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 교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언어 교체는 한 언어 공동체가 다른 언어를 더 높은 지위로 인식하여 일상생활에서 더 많이 사용하게 되면서 발생하는 현상이다. 이는 이중 언어 사용, 언어 충성도 및 사용 빈도의 변화, 언어 소멸 등의 과정을 거쳐 일어난다.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문화적 요인이 언어 교체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며, 역사적으로 웨일스어, 콥트어, 만주어 등이 다른 언어로 대체된 사례가 있다. 인도유럽어족의 확산과 같이 소규모 집단이 더 큰 문화권을 변화시키는 경우도 있으며, 언어 교체는 Y 염색체와 연관성을 보이기도 한다. 언어 교체를 방지하고 소멸 위기에 처한 언어를 복원하기 위한 노력으로 언어 재활성화가 이루어지며, 한국어 역시 언어 교체의 위협에 직면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문화 동화 - 외래어
외래어는 다른 언어에서 유입되어 특정 언어에 정착한 단어 또는 표현으로,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발음, 의미, 형태 등이 변화하고 외국어, 차용어, 부분 바꿈, 번역 차용, 신조어, 뜻 차용 등의 형태로 수용되면서 원래 의미와 다르게 사용되기도 하며, 각 언어는 외래어 수용에 대한 고유한 특징을 가지고 외래어 순화 운동을 통해 사용을 제한하기도 한다. - 문화 동화 - 창씨개명
창씨개명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내선일체를 명분으로 조선인의 성과 이름을 일본식으로 바꾸도록 강요한 황국신민화 정책으로, 천황 중심의 국가 체계에 통합하려는 목적을 가졌다. - 사회언어학 - 지칭어
지칭어는 특정 대상을 명확히 지칭하는 용어로, 한국어에서는 다양한 형태가 존재하며, 프로젝트 관리에서는 참조 조건의 의미로 프로젝트 목표와 범위를 정의하는 데 사용된다. - 사회언어학 - 피진
피진은 서로 다른 언어 사용자 간 의사소통을 위해 만들어진 단순화된 언어로, 문법과 어휘가 제한적이며 모어 화자가 없지만, 널리 사용될 경우 크리올어로 발전하기도 한다. - 언어학 - 에스놀로그
에스놀로그는 세계 언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이며, 7,000개 이상의 언어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언어의 명칭, 화자 수, 지리적 분포, 언어 계통 등을 포함한다. - 언어학 -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은 대규모 언어 모델이 원하는 작업을 정확히 수행하도록 지시사항, 맥락, 입력 데이터 등을 조합하여 최적화된 프롬프트를 설계하는 방법론으로, 컨텍스트 내 학습을 통해 모델의 창발적 능력을 활용하며 텍스트, 이미지, 코드 생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모델 성능 향상에 기여한다.
언어 교체 | |
---|---|
개요 | |
유형 | 언어 변화의 한 유형 |
정의 | 한 언어 공동체가 특정 언어 사용을 중단하고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과정 |
관련 용어 | 언어 사멸 언어 재활성화 언어 보존 코드 전환 |
과정 | |
단계 | 모국어 능력 저하 새로운 언어의 유창성 증가 모국어 사용 영역 축소 최종적으로 새로운 언어만 사용 |
영향 요인 | 경제적 기회 사회적 압력 정치적 지배 문화적 영향력 인구 이동 결혼 교육 |
결과 | |
개인적 결과 | 정체성 변화 사회적 관계 변화 인지 능력 변화 |
사회적 결과 | 문화적 다양성 감소 언어적 다양성 감소 사회적 불평등 심화 |
언어 교체 연구 | |
연구 분야 | 사회언어학 언어 인류학 역사언어학 심리언어학 |
연구 방법 | 설문 조사 인터뷰 참여 관찰 통계 분석 전산 모델링 |
언어 교체 예방 노력 | |
방법 | 언어 교육 언어 정책 언어 운동 언어 기록 |
관련 개념 | |
언어 접촉 | 서로 다른 언어 사용자 간의 상호 작용 |
언어 변화 | 언어의 특징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는 과정 |
언어 사멸 | 언어 사용자가 점차 줄어들어 결국 아무도 사용하지 않게 되는 현상 |
참고 문헌 | |
추가 참고 문헌 | Oxford Research Encyclopedia of Linguistics - Language Shift |
2. 언어 교체의 메커니즘
언어 교체는 한 언어 공동체가 다른 언어를 더 높은 지위의 언어로 인식하고, 그 언어를 일상생활에서 더 많이 사용하게 되면서 발생한다.
2. 1. 이중 언어 사용
2. 2. 언어 충성도 변화
2. 3. 언어 사용 빈도 변화
2. 4. 언어 소멸
3. 언어 교체의 원인
3. 1. 사회적 요인
3. 2. 경제적 요인
도시 환경에서 언어 변화는 사용되는 언어의 다양성, 높은 인구 밀도, 그리고 의사소통의 필요성이라는 세 가지 요인의 조합으로 발생한다.[6] 도시 구어, 도시 접촉 변종, 그리고 다민족 방언은 전 세계 많은 도시에서 나타나는 언어 변화의 결과이다.[6] 이러한 요인들은 방언 평준화, 코이네화, 그리고 지배적인 언어로의 언어 이동과 같은 현상을 야기한다.[6]3. 3. 정치적 요인
3. 4. 문화적 요인
4. 언어 교체의 사례
역사적으로 지위가 바뀐 사례로는 초기 웨일스어와 루터교 성경 성경 번역이 있다.[7]
에티오피아에서는 다양한 기원의 나일어족 집단이 수세기에 걸쳐 언어를 바꾸어 북부 지역의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을 사용하는 이웃들의 언어를 채택했다. 이들 집단 중에는 오늘날 다사나치어를 사용하는 다사나치족이 있다. 다사나치어는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쿠시어파에 속한다. 그러나 현대의 다사나치족에 대한 유전자 분석 결과, 그들은 에티오피아의 쿠시어파 및 셈어족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을 사용하는 집단보다 탄자니아에 거주하는 나일사하라어족 및 니제르콩고어족을 사용하는 집단과 더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사나치족이 원래 포코트족과 공통 기원을 공유하는 나일사하라어를 사용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19세기에 이 두 집단의 나일어족 조상은 각각 다른 이주를 시작한 것으로 여겨지는데, 한 집단은 남쪽으로 아프리카 대호수 지역으로 이동했고, 다른 집단은 에티오피아 남부에 정착했다. 그곳에서 초기 다사나치족 나일족은 쿠시어를 사용하는 집단과 접촉하게 되었고, 결국 이 집단의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언어를 채택했다.[18]
파르티아 제국 역사에서 언어 교체가 두 차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한 번은 제국 건국 이전에 파르니족이 파르티아를 침략하여 결국 그들의 동부 중세 이란어를 잃고 파르티아어를 채택했을 때였고,[54][55] 두 번째는 파르티아 제국 멸망 이후 파르티아어 사용자들이 중세 페르시아어 또는 고전 아르메니아어로 언어를 전환했을 때였다.[56]
- 서유럽: 바스크어 등 (선(先)인도유럽어) → 인도유럽어족
- 이탈리아: 에트루리아어, 오스크어, 움브리아어, 그리스어 등 → 라틴어 (로망스어군)
- 프랑스: 골어 → 속라틴어 (로망스어)
- 핀란드:
- 북부 사미어 → 핀란드어
- 이나리 사미어 → 핀란드어
- 스코트 사미어 → 핀란드어
- 중앙아시아: 인도유럽어족 이란어파 → 튀르크어족
- 이집트: 이집트어 → 이집트 아랍어
- 영국과 아일랜드: 도서 케르트어군 → 영어
- 발칸: 고대 발칸어 → 슬라브어파
- 피그미: "원시 피그미어" → 반투어군
- 하자라족: 몽골어 → 다리어
- 시베리아: 고(古)시베리아어족 → 알타이어족 (튀르크어, 몽골어, 퉁구스어)
- 타이완:
- 타이완어군, 객가어, 민난어 → 관화
- 일본:
- 아이누어 → 일본어
4. 1. 인도유럽어족의 확산
선사 시대와 관련하여, 포스터 등(2004)[4]와 포스터와 렌프루(2011)[5]는 언어 교체의 상관관계가 침입적인 남성 Y 염색체와는 있지만, 침입적인 여성 mtDNA와는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는 점을 관찰했다. 이들은 기술 혁신(예: 수렵 채집에서 농업으로의 전환, 또는 석기에서 금속 도구로의 전환) 또는 군사적 역량(예: 바이킹이 영국 제도에서 아이슬란드로 영국 여성 납치와 같은 경우)이 최소한 일부 남성의 이주를 유발하며, 이 남성들이 지역 남성보다 더 높은 지위를 가진 것으로 인식된다고 결론 내렸다. 그 후, 혼합 언어 결혼에서 아이들은 "더 높은 지위"의 언어를 사용하게 되면서 오늘날 볼 수 있는 언어/Y 염색체 상관관계를 낳게 된다.[4][5]인도유럽어족 이동과 관련하여 소규모 집단이 더 큰 문화권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점이 언급되었다. 미하엘 비첼은 에레트의 모델을 언급하는데, 이는 "문화적 전달의 삼투, 혹은 '당구공' 효과, 또는 맬러리의 'Kulturkugel' 효과"를 강조한다. 에레트에 따르면, 소규모 사회에서는 해당 지역 인구의 문화적, 경제적, 군사적 선택으로 인해 민족성과 언어가 비교적 쉽게 변할 수 있다. 새로운 특징을 가져오는 집단은 처음에는 작을 수 있으며, 기존 지역 문화보다 더 적은 수의 특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결합된 집단은 반복적이고 확장적인 민족 및 언어 변화 과정을 시작할 수 있다.
데이비드 앤서니는 인도유럽어족 언어의 확산이 "사슬형 민족 이동"을 통해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의례 및 정치 엘리트들이 이러한 언어를 도입하고, 이를 더 많은 사람들이 모방함으로써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한다. 앤서니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앤서니는 17세기와 18세기에 언어가 급속히 확산된 우간다 북부의 루오어를 사용하는 아콜리족을 예로 든다. 앤서니는 "인도유럽어족 언어는 아마도 선사 시대 유럽의 부족 사회에서도 유사한 방식으로 퍼졌을 것"이며, "인도유럽어족 족장"과 그들의 "정치적 종속 이데올로기"에 의해 추진되었다고 지적한다. 앤서니는 "엘리트 모집"이 이 시스템에 적합한 용어일 수 있다고 지적한다.
4. 2. 오스트리아 케른텐 주
19세기 중반까지 오스트리아 남부 케른텐은 대부분 슬로베니아어를 사용했다.[8] 1820년대에는 필라흐-클라겐푸르트-디엑스 선 이남 지역 주민의 약 97%가 슬로베니아어를 모국어로 사용했다.[8] 19세기 동안 이 수치는 급감하여, 1920년 케른텐 주민투표 이후, 특히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대부분의 인구가 슬로베니아어에서 독일어로 언어를 전환했다.[8] 오늘날에는 슬로베니아어 사용 인구가 약 13%에 불과하며, 85% 이상이 독일어를 사용한다.[9] 1818년 케른텐 인구의 약 35%가 슬로베니아어를 사용했지만, 1910년에는 15.6%, 2001년에는 2.3%로 감소했다.[9] 이러한 변화는 대부분 인구의 언어 전환에 따른 결과이며, 이민과 나치에 의한 제2차 세계 대전 중의 학살은 미미한 영향을 미쳤다.[9]4. 3. 벨라루스
1991년 벨라루스의 소련 탈퇴 선언에도 불구하고, 벨라루스어 사용은 감소하고 있다.[10] 2009년 벨라루스 인구 조사에 따르면 벨라루스인의 72%가 집에서 러시아어를 사용하며,[11] 벨라루스어는 벨라루스인의 11.9%만이 사용한다.[11] 벨라루스어 사용과 읽기가 가능한 사람은 52.5%이다. 오직 29.4%만이 벨라루스어로 말하고, 읽고, 쓸 수 있다.[11] 벨라루스인 10명 중 1명은 벨라루스어를 이해하지 못한다.[11]4. 4. 벨기에 브뤼셀
지난 두 세기 동안 브뤼셀은 순수하게 네덜란드어를 사용하는 도시에서 프랑스어를 주 언어이자 공용어로 사용하는 이중 언어 도시로 변모했다.[12][13] 이러한 언어 변화는 18세기부터 시작되어 벨기에가 벨기에 혁명으로 독립하고 브뤼셀이 원래 도시 경계를 넘어 확장되면서 가속화되었다. 1880년부터 점점 더 많은 네덜란드어 사용자들이 이중 언어를 사용하게 되었고, 그 결과 1910년 이후 프랑스어만 사용하는 사람들이 증가했다.20세기 중반에 이르러 프랑스어만 사용하는 사람들의 수가 (대부분) 이중 언어를 사용하는 플라망인들을 압도하기 시작했다.[14] 1960년대 이후, 벨기에 언어 경계가 설정되고 플란데르의 사회 경제적 발전이 본격화된 이후에야 네덜란드어 사용이 프랑스어 사용 증가 추세를 억제할 수 있었다.[15] 프랑스어는 여전히 이 도시의 주요 언어로 남아 있으며, 네덜란드어는 소수만이 사용한다.
4. 5. 중국
청나라 시기에는 만주어와 중국어가 공동 공용어 지위를 가졌으나, 대부분의 만주족이 베이징 방언의 만다린어를 사용하게 되면서 만주어는 쇠퇴하였다.[16] 19세기에는 대부분의 만주족이 베이징 방언의 만다린어를 사용했고, 현재 만주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은 100명 미만이다.[16]오늘날 중국 전역에서 언어 변동이 일어나고 있는데, 많은 소수 민족의 언어와 지역 중국어 방언이 쇠퇴하고 있다.[16] 일반적으로 표준 중국어가 확산되는 추세이지만, 광둥성에서는 광둥어의 영향으로 지역 방언과 언어가 광둥어로 대체되고 있다.[16] 투지아어 및 에벤키어와 같은 언어도 언어 변동으로 인해 사라지고 있다.
4. 6. 이집트
콥트어는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이집트어의 후손으로, 7세기의 아랍 정복 이후 사용이 쇠퇴했다.[17] 17세기까지 콥트어는 이집트 아랍어에 의해 구어로서 대체되었다.[17] 오늘날 콥트어는 주로 알렉산드리아 콥트 정교회에서 전례 언어로 사용된다. 시와 오아시스에서는 시위어라는 베르베르어의 방언도 아랍어와 함께 사용된다.4. 7. 핀란드
핀란드는 1944년에 마지막 해안 스웨덴인이 몰락하거나 스웨덴으로 탈출한 에스토니아와 달리 여전히 해안에 스웨덴어를 사용하는 지역이 존재한다.[19] 핀란드는 중세 시대부터 1809년까지 스웨덴 왕국의 일부였기 때문에 교육 언어는 스웨덴어였으며, 핀란드어는 19세기에 들어서야 대학교에서 교육 매체로 사용될 수 있었고, 1858년에 첫 번째 핀란드어 논문이 출판되었다.[19] 여러 해안 도시는 다중 언어 사용 지역이었다. 비푸리에서는 스웨덴어, 핀란드어, 러시아어, 독일어로 된 신문이 발행되었다.[19] 그러나 2차 세계 대전 이전 시대, 특히 전후 시대의 산업화와 1960년대의 "농촌 탈출"은 주요 도시의 인구 구조를 변화시켰고, 핀란드어가 지배적인 언어가 되도록 했다.[19] 헬싱키는 20세기 초까지만 해도 스웨덴어를 주로 사용하는 도시였지만, 현재 스웨덴어를 사용하는 소수 민족은 인구의 약 6%를 차지한다.[19]4. 8. 프랑스
프랑스에서는 알자스어 사용 지역인 알자스에서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프랑스 정부에 의해 학교에서 사용이 금지된 이후 토착 게르만 방언이 쇠퇴하고 프랑스어로 대체되고 있다.[20]1659년과 1678년 사이에 점차 프랑스에 편입된 프랑스 플랑드르는 역사적으로 네덜란드어 사용 지역의 일부였으며, 토착 방언은 서플라망어(프랑스 플라망어)였다.[21] 19세기, 특히 후반기에 네덜란드어는 모든 교육 단계에서 금지되었고, 문화어로서의 기능 대부분을 상실했다.[21] 시골에서는 플라망어 전승이 1930년대 또는 1940년대에 중단되었고, 결과적으로 플라망어를 능숙하게 구사하는 사람들의 대다수는 60세 이상이다.[21] 따라서, 프랑스 플라망어는 수십 년 안에 완전히 소멸될 것으로 예상된다.[21]

프랑스 바스크 지방은 바스크어 사용 공동체에 강한 프랑스어 압력을 받아왔다. 1800년대 후반 바스크어는 국민 공회가 접수되는 동안, 피레네 전쟁 동안, 그리고 나폴레옹 시대 동안 행정 및 공식적인 공공 사용에서 박해받고 배제되었다. 2010년대에는 세스카 네트워크가 주도하는 바스크어 학교(''이카스톨라'')의 설립과 스페인 바스크 지방의 영향으로 쇠퇴 추세가 다소 완화되었다.
브르타뉴에서는 브르타뉴어가 60년 만에 화자의 80%를 잃었다.[22] 1980년대 이후, 단일 언어 사용자(브르타뉴어)는 더 이상 확인되지 않는다. 2015년 10월 27일, 상원은 유럽 지역 또는 소수 언어 헌장 비준에 대한 법안을 거부했다.[24]
코르시카에서는 코르시카어가 오랫동안 이탈리아어와 함께 지역 방언의 혼합물로 사용되었다. 이후 이탈리아어는 1768년 제노바 공화국으로부터 프랑스가 섬을 획득하면서 프랑스어로 대체되었다. 20세기에 언어 전환이 급격하게 일어나 1960년대에는 코르시카어 단일 언어 사용자가 남아 있지 않았다. 1995년까지 섬 주민의 약 65%가 어느 정도의 코르시카어 구사 능력을 갖게 되었고,[25] 10% 정도의 소수가 코르시카어를 모국어로 사용했다.[26]
옥시타니아를 비롯한 여러 지역에서 지역 언어가 쇠퇴하고 프랑스어로 대체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4. 9. 독일 남슐레스비히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에 속한 지역인 남슐레스비히는 제2차 슐레스비히 전쟁까지 덴마크에 속해 있었으며, 17세기부터 20세기 사이에 덴마크어와 북프리지아어 방언에서 저지 독일어, 그리고 이후에는 고지 독일어로 언어가 변화했다.[27][28][29] 역사적으로 이 지역의 대부분은 덴마크어와 북프리지아어 사용 지역이었으며, 남쪽으로는 독일어를 사용하는 홀슈타인과 인접해 있었다. 그러나 16세기 종교 개혁으로 독일어가 교회의 언어가 되었고, 19세기에는 슐레스비히 남부 지역의 학교 언어가 되었다. 이에 더해 독일어를 사용하는 홀슈타인 귀족과 상인들의 영향도 있었다. 독일어는 (가끔) 코펜하겐의 왕실에서도 사용되었다. 이러한 정치적, 경제적 발전으로 인해 점차적으로 독일어가 슐레스비히 남부 지역에서 지배적인 언어가 되었다. 안겔 덴마크어[27]와 아이더슈테트 프리슬란트어와 같은 토착 방언은 사라졌다. 플렌스부르크 지역에서는 덴마크어와 독일어 요소를 결합한 혼합 언어인 페투가 생겨났다. 1851년 (국가화 시대) 덴마크 정부는 언어 변화를 막으려 했지만 장기적으로는 성공하지 못했다. 제2차 슐레스비히 전쟁 이후 프로이센은 행정, 학교, 교회 예배 언어로서 (고지) 독일어 사용을 확대하기 위해 반대 방향으로 여러 언어 정책 조치를 도입했다.[27]
오늘날 덴마크어와 북프리지아어는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에서 소수 언어로 인정받고 있다.
4. 10. 헝가리
쿠만족은 몽골 제국을 피해 헝가리에 정착했고, 이후 헝가리화되었다. 헝가리의 야스인들은 원래 오세트어의 야스 방언을 사용했지만, 이전 언어를 잊고 완전히 헝가리어를 채택했다. 오늘날 헝가리의 영토는 원래 슬라브족이 정착했는데, 이들은 점차 마자르족에게 동화되었다. 또한, 헝가리 선사 시대에도 언어 교체가 일어났을 수 있는데, 마자르족의 선사 문화는 다른 우랄어족 언어 사용자들의 문화와 거의 유사점이 없다.4. 11. 인도
인도에서는 많은 언어가 힌디어, 벵골어 및 기타 행정 언어와 같은 표준 언어로 동화되고 있다.[30][31] 예를 들어, 오스트로아시아어를 사용하는 Bhumij 부족은 2세기 이상 동안 모국어를 거의 포기하고 대신 벵골어와 오디아어를 채택했다. 오늘날, Bhumij어는 인도의 멸종 위기 언어 중 하나이다.4. 12.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다언어, 다민족 국가 중 하나이다.[32] 민족적 다양성으로 인해 도시화와 상관없이 인도네시아의 다른 언어에서 인도네시아어로의 모국어 언어 이동이 발생한다. 도시화와 관계없이 인도네시아어 사용자는 농촌 지역보다 도시 지역에서 더 많이 사용된다. 한 연구에 따르면 언어 이동은 주로 자바인 사이에서, 그리고 자바어가 지배적인 언어인 지역에서 발생하며, 이는 예상과는 다른 결과였다.[6] 또 다른 연구에 따르면 자바 청소년들은 자바어를 구식이며 현대 사회와 양립할 수 없다고 인식하기 때문에 국어인 인도네시아어와 문화만큼 자바어와 문화를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다.[33]4. 13. 아일랜드
아일랜드에서는 도서 케르트어군에 속하는 아일랜드어가 영어로 대체되고 있다. 아일랜드어의 역사에 따르면, 특히 19세기와 20세기에 이러한 언어 교체 현상이 두드러졌다.4. 14. 이스라엘
고대 시대에 예루살렘과 그 주변 지역에서는 가나안어, 페니키아어, 히브리어에서 아람어로 언어 교체가 일어났다. 중세 시대에는 이슬람의 등장으로 아람어에서 아랍어로 언어가 전환되었다. 현대 시대에는 시온주의의 영향으로 예데쉬어, 라디노어, 다양한 유대-아랍어 방언과 같은 유대 언어에서 현대 히브리어로 언어 교체가 일어났다.4. 15. 이탈리아
이탈리아 반도는 포강 유역과 인근 섬을 포함하여 대부분 라틴어에서 파생된 다양한 언어가 존재해왔다. 19세기 후반까지 이탈리아는 정치적으로 여러 국가로 나뉘어 있었다.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부터 중부 이탈리아의 피렌체에서 사용되던 토스카나 방언을 바탕으로 범이탈리아어가 발전하였다. 문화적 명성으로 인해 이 언어는 이탈리아 본토, 시칠리아, 코르시카(프랑스) 등 여러 국가에서 문학, 공식적인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교육 및 공식적인 환경에서 다른 방언을 대체했다. 문학적 피렌체 방언은 1861년 이탈리아 통일 이전부터 이탈리아를 대표하는 방언으로 자리 잡았고, 토스카나는 통일 이전 국가에서 공식적으로 채택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이탈리아어는 전국적으로 일상적인 사용을 위한 공통 언어로 더욱 확산되었다.특정 언어 집단을 제외한 대부분의 다른 언어는 이탈리아어와 함께 지역 방언으로 오랫동안 사용되었다. 이들 방언은 화자들 스스로 "방언"이라고 잘못 부르지만, 일반적으로 이중 언어 스펙트럼에서 표준 이탈리아어만큼이나 사용되며 큰 충돌은 없다. 예를 들어, 이탈리아 북동부의 베네치아어 방언은 이 지역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지역적으로 홍보되고 있다. Il Gazzettino이 2015년에 실시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70%는 가족 내에서, 68%는 친구와 함께 베네치아어를 "매우 또는 꽤 자주" 사용한다고 답했다.[35] 직장에서 사용한다는 응답은 35%로 훨씬 적었다.[35] 그러나 가족 관계와 우정 내 사용 빈도는 각각 -4% 및 -11% 감소하여 이탈리아어로의 느린 변화를 보였으며, 직장 내 사용은 -22% 감소했다.[35] 25세 미만의 학생과 젊은이들은 방언 사용이 절대 다수의 문턱 아래로 떨어진 사회 집단(각각 43% 및 41%)이기 때문에 뚜렷한 세대 차이를 보였다.[35] 베네토와 트리에스테 주의 지역 방언은 여전히 이탈리아어와 함께 널리 사용되고 있다.[36][37] 남부 이탈리아와 시칠리아에서도 이탈리아-달마티아어족에 속하는 지역 방언이 사회적 맥락에 따라 표준 이탈리아어와 함께 널리 사용된다.[37] 캄파니아 (20.7%), 칼라브리아 (25.3%), 시칠리아 (26.6%)에서 이탈리아어가 가족 구성원 사이에서 주로 사용되는 언어로 가장 적게 사용되는 반면, 지역 방언의 사용 빈도는 바실리카타 69.4%, 칼라브리아 68.6%, 캄파니아 75.2%, 시칠리아 68.8%이다.[37]
트렌티노의 침브리아어는 바이에른어와 관련된 게르만어로, 19세기에는 최소 20,000명이 사용했지만 2007년에는 300명 미만으로 감소했다.[38] 모체노어와 발저어도 비슷한 상황이다.[38]
코르시카(프랑스)와 달리, 중세 후반부터 이탈리아어가 다양한 지역 엘리트들이 공유하는 표준 언어였지만, 사르데냐에서는 1760년과 1764년에 피에몬테 공국 출신의 사보이 가문에 의해 스페인어와 사르데냐어 (남부 로망스어군에서 유일하게 살아남은 신 라틴어)를 대체하며 공식적으로 도입되었다.[40][41][42][43] 그 이후 사르데냐인에게 이탈리아어와 문화를 장려하고 강제했기 때문에, 지역 인구의 대다수는 모국어 사용을 줄이고 이탈리아어로 전환했다.[40][41][42][43] 현재 어린이의 13%만이 사르데냐어를 구사할 수 있으며,[44] 주로 문화 유산 언어로 유지되고 있다.[44] 사르데냐어를 일상적인 목적으로 들을 수 있는 인구 밀도가 낮은 몇몇 지역을 제외하고는, 이 섬의 고유 언어는 현재 이탈리아어로 대체되었으며, 언어 접촉은 표준 언어와 약간 다른 지역 이탈리아어의 출현을 초래했다.[44]
4. 16. 리투아니아
역사학자 및 언어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16세기에 리투아니아어가 지배적이었던 지역은 북쪽과 서쪽으로 후퇴했으며, 특히 빌뉴스 주변에서 언어 변화가 나타났다.[45] 언어 변화로 인해 리투아니아어의 민족지학적 경계는 중세 시대부터 1930년대 후반까지 현재 벨라루스의 그로드노주에서 북쪽과 서쪽으로 급격히 축소되어 폴란드어와 벨라루스어가 확산되었다.[45] 프로이센 리투아니아에서는 1800년대 초 리투아니아어가 우세했던 10개의 행정 구역 중 최북단 지역인 클라이페다 지역만이 1910년대에도 상대적으로 리투아니아어 사용 인구가 많았고, 동쪽 및 남쪽 지역은 수백 년 만에 거의 완전히 독일화되었다.[45] 이러한 과정은 주변 사용자들이 리투아니아어를 낮은 지위로 인식했기 때문일 뿐만 아니라 독일 제국과 러시아 제국 정부의 의도적인 정책, 특히 차르 정부의 40년간의 리투아니아어 및 출판 금지령으로 인해 발생했다.[45] 리투아니아 소국에서는 1708년에서 1711년 사이에 발생한 대역병 이후 리투아니아 문화가 쇠퇴하기 시작했으며, 크리스티요나스 도넬라이티스의 시 - 사계가 이 문제를 다루었다.[45] 북부 폴란드의 포들라스키에주에서 중세 시대 동안 리투아니아어 사용 지역은 워므자, 티코친, 비아위스토크 인근까지 이르렀지만, 동화 작용의 결과로 1900년대 이전에 북쪽으로 축소되어 세이니, 푼스크, 비자이니의 시골 외곽까지 이르렀다.[45]
4. 17. 몰타
1930년대 이전에는 이탈리아어가 몰타의 유일한 공용어였지만, 상류층만 사용했고, 몰타어는 하류층이 사용했다. 영어가 몰타어와 함께 공동 공용어로 이탈리아어를 대체했지만, 그 이후 이탈리아어 사용 인구가 증가했지만, 현재는 영어의 증가가 몰타어의 지위를 위협하고 있다. 젊은 세대 사이에서는 영어와 이탈리아어 어휘 패턴을 섞어 새로운 몰타어 단어를 만드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몰타어 단어 "bibljoteka"는 이탈리아어 어미를 사용하여 "library"에서 파생된 "librerija"에 의해 대체되었다. 말테잉글리시는 영어와 이탈리아어를 혼합하는 것 외에도 몰타어 문장에서 영어 단어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추세에 따르면 영어가 점점 더 많은 사람들에게 선호되는 언어가 되고 있으며 몰타어를 변화시키고 있다.4. 18. 파키스탄
우르두어는 남아시아 무슬림의 공용어이자 파키스탄 독립 이후 공식 및 국어로서, 교육받은 대부분의 파키스탄인이 사용한다.[46] 펀자브어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에도 불구하고, 파키스탄 펀자브주의 도시 지역에서는 거의 모든 영역에서 우르두어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47] 파슈툰족과 파키스탄 북부의 다른 소수 민족은 이전의 모국어를 대체하여 우르두어를 사용한다.[48]4. 19. 파라과이
과라니어는 남아메리카 원주민 언어로, 투피-과라니 어족에 속하며, 투피어족의 일종이다.[50][51] 특히 파라과이 과라니(내부명칭 ''avañe'ẽ'' ; '사람들의 언어')는 파라과이의 공용어 중 하나이며 (스페인어와 함께), 인구 대다수가 사용하고 시골 인구의 절반이 단일 언어를 사용한다.[50][51] 과라니어는 아메리카 원주민 언어 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언어 중 하나이며, 원주민이 아닌 사람들도 상당수 포함하는 유일한 언어이다. 이는 아메리카 대륙에서 독특한 예외를 나타내는데, 다른 곳에서는 유럽 식민지 언어로의 언어 전환이 메스티소(혼혈 스페인인과 아메리카 원주민의 후손)와 문화 동화된, 사회적으로 상승하는 아메리카 원주민들의 거의 보편적인 문화 및 정체성 지표였다.파라과이 과라니어는 파라과이 역사 전체에서 민족주의적 자부심의 상징으로 사용되었다. 포퓰리즘 독재자 호세 가스파르 로드리게스 데 프란시아와 알프레도 스트로에스네르는 이 언어를 사용하여 일반 파라과이인들에게 호소했고, 1992년 파라과이 민주주의의 도래 이후 과라니어는 새로운 헌법에 스페인어와 함께 동등한 지위를 가진 언어로 명시되었다.[52] 스페인어와 과라니어의 혼합어인 조파라는 파라과이 인구의 약 90%가 사용한다. 두 언어 간의 언어 전환은 스페인어가 공식 및 비즈니스 관련 문제에 더 많이 사용되는 반면 과라니어는 예술과 일상생활에서 더 많이 사용되는 스펙트럼에서 이루어진다.[53]
4. 20. 필리핀
필리핀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스페인어를 사용하는 가족들이 타갈로그어 또는 영어로 점차 전환하여 스페인어가 더 이상 실용적인 일상 언어가 아니게 되었고 멸종 직전에 놓여 있다.[57]파나이의 키나라야어는 일로일로주 출신의 많은 원어민들이 힐리가이논어로 전환하거나 두 언어를 혼용하면서 점차 소멸되고 있다. 키나라야어는 한때 일로일로 시 주변 외곽 마을에서 사용되었고, 힐리가이논어는 동부 해안과 시내에서만 제한적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미디어 및 도시화와 같은 요인으로 인해 특히 카바투안, 산타 바르바라, 칼리노그, 미아가오, 파시 시, 김발, 티그바우안, 투붕안 등에서 많은 젊은 화자들이 키나라야어에서 힐리가이논어로 전환했다. 자니우아이, 람부나오, 산 호아킨과 같은 많은 마을에는 상당수의 키나라야어 사용 인구가 남아 있으며, 표준 억양은 주로 카라야어를 사용하는 안티케주에서 사용되는 것과 유사하다. 안티케주에서도 수도인 산 호세 데 부에나비스타가 도시화되면서 "힐리가이논화"가 해결해야 할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키나라야어의 문제점 중 하나는 표기법인데, 고유한 "슈와 소리"를 정서법으로 표현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키나라야어는 민도로 섬에서 피나말라얀, 반수드, 글로리아, 봉아봉, 록사스, 만살라이, 불랄라카오와 같은 오리엔탈 민도로의 마을과 사블라얀, 칼린타안, 산 호세, 막사이사이와 같은 옥시덴탈 민도로의 마을에 그 흔적만 남아 있다. 타갈로그어가 이 지역의 표준이자 지배적인 공용어가 되었기 때문이다.
팔라완에는 52개의 지역 언어와 방언이 있으며, 민다나오에는 많은 토착 언어와 방언이 있지만, 비사야 제도와 비사야어군 출신의 사람들이 내부 이주를 하면서 이 섬에서 널리 사용되는 언어가 갑자기 변화했고, 일부 지역 언어는 영향을 받아 본래의 형태를 서서히 잃어가고 있다.
루손에서는 카마리네스 노르테, 카마리네스 수르, 팜팡가주에서 타갈로그어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58] 마찬가지로 다바오 시의 젊은 세대도 세부아노어에서 타갈로그어를 주요 언어로 사용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59]
4. 21. 루마니아
라틴어의 현지화된 버전은 토착민과 로마 국가 간의 오랜 기간에 걸친 상호 작용에서 비롯되었으며, 이는 로마 군대가 271년에 다뉴브강 남쪽 해안에서 철수한 후에도 오랫동안 지속되었다.4. 22. 러시아
예카테리나 2세의 통치 이후, 러시아 정부는 수많은 피지배 민족에 대한 지속적인 러시아화 노력을 기울여 왔다. 오늘날, 러시아어를 제외한 다른 언어 사용자의 비율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4. 23. 싱가포르
1965년 싱가포르의 독립 이후, 싱가포르의 민족 간 공용어는 말레이어에서 영어로 일반적인 언어 변화가 일어났으며, 영어는 싱가포르의 제1 언어로 선택되었다. 싱가포르 화교 사이에서는 다양한 중국 방언에서 영어와 중국어로 언어 변화가 일어났다. 1980년대까지 싱가포르 호키엔어는 싱가포르 화교의 공용어였지만, 현재는 영어와 중국어로 대체되었다. 특히 싱가포르 인구의 젊은 층에서 중국어(표준 중국어 제외) 사용의 전반적인 언어 마모 현상이 나타났다.4. 24. 스페인
카스티야 왕국이 정치적 권력을 얻으면서 레콩키스타를 통해 그 언어가 나머지 언어들을 희생시키면서 확장되는 데 기여했다. 15세기 중반 카스티야의 트라스타마라 왕가가 아라곤 왕관을 계승하면서 아라곤 왕관의 왕실 언어인 아라곤어와 카탈루냐어가 점진적으로 밀려났는데, 이 시기에는 카탈루냐어로 된 발렌시아 문학이 번성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현상이 일어났다. 새로운 스페인 군주 아라곤의 페르디난드 2세의 후원을 받은 네브리하의 ''카스티야어 문법''(1492)은 "제국의 동반자"인 카스티야어를 확장하기 위한 것이었다.카스티야 왕관이 확장되면서 다양한 수준의 정부 관계자들은 피지배자들에게 카스티야어를 사용하거나 이해하도록 요구하고 다른 ''속어'', 즉 토착어를 배제하도록 했다. 이는 소송에서 통역관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았고, 이는 사건의 결과, 예를 들어 바스크 마녀 재판, 그리고 바스크 지역(나바라, 알라바, 등), 카탈루냐, 갈리시아, 아스투리아스, 아라곤 일부 지역 등 많은 지역에서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언어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집회 및 의사 결정 기관, 문서에서 카스티야어의 사용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아라곤어가 피레네산맥 인근 계곡으로 후퇴하면서, 아랍어는 17세기 초에 사라졌는데, 이는 모리스코인의 강제적인 문화 동화와 추방(1614년 완료)이 결합된 결과였다. 부르봉 왕가의 등장(1700)은 정부 구조의 중앙 집중화와 카스티야어를 공식적인 목적으로만 사용하도록 강요하는 것을 강화했고, 1716년에는 카탈루냐어를 관련 영토의 사법 행정 언어로 대체했다(누에바 플란타 칙령). 카탈루냐어와 달리 바스크어는 공식 문서에 사용된 언어는 아니었지만, 마찬가지로 영향을 받았다. 여러 칙령과 명령에 따라 스페인의 카를로스 3세 재위 기간 동안 카스티야어를 "제국의 국어"로 지정하면서 바스크어는 완충 지리적 지역뿐만 아니라 주요 기관에서도 의사 소통 언어로서의 지위를 잃었다. 스페인어를 제외한 다른 언어로 인쇄하는 것은 금지되었고(1766), 학교에서 카스티야어만 가르쳤다(1768).
반도 전쟁 이후 스페인의 중앙 집권화(1812년, 1837년, 1845년, 1856년 등의 헌법)가 이어졌고, 바스크 지역만 1876년까지 별도의 지위를 유지했다. 1856년의 의무 교육은 카스티야어(스페인어)의 사용을 의무화했으며, 일부 사회 및 제도적 환경에서 다른 언어의 사용을 억제하고 금지했다. 프랑코와 그의 민족주의 독재 정권은 모든 공식적인 사회적 상호 작용에 스페인어만을 유일한 유효한 언어로 강요했다(1937). 21세기 초에는 스페인어가 스페인에서 압도적으로 지배적인 언어가 되었고, 바스크어, 카탈루냐어, 갈리시아어는 1980년 이후 각 지역에서 서로 다른 수준의 인정을 받으며 살아남아 발전했다. 아스투리아스어, 아라곤어와 같은 다른 소수 언어도 21세기 초에 어느 정도 인정을 받았다. 언어와 정체성 사이의 강한 연관성(특히 카탈루냐에서)을 공유하는 카탈루냐어는 비교적 안정적인 지위를 누리고 있지만, 많은 카탈루냐어 사용자는 여전히 자국어가 위험에 처해 있다고 생각하며, 이러한 인식으로 인해 예를 들어 ''나는 카탈루냐어를 유지한다''와 같은 카탈루냐어 사용을 장려하는 여러 캠페인이 벌어졌다.[60][61] 바스크어 사용 능력은 지난 수십 년 동안 증가했지만, 일상적인 사용은 그에 따라 증가하지 않았다. 멸종 위기 언어 프로젝트는 아스투리아스어를 위험에 처한 언어로, 아라곤어를 멸종 위기에 처한 언어로 분류했다.
4. 25. 대만
대만 원주민은 다른 민족이 대만을 정복하기 전까지 오스트로네시아어족만 사용했다. 17세기부터 19세기까지 한족의 광범위한 이주 이후, 많은 대만 평원 원주민이 한화되었고, 언어 사용을 다른 시노티베트어족 (주로 대만어 호키엔)으로 전환했다.[62] 일부 객가인도 객가어에서 호키엔(호클로라고도 함)으로 전환했다.[63][64][65]일제강점기 대만에서는 일본어가 공용어가 되었고, 일본 정부는 일본어 교육을 장려했다. 이란 크레올 일본어가 생성되기도 했는데, 이는 일본어, 아타얄어, 호키엔의 혼합어였다.[66]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화 운동 아래, 중국어는 신문과 학교 강의에서 금지되었고, 가정에서 일본어 사용이 장려되어 많은 도시 사람들이 일본어를 사용하게 되었다. 1941년에는 대만인의 57%가 일본어를 할 수 있었다.[63][67][68]
1945년 중화민국 정부가 대만을 통치하게 된 후, 신문과 학교에서 일본어 사용을 금지했고,[69] 표준 중국어를 대중화하기 위해 국어 운동()을 강압적인 수단을 통해 장려했다.[70] 교육 시스템에서, 지역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벌금을 부과받거나 방언 카드를 착용해야 했다. 대중 매체에서도 지역 언어가 억제되거나 금지되었으며, 지역 언어의 로마자 표기에 관한 일부 책 (예: 성경, 가사집, Peh-ōe-jī)이 금지되었다. 1975년에는 라디오 및 텔레비전 법 ()이 채택되어 라디오나 TV에서 지역 언어 사용을 제한했다.[71] 1987년 계엄령이 해제된 후, 국어 운동은 중단되었다.[63][67][70]
객가어를 사용하는 공동체 사이에서 단일 언어인 만다린으로의 전환이 더 두드러졌는데, 이는 객가어의 낮은 사회적 지위 때문이었다. 중국 국민당의 대만 철수 이후, 대부분의 중국 본토 출신은 주로 객가어를 사용하는 지역 근처인 대만 북부에 정착했고, 이는 타이베이 지역 내에서 호키엔어에서 만다린으로의 언어 전환을 촉진했다. 경제 활동이 만다린어를 사용하는 국민당 구성원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면서, 대부분의 객가인은 사회 이동성의 변화로 인해 만다린 단일 언어 사용자가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만 관화는 오늘날 대만에서 가장 흔한 언어가 되었으며, 대만 청소년의 가장 흔한 가정 언어가 되었다.[74] 2010년 인구 조사에서, 만다린은 타이베이 수도권, 타오위안시, 마쭈 열도, 대만 원주민 지역, 일부 객가인 다수 지역, 타이중과 가오슝의 일부 도시 지역에서 가장 흔한 가정 언어이다.[74]
4. 26. 터키
엘리트 문화 지배가 터키어를 아나톨리아 원주민들이 채택하게 된 이유를 설명하는 언어 교체 모델을 제시했다.[75][76]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터키화 정책이 강력하게 추진되면서 무하지르의 언어가 사라지게 되었다.4. 27. 영국
그레이트 브리튼 섬은 북서 유럽 서쪽 가장자리에 위치해 있으며, 여러 차례의 침략 과정을 거치면서 일련의 언어 변화와 발전을 겪어왔다. 기원후 43년 로마인이 도착하여 라틴어의 상부 구조를 도입하기 전에는 켈트어가 지배적이었다. 그 후 5세기부터 앵글로-색슨 방언이 로마-브리튼의 언어의 상당 부분을 잠식했지만, 9세기부터는 잉글랜드 대부분과 스코틀랜드 일부 지역에서 고대 노르드어 방언의 유입으로 도전을 받았다. 11세기의 노르만 침략 이후에는 노르만-프랑스어가 권위 있는 언어가 되었고, 중세 영어는 중세 후기에 점차 게르만 언어 유산을 재확립했다.콘월에서는 콘월어가 영어로 대체되고 있다.[77][78] 스코틀랜드에서는 스코틀랜드 게일어가 스코트어와 스코틀랜드 영어로 대체되고 있으며, 현재 스코틀랜드의 거의 모든 지역에서 지배적인 언어에서 인구의 약 1%만이 사용하는 소멸 위기 언어로 변했다.[77][78] 스코틀랜드 자치가 시작되면서 스코틀랜드 게일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스코틀랜드 의회가 2005년 4월 21일 게일어 (스코틀랜드) 법을 제정하면서 어느 정도 공식적인 인정을 받게 되었다.[77]
런던에서는 코크니 영어가 다문화 런던 영어(MLE) 또는 "자파이칸"으로 대체될 것으로 예측된다.[79][80] 연구자들은 새로운 언어가 새로운 이민자들이 나이지리아 및 파키스탄 영어와 같은 고유한 형태의 영어를 사용하면서 등장했고, 이민자들이 영어를 제2 언어로 배우면서 중간 언어(Interlanguage)의 요소도 포함하고 있다고 이론화한다.[79][80]
4. 28. 미국
1776년 독립 이후 영어는 미국에서 주류 언어였지만, 수백 개의 원주민 언어가 서유럽 정착 이전에 사용되었다.[81] 프랑스어는 한때 루이지애나, 미주리, 퀘벡과의 국경 지역의 주요 언어였지만, 새로운 이주 물결과 영어가 공용어로 부상하면서 사용이 줄어들었다.[81] 캘리포니아 스페인어는 캘리포니아 골드 러시 시대에 소수 언어가 되었으며, 주로 영어와 멕시코 스페인어에 의해 대체되었지만, 주로 북부 및 중부 캘리포니아에서 권위 방언으로 남아 있다.[81] 독일어는 한때 대평원과 펜실베이니아의 광대한 지역에서 주요 언어였지만,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반독일 감정으로 인해 억압되었다.[81] 그러나 현대 영어는 미국에서 널리 사용되며, 수년간의 발전을 통해 이 지역에서 영어의 성장이 이루어졌다.[81]4. 29. 베트남
1975년 사이공 함락으로 베트남 전쟁이 종전된 이후, 프랑스어는 남베트남의 정부 언어이자 주요 교육 언어에서 소수 언어로 축소되어, 상류층과 노년층을 중심으로 사용되는 언어로 쇠퇴했다.[82] 오늘날, 프랑스어는 베트남 인구의 1% 미만이 유창하게 사용한다. 프랑스어에서 베트남어로의 언어 변화는 베트민과 이후 공산주의 정책으로 인해 베트남어를 정치 및 교육 언어로 강제했던 북부에서 먼저 일어났다.[82] 그러나 1990년대 후반부터 베트남에서 프랑스어 사용이 소폭 부활했다.[83]4. 30. 일본
일본에서는 아이누어가 일본어로 대체되고 있다.5. 언어 교체와 유전자
언어 분포는 Y염색체 하플로그룹과 상관관계가 있는 경우가 많다(부계 언어 가설).[85] 같은 계통의 언어임에도 Y염색체가 다른 경우, 대부분은 어느 한쪽 집단에서 언어 교체가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포스터 등(2004)[4]와 포스터와 렌프루(2011)[5]는 선사 시대와 관련하여, 언어 교체의 상관관계가 침입적인 남성 Y 염색체와는 있지만, 침입적인 여성 mtDNA와는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는 점을 관찰했다. 이들은 기술 혁신(예: 수렵 채집에서 농업으로의 전환, 또는 석기에서 금속 도구로의 전환) 또는 군사적 역량(예: 바이킹이 영국 제도에서 아이슬란드로 영국 여성 납치와 같은 경우)이 최소한 일부 남성의 이주를 유발하며, 이 남성들이 지역 남성보다 더 높은 지위를 가진 것으로 인식된다고 결론 내렸다. 그 후, 혼합 언어 결혼에서 아이들은 "더 높은 지위"의 언어를 사용하게 되면서 오늘날 볼 수 있는 언어/Y 염색체 상관관계를 낳게 된다.
예를 들어, 헝가리인의 언어는 우랄어족에 속하지만, 다른 우랄계 민족에게서 고빈도로 나타나는 하플로그룹 N (Y염색체)을 거의 가지고 있지 않으며, 주변의 슬라브인과 동질의 Y염색체 빈도를 보인다.[85] 이는 판노니아 평원에 거주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과거에 헝가리어로의 언어 교체가 일어났음을 나타낸다.
6. 언어 교체의 방지 및 복원
언어 재활성화를 통해 언어 교체를 방지하고 소멸 위기에 처한 언어를 복원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미국 언어학자 조슈아 피시먼은 특정 언어가 얼마나 붕괴되었는지를 평가하여 재활성화에 가장 적합한 방법을 결정하는 언어 전환 역전 방식을 제안했다.[84]
7. 한국어의 언어 교체 위협과 대응
참조
[1]
논문
Modeling language shift
2017-05-09
[2]
웹사이트
Language Shift
https://oxfordre.com[...]
2022-06-06
[3]
서적
Kontaktlinguistik
De Gruyter Mouton
2008-07-14
[4]
서적
Traces of Ancestry
http://www.oxbowbook[...]
[5]
논문
Mother tongue and Y chromosomes
http://www.rootsforr[...]
[6]
논문
Urbanization, ethnic diversity, and language shift in Indonesia
https://www.tandfonl[...]
2022-03-24
[7]
서적
The Bible in Welsh
http://www.joh.cam.a[...]
[8]
간행물
The Slovene Minority of Carinthia
Columbia University Press
1984
[9]
간행물
The Endeavors of Carinthian Slovenes for their Ethnic Survival with/against Austrian Governments after World War II
Mohorjeva založba/Hermagoras Verlag
2008
[10]
논문
Belarusian as an endangered language: can the mother tongue of an independent state be made to die?
https://linkinghub.e[...]
2004-09
[11]
웹사이트
2009 Belarusian Census
https://www.belstat.[...]
2022-07-22
[12]
웹사이트
Wallonie - Bruxelles
http://www2.cfwb.be/[...]
Le Service de la langue française
1997-05-19
[13]
웹사이트
Université Laval: Accueil
http://www.ulaval.ca[...]
[14]
웹사이트
Thuis in gescheiden werelden — De migratoire en sociale aspecten van verfransing te Brussel in het midden van de 19e eeuw - BTNG-RBHC, XXI, 1990, 3-4, pp. 383-412, Machteld de Metsenaere, Eerst aanwezend assistent en docent Vrije Universiteit Brussel
http://www.briobruss[...]
2009-01-01
[15]
웹사이트
De historische kracht van de Vlaamse beweging in België: de doelstellingen van gister, de verwezenlijkingen vandaag en de culturele aspiraties voor morgen
http://www.dbnl.org/[...]
[16]
뉴스
Protesters Stand Firm on Cantonese Rights
http://www.time.com/[...]
2012-04-03
[17]
서적
Coptic: A Grammar of Its Six Major Dialects
"{{google books URL|[...]
Eisenbrauns
2020-11
[18]
논문
Genetic Evidence for Complexity in Ethnic Differentiation and History in East Africa
https://archive-ouve[...]
2009-11
[19]
웹사이트
A photographic leap through time in the Finnish capital
https://finland.fi/l[...]
Finland Promotion Board
2024-06-18
[20]
문서
Le declin du dialecte alsacien
1989
[21]
웹사이트
Dutch/Flemish in the north of France
http://www.multiling[...]
2023-04-13
[22]
웹사이트
Fañch Broudic : "Le breton a perdu 80 % de locuteurs en 60 ans."
http://bretons-mag.c[...]
2015-11-01
[23]
서적
Language issues: Ireland, France and Spain
https://books.google[...]
Peter Lang
2010
[24]
뉴스
Le Sénat dit non à la Charte européenne des langues régionales
http://www.franceinf[...]
2015-11-01
[25]
웹사이트
UNESCO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http://www.unesco.or[...]
[26]
웹사이트
Corsican in France
http://www.uoc.edu/e[...]
Euromosaic
2008-06-13
[27]
서적
Mittelniederdeutsch und heutiges Plattdeutsch im ehemaligen Dänischen Herzogtum Schleswig. Studien zur Beleuchtung des Sprachwechsels in Angeln und Mittelschleswig
Det Kgl. Danske Videnskabernes Selskab
1948
[28]
서적
Die Entwicklung der Sprachverhältnisse im Landesteil Schleswig
Wachholtz
1984
[29]
서적
Language Policy in the Long Nineteenth Century, Catalonia and Schleswig
2016
[30]
논문
Migration and language shift in urban India
https://www.degruyte[...]
1993-01-01
[31]
웹사이트
'There are 600 potentially endangered languages in India… each dead language takes away a culture system'
https://indianexpres[...]
2022-08-13
[32]
서적
Ethnologue. Languages of Asia
https://www.worldcat[...]
2022
[33]
논문
Language Shift among Javanese Youth and Their Perception of Local and National Identities
http://dx.doi.org/10[...]
2019-08-28
[34]
웹사이트
Lingua nazionale: le ragioni del fiorentino
http://www.accademia[...]
Accademia della Crusca
[35]
뉴스
A Nordest il dialetto resiste ma si parla più in famiglia che al lavoro
http://www.ilgazzett[...]
2015-11-01
[36]
웹사이트
Il Nord Est e il dialetto - Osservatorio sul Nord Est - Demos & Pi
http://www.demos.it/[...]
[37]
웹사이트
"L'uso della lingua italiana, dei dialetti e delle lingue straniere"
https://www.istat.it[...]
2015
[38]
서적
Minority Language Planning and Micronationalism in Italy
Peter Lang
2007
[39]
문서
Lo spazio linguistico corso tra insularità e destino di frontiera
Università di Udine
[40]
서적
The Phonology of Campidanian Sardinian: A Unitary Account of a Self-Organizing Structure
Holland Academic Graphics
1998
[41]
문서
S'italianu in Sardìnnia
Iskra
[42]
서적
Sardegna fra tante lingue
Condaghes
2005
[43]
뉴스
La limba proibita nella Sardegna del '700 da Ritorneremo, una storia tramandata oralmente
http://www.meiloguno[...]
2015-11-28
[44]
뉴스
Per salvare i segni dell'identità
La Nuova Sardegna
2010-11-04
[45]
문서
Lenkijos lietuviai
https://www.vle.lt/s[...]
The Great Encyclopedia of Lithuanians
[46]
논문
The ambivalent role of Urdu and English in multilingual Pakistan: a Bourdieusian study
[47]
논문
Role of gender and urban/rural divide in language shift in Pakistani Punjab
https://www.tandfonl[...]
[48]
논문
Language Shift in Northern Pakistan: The Case of Domaakí and Pashto
https://www.jstor.or[...]
[49]
서적
Guaraní-English/English-Guaraní Concise Dictionary
Hippocrene Books
2004
[50]
문서
Guaraní Académico or Jopará? Educator Perspectives and Ideological Debate in Paraguayan Bilingual Education
Working Papers in Educational Linguistics
2006
[51]
뉴스
In Paraguay, Indigenous Language With Unique Staying Power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2-03-12
[52]
뉴스
An Indigenous Language With Unique Staying Power
https://www.nytimes.[...]
2019-02-01
[53]
웹사이트
Guaraní: The Language and People
http://linguistics.b[...]
2019-02-01
[54]
웹사이트
Aparna – Encyclopaedia Iranica
https://www.iranicao[...]
2021-02-20
[55]
문서
Parni#Language
[56]
학위논문
Iranian-Armenian language contact in and before the 5th century CE
https://ora.ox.ac.uk[...]
University of Oxford
2017
[57]
뉴스
Por qué Filipinas no es un país hispanoparlante si fue una colonia de España durante 300 años (y qué huellas quedan de la lengua de Cervantes)
https://www.bbc.com/[...]
2021-01-31
[58]
웹사이트
Language Change: Pinpointing the Culprit
https://www.sinupan.[...]
2019-06-06
[59]
문서
Language use and preference in the multilingual context of Davao City, Philippines
https://www.research[...]
De La Salle University
2021
[60]
논문
Mantinc el català
https://www.elpuntav[...]
2023-02-19
[61]
뉴스
Proposen un repte per potenciar l'ús social del català: estar 21 dies sense "amagar" la llengua
https://www.ccma.cat[...]
Catalunya Ràdio
2023-02-19
[62]
간행물
台灣地區的語言分佈
http://www.ling.sini[...]
2016-04-22
[63]
간행물
《 第一屆台灣本土文化學術研討會論文集》
[64]
간행물
粵籍移民在彰化縣的分佈及其語言特色
國立臺中教育大學
[65]
간행물
史地學術暨錢穆思想研討會《會議手冊暨論文集》
臺北市立教育大學
[66]
간행물
[67]
웹사이트
台灣的語言政策何去何從
http://mail.tku.edu.[...]
2016-04-16
[68]
간행물
日治時期台灣漢文教育的時代意義
[69]
간행물
戰後初期學國語熱潮與國語讀本.
[70]
웹사이트
台灣語言政策大事紀(1895~2007)
http://nmtldig.nmtl.[...]
國立台灣文學館
2016-04-16
[71]
문서
wikisource:zh:廣播電視法 (民國64年立法65年公布)
1975
[72]
간행물
"語文法與人權」座談會"
http://catalog.digit[...]
台灣人權促進會
[73]
간행물
台灣客家運動之政策分析
[74]
간행물
2010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Directorate General of Budget, Accounting and Statistics, Executive Yuan
[75]
학술지
Who Are the Anatolian Turks?
http://www.pop.upenn[...]
2013-10-21
[76]
학술지
Y-Chromosomal Diversity in Europe is Clinal and Influenced Primarily by Geography, Rather than by Language
http://evolutsioon.u[...]
[77]
서적
Gaelic: A Past and Future Prospect
The Saltire Society
[78]
서적
The Celtic Revolution: A Study in Anti-imperialism
Y Lolfa
[79]
뉴스
Cockney to disappear from London 'within 30 years'
https://www.bbc.co.u[...]
2016-11-07
[80]
뉴스
Research shows that Cockney will disappear from London's streets within a generation
http://news.lancs.ac[...]
2016-11-07
[81]
간행물
Middle Childhood Language Arts: Sandy Cabernathy's Third- and Fourth-Grade Classroom
http://dx.doi.org/10[...]
SAGE Publications, Inc.
2023-04-27
[82]
서적
Language, Education and Nation-building
Palgrave Studies in Minority Languages and Communities
[83]
뉴스
The Survival of French Language in Vietnam
http://www.japanandt[...]
2017-08-21
[84]
서적
Reversing language shift: Theoretical and empirical foundations of assistance to threatened languages
Multilingual Matters
[85]
서적
Chomolangma, Demawend und Kasbek: Festschrift für Roland Bielmeier zu seinem 65. Geburtstag (2 vols.)
International Institute for Tibetan and Buddhist Studi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