동로마 제국의 로마 회복
동로마 제국의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1세는 벨리사리우스와 나르세스 장군을 파견하여 이탈리아 반도와 로마를 일시적으로 회복했다. 이를 고트 전쟁(535년 ~ 554년)이라고 한다. 그러나 잦은 전쟁으로 인해 로마는 황폐화되었고, 인구가 급감했다.[151] 6세기가 시작될 때쯤 로마의 인구는 10만 명보다 적었을 수도 있다.3. 중세 로마
1048년부터 1257년까지 교황령은 신성 로마 제국과 비잔티움 제국 지도자들 및 교회와 점차 분쟁을 겪었다. 비잔티움과의 분쟁은 가톨릭 교회와 동방 정교회를 나누는 동서 교회 분열로 이어졌다. 1257년부터 1377년까지 교황은 로마 주교였음에도 비테르보, 오르비에토, 페루자, 아비뇽 등지에 머물렀다. 아비뇽 유수 이후 '교황의 로마 복귀'는 둘 혹은 세 명의 교황 주장자들이 나타난 서방 교회의 분열 이후에 일어났다.
이 시기에 개선된 교회는 모든 기독교 세계에서 다시 한번 순례자들과 고위 성직자들, 그리고 그들과 재화를 끌어들였으며, 겨우 인구 30,000명에 지나지 않던 로마는 중앙 정부의 관료적 시스템에 의존하는 소비자들의 도시가 되어가고 있었다. 한편, 이탈리아 도시들은 늘어나는 자치권을 얻고 있었는데, 주로 경영가, 무역업자, 대상 등으로 구성된 새로운 계층들이 옛 귀족 계층들을 대체해가던 새로운 가문들이 주도하였다. 1084년 노르만인들의 약탈 이후, 로마의 재건 활동은 프랑기파네 가문과 피에르레오니 가문 등의 강력한 가문들의 후원을 받았는데, 이들은 토지보다는 상업과 은행업에서 재산을 모았다. 티볼리와 비테르보 등의 인접한 도시들에서 자극을 받았던 로마 사람들은 도시 공동체 지위를 채택하고 교황의 영향력에서 상당한 양의 자유를 얻어내는 것을 고려하기 시작하였다.
조르다노 피에르레오니의 주도로, 로마인들은 1143년에 귀족과 교회의 지배에 대하여 봉기하였다. 원로원과 로마 공화정 등으로 대표되는 로마 코무네가 재탄생하였다. 교회의 사유재산 및 세속적 일들에 대한 교회의 간섭에 관하여 이상주의적이며 격렬한 반대론자인 연설가 아르날도 다 브레시아의 자극적인 연설을 통하여, 로마 코무네의 형성으로 이어진 봉기는 1155년에 진압될 때까지 계속되었으며, 진압되었음에도 몇 세기간 영원의 도시의 시민 정부에 코무네의 흔적을 남겼다. 12세기 로마는 700년 전 지중해를 지배했던 제국과는 거의 공통점이 없었고, 새로운 로마 원로원은 생존을 위해 교황과 신성 로마 제국 사이에서 지지를 바꾸는 정책을 선택해야 했다. 1167년 몬테포르치오 전투에서 로마군은 프리드리히 바르바로사의 황제군에 패배했지만, 역병으로 인해 황제군이 철수하면서 로마는 피해를 입지 않았다.
1188년, 로마의 새로운 시민 정부는 교황 클레멘스 3세에게 승인받았다. 교황은 시민 정부 관리들에게 많은 현금을 지불해야 했고, 원로원 의원 56명은 교황의 봉신이 되었다. 원로원은 역할을 수행하는 데 있어 항상 문제가 있었고, 다양한 변화들이 시도되었다. 종종 단 한 명의 원로원이 맡을 때도 있었는데, 이는 가끔씩 폭정으로 이어졌다.
1204년, 교황 인노첸시오 3세 가문과 오르시니 가문 간의 분쟁으로 로마는 혼란에 빠졌다.
나폴리와 시칠리아의 왕이기도 했던 프리드리히 2세와 교황들 간의 분쟁 중에서 로마는 친황제 세력인 기벨린을 지지하였다. 프리드리히 2세는 1234년에 코르테누오바 전투에서 롬바르디아 동맹에게서 획득한 카로초를 로마에 보내 캄피돌리오 언덕에 전시했다.
로마는 피렌체, 시에나, 밀라노와 달리 안정적인 자치 통치 형태로 발전하지 못했다. 귀족 가문 간의 분쟁, 교황의 애매한 위치, 시민들의 자만심, 공화정 체제의 약점 등이 원인이었다.
1252년, 로마 시민들은 볼로냐 출신 브란칼레오네 델리 안달로를 원로원으로 선출하여 도시 안정을 꾀했다. 그는 귀족들을 억압하고 노동자 계층을 재편성하는 등 개혁을 추진했지만, 1258년에 사망하면서 개혁은 대부분 실현되지 못했다. 1265년 앙주의 샤를 1세가 원로원으로 선출되었으나 콘라딘을 대처해야 했고, 로마를 떠났다. 이후 로마는 다시 민주 공화정 체제가 실시되었으나 탈리아코초 전투에서 기벨린 세력이 패배하면서(1268년) 다시 샤를의 손에 떨어졌다.
오르시니 가문 출신 교황 니콜라오 3세는 교황 거처를 라테라노궁에서 바티칸으로 이전하고, 외국인의 원로원 의원직을 금지했다. 1285년 샤를이 다시 원로원으로 선출되었으나, 시칠리아 만종 사건으로 그의 영향력에서 벗어났다.
교황 보니파시오 8세는 콜론나 가문과 분쟁을 겪었고, 성좌의 보편적 우위를 확실시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1300년에 첫 희년 행사를 거행하고 1303년에 로마의 최초 대학교를 건립했다.[171][172] 희년은 로마의 국제적 명성을 높였고, 순례객들로 인해 경제가 활성화되었다.[172] 그러나 보니파시오 8세는 '아나니 사건'으로 프랑스 왕에게 굴복하여 교황권 쇠퇴를 알렸다.[172][173]
클레멘스 5세는 아비뇽을 선호하여 로마를 떠났고, '아비뇽 유수'(1309년 ~ 1377년)가 시작되었다.[173][174] 이 시기 로마는 교황 부재로 지방 세력들이 독립하면서 불안정해졌고, 수입 부족으로 쇠퇴하였다.[173][174]
이러한 상황에서 콜라 디 리엔초가 등장하여 1347년 민중의 지지로 카피톨리노 언덕을 점령하고 '호민관' 직위로 로마 공화정을 부활시키려 했다. 그러나 지나친 행동으로 교황, 귀족, 민중 모두에게 버림받고 1354년 폭동 중에 살해되었다.
1355년 보헤미아의 카를 4세가 신성 로마 황제 즉위식 행사를 위해 로마를 방문했다.
1362년 로마는 벨레트리와 전쟁을 벌였으나 실패했고, 우르바노 5세에게 넘어갔다. 1367년 우르바노 5세는 로마를 방문했지만, 아비뇽으로 돌아갔다. 그레고리오 11세는 1372년 로마 복귀를 결정했으나, 프랑스 추기경과 왕의 반대로 미뤄졌다. 1377년 1월 17일, 그레고리오 11세는 성좌 위치를 로마로 복귀시켰다.
3. 1. 비잔티움 제국과 교황령 시기 (6세기 ~ 8세기)
6세기 중반, 고트 전쟁 동안 로마는 동로마와 동고트 군대에 의해 여러 번 포위되었다. 이수리아 수비대의 배신으로 인해 토틸라의 동고트족은 549년에 산 파올로 문을 통해 로마로 들어갔다.[56] 530년대와 540년대에 로마 주변에서 벌어진 끊임없는 전쟁으로 로마는 황폐해졌고, 배수 시스템 방치와 테베레 강의 둑이 무너지면서 저지대의 상당 부분이 습지로 변했다.[57] 수도교는 한 곳을 제외하고는 수리되지 않았고, 시칠리아로부터의 곡물과 기름 수입 중단으로 인구는 테베레 강과 마르스 평원 주변에 집중되어 5만 명 미만으로 줄었다.[57]유스티니아누스 1세는 공공 건물, 수도교, 교량 유지 보수를 위한 보조금을 제공했지만, 이탈리아의 빈곤으로 인해 충분하지 않았다.[55] 전쟁 후 원로원은 복원되었지만, 라벤나의 동로마 당국이 임명한 도시 관리관 등의 감독을 받았다.[55]
그러나 교황은 이제 동로마 제국 전체의 주요 종교 지도자 중 한 명이 되었고, 원로원이나 지역 동로마 관리보다 실질적으로 더 강력했다.[55] 로마의 지역 권력은 교황에게 넘어갔고, 수십 년 동안 원로원 귀족의 재산과 로마의 지역 비잔틴 로마 행정부는 교회에 흡수되었다.[55]
유스티누스 2세 치세에 알보인 휘하의 롬바르드족이 침략하여 제국의 권위는 여러 해안 도시와 그 주변 영토로 제한되었다.[55] 578년과 580년, 원로원은 스폴레토의 파로알드 1세와 베네벤토의 조토에 맞서 티베리우스 2세 콘스탄티누스의 지원을 요청했다.[55]
마우리키우스는 아우스트라시아의 힐데베르트 2세와 동맹을 맺고 프랑크 왕의 군대는 롬바르드 영토를 침략했다.[58] 로마는 589년에 테베레 강 범람과 590년의 역병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58][59] 교황 그레고리오 1세는 평화 조약을 체결하기 위한 협상을 시작했다.[59]
로마 주교의 지위는 포카스 시대에 더욱 강화되었다. 포카스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보다 자신의 수위권을 인정했고, 교황 보니파시오 3세를 "모든 교회의 수장"으로 선언했다.[59] 포카스는 판테온을 교황에게 넘겨주었고, 이는 파괴로부터 보호했을 가능성이 높다.[59]
7세기 동안 제국 전역에서 동로마 관리와 성직자들이 유입되면서 지역 평신도 귀족과 교회 지도자들은 대부분 그리스어를 사용하게 되었다.[60] 순례자들로 로마의 인구는 9만 명으로 증가했을 수 있다.[60] 678년에서 752년 사이의 교황 13명 중 11명이 그리스 또는 시리아 출신이었다.[61] 그러나 비잔틴 로마 문화적 영향이 항상 로마와 콘스탄티노폴리스 간의 정치적 조화를 가져온 것은 아니며, 단의설 논쟁에서 교황들은 압력을 받았다.[62][63] 653년, 교황 마르티노 1세는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추방되어 유배지에서 사망했다.[62][63]
663년, 로마는 콘스탄스 2세의 제국 방문을 받았지만, 황제는 로마의 금속을 벗겨냈다.[63] 그 후 반세기 동안 로마와 교황청은 비잔틴 로마 통치를 선호했다.
727년, 교황 그레고리오 2세는 황제 레오 3세의 성상 파괴주의를 장려하는 칙령을 거부했다.[64] 레오는 교황을 납치하려 했지만 실패했고, 군대를 보냈지만 격퇴되었다.[64] 유티키우스는 728년에 로마를 점령하여 제국의 일부로 복구했다.[64]
731년, 교황 그레고리오 3세는 성 베드로 대성당에서 성상 파괴주의자들을 파문하기 위한 공의회를 소집했다.[64] 황제는 시칠리아와 칼라브리아에 있는 교황의 영지를 몰수하고, 이전에는 교황의 관할하에 있던 지역을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에게 이관했다.[64]
리우트프란트 왕의 지도 아래 롬바르드 왕국은 부활했다.[65] 730년에 그는 로마의 시골을 파괴했다.[65] 교황은 롬바르드 왕에게 대항할 수 있는 것은 거의 없었고, 비잔틴과 동맹을 맺었다.[66] 그레고리오 3세는 프랑크 왕국에게 도움을 요청한 최초의 교황이었다(739년).[67]
리우트프란트의 후계자 아이스툴프는 페라라와 라벤나를 정복하여 라벤나 총독령을 종식시켰다.[67] 754년, 교황 스테파노 2세는 피핀 3세를 프랑스로 가서 "patricius Romanorum" 즉, 로마의 보호자로 임명했다.[67] 피핀은 파비아에서 아이스툴프를 격파했다.[67] 롬바르드족은 피핀이 다시 이탈리아로 이동한다는 소식을 듣고 북쪽으로 돌아갔고, 피핀은 교황에게 약속한 영토를 넘겨주기로 합의했고, 교황령이 탄생했다.[67]
771년, 데시데리우스는 로마를 정복하고 교황 스테파노 3세를 붙잡으려는 음모를 꾸몄지만 실패했다.[68] 스테파노의 후계자 교황 하드리아노 1세는 샤를마뉴에게 데시데리우스를 대항해 달라고 요청했으며, 그는 773년에 패배했다.[68] 롬바르드 왕국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았고, 로마는 새롭고 더 큰 정치적 기구의 궤도에 진입했다.[68]
3. 2. 신성 로마 제국과 로마 (8세기 ~ 14세기)
1048년부터 1257년까지, 교황령은 신성 로마 제국과 비잔티움 제국(동로마 제국) 지도자들 및 교회와 점차 분쟁을 겪었다. 비잔티움과의 분쟁은 가톨릭 교회와 동방 정교회를 나누는 동서 교회 분열로 이어졌다. 1257년부터 1377년까지 교황은 로마 주교였음에도 비테르보, 오르비에토, 페루자, 아비뇽 등지에 머물렀다. 아비뇽 유수 이후 '교황의 로마 복귀'는 둘 혹은 세 명의 교황 주장자들이 나타난 서방 교회의 분열 이후에 일어났다.이 시기에 교회는 순례자들과 고위 성직자들을 다시 끌어들였고, 인구 30,000명 정도였던 로마는 중앙 정부 관료 시스템에 의존하는 도시가 되어갔다. 한편, 이탈리아 도시들은 자치권을 얻고 있었고, 새로운 계층들이 옛 귀족 계층들을 대체해갔다. 1084년 노르만인들의 약탈 이후, 로마의 재건 활동은 프랑기파네 가문과 피에르레오니 가문 등 상업과 은행업에서 재산을 모은 가문들의 후원을 받았다. 티볼리와 비테르보 등 인접 도시들에서 자극을 받았던 로마 사람들은 도시 공동체 지위를 채택하고 교황의 영향력에서 상당한 자유를 얻고자 하였다.
조르다노 피에르레오니의 주도로, 로마인들은 1143년에 귀족과 교회의 지배에 대하여 봉기하여 로마 코무네가 재탄생하였다. 아르날도 다 브레시아의 연설로 이어진 봉기는 1155년에 진압되었지만, 시민 정부에 코무네의 흔적을 남겼다. 12세기 로마는 700년 전 지중해를 지배했던 제국과는 공통점이 거의 없었고, 새로운 로마 원로원은 생존을 위해 교황과 신성 로마 제국 사이에서 지지를 바꾸는 정책을 선택해야 했다. 1167년 몬테포르치오 전투에서 로마군은 프리드리히 바르바로사의 황제군에 패배했지만, 역병으로 인해 황제군이 철수하면서 로마는 피해를 입지 않았다.
1188년에 로마의 새로운 시민 정부는 교황 클레멘스 3세에게 승인을 받았다. 교황은 시민 정부 관리들에게 많은 현금을 지불해야 했고, 원로원 의원 56명은 교황의 봉신이 되었다. 원로원은 역할을 수행하는 데 있어 항상 문제가 있었고, 다양한 변화들이 시도되었다. 종종 단 한 명의 원로원 의원이 맡을 때도 있었는데, 이는 가끔씩 폭정으로 이어졌다.
1204년, 교황 인노첸시오 3세의 가문과 오르시니 가문 간의 분쟁으로 로마의 거리들은 화염에 휩싸였다. 많은 옛 건축물들이 파괴되었다.
나폴리와 시칠리아의 왕이기도 했던 프리드리히 2세와 교황들 간의 분쟁 중에서 로마는 친황제 세력인 기벨린을 지지하였다. 프리드리히 2세는 1234년에 코르테누오바 전투에서 롬바르디아 동맹에게서 획득한 카로초를 로마에 보내 캄피돌리오 언덕에 전시했다.
교황에 대한 봉기가 일어나던 해에, 원로원 의원 루카 사벨리가 이끈 로마 시민들이 라테라노를 약탈하였다. 사벨리는 교황 호노리오 3세의 조카이자 교황 호노리오 4세의 아버지였지만, 당시 가족 관계가 항상 동맹 관계를 결정짓는 요소는 아니었다.
로마는 피렌체, 시에나, 밀라노에서처럼 자율적이고 안정한 통치 형태로 발전하지 못했다. 귀족 가문들 간의 끊임없는 분쟁, 교황의 애매모호한 위치, 로마 시민들의 거만함, 공화정 체제의 약점 등이 원인이었다.
1252년, 로마 시민들은 볼로냐 출신의 브란칼레오네 델리 안달로를 원로원 의원으로 선출했다. 그는 귀족들을 탄압했고, 노동자 계층들을 재편성하였으며 법령을 반포하였다. 브란칼레오네는 1258년에 사망했고, 그의 개혁은 대부분 이뤄지지 못했다. 5년 뒤 앙주의 샤를 1세가 원로원 의원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1265년에 로마에 입성했지만, 호엔슈타우펜 가문의 상속자인 콘라딘을 대처해야 했고, 로마를 떠났다. 1265년 6월 이후 로마는 카스티야의 엔리케를 원로원 의원으로 선출하며 다시 민주 공화정 체제가 실시되었다. 콘라딘과 기벨린 세력이 탈리아코초 전투에서 패배하면서(1268년), 로마는 다시 샤를의 손에 떨어졌다.
오르시니 가문 출신인 교황 니콜라오 3세가 1276년에 선출되었고 교황의 거처를 라테라노궁에서 바티칸으로 이전하였다. 그는 어떠한 외국인도 로마의 원로원 의원이 될 수 없도록 했다. 로마 출신자인 그는 로마 시민들에게 원로원 의원으로 선출되었다. 1285년에 샤를이 다시 원로원 의원으로 선출되었으나, 시칠리아 만종 사건 사건으로 그의 카리스마가 줄어들었고, 로마는 그의 영향력에서 자유로웠다. 다음 원로원 의원은 사벨리 가문 출신의 교황 호노리오 4세였다.
교황 첼레스티노 5세의 후임자는 카에타니 가문의 교황 보니파시오 8세였다. 그는 콜론나 가문과 분쟁에 얽혀 있었고, 성좌의 보편적 우위를 확실시 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1300년에 그는 첫 희년 행사를 거행했고 1303년에 로마의 최초 대학교를 건립했다.[171][172] 희년식은 로마의 국제적 명성을 높여주었고, 도시의 경제가 순례객들의 물결에 영향을 받아 활성화되었다.[172] 보니파시오는 '아나니의 굴욕' 사건을 겪은 후 1303년에 사망했으며, 이는 교황의 지위에 대한 프랑스의 왕의 통제를 알렸고 로마에게는 쇠퇴의 시기를 나타내었다.[172][173]
보니파시오의 후임자인 클레멘스 5세는 교황들이 아비뇽을 선호하면서 '바빌론 유수'를 시작하면서 로마에 입성한 적이 없었는데, 이 사태는 70년 이상 지속되었다.[173][174] 이런 상황은 지방 세력들의 독립을 가져왔고, 커다란 불안정성이 있다는 걸 노출했다. 바티칸의 세입 부족은 로마의 상당한 쇠퇴를 야기했다.[173][174] 한 세기 이상 동안 로마는 새로운 거대 건축물들이 없었다. 거기다, 교회를 포함한 도시에 있는 많은 기념물들이 폐허가 되기 시작하였다.[173]
로마의 쇠퇴와 교황의 부재에도 불구하고, 로마는 종교적 위상을 잃지는 않았는데 1341년에 페트라르카는 카피톨리노 언덕에서 계관시인 지위를 받으러 로마에 오기도 했다. 귀족들과 가난한 이들 모두 교황의 복귀를 요구했다. 이 시기에 아비뇽을 찾았던 여러 대사들 중에서 콜라 디 리엔초가 나타났다. 1347년 5월 20일에 그는 카피톨리노 언덕을 정복했다. 권력을 갖던 시기는 고대 로마의 영광을 얻고자 갈망하였다. 그는 로마 공화정 때 민중들의 정무관을 가리키는 '호민관'이라는 직위를 맡았다. 콜라는 자신을 신성 로마 황제의 신분과 동일하다고 여겼다. 8월 1일에, 그는 모든 이탈리아 도시들에 로마 시민권을 수여하였고, 이탈리아의 로마 황제 선출을 준비하기도 하였다. 이런 행동들은 도가 지나쳐서 교황은 그를 이단자, 범죄자, 이교도라 비난하였고, 대중들은 그에게 환멸감을 느꼈으며, 귀족들은 그를 항상 증오하였다. 12월 15일에, 그는 로마에서 도망쳐야 했다.
1354년 8월, 콜라는 추기경 힐 알바레스 데 알보르노스가 교황령에서 교황의 지배력을 재확립하려는 계획으로써 그에게 '로마의 원로원 의원'이라는 역할을 맡겼다. 같은 해 10월, 광적인 행동과 막대한 비용 청구로 인심을 잃게 된 독재를 펼치던 콜라가 콜론나 가문이 촉발시킨 폭동 중에 살해되고 말았다. 1355년 4월, 보헤미아의 카를 4세가 신성 로마 황제 즉위식 행사를 위해 로마를 방문했다. 그의 로마 방문은 로마 시민들에게는 실망감을 주었다. 그는 자산이 많지 않았고, 황제관을 교황이 아닌 추기경에게 받았으며 며칠 만에 도시를 떠났었기 때문이었다.
황제가 고국으로 돌아가자, 알보르노스는 로마에 대해 어느 정도 지배력을 되찾았으며, 몬테피아스코네라는 도시의 안전한 요새에 남아 있었다. 로마의 원로원 의원들이 몇몇 이탈리아 도시들에서 교황의 선택으로 직접적으로 선출되었으나, 로마는 사실상의 독립 상태였다. 원로원은 판사 여섯 명, 공증인 다섯 명, 집행관 여섯 명, 몇몇 교황 측 인사들, 기사 20명, 군인 20명으로 이뤄졌다. 알보르노스는 전통적인 귀족 가문들을 강하게 압박했고, '민중' 세력들은 공격적인 정책을 시작하기에 충분하다는 자신감을 느꼈다. 1362년에 로마는 벨레트리에 전쟁을 선포했다. 내전을 유발했다. 로마 근교 세력 측은 콘도티에로들을 고용했고, 로마 도심 측에서는 독일 및 헝가리인 들로 된 군대를 고용하고, 시민병 기사 600명과 더불어 보병 22,000명이 소집되었다. 이 시기는 콘도티에로들이 이탈리아에서 활동하던 시기였다. 로마에서 쫓겨난 다수의 사벨리, 오르시니, 안니발디 등의 가문 출신들이 콘도티에로 같은 군부대의 지휘관들이 되었다. 벨레트리와의 전쟁은 실패적이었고, 로마는 알보르노스가 로마의 성벽에 출입하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우르바노 5세에게 넘어갔다.
1367년 10월 16일에, 성 브리지다와 페트라르카의 탄원에 대한 답변으로, 우르바노는 로마를 방문했다. 그가 로마에 있는 동안, 카를 4세는 로마에서 다시 대관식을 하였다 (1368년 10월). 비잔티움 황제 요안니스 5세 팔레올로고스가 오스만 제국에 대한 성전을 요청하러 로마에 오기도 했었다. 우르바노는 로마의 건강에 나쁜 공기를 좋아하지 않았고, 1370년 9월 5일에 배를 타고 아비뇽으로 돌아갔다. 그의 후임자인 그레고리오 11세는 1372년 5월에 공식적인 로마 복귀 날짜를 정했으나, 프랑스의 추기경들과 프랑스 왕이 그를 막아섰다.
1377년 1월 17일에서야 그레고리오 11세는 성좌 위치를 복귀시켰다.
3. 2. 1. 샤를마뉴 대관식과 신성 로마 제국
772년, 랑고바르드족이 로마를 일시 점령했으나, 샤를마뉴가 1년 뒤 로마를 해방시켰다.[69][70] 799년 4월 25일, 교황 레오 3세는 라테란에서 산 로렌초 인 루치나 교회로 가는 행렬을 이끌었다. 비아 플라미니아(현재 비아 델 코르소)를 따라 행렬이 진행될 때, 샤를마뉴에 대한 교황의 약점을 싫어했던 두 명의 귀족이 행렬을 공격하여 교황에게 생명을 위협하는 상처를 입혔다. 레오 3세는 프랑크 왕에게 도망쳤고, 800년 11월에 왕은 군대와 함께 로마에 입성했다. 교황은 정당한 것으로 선언되었고, 공격을 시도한 사람들은 추방되었다. 800년 12월 25일, 교황 레오 3세는 성 베드로 대성당에서 샤를마뉴를 신성 로마 황제로 대관했다.[71][72][73][74]이 행위는 로마의 충성을 콘스탄티노폴리스로부터 영원히 끊었다. 대신, 샤를마뉴의 정복 과정을 거쳐 대부분의 기독교 서방 영토를 포괄하는 경쟁 제국을 창설했다.
샤를마뉴 사후, 신성 로마 제국은 분열되었고, 로마는 교황과 귀족, 황제 간 권력 투쟁의 중심지가 되었다. 교황청 서기관들이 작성한 위조 문서인 ''콘스탄티누스의 기증''은 라벤나에서 가에타까지 뻗어 있는 교황의 지배권을 보장했다.[69][70] 로마 내에서 교황청의 주요 약점은 새로운 교황의 선출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는 점이었으며, 귀족 가문들은 곧 선두적인 역할을 하였다. 스폴레토 공국과 토스카나, 그리고 나중에는 황제들은 경쟁자들 사이에서 중재자 역할을 하면서 이러한 내부적인 약점을 자신들의 이점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배웠다.
로마는 이 시대에 실제로 무정부 상태였다. 최저점은 897년에 도달했는데, 분노한 군중이 죽은 교황인 포르모수스의 시체를 발굴하여 시체 시노드에 회부했기 때문이다.[71][72][73][74] 962년, 오토 1세가 교황 요한 12세에 의해 신성 로마 황제로 즉위하며 신성 로마 제국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3. 2. 2. 로마 코무네의 성립과 발전
11세기부터 13세기까지 교황령은 신성 로마 제국 및 비잔티움 제국(동로마 제국)과 갈등을 겪었다. 특히 비잔티움 제국과의 갈등은 동서 교회 분열로 이어져 가톨릭 교회와 동방 정교회가 분리되었다.[171] 1143년, 조르다노 피에르레오니의 주도로 로마 시민들은 귀족과 교회의 지배에 반기를 들고 로마 코무네를 재건했다. 이는 아르날도 다 브레시아의 연설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1155년까지 지속되었다.[171]새로운 로마 원로원은 생존을 위해 교황과 신성 로마 제국 사이에서 지지를 바꾸는 정책을 펼쳤다. 1167년 몬테포르치오 전투에서 로마군은 프리드리히 바르바로사의 황제군에 패배했지만, 역병으로 인해 황제군이 물러나면서 로마는 위기를 넘겼다.[171]
1188년, 로마의 시민 정부는 교황 클레멘스 3세에게 승인받았지만, 원로원은 잦은 문제와 변화를 겪었다. 때로는 한 명의 원로원이 권력을 독점하여 폭정으로 이어지기도 했다.[171]
1204년, 교황 인노첸시오 3세 가문과 오르시니 가문 간의 분쟁으로 로마는 혼란에 빠졌다.[172]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2세와 교황 간의 분쟁에서 로마는 기벨린(친황제파)을 지지했다. 1234년, 프리드리히 2세는 코르테누오바 전투에서 얻은 카로초를 로마에 보내 캄피돌리오 언덕에 전시했다.[172]
로마는 피렌체, 시에나, 밀라노와 달리 안정적인 자치 통치 형태로 발전하지 못했다. 귀족 가문 간의 분쟁, 교황의 애매한 위치, 시민들의 자만심, 공화정 체제의 약점 등이 원인이었다.[172]
1252년, 로마 시민들은 볼로냐 출신 브란칼레오네 델리 안달로를 원로원으로 선출하여 도시 안정을 꾀했다. 그는 귀족들을 억압하고 노동자 계층을 재편성하는 등 개혁을 추진했지만, 1258년에 사망하면서 개혁은 대부분 실현되지 못했다.[172]
3. 2. 3. 아비뇽 유수와 콜라 디 리엔초
1300년, 교황 보니파시오 8세는 첫 희년을 선포하였다.[171][172] 희년은 로마의 국제적 명성을 높이고 순례객들로 인해 경제가 활성화되는 중요한 행사였다.[172] 그러나 1303년, 보니파시오 8세는 '아나니 사건'으로 프랑스 왕에게 굴복하였고, 이는 교황권의 쇠퇴를 알리는 사건이었다.[172][173]보니파시오 8세의 후임인 교황 클레멘스 5세는 아비뇽을 선호하여 로마를 떠났고, 이로써 '아비뇽 유수'(1309년 ~ 1377년)가 시작되었다.[173][174] 이 시기 로마는 교황의 부재로 인해 지방 세력들이 독립하면서 불안정해졌고, 수입 부족으로 쇠퇴하였다.[173][174]
이러한 상황 속에서 콜라 디 리엔초가 등장하였다. 그는 1347년 민중의 지지를 받아 카피톨리노 언덕을 점령하고 '호민관' 직위를 맡아 로마 공화정을 부활시키려 하였다. 그러나 그는 지나친 행동으로 교황과 귀족, 민중 모두에게 버림받고 1347년 12월 15일에 로마에서 도망쳐야 했다.[173] 이후 1354년에 다시 권력을 잡았으나, 폭동 중에 살해되었다.
1377년, 교황 그레고리오 11세가 교황청을 로마로 복귀시키면서 아비뇽 유수가 종결되었다.[175]
3. 2. 4. 서방 교회의 분열
우르바노 6세의 일관성 없는 행동은 1378년에 서방교회 대분열을 초래하였으며, 이는 쇠퇴해가던 로마의 상태를 개선하려는 어떤 진실된 시도들을 방해하였다.[175]1377년에 그레고리오 11세가 사실상 로마로 돌아왔을 때, 그는 귀족과 민중 세력 간의 분쟁 때문에 무질서 속에 있는 로마를 보았고, 이 상황에서 그의 힘은 실체적이라기보다는 좀 더 형식적인 것이었다. 이후 지역 사회와 교황권 간의 지역적 권력 분쟁, 국제적으로는 거대한 서방교회 대분열 등으로 특징지어지는 40년간의 분쟁이 이어졌고, 이 분열 사태는 마르티노 5세가 교황으로 선출되며 끝났다. 그는 질서를 다시 세우고, 교황권 부활의 토대를 마련하였다.[175]
1433년에 밀라노 공작 필리포 마리아 비스콘티는 피렌체, 베네치아와 강화조약을 체결했다. 그 뒤에 그는 콘도티에로 니콜로 포르테바초와 프란체스코 스포르차를 파견하여 교황령을 공격하도록 하였는데, 이는 에우제니오 4세가 두 공화국을 지원했던 것에 대한 보복이었다.
콜로나 가문의 지원을 받은 포르테바초는 1433년 10월에 티볼리를 점령하고 로마 근교를 약탈했다. 에우제니오가 비스콘티 가문에 이권을 넘겨줬음에도, 밀라노 군대는 파괴 행위를 멈추지 않았다. 이는 1434년 5월 29일에 로마인들이 ‘반데레시’(Banderesi)들이 이끄는 로마 공화정 체제 설립으로 이어지게 했다. 에우제니오는 며칠 뒤인 6월 4일 밤을 틈타 로마를 떠났다.
그러나 반데레시들은 도시를 다스리는 데 무능하다는 것을 보여주었고, 이들의 무능력과 폭력은 그들이 갖고 있던 대중들의 지지를 앗아갔다. 그 이후에 로마는 1434년 10월 26일에 조반니 비텔레스키의 군대를 통해서 에우제니오에게 되돌아갔다. 비텔레스키의 의심스러운 상황 속 사망 이후, 로마는 아퀼레이아 총대주교 루도비코 스카람포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에우제니오는 1443년 9월 28일에 로마로 되돌아왔다.
4. 르네상스 시대 로마 (15세기 ~ 16세기)
15세기 후반,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중심지는 피렌체에서 로마로 이동했다. 교황들은 로마를 다른 이탈리아 도시들보다 더 웅장하게 만들기 위해 성 베드로 대성당, 시스티나 경당, 폰테 시스토(고대 이후 테베레강을 가로지르는 최초의 다리), 나보나 광장 등 화려한 건축물들을 건설했다. 또한 미켈란젤로, 페루지노, 라파엘로, 기를란다요, 루카 시뇨렐리, 보티첼리, 코시모 로셀리 등 유명 예술가들을 후원했다.[80][81][82][83]
1447년 교황 니콜라오 5세는 르네상스를 로마로 가져와 인문주의의 중심지로 만들었다. 그는 로렌초 발라, 베스파시아노 다 비스티키 등 학자와 예술가들을 로마 궁정으로 초청했다. 1449년 희년 선포로 유럽 전역에서 순례자들이 몰려들었으나, 산탄젤로 다리에서 사고가 발생하고 페스트가 유행하여 니콜라오 5세는 도시를 떠나기도 했다.[80][81][82][83]
니콜라오 5세는 교황령의 안정을 가져왔고, 프리드리히 3세의 대관식은 세속적인 행사로 치러졌다. 스테파노 포르카리의 공화정 부활 음모는 진압되었지만, 교황은 이 사건으로 인해 좋지 않은 평판을 얻었다. 니콜라오 5세는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와 협력하여 성 베드로 대성당을 건설하는 등 도시 재건에 힘썼다.[80][81][82][83]
그의 후임 갈리스토 3세는 문화 정책 대신 조카를 중시했다. 비오 2세는 인문주의자였지만 로마를 위해 많은 일을 하지는 않았다. 그의 재임 기간 동안 로렌초 발라는 콘스탄티누스의 기증이 위조임을 밝혔다. 교황 바오로 2세는 카니발을 부활시켰고, 로마 아카데미 지식인들의 교황 암살 음모가 발각되기도 했다.[80][81][82][83]
교황 식스토 4세는 로마 최초의 '교황 군주'로 여겨진다. 그는 메디치 가문에 대항한 파치 음모를 조장하고, 로마의 콜론나 가문, 오르시니 가문과 대립했다. 그는 교황 니콜라오 5세처럼 예술을 후원하여 바티칸 도서관을 설립하고, 시스티나 경당을 건설했다. 시스티나 경당 장식에는 미노 다 피에솔레, 보티첼리, 기를란다요, 페루지노, 루카 시뇨렐리, 핀투리키오 등 당대 최고의 예술가들이 참여했고, 16세기에 미켈란젤로가 천장화를 그려 세계적인 걸작이 되었다.[80][81][82][83]
교황 인노첸시오 8세, 교황 알렉산데르 6세 시대에는 혼란, 부패, 족벌주의가 만연했다. 알렉산데르 6세는 프랑스 국왕 샤를 8세에 맞서 산탄젤로성으로 피신해야 했다. 그는 아들 체사레 보르자를 위해 교황령 영토 내에 공국을 만들고, 오르시니 가문을 추방했다. 1500년 희년에는 '브라비'라는 무법자들이 도시를 장악하여 위험이 커졌다.[80][81][82][83]
교황 율리우스 2세, 교황 레오 10세, 교황 클레멘스 7세 시대에 로마는 예술의 중심지로 번성했다. 성 베드로 대성당이 재건되었고, 브라만테, 라파엘로, 미켈란젤로 등 예술가들이 활동했다. 로마는 종교적 색채를 잃고 축제, 경마, 파티 등이 열리는 르네상스 도시가 되었다. 아고스티노 키지 등 토스카나 은행가들 덕분에 경제도 번영했다.[80][81][82][83]
1527년, 교황 클레멘스 7세의 정책 실패로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 군대가 로마를 약탈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수많은 시민들이 살해되거나 도시를 떠났고, 스위스 근위대 대부분이 전사했다. 교황은 산탄젤로성에 감금되었다. 이 사건으로 르네상스 시대 로마의 황금기는 막을 내렸다.[80][81][82][83]
1525년 희년은 마르틴 루터의 주장으로 인해 교황에 대한 비판이 확산되면서 실패로 끝났다. 교황 바오로 3세는 트리엔트 공의회를 소집하고, 미켈란젤로의 ''최후의 심판''을 지원하는 등 예술 후원을 계속했다. 그는 아들 피에르 루이지를 위해 공국을 만들기도 했다. 약탈 이후, 줄리아노 다 상갈로 더 영거를 불러 레오닌 시 성벽을 강화했다.[80][81][82][83]
5. 근세 로마
1527년, 제2대 메디치 출신 교황 교황 클레멘스 7세의 모호한 정책으로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의 통제를 벗어난 제국군이 로마를 약탈했다. 약 1,000명의 수비병이 처형된 후 약탈이 시작되었고,[80][81] 도시는 며칠 동안 황폐화되었으며, 많은 시민들이 죽거나 성벽 밖으로 대피했다. 당시 근무 중이던 189명의 스위스 근위대 중 42명만이 살아남았다.[80][82] 교황은 몇 달 동안 산탄젤로 성에 갇혔다. 이 약탈은 근대 로마의 가장 화려했던 시대 중 하나의 종말을 알렸다.[80][83]
1525년 희년은 마르틴 루터의 주장이 유럽 전역에서 교황의 탐욕에 대한 비판과 증오를 퍼뜨리면서 희극으로 끝났다. 로마의 위신은 독일과 잉글랜드 교회의 이탈로 인해 도전을 받았다. 교황 바오로 3세(1534–1549)는 트리엔트 공의회를 소집하여 상황을 회복하려 했지만, 동시에 역대 교황 중 가장 편애가 심했다. 그는 심지어 자신의 아들 피에르 루이지를 위해 교황령에서 파르마와 피아첸차를 분리하여 독립 공국을 만들었다.[80] 그는 미켈란젤로의 ''최후의 심판''을 지원하고, 캄피돌리오와 성 베드로 대성당의 건설을 개조해 달라고 요청하면서 예술 후원을 계속했다. 약탈의 충격 이후, 그는 줄리아노 다 상갈로 더 영거를 불러 레오닌 시의 성벽을 강화했다.[80]
바오로 3세 사후, 로마의 거리는 콘클라베에 참석한 추기경들을 풍자하는 가면 무도회의 장이 되었다. 그의 뒤를 이은 두 명의 교황은 로마에 대한 스페인의 종주권을 벗어나기 위해 아무것도 하지 않은 무능한 인물들이었다.[80]
5. 1. 반종교개혁과 바로크 시대 (16세기 ~ 18세기)
교황 바오로 4세는 1551년-1559년 이탈리아 전쟁에서 반(反) 스페인 진영에 가담했으나, 그의 정책으로 인해 부왕의 나폴리 군대가 1556년에 로마를 포위했다. 바오로 4세는 평화를 요구했지만, 스페인 펠리페 2세의 지배권을 받아들여야 했다.[80] 그는 가장 미움을 받는 교황 중 한 명이었고, 그의 죽음 이후 분노한 시민들이 종교 재판의 궁전을 불태우고 캄피돌리오 언덕에 있던 그의 대리석 조각상을 파괴했다.[84][85]교황 바오로의 반종교개혁적 시각은 그가 Porticus Octaviae 주변의 로마 중심 지역을 구획하여 도시의 유대인들이 격리되어 살도록 강요받는 매우 제한된 지역인 유명한 로마 게토를 만들도록 명령한 데서 잘 드러난다. 그들은 로마 구역 산탄젤로에 머물며 밤에는 잠겨 있어야 했다. 교황은 유대인들이 구별되는 표식, 즉 남자들은 노란색 모자[86], 여자들은 베일이나 숄을 착용하도록 규정했다. 유럽에는 이후 315년 동안 유대인 게토가 존재했다.
반종교개혁은 그의 후임자들인 온건한 교황 비오 4세와 엄격한 교황 비오 5세 아래에서 속도를 냈다. 전자는 궁정의 화려함을 사랑하는 친족주의자였지만, 그의 고문인 주교 카를로 보로메오의 사상으로 인해 더욱 엄격한 관습이 어쨌든 생겨났고, 그는 로마 시민들 사이에서 가장 인기 있는 인물 중 한 명이 되었다. 비오 5세와 보로메오는 로마에 진정한 반종교개혁적 특징을 부여했다. 궁정에서 모든 웅장함이 제거되었고, 광대들은 추방되었으며, 추기경과 주교는 도시에 거주해야 했다. 신성 모독과 축첩은 엄격하게 처벌되었다. 매춘부들은 추방되거나 지정된 구역에 갇혔다. 도시에서의 종교 재판의 권위가 재확인되었고, 감옥 공간이 늘어난 궁전이 재건되었다. 이 기간 동안 미켈란젤로는 포르타 피아를 개방하고 디오클레티아누스 욕장을 비오 4세가 묻힌 웅장한 산타 마리아 degli Angeli e dei Martiri 대성당으로 바꾸었다. 매너리즘의 표현은 비뇰라와 함께 로마 및 교황령 전역의 민간 및 종교 건축물에서 세심하게 널리 퍼졌으며, 그의 걸작은 예수 성당 (1568) 이전에도 빌라 줄리아와 빌라 파르네세와 같은 빌라가 되었다.
그의 후임자 교황 그레고리오 13세의 교황 재임 기간은 실패로 간주되었다. 그는 성 비오보다 더 온건한 조치를 사용하려 했기에 로마 시민의 최악의 요소들이 다시 거리를 휩쓸 자유를 느꼈다. 프랑스 작가이자 철학자인 미셸 드 몽테뉴는 "그레고리오 13세 시대만큼 삶과 재산이 불안정했던 적은 없었다"고 주장했고, 심지어 한 친교회는 산 조반니 아 포르타 라티나 교회에서 동성 결혼을 거행하기도 했다. 비오가 억압했던 궁정 사람들이 이제 돌아왔다.
교황 식스토 5세는 매우 다른 기질을 가지고 있었다. 짧은 기간(1585-1590)이었지만, 그의 통치는 현대 로마 역사에서 가장 효과적인 통치 중 하나로 기억된다. 그는 비오 5세보다 더 강경했고, "미친 자의 처벌자"를 뜻하는 "castigamatti", "철의 교황"을 뜻하는 "papa di ferro", "독재자" 및 심지어 아이러니하게도 "악마"라는 별명을 받았다. 그 이전에는 교회의 개혁과 관습을 그렇게 단호하게 추구한 교황이 없었기 때문이다. 식스토는 교황령의 행정을 근본적으로 재조직하고, 폭력배, 포주, 결투 등이 로마 거리에서 사라지게 했다. 귀족과 추기경조차 식스토의 경찰의 손길에서 자유롭다고 생각할 수 없었다. 부패로 낭비되지 않은 세금으로 모은 돈은 야심 찬 건설 계획을 가능하게 했다. 일부 고대 수도교가 복원되었고, 아쿠아 에펠리체 (식스토의 이름에서 유래, Felice Peretti)라는 새로운 수도교가 건설되었다. 에스퀼리노 언덕, 비미날레 언덕, 퀴리날레 궁전의 황량한 지역에 새로운 집들이 건설되었고, 도시 중심부의 오래된 집들은 새로운 넓은 거리를 만들기 위해 파괴되었다. 식스토의 주요 목표는 로마를 기독교 순례를 위한 더 나은 목적지로 만드는 것이었고, 새로운 거리는 주요 대성당에 더 잘 접근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오래된 오벨리스크는 산 조반니 인 라테라노, 산타 마리아 마조레 및 성 베드로 대성당, 그리고 산타 마리아 델 포폴로 앞의 포폴로 광장을 장식하기 위해 이동하거나 세워졌다.
18세기에 교황령은 라티움, 움브리아, 마르케를 비롯한 이탈리아 중부 대부분과 로마냐 북쪽의 라벤나, 페라라, 볼로냐의 레가치, 남부 이탈리아의 작은 앙클라브인 베네벤토와 폰테코르보, 프랑스 남부 아비뇽 주변의 더 큰 콩타 베네생을 포함하는 교황령의 세속적 권력의 정점에 도달했다.
바로크 건축과 로코코 건축이 로마에서 번성하여 여러 유명 작품이 완성되었다. 트레비 분수 공사는 1732년에 시작되어 1762년에 완공되었다. 스페인 계단은 1735년에 설계되었다. 교황 클레멘스 13세의 카노바가 제작한 무덤은 1792년에 완공되었다.
예술 또한 이 기간 동안 번성했다. 팔라초 누오보는 1734년에 세계 최초의 공공 박물관이 되었으며, 18세기에 로마의 가장 유명한 풍경은 조반니 바티스타 피라네시에 의해 새겨졌다. 그의 고전 로마에 대한 웅대한 비전은 많은 사람들에게 도시를 방문하여 폐허를 직접 조사하도록 영감을 주었다.
5. 2.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 시대 (18세기 말 ~ 19세기 초)
1798년 프랑스 혁명군은 로마를 점령하고 로마 공화국을 세웠다.[183] 이는 교황 지배의 일시적인 중단을 가져왔다. 나폴레옹 시대에 로마는 프랑스 제국에 합병되어 프랑스의 일부가 되었다.[183] 나폴레옹 제국이 몰락한 후, 빈 회의를 통해 교황령이 복구되었지만, 프랑스에 귀속되었던 아비뇽과 브나쟁 영지는 제외되었다.[183]6. 근대 로마
1870년 이전까지 로마는 교황의 지배를 받았으나, 이탈리아 통일 운동의 결과로 1870년 이탈리아 왕국에 합병되었다. 이 과정에서 교황의 세속적 권위는 크게 약화되었고, 1929년 라테라노 조약을 통해 바티칸 시국이 독립하면서 현재의 형태로 이어지게 되었다.
| 로마 연표 | |
|---|---|
| 근대 로마 | |
| 1798년–1799년, 1800년–1814년 | 프랑스 점령 |
| 1848년–1849년 | 로마 공화국, 마치니와 가리발디 |
| 1870년 | 이탈리아 군에 의한 로마 정복 |
| 1874년–1885년 | 테르미니 역 건설, 비토리안 건립 |
| 1922년 | 로마 진군 |
| 1929년 | 라테란 협약 |
| 1932년–1939년 | 치네치타 건설 |
| 1943년 | 로마 폭격 |
| 1960년 | 하계 올림픽 개최 |
| 1975년–1985년 | 테러의 해. 알도 모로 사망.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피격 |
| 1990년 | FIFA 월드컵 개최 도시 중 하나 |
| 2000년 | 희년 개최 |


6. 1. 이탈리아 통일과 로마 (19세기)
1870년 교황의 영토는 피에몬테 군대에 의해 로마가 합병되면서 불안정한 상황에 놓였다. 1861년부터 1929년 사이 교황의 지위는 "로마 문제"로 불렸다. 교황들은 보장법을 통해 여러 특권을 인정받았지만, 이탈리아 왕의 로마 통치를 인정하지 않고 1929년까지 바티칸을 떠나지 않았다.[183]프랑스 혁명의 영향으로 1798년 로마 공화국이 잠시 존재했다. 나폴레옹 1세 치하에서 로마는 프랑스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나폴레옹 제국 붕괴 후 비엔나 협약을 통해 교황령이 복구되었다.
1848년 혁명으로 로마 공화국이 다시 등장했다. 주세페 마치니와 주세페 가리발디가 이 공화국을 위해 싸웠다. 피에몬테-사르데냐 수상 카밀로 벤소 디 카보우르의 지도력이 통일에 큰 영향을 미쳤다.
빈첸초 조베르티는 교황 지도하의 이탈리아 국가 연방을 제안했다. 많은 혁명가들은 공화정을 원했지만, 왕과 수상은 군주정을 통해 이탈리아를 통일하려 했다.
카보우르는 북이탈리아 통일을 위해 대규모 산업화를 추진하고, 크림 전쟁에 군대를 파견하여 프랑스와의 관계를 긴밀히 했다.
교황 비오 9세의 로마 복귀는 제2차 이탈리아 독립 전쟁과 1천 명의 원정으로 구체화된 통일 과정에서 로마의 배제를 확실하게 했다. 가리발디는 시칠리아를 공격하여 점령했고, 카보우르는 이를 비밀리에 지원했다.
카보우르는 프랑스와 동맹하여 베네티아와 롬바르디아를 차지하려 했으나, 프랑스가 협정을 어기면서 롬바르디아만 차지할 수 있었다.
프랑스 군대가 로마에 주둔한 상황에서, 카보우르는 가리발디가 교황령을 공격할 가능성을 우려하여 사르데냐 군대를 로마 외곽에 대기시켰다.
오스트리아-프로이센 전쟁 중 이탈리아는 프로이센과 거래하여 베네치아를 얻었다.
1870년 보불 전쟁 발발로 나폴레옹 3세는 교황령을 보호할 수 없었다. 라파엘레 카도르나 장군이 이끄는 이탈리아 군대는 포르타 피아를 통해 로마에 입성했다(로마 함락 참조).[183] 국민투표 결과 로마와 라티움은 이탈리아 왕국에 합병되었다.[183]
이탈리아 정부는 교황 비오 9세에게 작은 교황령 유지를 제안했으나, 비오 9세는 이를 거부했다.[183] 1871년 로마는 통일 이탈리아의 공식 수도가 되었다.
비오 9세는 자신을 '바티칸의 죄수'라 칭했지만, 실제 이동 제한은 없었다. 교황에게 충성한 이탈리아 귀족들은 검은 귀족으로 불렸다.
로마는 이탈리아 왕국의 통일 염원의 중심이었다. 1861년 로마는 교황 지배하에 있었지만 이탈리아 수도로 선포되었다. 1860년대 교황령은 나폴레옹 3세의 프랑스 보호를 받았다. 1870년 보불 전쟁 발발로 프랑스 보호가 사라지자 이탈리아 군대가 로마를 함락시켰다.[185] 교황 비오 9세는 바티칸의 죄수를 선포했고, 1871년 수도가 피렌체에서 로마로 이전되었다.[185]
6. 2. 파시즘 시대와 제2차 세계 대전 (20세기 초 ~ 중반)
1922년, 베니토 무솔리니가 이끄는 파시스트당이 로마 진군을 통해 권력을 장악했다.[186] 무솔리니는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의 요청으로 로마에 진군하여, 제국을 선포하고 나치 독일과 동맹을 맺었다.[186] 전간기에 로마 인구는 급격히 증가하여 100만 명을 돌파했다.[187]1929년 2월 11일, 라테라노 조약이 체결되어 로마 문제가 해결되었다. 이 조약은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를 대신한 베니토 무솔리니와 교황 비오 11세 측의 피에트로 가스파리 추기경 국무원장이 서명했다. 1929년 6월 7일에 발효된 이 조약으로 바티칸 시국이 독립 국가로 세워졌고, 로마 가톨릭교회는 이탈리아 내에서 특별한 지위를 얻게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로마는 산 로렌초 푸오리 레 무라를 포함한 몇 차례의 폭격을 받았지만, 바티칸 시국에 있는 교황 비오 12세의 안전을 우려한 국가들이 없어 큰 피해는 피했다.[188] 이탈리아와 연합군 간의 휴전 이후, 도시 남쪽과 콜로세움 근처에서 이탈리아군과 독일군 사이에 전투가 벌어지기도 했다. 1944년 6월 4일, 로마는 연합군에 의해 추축국 수도 중 처음으로 해방되었다. 그러나 1943년 8월 14일, 마지막 연합군의 폭격 이후 독일군이 로마를 비무장 도시로 선포하고 철수했기 때문에 비교적 피해가 적었다.[188][189]
6. 3. 이탈리아 공화국의 수도 (20세기 후반 ~ 현재)
1946년 국민 투표를 통해 이탈리아는 공화국이 되었고, 로마는 계속해서 수도의 지위를 유지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로마는 전후 복구 및 재건과 관련된 '이탈리아 경제 기적'의 원동력 중 하나로서 크게 성장하였다. 1950년대와 1960년대 초는 '라 돌체 비타'(la dolce vita|달콤한 인생it) 시기로, 벤허, 쿠오 바디스, 로마의 휴일, 달콤한 인생[195] 등의 유명 고전 영화들이 로마의 상징적인 스튜디오인 치네치타에서 촬영되며 현대적인 도시로 변모했다.1960년에는 하계 올림픽을 개최하였으며,[196] 빌라 보르게세, 카라칼라 욕장 등 여러 유적지를 경기장으로 활용하였다.[196] 올림픽을 위해 올림픽 스타디움(이후 1990년 FIFA 월드컵 조별 예선 및 결승전 경기를 위해 확장 및 보수됨)과 같은 새로운 건축물들이 건설되었고, 선수촌으로 사용된 빌라조 올림피코(Villaggio Olimpico)는 주거 지구로 재개발되었다.
인구는 1980년대 중반까지 계속 증가하여 280만 명을 넘었으나, 이후 주변 근교로 인구가 이동하면서 서서히 감소하였다. 로마 대도시권의 인구는 약 440만 명에 이른다.
로마는 이탈리아의 수도로서 대통령과 총리 관저, 의회, 대법원, 이탈리아와 바티칸 시국의 대외 대사관 등 국가의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또한, 독일 고고학회, FAO 등 여러 주요 국제 문화, 과학, 인문학 기관들도 자리 잡고 있다.
로마는 매년 평균 7백만에서 천만 명의 관광객이 방문하는 세계적인 관광 도시이며, 유럽 연합 내에서는 런던, 파리 다음으로 세 번째로 많이 찾는 도시이다.[197] 콜로세움(4백만 명)과 바티칸 박물관(420만 명)은 세계에서 가장 많이 찾는 장소 39위와 37위에 해당한다.[197] 2000년 희년 행사[196]를 위해 이탈리아 정부와 바티칸 시국 정부는 로마의 많은 고대 기념물들을 복원하였다.
7. 역사 지구
로마의 역사 지구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고대 로마 유적부터 중세, 르네상스, 바로크 시대의 건축물까지 다양한 시대의 유산을 간직하고 있다. 콜로세움, 포로 로마노, 판테온, 트레비 분수, 스페인 계단 등 수많은 역사적 명소가 있다.
오늘날 로마는 현대적인 대도시이지만, 도시의 긴 역사를 반영하고 있다. 역사 지구는 고대 로마 제국 시절의 성벽 경계선 내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콜로세움, 로마 포룸, 카타콤같이 지속적으로 발굴되어 대중들에게 공개되고 있는 고대 로마의 고고학 유적들이 존재한다. 이들 구역에는 중세 당시의 것들도 존재하며, 르네상스 시대의 궁전들과 예술 작품, 바로크 시대의 분수, 교회, 궁전 등도 위치해 있고, 아르누보, 신고전주의, 모더니즘, 합리주의 시대의 예술 및 건축물들도 있다. 카피톨리니 미술관, 바티칸 박물관, 보르게세 미술관 같은 박물관 시설 역시도 갖춰져 있다.
역사 지구의 일부는 19세기 이탈리아 통일 (1880–1910) 이후로 재조직되었다. 이탈리아 정부의 중앙화가 촉진한 인구 증가는 새로운 기간 시설과 편의시설 등을 갖추게 했다. 파시스트 시대 기간 이뤄진 상당한 변형들이 이뤄졌으며, 그 예로 비아 데이 포리 임페리알리 조성과 바티칸 앞에 비아 델라 콘칠리아치오네의 조성이었다. 이 대규모 건설 사업들은 옛 보르고 구역에 상당한 파괴를 동반했다. EUR (에스포치오 우니베르살레 로마), 산바실리오(San Basilio), 가르바텔라(Garbatella), 치네치타(Cinecittà), 트룰로(Trullo), 콰르티촐로(Quarticciolo) 같은 새로운 콰르티에리도 형성되었다. 해안 지역으로 인구 유입 물결이 엄청나서 오스티아와 그 주변으로 한 라바로(Labaro), 오스테리아 델 쿠라토(Osteria del Curato), 콰트로 밀리오(Quarto Miglio), 카판넬레(Capannelle), 피사나(Pisana), 토레베키아(Torrevecchia), 오타비아(Ottavia), 카살로티(Casalotti) 등의 마을 등에 재건 활동 등도 있었다.
8. 추가 서적 자료
- 토머스 W. 아프리카(Thomas W. Africa), ''The immense majesty: a history of Rome and the Roman Empire'' (1991), Harlan Davidson, ISBN 978-0-88295-874-3
- 롤로프 베니(Roloff Beny), 피터 건(Peter Gunn), ''The churches of Rome'' (1981), Simon & Schuster, ISBN 978-0-671-43447-2
- 게리 포시스(Gary Forsythe), ''A critical history of early Rome: from prehistory to the first Punic War'' (2005),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ISBN 978-0-520-22651-7
- 테니 프랭크(Tenney Frank), ''An Economic History of Rome'' (2006), Cosimo, Inc., ISBN 978-1-59605-647-3
- 마이클 그랜트(Michael Grant), ''The world of Rome'' (1987), Meridian, ISBN 978-0-452-00849-6
- 그랜트, 마이클. ''History of Rome'' (1997), 좋은 개론서
- 크리스토퍼 히버트(Christopher Hibbert), ''Rome: the biography of a city'' (1985), Penguin, ISBN 978-0-14-007078-1. 386쪽, 좋은 입문서
- 젠킨스, 리처드(Richard Jenkyns), ''The Legacy of Rome: A New Appraisal'' (1992)
- H. H. 스컬라드(H. H. Scullard), ''A History of the Roman World, 753 to 146 BC'' (1961), Psychology Press, ISBN 978-0-415-30504-4, 표준적인 학술 역사서
- 스컬라드, H. H. ''From the Gracchi to Nero: A History of Rome from 133 B.C. to A.D. 68'' (1968), 표준적인 학술 역사서
- 던컨, 마이크(Mike Duncan), ''The History of Rome''
- 매튜 번슨(Matthew Bunson), ''Encyclopedia of the Roman Empire'' (2002), Infobase Publishing, ISBN 978-0-8160-4562-4. 636쪽
- J. B. 캠벨(J. B. Campbell), ''War and society in imperial Rome, 31 BC-AD 284'' (2002), Routledge, ISBN 978-0-415-27881-2
- 하버드 대학교 도서관(Harvard University. Library), ''Ancient history: classification schedule, classified listing by call number, chronological listing, author and title listing'' (1951), Harvard University Library : distributed by Harvard University Press, ISBN 978-0-674-03312-2
- 월터 A. 고파트(Walter A. Goffart), ''Barbarian tides: the migration age and the later Roman Empire'' (2006),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ISBN 978-0-8122-3939-3. Volume 6, Issue 3, Pages 855–883 Online at Wiley-Interscience; 역사학
- 에이드리언 키스 골즈워디(Adrian Keith Goldsworthy), ''How Rome fell: death of a superpower'' (2009), Yale University Press, ISBN 978-0-300-13719-4. 560쪽; 저명한 학자
- 그랜트, 마이클. ''The Roman Emperors: A Biographical Guide to the Rulers of Imperial Rome 31 B.C.-A.D. 476'' (1997)
- Heather, Peter. ''The Fall of the Roman Empire: A New History of Rome and the Barbarians'' (2006) 572쪽
- 포터, 데이비드(Potter, David). ''The Roman Empire at Bay: AD 180–395'' (2004).
- 로저스, 나이젤(Rodgers, Nigel).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the Roman Empire: A complete history of the rise and fall of the Roman Empire'' (2008)
- 로스토프체프, M.(Rostovtzeff, M.) ''The Social and Economic History of the Roman Empire'' (2 vol 1957); 유명한 고전
- 스타, 체스터 G.(Starr; Chester G.) ''The Emergence of Rome as Ruler of the Western World'' (1953)
- 워드-퍼킨스, 브라이언(Ward-Perkins, Bryan). ''The Fall of Rome and the End of Civilization'' (2005) 239쪽.
참조
[1]
문서
Gothic War
Procopius
[2]
문서
http://www.mysteriou[...]
2009-04-22
[3]
서적
The Seven Hills of Rome: A Geological Tour of the Eternal Cit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5
[4]
서적
Rome in the Ancient World: From Romulus to Justinian
https://books.google[...]
Thames & Hudson
2009
[5]
뉴스
Archaeologists' findings may prove Rome a century older than thought
https://www.theguard[...]
2017-02-06
[6]
간행물
Science: Rome: Older Than Ever
http://content.time.[...]
2014-07-26
[7]
웹사이트
A Brief Glimpse into Early Rome – Archaeology Magazine
http://www.archaeolo[...]
2017-02-06
[8]
문서
Ab Urbe Condita
[9]
문서
Ab urbe condita
[10]
문서
Ab urbe condita
[11]
문서
Ab urbe condita
[12]
웹사이트
History of Rome (Italy)
https://web.archive.[...]
2011-07-07
[13]
서적
Roman Antiquities
[14]
서적
Roman Antiquities
[15]
문서
Etruscan Inscriptions and Etruscan Religion
University of Texas Press
2006
[16]
웹사이트
Heritage History eBook Reader
https://web.archive.[...]
[17]
웹사이트
Religion
https://web.archive.[...]
[18]
서적
The Architecture of Roman Temples: The Republic to the Middle Empire
Google books
[19]
서적
Asimov's Chronology of the World
HarperCollins
1991
[20]
서적
The beginnings of Rome
Routledge
1990
[21]
웹사이트
Rome: The Conquest of the Hellenistic Empires
https://web.archive.[...]
[22]
서적
The Celts: A History
Running Press, London
2004
[23]
문서
Lives
[24]
웹사이트
Roman Timeline of the 4th Century BC
http://www.unrv.com/[...]
2011-07-07
[25]
문서
[26]
문서
2007
[27]
문서
Life of Crassus
[28]
웹사이트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Antiquities
http://www.ancientli[...]
2013-02-10
[29]
웹사이트
Mar 15, 44 BC: Julius Caesar Assassinated
https://education.na[...]
2023-12-18
[30]
웹사이트
BBC – History – The Fall of the Roman Republic
https://www.bbc.co.u[...]
2019-12-21
[31]
문서
[32]
서적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the Roman Empire
Lorenz Books
[33]
서적
Daily life in the Roman city: Rome, Pompeii and Ostia
https://archive.org/[...]
Greenwood Press
2011-07-08
[34]
문서
Annals
[35]
웹사이트
Ancient History Sourcebook: Dio Cassius: Nero and the Great Fire 64 AD
http://www.fordham.e[...]
Fordham University
2011-07-08
[36]
웹사이트
Population of Rome
http://penelope.uchi[...]
2009-06-30
[37]
뉴스
'Plague' killed Roman grave dead
http://news.bbc.co.u[...]
2008-09-08
[38]
웹사이트
Five Good Emperors {{!}} Summary, Accomplishments, History, & Fac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1-18
[39]
웹사이트
Pax Romana {{!}} Imperial Age, Mediterranean World & Roman Peace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1-18
[40]
간행물
Third-Century Christian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41]
간행물
Persecutions: Genesis and Legac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42]
논문
Legislation Against the Christians
1968
[43]
서적
The Acts of the Christian Martyrs
Clarendon Press
1972
[44]
논문
"The Early Persecutions and Roman Law Again"
1952
[45]
웹사이트
Pliny the Younger on Christ
http://www.mesacc.ed[...]
Mesa Community College
2015-07-23
[46]
웹사이트
Life of Nero
https://penelope.uch[...]
[47]
문서
Annals
[48]
웹사이트
The First Missionary War. The Church take over of the Roman Empire
http://www.vinland.o[...]
1997
[49]
웹사이트
455 Sack of Rome
http://historystack.[...]
2011-07-08
[50]
백과사전
The Free Dictionary
http://encyclopedia2[...]
2011-07-08
[51]
편지
To Principia
[52]
서적
The Decline of the Ancient World
Lonmans, Green and Co.
1966
[53]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Medieval Europe
Oxford University Press
[54]
학술지
The Building of the Vatican: The Papacy and Architecture
1982–1983
[55]
웹사이트
History of the Later Roman Empire
https://penelope.uch[...]
University of Chicago
[56]
서적
A Traveller in Rome
https://books.google[...]
Hachette Books
2009-04-01
[57]
서적
Rome in the Dark Ages
Constable
[58]
웹사이트
Nicole Demarchi Q&A
https://historyjourn[...]
2024-09-19
[59]
학술지
Between Expiatory Religious Processions and Individual Escapes: Responses to Bubonic Plague Epidemics in the Historiae of Gregory of Tours and Paul the Deacon
https://www.erudit.o[...]
2024-09-19
[60]
서적
Rome, Profile of a City 312–1308
2000
[61]
문서
[62]
웹사이트
Pope Saint Martin I – Saints & Angels
http://www.catholic.[...]
2011-07-08
[63]
백과사전
Pope Saint Martin I
http://www.newadvent[...]
2011-07-08
[64]
서적
Source Book for Mediæval History
Scribners
1905
[65]
웹사이트
The Laws of Liutprand.
http://www.third-mil[...]
[66]
웹사이트
The Situation in the Time of King Liutprand
http://www.third-mil[...]
[67]
서적
A Source Book for Medieval History
Scribners
1905
[68]
웹사이트
Medieval Sourcebook: Einhard: The Life of Charlemagne
http://www.fordham.e[...]
Fordham.edu
2015-07-23
[69]
웹사이트
Medieval Sourcebook: The Donation of Constantine
http://www.fordham.e[...]
Fordham.edu
2008-12-22
[70]
문서
Constitutum domini Constantini imperatoris
[71]
웹사이트
The Cadaver Synod: Strangest Trial in History
http://digitalcommon[...]
2011-07-08
[72]
서적
The Lives of the Popes From The Time of Our Saviour Jesus Christ to the Accession of Gregory VII
https://archive.org/[...]
Griffith Farran & Co.
2008-01-08
[73]
간행물
Sergius III
https://web.archive.[...]
Neff-Kane
[74]
서적
History of Latin Christianity
John Murray
[75]
웹사이트
Sapienza > About us
http://www2.uniroma1[...]
2011-07-08
[76]
웹사이트
The Catholic Encyclopaedia: Holy Year of Jubilee
http://www.newadvent[...]
2011-07-08
[77]
웹사이트
THE AVIGNON PAPACY
http://www.christian[...]
2011-07-08
[78]
문서
The papal monarchy: the Western church from 1050 to 1250
Oxford University Press
[79]
문서
History of Rome in the Middle Ages
Newton & Compton
[80]
웹사이트
Seattle Catholic – The Sack of Rome: 1527, 1776
http://www.seattleca[...]
2011-07-08
[81]
웹사이트
History department – UMBC
https://web.archive.[...]
Umbc.edu
2015-07-23
[82]
뉴스
Europe {{pipe}} Pope's guards celebrate 500 years
http://news.bbc.co.u[...]
2008-11-29
[83]
백과사전
Rome (Italy) :: Evolution of the modern city – Britannica Online Encyclopaedia
https://www.britanni[...]
2022-06-23
[84]
웹사이트
The Catholic Encyclopaedia: Pope Paul IV
http://www.newadvent[...]
2011-07-08
[85]
웹사이트
Pope Paul IV
http://www.nndb.com/[...]
2011-07-08
[86]
서적
The papacy, the Jews, and the Holocaust
https://books.google[...]
CUA Press
2006
[87]
문서
Kertzer
[88]
문서
Kertzer
[89]
웹사이트
The Catholic Encyclopaedia: Pope Pius IX
http://www.newadvent[...]
2011-07-07
[90]
웹사이트
Benito Mussolini {{pipe}} Comando Supremo
http://comandosuprem[...]
2011-07-11
[91]
웹사이트
The Population of Rome — CP 29:101‑116 (1934)
https://penelope.uch[...]
[92]
문서
Döge
[93]
웹사이트
An Excerpt from The Battle for Rome: 'Open City'
http://www.theboot.i[...]
2011-07-07
[94]
문서
Britain and the Vatican During the Second World War
Cambridge University Press
[95]
문서
Chadwick
[96]
문서
Chadwick
[97]
문서
Chadwick
[98]
문서
Chadwick
[99]
웹사이트
La Dolce Vita (1960)
https://www.imdb.com[...]
IMDb
2015-07-23
[100]
웹사이트
rome 1960 Summer Olympics {{pipe}} Olympic Videos, Photos, News
http://www.olympic.o[...]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2011-07-11
[101]
뉴스
The Fifty Most Visited Places in the World
http://www.itvnews.t[...]
ITV News
[102]
문서
Procopius, Gothic War, III.xxii. "In Rome he suffered nothing human to remain, leaving it altogether, in every part, a perfect desert."
[103]
문서
The Seven Hills of Rome: A Geological Tour of the Eternal Cit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04]
서적
Rome in the Ancient World: From Romulus to Justinian
https://books.google[...]
Thames & Hudson
2009
[105]
뉴스
Archaeologists' findings may prove Rome a century older than thought
https://www.theguard[...]
2014-04-13
[106]
웹인용
Science: Rome: Older Than Ever
http://content.time.[...]
1960-11-21
[107]
웹인용
A Brief Glimpse into Early Rome – Archaeology Magazine
http://www.archaeolo[...]
[108]
서적
로마사
[109]
서적
로마사
[110]
서적
로마사
[111]
서적
로마사
[112]
서적
사회계약론
1762
[113]
웹사이트
프랑수아 무덤
http://www.mysteriou[...]
[114]
웹인용
History of Rome (Italy)
http://www.ismarmed.[...]
2021-09-07
[115]
서적
Roman Antiquities
[116]
서적
Roman Antiquities
[117]
서적
Etruscan Inscriptions and Etruscan Religion in The Religion of the Etruscans
University of Texas Press
2006
[118]
서적
Dictionnaire Illustré Latin Français
[119]
웹인용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www.etymonlin[...]
Etymonline.com
2015-07-23
[120]
웹인용
Heritage History eBook Reader
http://example.inval[...]
[121]
웹인용
Religion
http://www.roman-emp[...]
[122]
Google books
The Architecture of Roman Temples: The Republic to the Middle Empire
[123]
서적
Asimov's Chronology of the World
HarperCollins
1991
[124]
서적
The beginnings of Rome
Routledge
1990
[125]
웹인용
Rome: The Conquest of the Hellenistic Empires
http://public.wsu.ed[...]
[126]
웹인용
IHUM-Krimkevich.pdf (application/pdf Object)
http://bootheprize.s[...]
[127]
서적
The Celts: A History
Running Press, London
2004
[128]
서적
Lives
[129]
웹인용
Roman Timeline of the 4th Century BC
http://www.unrv.com/[...]
[130]
웹인용
The Dominance of Greece and Rome – polis, chora, acropolis, agora, latifundia, Atlas of the Roman World – Empire, Roman, Greek, Classical, Greeks, and Century
http://www.jrank.org[...]
[131]
문서
[132]
문서
2007
[133]
문서
Life of Crassus
[134]
웹사이트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Antiquities
http://www.ancientli[...]
[135]
웹인용
BBC – History – The Fall of the Roman Republic
https://www.bbc.co.u[...]
[136]
문서
[137]
서적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the Roman Empire
Lorenz Books
[138]
서적
Daily life in the Roman city: Rome, Pompeii and Ostia
https://archive.org/[...]
Greenwood Press
2011-07-08
[139]
서적
Annals
[140]
웹인용
Ancient History Sourcebook: Dio Cassius: Nero and the Great Fire 64 AD
http://www.fordham.e[...]
2021-09-12
[141]
웹사이트
Population of Rome
http://penelope.uchi[...]
09, 30 June
[142]
뉴스
'Plague' killed Roman grave dead
http://news.bbc.co.u[...]
2008-04-30
[143]
간행물
"Third-Century Christian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4]
웹인용
Pliny the Younger on Christ
https://web.archive.[...]
Mesacc.edu
2015-07-23
[145]
문서
Life of Nero
https://penelope.uch[...]
[146]
문서
Annals
https://en.wikisourc[...]
[147]
웹사이트
'The First Missionary War. The Church take over of the Roman Empire'
http://www.vinland.o[...]
[148]
웹인용
455 Sack of Rome – historystack
http://historystack.[...]
2021-09-15
[149]
백과사전
Alaric, King of the Visigoths definition of Alaric, King of the Visigoths in the Free Online Encyclopedia.
http://encyclopedia2[...]
[150]
문서
Letter CXXVII. To Principia
https://en.wikisourc[...]
[151]
서적
The Decline of the Ancient World
Lonmans, Green and Co. Ltd.
[152]
저널
The Building of the Vatican: The Papacy and Architecture
Winter 1982–1983
[153]
웹인용
J. B. Bury: ''History of the Later Roman Empire'',§4 • Vol. I Chap. XII
https://penelope.uch[...]
[154]
서적
A Traveller in Rome
https://books.google[...]
2009-04-01
[155]
서적
Rome in the Dark Ages
London
[156]
서적
Rome, Profile of a City 312–1308
[157]
문서
Rome, Profile of a City 312–1308
[158]
웹인용
Pope Saint Martin I – Saints & Angels – Catholic Online
http://www.catholic.[...]
[159]
웹인용
CATHOLIC ENCYCLOPAEDIA: Pope Saint Martin I
http://www.newadvent[...]
[160]
서적
Source Book for Mediæval History
New York: Scribners
[161]
웹인용
THE LAWS OF LIUTPRAND.
https://web.archive.[...]
[162]
웹인용
THE SITUATION IN THE TIME OF KING LIUTPRAND
https://web.archive.[...]
[163]
서적
A Source Book for Medieval History
New York: Scribners
[164]
웹인용
Medieval Sourcebook: Einhard: The Life of Charlemagne
http://www.fordham.e[...]
Fordham.edu
2015-07-23
[165]
웹인용
Medieval Sourcebook: The Donation of Constantine
http://www.fordham.e[...]
Fordham.edu
2008-12-22
[166]
문서
[167]
웹인용
The Cadaver Synod: Strangest Trial in History
http://digitalcommon[...]
[168]
저널
The Lives of the Popes From The Time of Our Saviour Jesus Christ to the Accession of Gregory VII
https://archive.org/[...]
Griffith Farran & Co.
2008-01-08
[169]
저널
Sergius III
https://web.archive.[...]
Neff-Kane
[170]
저널
History of Latin Christianity
John Murray
[171]
웹인용
Sapienza > About us
http://www2.uniroma1[...]
[172]
웹인용
CATHOLIC ENCYCLOPAEDIA: Holy Year of Jubilee
http://www.newadvent[...]
[173]
웹인용
THE AVIGNON PAPACY
http://www.christian[...]
[174]
서적
The papal monarchy: the Western church from 1050 to 1250
Oxford University Press
[175]
서적
History of Rome in the Middle Ages
Rome, Newton & Compton
[176]
웹인용
Seattle Catholic – The Sack of Rome: 1527, 1776
http://www.seattleca[...]
2006
[177]
웹인용
History department – UMBC
http://www.umbc.edu/[...]
Umbc.edu
2015-07-23
[178]
뉴스
Europe | Pope's guards celebrate 500 years
http://news.bbc.co.u[...]
2006-01-22
[179]
백과사전
Rome (Italy) :: Evolution of the modern city – Britannica Online Encyclopaedia
http://www.britannic[...]
2011
[180]
웹인용
CATHOLIC ENCYCLOPAEDIA: Pope Paul IV
http://www.newadvent[...]
2009
[181]
웹인용
Pope Paul IV
http://www.nndb.com/[...]
2011
[182]
서적
The papacy, the Jews, and the Holocaust
[183]
서적
[184]
서적
[185]
웹인용
CATHOLIC ENCYCLOPAEDIA: Pope Pius IX
http://www.newadvent[...]
2009
[186]
웹인용
Benito Mussolini | Comando Supremo
http://comandosuprem[...]
2011
[187]
웹인용
The Population of Rome — CP 29:101‑116 (1934)
https://penelope.uch[...]
2011
[188]
문서
[189]
웹인용
An Excerpt from The Battle for Rome: 'Open City'
http://www.theboot.i[...]
2007
[190]
서적
1988
[191]
서적
1988
[192]
서적
1988
[193]
서적
1988
[194]
서적
1988
[195]
웹인용
La Dolce Vita (1960)
https://www.imdb.com[...]
IMDb
2015-07-23
[196]
웹인용
rome 1960 Summer Olympics | Olympic Videos, Photos, News
http://www.olympic.o[...]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2011
[197]
웹사이트
http://www.itvnews.t[...]
2009-1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