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동아시아의 역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아시아의 역사는 인류의 기원, 고대 문명의 발흥, 제국들의 흥망성쇠, 근대 열강의 침략, 그리고 냉전 시대를 거쳐 현재까지 이어지는 복잡하고 다채로운 역사를 포괄한다. 호모 에렉투스 시기부터 시작하여 요하, 황하, 창장 문명 등 다양한 문명이 발달했고, 고조선, 삼국 시대, 신라의 통일 등 한반도의 역사와 중국의 통일 왕조, 일본의 고대 국가 형성 등 다양한 정치적 변동을 겪었다. 유교, 불교, 도교 등 사상이 발전하고, 화약, 인쇄술 등 과학 기술의 발전도 이루어졌다. 근대에는 서구 열강의 침략으로 국제 질서가 변화했고, 냉전 시대를 거치며 분단과 갈등을 겪었지만, 현재는 경제 성장과 교류를 통해 국제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타이완 문제, 북한의 핵 문제, 영토 분쟁 등 해결해야 할 과제도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아시아의 역사 - 관찰사
    관찰사는 중국, 한국, 일본에서 지방 행정 감찰관직으로, 당나라 채방처치사에서 시작되어 관찰처치사로 개칭되며 명칭이 유래되었고, 한국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정착하여 각 도에 파견된 종2품 문관직으로 지방 행정 전반에 걸쳐 권한을 행사했다.
  • 동아시아의 역사 - 전륜성왕
    전륜성왕은 고대 인도에서 이상적인 군주로 여겨진 존재로, 불교, 힌두교, 자이나교에서 각기 다른 의미를 부여받았으며, 특히 불교에서는 법에 따라 세계를 통치하는 이상적인 제왕으로 묘사된다.
동아시아의 역사
개요
지역 범위지리적으로 동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역사적·문화적으로 관련된 주변 지역을 포함
주요 국가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일본
중국
중화민국 (대만)
지리
위치유라시아 대륙 동쪽, 태평양 서쪽
주요 지형산악 지형, 평야, 반도, 섬
기후다양한 기후대 (온대, 냉대, 아열대, 건조 기후 등)
역사
기원황하 문명을 중심으로 시작
고대 국가고조선
부여
삼한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
통일 왕조발해
고려
원나라
명나라
청나라
근대서구 열강의 침략과 개항
현대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립
냉전 시대 거침
경제 성장과 민주화
문화
공통 문화 요소유교
한자
불교
젓가락 문화
쌀 문화
고유 문화각 국가 및 지역별 다양한 문화 존재
경제
특징세계 경제의 중요한 축
제조업, 무역 중심
첨단 산업 발달
주요 산업반도체
자동차
전자 제품
철강
조선업
정치
정치 체제민주주의 공화국
사회주의 국가
입헌군주국
국제 관계복잡한 역사적, 정치적 관계
언어
주요 언어한국어
일본어
중국어
문자한글
한자
가나 (문자)
인구
특징세계에서 인구 밀도가 높은 지역 중 하나
인구 분포도시 지역에 집중
사회
사회 문제저출산 고령화
환경 문제
사회적 불평등
관광
주요 관광지각 국가의 역사 유적지, 자연 경관, 도시 등
기타
동아시아의 날11월 17일
관련 학문 분야동아시아학

2. 역사

동아시아사 연구는 서구에서 동아시아학이 학문 분야로 부상하면서 시작되었다. 19세기 후반 서구에서 동아시아사 교육과 연구가 시작되었고,[3] 미국에서는 베트남 전쟁 전후 아시아계 미국인들이 아시아 중심의 교육 과정을 옹호하면서 더욱 발전했다.

동아시아사는 현재 아시아학의 주요 분야로 남아 있지만, 학문적 연구로서 동아시아사와 동아시아와 다른 지역 간의 상호 작용에 초점을 맞춘 정확한 범위를 정의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었다.[5] 앤드류 아발라힌과 같은 학자들은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가 공통의 뿌리와 역사를 공유하며 다른 세계 지역과는 구별되는 단일 민족 문화권을 형성한다고 주장했다.[6] 역사학자 찰스 홀콤은 유교 사상, 불교의 영향, 젓가락 사용의 준수를 통일된 문화 지역으로서의 동아시아를 정의하는 기준으로 제시한다.[1]

이 지역의 민족주의적 역사가들은 영토 주장을 정당화하고 내부 분쟁을 최소화하기 위해 각 국가의 전통, 문화, 역사의 독특성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4] 사회와 발전에 대한 서로 다른 개념의 영향을 받은 개별 저자들로 인해 상반된 설명이 나타나기도 한다.[4]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일부 학자들은 더 광범위한 지역 및 역사적 틀의 필요성을 강조하게 되었다.[2]

2. 1. 선사 시대

동아시아 지역에는 구석기 시대부터 인류가 거주했으며, 신석기 시대에는 요하 문명, 황하 문명, 창장 문명이 번성했다. 이 문명들은 각각 하플로그룹 N (Y염색체), 하플로그룹 O2 (Y염색체), 하플로그룹 O1 (Y염색체)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46][47][48] 일본 열도에서는 조몬 시대에 독특한 조몬 토기가 제작되었으며, 하플로그룹 D1a2a (Y염색체)가 조몬 문화의 주체로 추정된다.[48] 한반도에서는 구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으며, 신석기 시대에는 빗살무늬토기 문화가 발전했다.

2. 2. 고대

기원전 2070년경 중국에서 최초의 왕조로 여겨지는 하가 건국되었다고 전해진다.[58] 그 후 기원전 1600년경 하를 멸망시키고 상이 건국되어 한자와 청동기를 사용하기 시작했다.[58] 기원전 11세기에 상나라는 로 대체되었다. 춘추 시대에는 유교가 만들어지고 철기를 사용하였다. 기원전 221년 (秦)의 시황제가 중국을 통일하고, 흉노나 북베트남을 정복하여 영토를 넓혔다.

진 멸망 후 기원전 206년에 건국된 (漢)은 무제 때 전성기를 맞이하였다. 남월국과 위만조선을 멸망시키고, 조선에는 낙랑군(樂浪郡)을 설치하여 지배하였다. 한편, 《한서》(漢書)에 따르면 이 시기 일본은 야마토(倭)라 불리었으며, 중국과의 교류도 있었다고 전해진다.

기원전 1세기 말, 한나라는 멸망하고 (新)이 건국되었으나 혁명에 실패하여 다시 후한이 세워졌다. 후한 시대에는 기술이 발전하여 지배력을 회복하였고, 고구려, 부여, 야마토 등으로부터 조공을 받았다. 그러나 이후 황제의 외척(外戚)이나 환관이 권력을 잡으면서 국력이 약해져, 중국은 다시 전란의 시대로 들어섰다.

2. 3. 중세

581년 수나라(隋)가 중국을 통일하면서 남북조 시대가 끝났다. 문제율령을 정비하고 과거 제도를 도입했다. 이 무렵, 왜의 쇼토쿠 태자(聖徳太子)는 수나라와 외교 관계를 맺고 여러 사상을 받아들이며 '아스카 문화 시대'를 열었다. 그러나 수나라는 단기간의 통일로 인해 멸망하고, 618년 당나라(唐)가 건국되었다. 태종은 국력을 강화하여 630년 돌궐을 격파하고, 644년 서역의 고창(高昌)을 점령했다. 당나라는 고구려 정벌을 위해 신라와 동맹을 맺었고, 왜국백제 역시 동맹을 맺었다. 660년 백제가 멸망한 후, 왜국은 백제 부흥을 위해 663년 백강 전투에 참전했으나 나·당 연합군에 패배했다. 668년에는 나·당 연합군이 고구려를 멸망시키고, 당나라는 평양에 도호부를 설치했다. 고구려 유민들은 동북 지방으로 이동하여 발해를 건국했다.[3]

당나라와 신라는 660년 연합군 결성 당시 평양 이남은 신라, 이북은 당나라 영토로 하기로 약속했으나, 당나라가 이를 어기고 백제와 고구려 지역에 웅진도독부, 안동도호부 등을 설치했다. 이로 인해 나당 전쟁이 발발했고, 676년 당나라가 한반도에서 완전히 철수하면서 신라는 대동강에서 함경남도 덕원에 이르는 영토를 확보하며 실질적인 한반도 통일을 이루었다.

8세기, 당나라 수도 장안에는 실크로드를 통해 서역, 인도, 중동의 문물이 유입되었고, 이는 신라, 왜국, 발해에 영향을 주었다. 한편, 701년 왜국은 국호를 일본(日本)으로 변경했다.[3]

신라가 쇠퇴하면서 견훤이 옛 백제 영토를 장악하고 후백제를 건국했고, 궁예는 북쪽에서 후고구려(後高句麗)를 세웠다. 궁예는 스스로를 미륵이라 칭하며 반대 세력을 탄압하고, 905년 수도 이전, 904년 국호를 마진, 911년 태봉으로 변경했다. 918년, 궁예는 자신의 장군들에게 쫓겨나고 왕건이 왕위에 올랐다.[16] 고려 건국 후, 태조 왕건은 신라와 후백제를 차례로 격파하여 936년 삼국을 통일했다.[17] 927년 거란족의 요나라에 의해 발해가 멸망한 후, 발해의 마지막 태자와 지배층은 고려로 피신했고, 태조는 이들을 포용하여 고구려의 두 후계 국가를 통합, 한국의 "진정한 민족 통일"을 이루었다.[17]

13세기 초, 칭기즈 칸몽골 제국을 세워 동아시아 대부분을 정복했다. 1211년부터 몽골군은 화북을 침략했고, 1227년 서하를 정복, 1234년 오고타이 칸은 금나라를 멸망시켰다.

1231년, 몽골은 고려를 침략하여 강화도로 피신한 고려 왕족을 제외한 고려 전역을 점령했다. 고려는 협력파와 저항 세력으로 분열되었으나, 고려 산노대는 1275년까지 저항했다.

1250년대 몽골은 중국 남부의 남송을 침략, 30년 이상 지속된 전쟁으로 수백만 명의 사상자가 발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1271년, 쿠빌라이 칸원나라를 선포했고,[18] 1279년 남송의 마지막 잔존 세력이 패배하며 중국은 원나라 아래 통일되었다. 쿠빌라이 칸과 그의 행정부는 중원으로 이동하여 유교를 수용했다.

1275년, 고려는 원나라에 복속되어 속국이 되었다. 고려 왕족은 몽골 문화를 배우고 원나라 황족과 통혼했다.

일본은 원나라 군대의 위협을 받았고, 1274년 쿠빌라이 칸은 유두현을 임명, 한병과 고려군은 일본으로 1차 원정을 시작했다. 원나라는 두 차례 일본을 침략했으나, 모두 태풍으로 인해 실패했다. 두 차례의 침략 모두 기타큐슈를 점령했지만, 함대는 바다로 쓸려 내려갔다. 당시 원나라 함대는 세계 역사상 가장 큰 규모였다.

일본 가마쿠라 막부는 원나라 군대에 대처하며 병사들에게 보상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이는 국내 무사 집단 간 갈등을 심화시켜 14세기 전반 통치 체제가 붕괴되었다.

2. 4. 근세

1580년경의 명나라


14세기 후반, 명나라원나라를 몰아내고 중국을 재통일했다. 조선은 명나라와 조공 관계를 맺고, 왜구에 대한 대책으로 일본과의 무역을 제한했다. 일본은 무로마치 막부 시대에 명나라와 감합 무역을 진행했다.[18] 16세기 말,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조선 침략(임진왜란)으로 동아시아는 전쟁의 소용돌이에 휩싸였다. 임진왜란은 조선, 명나라, 일본 모두에게 큰 피해를 입혔으며, 이후 일본에서는 에도 막부가 성립되었다. 에도 막부는 쇄국 정책을 실시하여 외국과의 교류를 제한했다. 청나라만주족이 세운 국가로, 조선을 침략(병자호란)하여 복속시키고 중국 대륙을 지배했다.

2. 5. 근현대

19세기, 동아시아는 서구 열강의 침략으로 큰 변화를 겪었다. 청나라아편 전쟁(1839~1842, 1856~1860)에서 패배하여 홍콩 섬을 영국에 할양하고, 상하이, 광저우 등 여러 항구를 개방해야 했다.[30] 이는 불평등 조약의 시작이었다.

일본은 1854년 미국과의 가나가와 조약 체결 이후, 메이지 유신(1868)을 통해 근대화를 추진했다. 중앙 집권적인 근대 정부를 수립하고, 청나라러시아와의 전쟁에서 승리하며 지역 강국으로 부상했다. 타이완과 한반도를 식민지로 삼았다.

대한제국일본의 강압으로 1910년 한일 병합 조약을 체결하고 식민 지배를 받게 되었다.

청나라신해혁명(1911)으로 멸망하고 중화민국이 수립되었으나, 군벌의 난립과 내전으로 혼란이 계속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은 동아시아에서 세력을 확장하려 했고, 중일 전쟁(1937)과 태평양 전쟁(1941)을 일으켰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패배한 일본은 연합국의 점령 통치를 받았다.

한반도는 북위 38도선을 기준으로 남북으로 분단되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대한민국이 각각 수립되었고, 한국 전쟁(1950~1953)으로 분단이 고착화되었다.[40]

중화민국은 중국 내전에서 패배하여 타이완으로 이전하고, 중국 대륙에는 마오쩌둥중화인민공화국을 수립하였다.

2. 6. 현대

냉전 시대에 동아시아는 자본주의와 공산주의 진영으로 나뉘어 대립했다. 1945년 8월 15일 일본이 항복하면서 제2차 세계 대전이 종전된 후, 한반도는 북위 38도선을 기준으로 소련이 북쪽을, 미국이 남쪽을 각각 관할하는 두 개의 점령 지역으로 분할되었다.[40] 1948년 냉전의 긴장으로 인해 점령 지역은 1948년 8월 15일 남한에 대한민국, 1948년 9월 9일 북한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수립되며 두 개의 주권 국가가 되었다.[40] 1950년부터 1953년까지 이어진 한국 전쟁은 교착 상태로 끝났으며, 현재까지 두 개의 한국을 한국 비무장 지대(DMZ)로 분리해 놓았다.[40]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중국 내전이 재개되었다. 1949년 마오쩌둥중화인민공화국을 선포했고, 그 전까지 중국 대륙을 통치했던 중화민국은 대만으로 철수했다. 그 이후로, 중화민국의 관할권은 대만 지역으로 제한되었다.[38][39]

전후 일본의 경제 성장은 흔히 "기적"이라고 불렸다. 섬유 및 의류 산업에서 시작하여 자동차, 전자 제품 및 컴퓨터와 같은 첨단 기술 산업으로 이동하면서 제조업이 이를 주도했다. 1990년대에 접어들면서 30년간의 전례 없는 성장이 둔화되었지만, 일본은 여전히 주요한 세계 경제 강국으로 남아 있다.[37]

3. 동아시아의 사상

유교도교춘추 시대에 각각 공자노자라는 역사적 인물에 의해 시작되었다. 이 두 사상은 서로 경쟁하면서도 상호 보완적인 신념 체계로 기능해 왔다. 유교는 사회 질서와 효를 강조하는 반면, 도교는 의 보편적인 힘과 정신적 안녕을 강조한다.[41][42]

유교는 춘추 시대에 발전한 윤리적이고 철학적인 체계이다. 이후 한나라에서 형이상학적이고 우주론적인 요소가 발전하였다. 진나라 이후 중국에서 법가가 공식적으로 폐지된 후, 유교는 한나라의 공식적인 국가 이념이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나라 이후 대부분의 중국 황제들은 법가와 유교를 혼합하여 통치 교리로 사용했다. 2세기 CE에 한나라가 붕괴되면서 불교와 도교의 구원론적 교리가 그 당시 지적 생활을 지배하게 되었다.

당나라 시대에 유교 부흥이 시작되었다. 당나라 말기에 유교는 불교와 도교의 모델을 따르는 측면을 발전시켰으며, 이것이 점차적으로 오늘날 신유학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이 부활된 형태는 과거의 기반과 송나라사대부 계급의 핵심 철학으로 채택되었다. 유교는 1911년 청나라가 멸망할 때까지 동아시아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이념으로 군림했다.

도교는 기원전 6~5세기에 살았다고 전해지는 반신비주의적 인물인 노자에서 시작되었다. 그의 가르침은 개인의 평온함, 우주의 균형, 그리고 도교의 생명 근원인 도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도교의 최초 조직 형태인 천사도(Celestial Masters')는 (후에 정일도 학교로 알려짐) 2세기 말 오두미도 운동에서 발전했다. 후자는 장도령에 의해 창시되었으며, 그는 142년에 노자가 자신에게 나타났다고 주장했다. 천사도는 215년에 통치자 조조에 의해 공식적으로 인정되었으며, 이는 조조의 권력 상승을 정당화하는 대가였다. 노자는 기원전 2세기 중반에 신으로 황제의 인정을 받았다.

상청파 형태의 도교는 당나라 (618–907) 시대에 다시 중국에서 공식적인 지위를 얻었으며, 당나라 황제들은 노자를 자신의 친척으로 주장했다. 그러나 상청 운동은 4세기에 이미 훨씬 이전에 발전했으며, 364년부터 370년 사이에 양희라는 사람에게 신과 영혼이 일련의 계시를 내린 것을 기반으로 했다.

역사적으로 유교의 강한 영향을 받은 문화와 지역에는 중국 본토, 홍콩, 마카오, 타이완, 일본, 북한, 한국, 그리고 해외 화교가 주로 정착한 싱가포르와 같은 지역이 포함된다. 1905년 과거제 폐지는 공식적인 유교의 종말을 의미했다. 20세기 초의 신문화 지식인들은 중국의 약점을 유교의 탓으로 돌렸다. 그들은 유교를 대체할 새로운 교리를 찾았으며, 이러한 새로운 이념 중 일부는 중화민국의 건국과 함께 "삼민주의", 그리고 중화인민공화국 하의 마오주의를 포함한다.

4. 동아시아의 과학 기술

동아시아는 고대부터 독자적인 과학 기술을 발전시켜 왔다.

1281년, 몽골의 일본 침략 당시 일본군 사무라이를 향해 던져진 몽골의 폭탄.


대부분의 자료는 9세기 중국에서 연금술을 통해 불로불사의 불로장생약을 찾던 연금술사들이 화약을 발견했다고 기록한다.[19] 화약의 발견은 아마도 수 세기에 걸친 연금술 실험의 산물이었을 것이다. 질산칼륨은 서기 1세기 중반에 중국에 알려졌으며, 의약품 등 다양한 조합에 질산칼륨과 유황을 사용했다는 강력한 증거가 있다.[20]

화약에 대한 최초의 언급은 9세기 중반으로 추정되는 도교 문헌인 ''진원묘도요략(Zhenyuan miaodao yaolüe)''의 구절로 추정된다. 13세기에는 화약이 중국에서 시작되어 몽골족에 의해 유럽과 이슬람 세계를 시작으로 세계의 다른 지역으로 퍼져나갔다는 기록이 동시대 기록에 나타난다.

최초로 알려진 활자 인쇄술은 약 1040년경 중국에서 비승(990–1051)에 의해 발명되었다. 세계 최초의 금속활자는 1234년 대한민국에서 발명되었는데, 이는 요하네스 구텐베르크독일에서 인쇄기를 발명하기 210년 전의 일이다. 직지심경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본으로, 1377년 흥덕사에서 간행되었다. 이는 구텐베르크의 "42행 성경"이 1452년부터 1455년까지 인쇄되기 78년 전이다.

5. 동아시아의 국제 관계

진나라가 중국을 통일한 기원전 221년부터 청나라가 멸망한 1911년까지 동아시아의 국제 관계는 주로 중국 왕조, 유목 민족, 그리고 한반도 국가들 간의 상호 작용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한나라흉노와 오랜 기간 대립했으며, 실크로드를 통해 서역과의 교류를 확대했다. 삼국 시대에는 위, , 가 정립했고, 서진이 통일을 이루었으나 곧 오호 십육국 시대의 혼란기로 접어들었다. 북위선비족이 세운 국가로, 불교를 장려하며 북중국을 통일했다.

당나라신라와 동맹을 맺어 백제고구려를 멸망시켰고, 백강 전투에서 백제 부흥군과 왜군을 격파했다. 이후 신라는 통일 신라 시대를 열었다.

10세기당나라, 신라, 발해가 멸망하고, 한반도에서는 후삼국시대를 거쳐 936년 고려가 통일되었다. 발해가 있던 자리에는 거란이 진출하였고, 중국은 오대 십국 시대를 거쳐 960년 북송이 중국을 통일하였다. 일본헤이안 시대에 독자적인 국풍문화(国風文化)를 발전시켰다.[59]

북송은 고려대리국으로부터 조공을 받고 문화를 발전시켰으나, 1004년 거란족의 요나라에게 공격당했다. 1125년 여진족의 금나라와 동맹을 맺어 요나라를 멸망시켰지만, 정강의 변으로 금나라에게 화북 지방을 잃고 남송이 되었다. 남송과 일본 사이에는 다이라노 기요모리 등에 의해 무역이 이루어졌다. 1192년 일본에서는 가마쿠라 막부가 세워져 무사가 정권을 잡았다.[59]

13세기몽골 제국이 세워져 주변을 공격했다. 1234년 남송과 동맹을 맺어 금나라를 멸망시켰고, 1259년 고려를 복속시켰다. 1271년 국호를 이라 하고, 1274년1281년 일본을 침공했으나 실패했다. 1279년 원나라는 남송을 멸망시켜 중국 대륙을 통일했다.[59]

13세기경부터 왜구가 고려와 중국 해안에서 활동했다. 1368년 주원장의 명나라는 원나라를 몽골고원으로 쫓아내고, 1372년부터 해금 정책으로 사무역을 금지했다. 1391년 북원이 멸망하고 한족에 의한 중국 지배 시대가 시작되었다.[60] 1392년 조선이 건국되었고, 조선은 왜구에 대한 대책으로 일본과의 무역을 왜관에서만 이루어지게 했다. 1419년에는 대마도 원정을 펼치기도 했다. 1338년 일본에서는 무로마치 막부가 세워졌다.[59]

명나라는 영락제남경에서 북경으로 천도하고, 1401년 일본에 왜구 단속을 요청하며 명일무역을 시작했다. 1405년 정화의 남해 원정이 이루어졌다. 1592년 도요토미 히데요시임진왜란을 일으켰으나, 정유재란 이후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죽음 등으로 물러났다. 일본에서는 에도 막부가 정권을 잡고 쇄국정책을 실시했다. 조선은 임진왜란으로 국토가 피폐해졌고, 명나라도 힘을 잃기 시작했다.[59]

1636년 만주후금으로 국호를 바꾸고 병자호란을 일으켜 조선을 굴복시켰다. 1644년 청나라는 베이징을 지배하며 중국을 지배하게 되었다.[59]

19세기, 동아시아의 전통적인 국제 질서는 서구 열강의 침략으로 인해 붕괴되기 시작했다. 청나라아편 전쟁에서 패배한 후, 영국프랑스 등 서구 열강과 불평등 조약을 체결해야 했다.[30] 이 조약으로 홍콩 섬이 영국에 할양되었고, 상하이와 광저우를 포함한 여러 항구가 서구 무역에 개방되었다.[30]

청나라제2차 아편 전쟁에서도 패배하여 더욱 굴욕적인 상황에 처했다. 영국프랑스 군대는 베이징을 점령하고 원명원을 파괴하는 등 만행을 저질렀다.[30] 이는 청나라의 권위를 크게 실추시키는 사건이었다.

일본메이지 유신을 통해 근대화를 추진하고, 청일 전쟁러일 전쟁에서 승리하면서 제국주의 국가로 성장했다. 특히 청일 전쟁에서 승리한 후 타이완과 펑후 제도를 할양받고, 한국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했다.

대한민국일본의 강압으로 1910년 한일 병합 조약이 체결되면서 식민 지배를 받게 되었다. 이후 한국인들은 독립을 위해 끊임없이 투쟁했다.

러일 전쟁 이후, 청나라에서는 입헌주의 운동이 일어났다. 1908년, 청나라는 자문 의회와 헌법, 의회 개설 계획을 발표했지만,[35] 이는 오히려 민족주의적 열망을 강화시켜 청나라의 멸망을 앞당기는 결과를 가져왔다.[36]

1840년 아편 전쟁에서 청나라는 영국에 패배하여 1842년 난징조약을 체결했고, 1857년 제2차 아편 전쟁에서도 패배하여 해안 도시들이 조계로 거론되고 홍콩할양했다. 러시아에는 연해주를 할양했다. 청나라는 양무운동을 통해 서양 기술을 도입하려 했으나, 수구파와의 대립으로 어려움을 겪었다.[59]

1853년 미국 함대의 개항 요구로 일본은 1858년 미일 수호 통상조약을 체결했다. 1867년 에도 막부가 막을 내리고, 메이지 유신으로 부국강병과 문명개화를 추진했다. 1875년 운요호 사건을 빌미로 조선에 1876년 조일수호조약을 맺어 개항하게 했다.[59]

1884년 청불 전쟁에서 청나라는 패배하여 베트남프랑스령 인도차이나가 되었다. 1894년 청일 전쟁에서 청나라는 패배하여 시모노세키 조약으로 조선의 독립을 인정하고 요동반도와 타이완 등을 일본에 할양했다. 1897년 조선은 대한제국으로 독립했다.[59]

1899년 의화단 운동이 발생했고, 1900년 청나라는 열강에 선전포고했으나 패배하여 베이징 의정서에 따라 막대한 배상금을 물게 되었다. 러시아 제국만주에 주둔하며 한반도에 영향력을 강화했다. 1904년 러일 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하고, 1910년 한일 병합 조약으로 대한제국을 합병했다. 1911년 신해혁명으로 청나라는 멸망하고 중화민국이 세워졌으나, 군벌에 의한 내전에 휩싸였다.[59]

1931년 만주사변으로 일본은 만주국을 건국했다. 1937년 중일 전쟁이 시작되었고, 1941년 태평양 전쟁에서 일본은 대동아공영권을 주장하며 미국과 맞섰으나, 1945년 항복했다. 만주국은 사라지고, 타이완은 중국에 반환되었으며, 한반도는 연합국의 관리하에 놓였다.[59]

제2차 세계 대전 후, 중국 공산당이 중국 국민당을 몰아내고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을 수립했다. 중화민국 정부는 타이완으로 이전하여 분단국가 상태가 이어지고 있다.[59]

일본은 1946년 일본국 헌법에 의해 민주주의 국가가 되었고, 1951년 일본과 미국 간의 상호 협력 및 안전 보장 조약으로 미일 동맹을 맺었다. 한반도에서는 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세워졌고, 1950년 6·25 전쟁이 발발하여 1953년 휴전했다.[59]

냉전 종식 이후, 동아시아는 경제 발전을 이루어내며 국제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대한민국은 경제 성장과 민주화를 바탕으로 국제 사회에서 위상을 높이고 있다. 중화인민공화국은 경제 발전을 바탕으로 G2 국가로 부상하며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일본은 경제 대국으로서 국제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북한의 핵 문제, 타이완 문제, 역사 갈등, 영토 분쟁 등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가 남아있다. 특히, 독도, 센카쿠 열도(댜오위다오) , 남중국해 등을 둘러싼 영토 분쟁은 동아시아의 평화와 안정을 위협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동아시아 국가들은 상호 협력과 대화를 통해 갈등을 해결하고, 평화와 번영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

5. 1. 개요

기원전 221년, 진나라는 다른 여섯 개의 나라를 정복하여 중국 최초의 통일 왕조를 세웠다. 진 시황제 사후 진나라는 멸망했고, 기원전 206년 한나라가 그 자리를 차지했다. 서기 220년, 한나라는 삼국 시대로 분열되었다. 실크로드로 알려진 일련의 무역로는 한나라 시대에 시작되었다.[1]

진 시황제는 통일된 중국을 절대 권력으로 직접 통치했다. 진나라는 황제에게 직접 보고하는 여러 '군'을 전국에 설치했다. 전국적으로 법가의 정치 철학이 통치술로 사용되었고, 유교와 같은 경쟁 사상을 장려하는 글은 금지되거나 통제되었다. 중국은 강제 노동을 사용하여 최초의 연속적인 만리장성을 건설했으며, 남월 정벌을 통해 북부 베트남을 병합했다. 결국, 반란군이 진나라의 가혹한 통치에 반기를 들고 중국의 지배권을 놓고 내전을 벌였다. 마침내 한나라가 등장하여 4세기 이상 중국을 통치했으며, 신나라에 의해 잠시 중단되었지만 오랜 번영의 시기를 누렸다. 한나라는 유목 민족 흉노와 수세기 동안 끊임없이 전쟁을 벌였고, 결국 부족을 해체했다.[1]

한나라는 유라시아 전역에 부와 사상을 수천 년 동안 전달할 실크로드를 개발하는 데 큰 역할을 했으며, 종이도 발명했다. 한나라는 막대한 군사적, 경제적 성공을 거두었지만, 중앙 정부의 명령을 거부하는 귀족의 부상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대중의 불만은 황건의 난을 촉발시켰는데, 비록 실패했지만 제국의 몰락을 가속화했다. 서기 208년 이후 한나라는 세 개의 경쟁 왕국으로 분열되었다. 중국은 수나라가 들어선 581년까지 분열된 상태로 남았으며, 분열 시대 동안 불교가 처음으로 중국에 전래되었다.[1]

삼국 시대는 위, , 세 왕국으로 구성되었다. 이는 위나라의 지배자 조조가 적벽 전투에서 유비손권에게 패배하면서 시작되었다. 서기 220년 조조가 죽은 후, 그의 아들 조비가 위의 황제가 되었다. 유비와 손권은 각각 촉과 오의 황제를 자칭했다. 화타와 위대한 군사 전략가 제갈량을 포함하여 중국 역사상 많은 유명 인물들이 이 시대에 태어났다. 불교는 한나라 시대에 도입되어 이 시대에 널리 퍼졌다. 서기 263년 위의 촉 정복 후 2년 만에 위나라의 재상 사마염이 위를 전복하고 서진을 세웠다. 서진의 오 정복으로 삼국 시대가 끝나고 중국은 다시 통일되었다. 그러나 서진은 오래가지 못했다. 사마염이 죽은 후 팔왕의 난이 시작되었다. 이 전쟁으로 진나라는 약해졌고 곧 한 왕국에 함락되었다. 이는 오호 십육국 시대를 열었다.[2]

북위는 서기 386년 선비족탁발 씨족이 중국 북부를 통일하면서 건국되었다. 북위 시대에 불교가 번성했으며, 부처의 화신으로 여겨지는 북위 황제들에게 중요한 도구가 되었다. 곧 북위는 동위서위로 분열되었다. 이어서 북주북제가 등장했다. 남쪽 왕조는 북조보다 훨씬 불안정했다. 네 개의 남조는 지배 가문 간의 갈등으로 약해졌다.[2]

5. 2. 근대 이전의 국제 관계

10세기당나라, 신라, 발해가 멸망하고, 한반도에서는 후삼국시대를 거쳐 936년 고려가 통일되었다. 발해가 있던 자리에는 거란이 진출하였고, 중국은 오대 십국 시대를 거쳐 960년 북송이 중국을 통일하였다. 일본헤이안 시대에 독자적인 국풍문화(国風文化)를 발전시켰다.[59]

북송은 고려대리국으로부터 조공을 받고 문화를 발전시켰으나, 1004년 거란족의 요나라에게 공격당했다. 1125년 여진족의 금나라와 동맹을 맺어 요나라를 멸망시켰지만, 정강의 변으로 금나라에게 화북 지방을 잃고 남송이 되었다. 남송과 일본 사이에는 다이라노 기요모리 등에 의해 무역이 이루어졌다. 1192년 일본에서는 가마쿠라 막부가 세워져 무사가 정권을 잡았다.[59]

13세기몽골 제국이 세워져 주변을 공격했다. 1234년 남송과 동맹을 맺어 금나라를 멸망시켰고, 1259년 고려를 복속시켰다. 1271년 국호를 이라 하고, 1274년1281년 일본을 침공했으나 실패했다. 1279년 원나라는 남송을 멸망시켜 중국 대륙을 통일했다.[59]

13세기경부터 왜구가 고려와 중국 해안에서 활동했다. 1368년 주원장의 명나라는 원나라를 몽골고원으로 쫓아내고, 1372년부터 해금 정책으로 사무역을 금지했다. 1391년 북원이 멸망하고 한족에 의한 중국 지배 시대가 시작되었다.[60] 1392년 조선이 건국되었고, 조선은 왜구에 대한 대책으로 일본과의 무역을 왜관에서만 이루어지게 했다. 1419년에는 대마도 원정을 펼치기도 했다. 1338년 일본에서는 무로마치 막부가 세워졌다.[59]

명나라는 영락제남경에서 북경으로 천도하고, 1401년 일본에 왜구 단속을 요청하며 명일무역을 시작했다. 1405년 정화의 남해 원정이 이루어졌다. 1592년 도요토미 히데요시임진왜란을 일으켰으나, 정유재란 이후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죽음 등으로 물러났다. 일본에서는 에도 막부가 정권을 잡고 쇄국정책을 실시했다. 조선은 임진왜란으로 국토가 피폐해졌고, 명나라도 힘을 잃기 시작했다.[59]

1636년 만주후금으로 국호를 바꾸고 병자호란을 일으켜 조선을 굴복시켰다. 1644년 청나라는 베이징을 지배하며 중국을 지배하게 되었다.[59]

1840년 아편 전쟁에서 청나라는 영국에 패배하여 1842년 난징조약을 체결했고, 1857년 제2차 아편 전쟁에서도 패배하여 해안 도시들이 조계로 거론되고 홍콩할양했다. 러시아에는 연해주를 할양했다. 청나라는 양무운동을 통해 서양 기술을 도입하려 했으나, 수구파와의 대립으로 어려움을 겪었다.[59]

1853년 미국 함대의 개항 요구로 일본은 1858년 미일 수호 통상조약을 체결했다. 1867년 에도 막부가 막을 내리고, 메이지 유신으로 부국강병과 문명개화를 추진했다. 1875년 운요호 사건을 빌미로 조선에 1876년 조일수호조약을 맺어 개항하게 했다.[59]

1884년 청불 전쟁에서 청나라는 패배하여 베트남프랑스령 인도차이나가 되었다. 1894년 청일 전쟁에서 청나라는 패배하여 시모노세키 조약으로 조선의 독립을 인정하고 요동반도와 타이완 등을 일본에 할양했다. 1897년 조선은 대한제국으로 독립했다.[59]

1899년 의화단 운동이 발생했고, 1900년 청나라는 열강에 선전포고했으나 패배하여 베이징 의정서에 따라 막대한 배상금을 물게 되었다. 러시아 제국만주에 주둔하며 한반도에 영향력을 강화했다. 1904년 러일 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하고, 1910년 한일 병합 조약으로 대한제국을 합병했다. 1911년 신해혁명으로 청나라는 멸망하고 중화민국이 세워졌으나, 군벌에 의한 내전에 휩싸였다.[59]

1931년 만주사변으로 일본은 만주국을 건국했다. 1937년 중일 전쟁이 시작되었고, 1941년 태평양 전쟁에서 일본은 대동아공영권을 주장하며 미국과 맞섰으나, 1945년 항복했다. 만주국은 사라지고, 타이완은 중국에 반환되었으며, 한반도는 연합국의 관리하에 놓였다.[59]

제2차 세계 대전 후, 중국 공산당이 중국 국민당을 몰아내고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을 수립했다. 중화민국 정부는 타이완으로 이전하여 분단국가 상태가 이어지고 있다.[59]

일본은 1946년 일본국 헌법에 의해 민주주의 국가가 되었고, 1951년 일본과 미국 간의 상호 협력 및 안전 보장 조약으로 미일 동맹을 맺었다. 한반도에서는 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세워졌고, 1950년 6·25 전쟁이 발발하여 1953년 휴전했다.[59]

삼국유사(''삼국유사'')에 따르면 고조선은 기원전 2333년 단군에 의해 건국되었다. 고조선은 요령 지방과 대동강을 따라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켰다. 기원전 108년 한나라 무제가 고조선을 정복하고 4개의 군현을 설치했다. 313년 고구려가 이 지역을 재정복했다.

기원전 58년, 한반도는 백제, 신라, 고구려의 세 국가로 분열되었다. 고구려는 고구려-수 전쟁 등 중국과 끊임없이 전쟁을 벌였다.

신라는 당나라와 동맹을 맺고, 660년 백제를 병합했다. 663년 백강 전투에서 신라-당나라 연합군이 백제 부흥군과 일본 해군을 격파했다. 고구려-당 전쟁에서 신라-당나라 동맹이 승리하여 668년 신라는 한반도 대부분을 통일했다.

기원전 221년 진나라가 중국 최초의 통일 왕조를 세웠다. 진 시황제 사후 기원전 206년 한나라가 그 자리를 차지했다. 서기 220년 한나라는 삼국 시대로 분열되었다. 실크로드는 한나라 시대에 시작되었다.

진 시황제는 법가 철학을 통치술로 사용하고, 만리장성을 건설했으며, 남월 정벌을 통해 북부 베트남을 병합했다. 한나라는 흉노와 전쟁을 벌였고, 실크로드를 개발했으며, 종이를 발명했다.

삼국 시대는 위, , 세 왕국으로 구성되었다. 불교는 한나라 시대에 도입되어 이 시대에 널리 퍼졌다. 서기 263년 위의 촉 정복 후 사마염이 서진을 세웠다. 서진의 오 정복으로 삼국 시대가 끝나고 중국은 다시 통일되었다.

북위는 서기 386년 선비족탁발 씨족이 중국 북부를 통일하면서 건국되었다. 북위 시대에 불교가 번성했다.

불교는 기원전 1세기에 한나라 시기에 네팔에서 중국으로 전래되었다. 372년 한국 불교로 전래되었으며, 6세기 초 일본에 전파되었다.

당나라 시대에 불교는 중국의 주요 종교 중 하나가 되었다. 한국에서 불교는 샤머니즘과 융합되었다. 일본에서는 불교와 신토신불습합 이론으로 결합되었다. 몽골에서는 불교가 몽골 제국 시대와 청나라 시대에 두 번 번성했다.

5. 3. 근대 이후의 국제 관계

19세기, 동아시아의 전통적인 국제 질서는 서구 열강의 침략으로 인해 붕괴되기 시작했다. 청나라아편 전쟁에서 패배한 후, 영국프랑스 등 서구 열강과 불평등 조약을 체결해야 했다.[30] 이 조약으로 홍콩 섬이 영국에 할양되었고, 상하이와 광저우를 포함한 여러 항구가 서구 무역에 개방되었다.[30]

청나라제2차 아편 전쟁에서도 패배하여 더욱 굴욕적인 상황에 처했다. 영국프랑스 군대는 베이징을 점령하고 원명원을 파괴하는 등 만행을 저질렀다.[30] 이는 청나라의 권위를 크게 실추시키는 사건이었다.

일본메이지 유신을 통해 근대화를 추진하고, 청일 전쟁러일 전쟁에서 승리하면서 제국주의 국가로 성장했다. 특히 청일 전쟁에서 승리한 후 타이완과 펑후 제도를 할양받고, 한국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했다.

대한민국일본의 강압으로 1910년 한일 병합 조약이 체결되면서 식민 지배를 받게 되었다. 이후 한국인들은 독립을 위해 끊임없이 투쟁했다.

러일 전쟁 이후, 청나라에서는 입헌주의 운동이 일어났다. 1908년, 청나라는 자문 의회와 헌법, 의회 개설 계획을 발표했지만,[35] 이는 오히려 민족주의적 열망을 강화시켜 청나라의 멸망을 앞당기는 결과를 가져왔다.[36]

5. 4. 냉전 시대의 국제 관계

이전 답변에서 언급했듯이,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냉전 시대의 국제 관계"에 대한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해당 섹션에 대한 위키텍스트를 작성하거나 수정할 수 없습니다. 원본 소스에 해당 내용이 추가되거나 다른 섹션에 대한 작업을 원하시면 다시 요청해주세요.

5. 5. 현대의 국제 관계

냉전 종식 이후, 동아시아는 경제 발전을 이루어내며 국제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대한민국은 경제 성장과 민주화를 바탕으로 국제 사회에서 위상을 높이고 있다. 중화인민공화국은 경제 발전을 바탕으로 G2 국가로 부상하며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일본은 경제 대국으로서 국제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북한의 핵 문제, 타이완 문제, 역사 갈등, 영토 분쟁 등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가 남아있다. 특히, 독도, 센카쿠 열도(댜오위다오) , 남중국해 등을 둘러싼 영토 분쟁은 동아시아의 평화와 안정을 위협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동아시아 국가들은 상호 협력과 대화를 통해 갈등을 해결하고, 평화와 번영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

6. 같이 보기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East Asia: from the origins of civilization to the twenty-first centu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
[2] 서적 Economic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History in the Anthropocene: Perspectives on Asia and Africa Bloomsbury Publishing
[3]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East Asian Studies at Yale University https://ceas.yale.ed[...] 2018-08-15
[4] 서적 East Asia Beyond the History Wars: Confronting the Ghosts of Violence Routledge
[5] 간행물 East Asian Odyssey towards One Region: The Problem of East Asia as a Historiographical Category 2014
[6] 간행물 "Sino-Pacifica": Conceptualizing Greater Southeast Asia as a Sub-Arena of World History 2011
[7] 웹사이트 Key Points across East Asia—by Era 4000 BCE-1000 CE http://afe.easia.col[...] 2023-05-19
[8] 웹사이트 Population of Eastern Asia http://www.worldomet[...] Worldometers 2018-08-16
[9] 웹사이트 Peking Man http://www.amnh.org/[...]
[10] 웹사이트 Homo erectus http://www.nhm.ac.uk[...]
[11] 웹사이트 By Land and Sea. http://www.amnh.org/[...]
[12] 웹사이트 Steppes into Asia. http://www.amnh.org/[...]
[13] 간행물 Early millet use in northern China
[14] 웹사이트 Public Summary Reques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To The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Under Article 9 Of The 1970 Unesco Convention http://exchanges.sta[...] Bureau of Educational and Cultural Affairs, U.S. State Department 2008-01-12
[15] 웹사이트 The Ancient Dynasties http://www-chaos.umd[...] University of Maryland 2008-01-12
[16] 서적 Historia Korei Dialog
[17] 웹사이트 Taejo http://100.naver.com[...]
[18]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19] 문서
[20] 문서
[21] 서적 Ideas: A History of Thought and Invention, from Fire to Freud https://books.google[...] HarperCollins
[22] 서적 The age of wars of religion, 1000–1650: an encyclopedia of global warfare and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11-11-28
[23] 서적 Artillery: its origin, heyday, and decline https://books.google[...] Archon Books
[24] 서적 English artillery, 1326–1716: being the history of artillery in this country prior to the formation of the Royal Regiment of Artillery https://books.google[...] Royal Artillery Institution
[25] 서적 Clubs to cannon: warfare and weapons before the introduction of gunpowder https://books.google[...] Barnes & Noble Books 2011-11-28
[26] 서적 A History of Greek Fire and Gunpowder https://books.google[...] JHU Press 2014-11-21
[27] 서적 Science and Civilisation in China: Volume 5, Chemistry and Chemical Technology, Part 4, Spagyrical Discovery and Invention: Apparatus, Theories and Gift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11-21
[28] 웹사이트 Potassium Nitrate in Arabic and Latin Sources http://www.history-s[...] 2007-07-24
[29] 서적 Ming China, 1368–1644: A Concise History of a Resilient Empire https://www.amazon.c[...] 2011
[30] 문서 Personal narrative of occurrences during Lord Elgin's second embassy to China, 1860 1869
[31] 서적 The Taiping Rebellion 2018
[32] 서적 The Boxer Rebellion: The Dramatic story of China's war on foreigners that shook the world in the summer of 1900 2000
[33] 문서 Revolt Against the West: A Comparison of the Boxer Rebellion of 1900–1901 and the Current War against Terror 2004
[34] 간행물 Revisionism Reconsidered: Kang Youwei and the Reform Movement of 1898
[35] 서적 The Search for Modern China 2012
[36] 논문 "1911: The Unanchored Chinese Revolution." The China Quarterly 2011
[37] 서적 The Cold War in East Asia Routledge 2017
[38] 서적 Eastwards / Westwards: Which Direction for Gender Studies in the 21st Centu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Scholars
[39] 서적 The International Status of Taiwan in the New World Order: Legal And Political Considerations https://books.google[...] Martinus Nijhoff Publishers
[40] 서적 The Korean War: an international histor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7
[41] 서적 Rethinking Confucianism: Past and Present in China, Japan, Korea, and Vietnam UCLA Asian Pacific Monograph Series 2002
[42] 서적 Xiandai Ruxue Lun Global Publishing Co. Inc. 1996
[43] 간행물 The overland dispersal of modern humans to Eastern Asia: An alternative, northern route from Africa Texas A&M University Press 2015
[44] 서적 新日本人の起源 勉誠出版 2009
[45] 서적 DNA・考古・言語の学際研究が示す 新・日本列島史 勉誠出版 2009
[46] 논문 "Y Chromosome analysis of prehistoric human populations in the West Liao River Valley, Northeast China." http://www.biomedcen[...] BMC 2013
[47] 논문 Genetic diversity of two Neolithic populations provides evidence of farming expansions in North China https://doi.org/10.1[...] J Hum Genet 2017
[48] 서적 DNA・考古・言語の学際研究が示す新・日本列島史 勉誠出版 2009
[49] 문서 旗田 1974
[50] 문서 井上 1972
[51] 서적 東アジア世界の近代 岩波書店 2010-12-07
[52] 서적 詳説世界史 山川出版社 2020-03-05
[53] 문서 Reid 1988, 1993
[54] 문서 中野 2008
[55] 서적 軍国日本の興亡―日清戦争から日中戦争へー [中公新書 1232] 中央公論社 1995-03-25
[56] 서적 軍国日本の興亡―日清戦争から日中戦争へー [中公新書 1232] 中央公論社 1995-03-25
[57] 서적 日中戦争 PHP研究所 2008
[58] 문서 은(殷)이라는 이름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59] 문서 하우봉 2010
[60] 문서 하우봉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