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중언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중 언어 사용은 둘 이상의 언어를 구사하는 현상을 의미하며, 이 용어는 1830년대 영어에 처음 등장했다. 다중 언어 사용은 이중 언어 표지판, 주석, 마카로니 텍스트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언어 유창성의 정의와 마찬가지로 엄격한 정의와 완화된 정의 사이에서 논쟁이 있다. 다중 언어 화자는 상황, 화제, 상대방에 따라 언어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부호 전환이라고 불린다. 다중 언어 사용은 언어 습득, 인지 능력, 경제적 이점, 심리적 측면 등 다양한 요인과 관련이 있으며, 다언어 사회는 다국어 정책을 통해 여러 공용어를 인정한다. 인터넷, 소프트웨어, 문학, 영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다중 언어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한국 사회에서도 다언어 사용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중언어 - 에스페란토
에스페란토는 루도비코 라자로 자멘호프가 발표한 국제 보조어로, 언어 장벽 해소와 국제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고안되었으며, 쉬운 문법과 유럽어 기반 어휘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계획어이다. - 다중언어 - 외국어
외국어는 자국 공용어가 아니거나 교육과정 외의 언어를 의미하며, 넓게는 모국어가 아닌 모든 언어를 포함하고, 외국어 교육은 다양한 이점을 제공하지만 실제 구사 능력은 기대에 못 미치는 경우가 많으며, 컴퓨터 보조 학습 등 다양한 학습 도구가 활용되고 뇌 기능 향상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가 있다. - 신경언어학 - 베르니케 영역
베르니케 영역은 좌반구 상측두회에 위치한 뇌의 언어 중추로, 청각 및 시각 정보를 분석하여 언어 이해와 단어 의미 부여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손상 시 베르니케 실어증을 유발할 수 있다. - 신경언어학 - 브로카 영역
브로카 영역은 대뇌피질 전두엽의 하전두회에 위치하며 언어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언어 이해 및 행동 인식과 같은 다양한 인지 기능에도 관여하며, 손상 시 브로카 실어증을 유발할 수 있다.
다중언어 | |
---|---|
다중언어 | |
정의 | 여러 언어를 사용하는 능력 또는 사회 현상 |
관련 용어 | 이중언어 사용 삼중언어 사용 외국어 학습 언어 습득 |
개인적 다중언어 | |
정의 | 개인이 여러 언어를 구사하는 능력 |
관련 용어 | 이중언어 구사자 다중언어 구사자 폴리글롯 (언어학) |
습득 방법 | 자연스러운 습득 (유아기 노출) 의식적인 학습 (학교 교육 등) |
능력 수준 | 유창성 제2언어 습득 모국어 화자 |
사회적 다중언어 | |
정의 | 특정 지역이나 국가에서 여러 언어가 사용되는 현상 |
관련 요인 | 이민 국제 교류 식민지 역사 소수 언어 보호 정책 |
사회언어학적 측면 | 언어 정책 언어 계획 언어 보존 언어 간섭 |
다중언어 교육 | |
목적 | 언어 능력 향상 문화 이해 증진 인지 능력 발달 사회 통합 촉진 |
교육 방법 | 이중 언어 교육 몰입 교육 외국어로서의 영어 (EFL) 제2언어로서의 영어 (ESL) |
다중언어의 장점 | |
인지적 이점 | 문제 해결 능력 향상 창의성 증진 주의 집중력 향상 인지적 유연성 증가 |
사회문화적 이점 | 문화 간 이해 증진 취업 기회 확대 국제 교류 활성화 개방적인 사고방식 함양 |
다중언어 관련 연구 | |
연구 분야 | 인지 언어학 신경 언어학 사회 언어학 응용 언어학 |
연구 대상 | 다중언어 구사자의 뇌 활동 언어 간의 상호 작용 다중언어 교육 효과 언어 정책의 영향 |
2. 역사
다중 언어 사용 현상은 인류 역사에서 다양한 언어가 존재해 온 만큼이나 오래된 현상이다.[10] 영어 단어 "multilingual"은 "multi-"(많은)와 "-lingual"(언어에 관한)이 결합된 형태로, 1830년대에 처음 기록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9]
다언어화자(polyglot|폴리글롯영어)는 둘 이상의 언어를 사용할 수 있는 사람을 의미한다. 특히 두 개의 언어를 구사하는 사람을 이중언어화자(bilingual|바이링구얼영어), 세 개의 언어를 구사하는 사람을 삼중언어화자(trilingual|트라이링구얼영어)라고 부른다.
다언어 화자는 둘 이상의 언어를 사용하여 능동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사람을 의미한다. 특히 두 언어 구사자는 이중 언어 구사자(bilingual영어), 세 언어 구사자는 삼중 언어 구사자(trilingual영어)라고 부른다. 일반적으로 여러 언어를 구사하는 사람을 폴리글롯(polyglot영어)이라고 칭하며, 이는 취미로 여러 언어를 배우는 사람을 가리키기도 한다.[38][39]
역사적으로 다중 언어 사용의 증거는 여러 형태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특정 텍스트에 다른 언어로 설명을 덧붙이는 주석, 독자가 두 가지 이상의 언어를 이해할 것을 전제로 여러 언어를 섞어 쓴 마카로니 텍스트 등이 있다. 또한, 교회 라틴어와 속 라틴어, 또는 히브리어와 아람어 및 유대 언어처럼 종교 의례나 학문 등 특정 목적을 위한 신성 언어와 일상적인 소통을 위한 통용 언어가 분리되어 사용된 경우도 다중 언어 환경의 한 예이다. 언어 간의 차용이나 언어 접촉의 다양한 결과 역시 역사 속 다중 언어 사용의 흔적이다.[11] 오늘날에는 여러 언어로 동일한 내용을 표기하는 이중 언어 표지판 등에서도 다중 언어 사용의 증거를 찾아볼 수 있다.
3. 정의
하지만 어느 정도 수준의 언어 능력을 갖춰야 다중언어화자로 정의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언어 유창성의 정의와 마찬가지로 논쟁의 여지가 있다. 단순히 기본적인 의사소통이 가능한 수준부터, 엄격하게는 둘 이상의 언어에 대해 원어민과 동등한 수준의 지식과 통제력을 갖춘 상태까지 다양한 정의가 존재한다. 간단한 일상 회화 정도가 가능한 경우는 일반적으로 다중언어화자로 보지 않는 경향이 있다.
비비안 쿡은 1992년부터 대부분의 다중언어 사용자는 이러한 최소 정의와 최대 정의 사이의 어딘가에 속한다고 주장하며, 이들을 '다중 역량자(multi-competent|멀티컴피턴트영어)'라고 불렀다.[12][13] 이는 한 개인 안에 여러 언어 체계가 공존하며 상호작용하는 인지 상태를 가리킨다.
더 나아가, 무엇이 별개의 '언어'를 구성하는지에 대한 일관된 정의 또한 존재하지 않는다.[14] 어떤 언어 변이형이 독립된 언어인지, 아니면 특정 언어의 방언인지 구분하는 것은 순수하게 언어학적인 문제만이 아니라, 정치적, 사회적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자들 사이에서는 스코트어가 고유한 언어인지 아니면 영어의 방언인지에 대해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15]
정치적 상황 변화에 따라 언어의 지위가 바뀌는 경우도 있다. 한때 유고슬라비아에서는 동부 헤르체고비나 방언을 기반으로 여러 남슬라브어군 방언들을 아우르는 세르보크로아트어를 표준 언어로 사용했으나, 유고슬라비아가 해체된 후에는 정치적인 이유로 세르비아어, 크로아티아어, 보스니아어, 몬테네그린어 등으로 분리되었다. 또 다른 역사적 사례로, 러시아 제국 시대에는 우크라이나의 민족적 정체성을 억압하기 위해 우크라이나어를 독립된 언어가 아닌 러시아어의 방언으로 간주하기도 했다.[16]
4. 다언어 화자
어느 정도 수준의 언어 능력을 갖춰야 다언어 화자로 볼 것인지에 대한 명확한 기준은 없으며, 간단한 일상 회화 정도로는 다언어 화자로 보지 않는 경우가 많다. 다중 언어 사용의 정의는 언어 유창성의 정의와 마찬가지로 논쟁의 대상이 된다. 비비안 쿡은 대부분의 다중 언어 사용자가 최소 정의와 최대 정의 사이 어딘가에 속한다고 보며, 이들을 다중 역량(multi-competence영어)을 가진 사람으로 보았다.[12][13]
무엇이 별개의 언어인지에 대한 정의 역시 모호하다.[14] 예를 들어, 스코트어가 고유한 언어인지 영어의 방언인지에 대한 논쟁이 있으며,[15] 정치적인 이유로 언어의 지위가 바뀌기도 한다. 세르보크로아트어는 여러 남슬라브어 방언을 아우르는 표준 언어로 만들어졌으나, 유고슬라비아 해체 후 세르비아어, 크로아티아어, 보스니아어, 몬테네그린어로 분리되었다. 또한 과거 러시아 차르가 우크라이나어를 러시아 방언으로 간주했던 사례도 있다.[16]
다언어 화자는 상황, 화제, 상대방에 따라 언어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며, 대화 중에 언어를 바꾸는 현상을 코드 스위칭(code-switching영어)이라고 한다. 이는 사회언어학의 주요 연구 주제 중 하나이다.
이 사진은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촬영되었다.
다언어 화자는 일반적으로 자신이 구사하는 모든 언어를 말할 수 있지만(무언 다중 언어 구사자 제외[36]), 말하는 모든 언어를 쓸 수 있는 것은 아니다.[37] 어린 시절부터 두 언어를 함께 습득한 경우 동시 이중 언어 구사자라고 하며, 이 경우에도 보통 한 언어가 더 우세하다.[40] 반대로, 여러 언어를 알던 사람이 시간이 지나면서 일부 언어 능력을 잃는 현상을 언어 마모라고 한다. 특히 어린 나이에 다른 언어 환경으로 옮겨간 경우, 모국어(L1)를 완전히 잊고 새로운 언어가 사실상의 모국어가 되는 경우도 있다.[41][42]
수용적 이중 언어 구사자는 제2 언어를 이해할 수는 있지만 유창하게 말하지 못하는 사람을 의미한다.[27] 이는 이민 가정 등에서 나타날 수 있으며, 부모는 모국어를 사용하고 자녀는 다른 언어(예: 영어)로 대답하는 방식으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두 언어 환경에서 자랐으나 두 언어 모두 해당 연령의 기대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세미링구얼 또는 더블 리미티드라고 부르기도 한다.[116][117][118][119][120] 일상 대화 능력(BICS)은 갖췄더라도 추상적 사고나 학습에 필요한 언어 능력(CALP)이 부족하여 학업 등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5~6개 언어까지 구사하는 사람도 있지만, 그 이상은 드물다.[76][39] 11개 이상[77] 또는 6~8개 이상[76][78] 언어를 구사하는 사람을 초다언어 구사자(hyperpolyglot영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탈리아의 주세페 카스파르 메초판티 추기경은 30개에서 72개에 이르는 언어를 구사했다고 알려져 있다.[39][78]
드물게 서번트 증후군을 가진 사람 중 언어에 비범한 능력을 보이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지적 장애가 있었지만 16개 언어를 배운 크리스토퍼의 사례가 보고된 바 있다.[81][82][83]
4. 1. 다언어 화자가 되는 요인
다언어 화자가 되는 계기는 개인적인 이유와 사회적인 이유로 나눌 수 있다.
개인적인 이유로는 가족의 이민이나 업무상 해외 체류 등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다른 언어 환경에 노출되는 경우가 있다.[116] 예를 들어, 단일 언어 사용이 일반적인 사회에 온 이민자나 외국인 노동자가 현지 언어를 배우게 되는 상황이 이에 해당한다.
사회적인 이유로는 여러 언어 공동체가 하나의 국가를 이루며 공존하는 환경을 들 수 있다. 스위스나 벨기에가 대표적인 예시이다.[116] 이러한 국가에서는 일상생활에서 여러 언어가 사용되므로 다중 언어 구사 능력이 자연스럽게 요구된다.
또한, 국제 교류의 활성화 역시 다중 언어 사용을 촉진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오늘날 많은 국가의 학생들은 국제적인 상호 작용 증가로 인해 여러 언어를 배우도록 장려받거나 요구받는다.[17] 예를 들어 핀란드에서는 모든 학생이 최소 3개 언어(핀란드어, 스웨덴어, 외국어 1개)를 배우며, 필요에 따라 독일어나 러시아어 등을 추가로 학습하기도 한다.[18] 인도와 같이 다양한 언어가 공존하는 국가에서는 지역에 따라 여러 언어를 배우는 것이 일반적이다.
국제 관계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특정 언어가 공용어 역할을 하는 경우도 다중 언어 사용을 확산시킨다. 특히 영어가 세계적인 공용어로 자리 잡으면서, 공식 언어가 하나인 국가에서도 영어를 구사하는 이중 언어 사용자가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스칸디나비아 국가, 베네룩스 3국, 독일어 사용 국가 등에서 두드러지며, 점차 다른 지역으로도 확산되는 추세이다.[19]
4. 2. 언어 습득
언어학자 노엄 촘스키는 인간에게 선천적으로 언어 습득 장치(LAD, Language Acquisition Device)가 내재되어 있어, 이를 통해 주변에서 사용되는 언어의 규칙과 특징을 습득하고 재현할 수 있다고 보았다.[20] 촘스키는 이 장치가 사춘기 이후 점차 약화되어, 일부 청소년이나 성인이 제2언어(L2)의 특정 측면, 특히 발음 등을 배우는 데 어려움을 겪는 원인이 된다고 설명했다. 이는 언어 습득에 결정적 시기 가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반면, 스티븐 크라센과 같은 학자들은 언어 학습이 언어 습득 장치보다는 일반적인 인지 과정의 일부라고 주장한다. 이 관점에서는 모국어 습득과 제2언어 습득 사이에 질적인 차이보다는 정도의 차이만 존재한다고 본다.
연구에 따르면, 제2언어를 더 어린 나이에 배울수록 발음 측면에서 원어민에 가깝게 구사할 가능성이 높다는 결과가 있다. 로드 엘리스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인용하며 나이의 중요성을 언급했다. 유럽의 학교들은 지리적 인접성으로 인해 학생들에게 조기에 제2외국어 교육을 제공하는 경우가 많으며, 유럽 연합은 최소 두 개의 외국어를 배우도록 권장하고 있다.[21] 앤 파스만의 연구에서는 제2언어 학습 속도에는 나이에 따른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문법이나 통사 구조 등의 습득 순서 자체는 나이에 따라 크게 변하지 않는다고 보고했다.[22]
제2언어 학습 과정에서 학습자들은 종종 모국어와 모국 문화의 영향으로 인해 목표 언어로 사고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로버트 B. 카플란은 외국인 학생들이 글을 쓸 때, 모국어의 수사 방식이나 사고 순서를 따르기 때문에 목표 언어 사용자에게는 글의 초점이 명확하지 않게 보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23] 즉, 문법 구조를 익혔더라도 효과적인 글쓰기(주제 설정, 논지 전개 등)에는 다른 차원의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는 것이다. 카플란은 논리와 수사법이 문화에 따라 다르며 보편적이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라고 설명했다.[23][24]
여러 언어를 배우는 과정에서는 언어 전이 현상이 나타난다. 긍정적 전이는 새로 배우는 언어의 문법이나 어휘가 이미 알고 있는 언어와 유사할 때 학습이 촉진되는 것을 말한다. 반대로 부정적 전이(언어 간섭)는 모국어의 규칙이나 습관이 새로운 언어 학습을 방해하는 경우를 의미한다.[25]
또한, 언어 전환(Translanguaging)은 학습자가 가진 여러 언어 자원을 활용하여 서로 연결하고 의미를 구성함으로써 새로운 언어 발달을 돕는 과정을 말한다. 이는 제2언어 학습 과정에서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4. 2. 1. 습득 순서
언어를 배우는 순서에 따라 크게 순차적 이중 언어 습득과 동시적 이중 언어 습득으로 나눌 수 있다.
순차적 이중 언어 습득은 모국어에 대한 기본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갖춘 후에 제2언어(L2)를 배우기 시작하는 경우를 말한다. 예를 들어, 어린 시절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국가로 이민을 가거나, 집에서는 모국어만 사용하다가 다른 언어로 교육하는 학교에 입학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29] 일부 연구자들은 아이가 모국어에 대한 기본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갖추는 시기를 만 3세 정도로 보기도 한다(Kessler, 1984).[29] 순차적 습득 과정에서 아이들은 먼저 모국어로 기본적인 문해력("임계값" 문해 능력)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며, 이후 제2언어를 배우게 된다. 순차적 습득 과정은 아이들마다 매우 다르고 동시적 습득보다 덜 선형적이며, 더 복잡하고 긴 과정일 수 있다. 하지만 언어 발달에 지연이 없는 아이가 두 언어 모두에 대해 충분하고 적절한 언어적 자극을 받는다면, 동시적 이중 언어 사용자보다 반드시 유창성이 떨어진다고 볼 수는 없다.[30]
동시적 이중 언어 습득은 영아기부터 모국어와 제2언어(지역 사회 언어 등)를 동시에 배우는 경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부모가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거나 다언어 환경에서 자라는 아이들이 해당된다. 이 방식의 장점은 아이가 처음부터 두 언어 모두에서 문해력을 키울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가르치는 사람(부모 또는 교사)이 두 언어 모두에 능통해야 할 뿐만 아니라, 효과적인 제2언어 교수법에 대한 이해도 필요하다.
언어 습득 순서와 관계없이, 짐 커민스(Jim Cummins)가 주장한 공통 기반 숙련도 가설(Common Underlying Proficiency hypothesis)은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31][32] 이 가설에 따르면, 모국어를 통해 발달된 언어 능력(개념 이해, 사고력 등)은 제2언어 학습의 기반이 되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즉, 두 언어 능력이 서로 분리되어 경쟁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통합된 인지 시스템 안에서 상호 보완적으로 발달한다는 것이다.[33] 이는 과거에 제2언어를 배우려면 모국어의 간섭을 배제해야 한다는 인식[33]이 잘못되었음을 보여준다. 모국어 능력이 탄탄할수록 제2언어 학습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제2언어를 유창하게 구사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에 대한 인식도 변화해왔다. 과거에는 아이들이 약 1년 안에 새로운 언어를 배울 수 있다고 여겨졌으나, 1990년대 초 연구에 따르면 학문적 환경을 포함하여 언어를 능숙하게 사용하기까지 약 5년 정도가 소요될 수 있다고 본다.[34][35]
4. 3. 인지 능력
집행 기능에 있어 이중 언어 사용의 이점은 없으며, 언어 유창성에서는 약간의 단점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26] 초기 일부 연구에서는 한 개 이상의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이 단일 언어 사용자보다 언어 학습에 더 능숙하다고 보고했으나,[8] 이러한 생각은 부분적으로 출판 편향 때문에 지속된 측면이 있다.[43] 현재의 메타 분석에서는 다중 언어 사용이 언어 학습 능력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44]
두 개 이상의 언어에 능숙한 개인이 집행 기능 면에서 약간 향상되었거나 단일 언어 사용자와 차이가 없다는 보고가 있으며,[45][46] 치매 발병이 늦어지는 경향을 보인다는 연구 결과도 있었다.[47][48][49][50][51] 그러나 최근 들어 이러한 주장은 강력한 비판에 직면했으며,[52][53] 반복적인 실험에서 재현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54][55][56]
이러한 상반된 결과의 원인 중 하나로, 많은 이전 연구들이 조사 대상인 이중 언어 사용자의 언어 경험을 신뢰성 있게 정량화하지 못했다는 점이 지적된다.[57] 따라서 최근에는 이중 언어 및 다중 언어 사용의 인지적 효과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언어 경험에 대한 검증되고 세분화된 정량적 분석을 통해 인지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경계 조건을 식별해야 한다는 새로운 관점이 부상하고 있다.[58][59][60][61]
한편, 제2 언어 습득은 어휘 부족을 초래할 수 있으며,[26] 이중 언어 사용은 언어 유창성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46]
긍정적인 측면으로는, 이중 언어 및 다중 언어 사용자가 단일 언어 사용자보다 우수한 청각 처리 능력을 보인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62] 여러 연구에서 간격 감지, 시간 순서 판단, 음높이 패턴 인식 등 다양한 청각 과제를 사용하여 두 집단의 능력을 비교했으며, 일반적으로 이중 언어 및 다중 언어 사용자가 더 나은 수행 능력을 보였다. 또한, 이중 언어 사용자 중에서도 제2 언어의 숙련도 수준이 청각 처리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다중 언어 사용자는 단일 언어 사용자보다 작업 기억 능력이 더 높다는 연구 결과도 있으며, 그 상관관계는 0.20으로 나타났다.[124]
4. 4. 경제적 이점
이중 언어 구사자는 단일 언어 사용자에 비해 중요한 노동 시장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이중 언어 사용자가 소수 언어만을 사용하는 고객과의 상호 작용처럼 단일 언어 사용자가 수행할 수 없는 업무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63] 스위스에서 진행된 연구에 따르면, 다중 언어 사용은 개인의 급여, 기업의 생산성 및 국내 총생산(GDP)과 긍정적인 상관 관계를 보이며, 연구 저자들은 스위스 GDP의 10%가 다중 언어 사용 덕분이라고 밝혔다.[64] 미국에서 O. Agirdag가 수행한 연구에서는 이중 언어 사용이 상당한 경제적 이점을 가지며, 이중 언어 사용자는 단일 언어 사용자보다 연간 약 3000USD 더 많은 급여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65]
영국 런던의 폴란드, 중국, 터키 출신 기업가들은 고객, 공급업체, 은행과의 의사소통에는 영어를 사용하지만, 업무와 기타 사회적 목적에는 모국어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영어 사용 국가에서도 이민자들은 같은 지역 출신의 다른 이민자들이 직장에 있기 때문에 모국어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호주 건설업에서 근무 시간 동안 핀란드어를 사용한 핀란드 이민자들의 사례가 있다.[93] 이처럼 외국어가 직장에서 사용될 수 있지만, 영어는 여전히 중요한 업무 기술로 여겨진다.
최근 세계화가 심화됨에 따라 많은 아시아 기업들이 직원들의 영어 능력에 점점 더 집중하고 있다. 특히 1990년대 이후 대한민국에서는 기업들이 구직자를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영어 시험을 활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시험의 기준이 계속 높아지고 있다. 한편, 일본은 2020년 도쿄 올림픽 개최를 계기로 영어 능력 향상에 대한 요구가 높아졌으나, 2019년 EF 영어 능력 지수에서는 100개국 중 53위를 기록했다.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와 같은 다민족 국가에서는 유창성의 정도는 다르지만, 두 개 이상의 언어를 구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94][95][96] 일부는 두 나라 모두에서 중국계 공동체의 언어적 다양성을 반영하여 여러 중국어 방언에 능숙하다. 싱가포르에서는 이중 언어 사용이 교육 시스템에서 장려되고 있으며, 영어가 교육 매체로 사용되고 공식 모국어가 제2언어로 가르쳐진다.[97]
아프리카에서는 영어 지식이 다국적 기업뿐만 아니라 공학, 화학, 전기, 항공 분야에서도 중요하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젊은 흑인 엔지니어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이들은 의사 소통과 문서 작성에 영어를 가장 자주 사용했다. 그러나 이해와 협력을 높이기 위해 특정 개념을 작업자에게 설명할 때는 아프리칸스어와 다른 현지 언어도 사용되었다.
4. 5. 심리적 측면
2012년 연구에 따르면, 외국어를 사용하면 의사 결정 과정에서의 편향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선택지를 어떻게 제시하느냐에 따라 판단이 달라지는 프레이밍 효과가 제2언어로 제시되었을 때는 약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인간의 사고방식이 두 가지, 즉 체계적이고 분석적인 방식과 빠르고 감정적인 방식으로 나뉘는데, 제2 언어를 사용하면 감정적인 반응이 줄어들고 분석적인 사고가 촉진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결과적으로 다중 언어 사용자는 더 나은 비판적 사고와 의사 결정 능력을 가질 수 있다.[66]
이후 2013년 연구에서는 제2 언어로 전환하면 사용자가 정치적 올바름과 같은 사회적 규범이나 제약에서 더 자유로워지는 경향이 있다고 보고했다.[67] 2014년 연구에서는 외국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트롤리 문제와 같은 도덕적 딜레마 상황에서 더 실용적인 결정을 내리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연구자들은 외국어가 모국어만큼 강한 감정적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다고 추정했다.[68]
다중 언어 사용은 개인의 정체성 및 성격 특성과도 관련이 있다. 여러 언어를 능숙하게 사용하려면 해당 언어가 사용되는 문화와 역사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 이러한 다문화적 이해는 개인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40][69] 일부 연구에서는 다중 언어 사용자들이 문화적 공감, 개방성, 사회적 주도성과 같은 성격 특성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는 경향이 있다고 보고했다.[70][71]
언어 상대성 가설에 따르면, 사용하는 언어가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므로, 여러 언어를 아는 사람은 더 넓고 다양한 관점을 가질 수 있다.[72] 일부 다중 언어 사용자는 사용하는 언어에 따라 성격이 변한다고 느끼기도 한다.[73] 왕샤오레이는 언어가 단일한 자아를 표현하는 것을 넘어 다양한 자아를 연출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74] 그러나 프랑수아 그로장과 같은 학자는 이를 성격 변화라기보다는 상황 변화에 따른 태도와 행동의 변화로 보아야 한다고 지적했다.[75] 한편, 사피어-워프 가설은 성인이 되어 배운 언어는 어린 시절에 배운 모국어보다 감정적 함축이 적어, 더 차분하고 객관적인 논의를 가능하게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5. 다언어 사회
다국어 사회에서 모든 화자가 다국어를 구사할 필요는 없다. 일부 국가는 다국어 정책을 통해 여러 공용어를 인정할 수 있으며, 캐나다 (영어와 프랑스어)가 그 예이다. 일부 국가에서는 특정 언어가 국가의 특정 지역(예: 캐나다) 또는 특정 민족(예: 말레이시아 및 싱가포르)과 연관될 수 있다. 모든 화자가 다국어를 구사하는 경우, 언어학자들은 관련된 언어의 기능적 분포에 따라 공동체를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 '''디글로시아''': 관련된 언어의 구조적-기능적 분포가 있는 경우, 그 사회는 '디글로시아'라고 불린다. 전형적인 디글로시아 지역은 유럽에서 지역 언어가 비공식적이고 일반적으로 구두 상황에서 사용되는 반면, 국가 언어는 더 공식적인 상황에서 사용되는 지역이다. 프리지아 (프리지아어와 독일어 또는 네덜란드어)와 루사티아 (소르브어와 독일어)가 잘 알려진 예이다. 일부 작가들은 디글로시아를 언어가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고 서로의 방언으로 간주될 수 있는 상황으로 제한한다. 이것은 스코틀랜드에서도 관찰될 수 있는데, 공식적인 상황에서는 영어가 사용된다. 그러나 많은 지역에서 비공식적인 상황에서는 스코트어가 선호되는 언어이다. 아랍어를 사용하는 지역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관찰된다. 디글로시아의 효과는 아랍어 표기 (현대 표준 아랍어)와 구어 아랍어의 차이에서 볼 수 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아랍어 사용자는 두 극단 사이의 "중간 아랍어" 또는 "공통 아랍어"라고 여겨지는 것을 개발했다. 이러한 언어의 다양화 때문에 스펙트로글로시아[85]의 개념이 제안되었다.
- '''양언어 구사''': 이러한 기능적 분포가 관찰되지 않으면 해당 지역을 양언어 구사 지역이라고 한다. 전형적인 양언어 구사 지역에서는 특정 상황에서 어떤 언어가 사용될지 예측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진정한 양언어 구사는 드물다. 양언어 구사 경향은 프랑코-게르만 유산을 결합한 룩셈부르크와 말레이시아 및 싱가포르와 같이 말레이인, 중국인, 인도인의 문화를 융합하는 여러 유산을 가진 작은 국가, 또는 역사적으로 대부분의 주민이 마사빈야드 수화와 영어를 모두 사용하는 마사빈야드, 또는 지역 주민이 알-사이드 베두인 수화와 아랍어 또는 히브리어를 모두 사용하는 남부 이스라엘과 같이 높은 청각 장애율을 가진 지역 사회에서 발견될 수 있다. 양언어 구사는 또한 (사실상 또는 법률상) 지배적인 국가 언어와 국가 내 화자 분포 측면에서 제한적인 보호된 소수 언어를 모두 가진 더 큰 국가의 특정 지역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경향은 지역 언어가 널리 사용되더라도 모든 시민이 지배적인 국가 언어(예: 퀘벡에서의 영어(캐나다 전체 맥락), 카탈루냐에서의 스페인어(스페인 전체 맥락))를 사용한다는 합리적인 가정이 있을 때 특히 두드러진다. 이 현상은 또한 국경 간 접촉이 많은 국경 지역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 '''양분-언어 구사''': 작은 지역에서 두 개 이상의 언어를 들을 수 있지만, 대부분의 화자는 인접한 민족 집단에서 온 화자와 거의 접촉하지 않는 단일 언어 사용자인 경우, 해당 지역을 '양분-언어 구사'라고 한다. 이 예는 발칸 반도이다.
위에서 주어진 용어는 모두 두 언어만을 설명하는 상황을 나타낸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지정되지 않은 수의 언어가 있는 경우, '''다언어 구사''', '''전언어 구사''', '''다중-언어 구사'''라는 용어가 더 적절하다.
택셀의 역설은 단일 언어 솔루션이 기능적 이중 언어의 실현에 필수적이며, 다국어 솔루션은 궁극적으로 단일 언어 구사로 이어진다는 개념을 의미한다. 이 이론은 핀란드에서 스웨덴어와 같은 환경, 예를 들어 학교에서 상호 언어 학습과 관련된 긍정적인 특성에도 불구하고 실용적이고 사회적인 이유로 다수 언어인 핀란드어에 종속된다는 관찰에 기반한다.[86][87]
6. 다언어와 관련된 현상
다언어 사용 환경에서는 여러 독특한 언어 현상이 나타난다.
코드 스위칭 (Code-switching)다언어 사용자가 상황, 대화 주제, 상대방에 따라 사용하는 언어를 바꾸는 현상을 코드 스위칭(부호전환)이라고 한다.[88] 이는 사회언어학의 주요 연구 주제 중 하나이다. 코드 스위칭은 단순히 언어를 바꾸는 것을 넘어, 사회적 의미를 담고 있기도 하다. 의사소통 조절 이론에 따르면, 사람들은 상대방과 유대감을 형성하고 싶을 때 서로의 언어적 특징을 닮아가려 하고, 반대로 거리를 두고 싶을 때는 차이점을 부각하는 경향이 있는데, 코드 스위칭도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코드 스위칭은 여러 목적을 위해 사용된다. 화자가 둘 이상의 문화 집단이나 환경에 소속감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특정 언어에 대한 숙련도가 부족할 때 의사소통을 이어가기 위한 전략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특정 전문 분야에 대한 어휘가 부족하거나, 이민 환경 등에서 특정 언어의 어휘를 충분히 습득하지 못한 경우 코드 스위칭이 나타날 수 있다.
코드 스위칭의 양상은 화자의 태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두 언어와 코드 스위칭 자체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진 화자는 하나의 문장 안에서도 여러 번 언어를 바꿔가며 사용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88] 반면, 숙련도 부족 등의 이유로 코드 스위칭을 꺼리는 화자는 한 언어의 단어나 표현을 다른 언어 방식으로 바꾸어 말하는 차용이라는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프랑스어에서 '협박'을 의미하는 'chantage'라는 단어를 모르거나 사용하기를 꺼릴 때, 이를 영어 'blackmail'에서 직역하여 '검은 우편물'이라는 의미의 'courrier noir'와 같은 표현을 사용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피진 (Pidgin)과 크리올 언어 (Creole)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집단이 접촉하면서 의사소통을 위해 새로운 형태의 언어가 만들어지기도 하는데, 이를 피진이라고 한다. 피진은 둘 이상의 언어가 섞여 문법적으로 단순화된 형태를 띠지만, 원래 언어의 화자들이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피진은 시간이 지나면서 더 복잡한 언어 체계를 갖추게 되기도 한다. 일부 피진은 특정 공동체에서 모국어로 사용될 정도로 발전하여 크리올 언어가 되기도 한다. 퀴라소의 파피아멘토어나 싱가포르의 싱글리시가 대표적인 예이다. 다른 경우에는 피진이 특정 집단 내에서 사용되는 속어나 전문 용어 형태로 남기도 하는데, 핀란드의 헬싱키 속어는 표준 핀란드어 및 스웨덴어와 어느 정도 상호 이해 가능한 특징을 보인다.
때로는 오랜 기간의 언어 접촉을 통해 기존 언어들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아 크리올과는 다른 새로운 언어가 탄생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많은 언어학자들은 옥시탄어와 카탈루냐어가 원래 하나의 옥시타노로망스어를 사용하던 사람들이 각각 프랑스와 스페인의 정치적 영향력 아래 놓이면서 분화되어 형성된 것으로 본다. 이디시어 역시 중고 독일어를 기반으로 히브리어 및 슬라브어의 요소가 복합적으로 섞여 형성된 언어이다.
언어 간 상호 이해 가능성 (Mutual Intelligibility)다언어 환경에서 반드시 언어를 전환하거나 섞어 사용해야만 의사소통이 가능한 것은 아니다.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화자들이 각자의 언어를 사용하면서도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언어 간 상호 이해 가능성이라고 한다.
이러한 현상은 특히 언어적으로 가까운 관계에 있는 언어들 사이에서 잘 나타난다. 대표적인 예로 스칸디나비아 지역을 들 수 있다. 스웨덴어, 노르웨이어, 덴마크어 화자들은 대부분 각자의 모국어로 대화하면서 서로를 이해할 수 있다. 물론, 오해를 피하기 위해 상대방 언어에 없는 단어나 표현을 피하는 등 언어를 조절하는 경우도 있다. 네덜란드의 언어학자 레이체 존크만은 이렇게 각자 다른 언어를 사용하며 대화하는 상황을 비 수렴 담론(non-convergent discourse)이라고 명명했다. 이러한 현상은 네덜란드어와 아프리칸스어 사이에서도 어느 정도 가능하지만, 지리적 거리 때문에 두 언어 사용자 간의 일상적인 접촉은 드문 편이다.
또 다른 예로는 과거 체코슬로바키아를 들 수 있다. 체코어와 슬로바키아어는 매우 가깝고 서로 이해하기 쉬운 언어였기 때문에, 체코슬로바키아 시절에는 텔레비전 방송 등에서 두 언어 화자가 각자의 언어로 자연스럽게 대화하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었다. 대부분의 체코인과 슬로바키아인은 두 언어를 모두 이해하지만, 말할 때는 주로 자신의 모국어를 사용했다. 이러한 이중 언어 사용은 체코슬로바키아가 분리된 이후 점차 줄어드는 추세에 있다.[89]
7. 컴퓨팅 환경에서의 다언어 지원
신흥 시장이 성장하고 국제 협력이 확대되면서, 사용자들은 자신이 사용하는 언어로 소프트웨어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기를 기대한다.[90] 컴퓨터 시스템의 다중 언어화(multilingualization), 또는 "m17n"(가운데 17글자를 생략했다는 의미)은 국제화 및 지역화 과정의 연장선으로 볼 수 있다. 이 개념들은 다음과 같이 구분될 수 있다.
- 지역화된 시스템 (Localized system):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및 표시 언어, 시간/날짜 표시, 통화 형식 등을 특정 지역(로캘)에 맞게 조정한 시스템이다. 원래 개발된 지역이 아닌 다른 곳을 위해 변환되지만, 시스템 하나는 단 하나의 지역만 지원한다.
- 다중 언어화된 소프트웨어 (Multilingualized software): 여러 언어의 표시와 입력을 동시에 지원하지만, 보통 사용자 인터페이스 언어는 하나만 가진다. 시간, 날짜, 숫자, 통화 형식 등 다른 지역 설정 지원은 시스템이 완전한 국제화로 나아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중 언어 시스템은 특정 지역에서 사용되면서 다국어 콘텐츠를 처리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다.
- 국제화된 시스템 (Internationalized system): 다양한 지역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화면 표시에 여러 언어와 문자 집합이 함께 존재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실행 중에 인터페이스 언어를 선택할 수 없다면 완전히 국제화된 시스템으로 보기 어렵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번역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소프트웨어 지역화 과정의 일부이며, 단위 변환이나 날짜 형식 조정과 같은 적응 작업도 포함된다. 많은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이 여러 언어로 제공되는데, 일부 인기 있는 애플리케이션(예: 오피스 스위트, 웹 브라우저)은 수십 개의 언어를 지원하기도 한다. 컴퓨팅 분야에서의 영어가 널리 쓰이기 때문에 소프트웨어 개발은 거의 항상 영어를 기반으로 이루어진다(영어 기반이 아닌 프로그래밍 언어도 존재함). 따라서 대부분의 상용 소프트웨어는 처음에 영어 버전으로 출시되고, 다국어 버전이 있다면 영어 원본을 기반으로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다.
다중 언어 앱 툴킷 (Multilingual App Toolkit, MAT)[91]은 마이크로소프트가 윈도우 8 출시와 함께 처음 선보인 무료 도구 모음이다. 개발자가 몇 번의 클릭만으로 앱에 다른 언어를 쉽게 추가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는 마이크로소프트 번역기의 기계 번역 서비스와 마이크로소프트 언어 플랫폼 서비스에 대한 무료 및 무제한 라이선스를 통합하고, 플랫폼 확장성을 통해 누구나 MAT에 번역 서비스를 추가할 수 있도록 했기 때문이다. MAT 개발에 참여한 마이크로소프트 엔지니어 Jan A. Nelson과 Camerum Lerum은 광범위한 다국어 앱 개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타사 및 표준 기구와 협력하며 도구 개발을 지속해왔다.[92] 윈도우 10 출시와 함께 MAT는 유니버설 Windows 플랫폼 앱뿐만 아니라 iOS 및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앱에 대한 크로스 플랫폼 개발 지원까지 제공하게 되었다.
컴퓨팅 환경에서 다언어 지원의 구체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 인터넷: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인터넷은 그 자체로 다언어 환경이며, 국제 기구처럼 다양한 언어가 공존하는 사회와 같다.
- 인터넷에서는 초기에 영어가 주로 사용되었으나, 점차 다언어화가 진행되고 있다. 검색 엔진 등 많은 서비스가 다언어를 지원하며, 기계 번역 엔진도 다수 제공된다.
- 소프트웨어의 다중 언어화 (m17n):
- 소프트웨어의 "다중 언어화"는 "국제화"와 비교될 때, 소프트웨어가 다루는 내용에 초점을 맞춘다. 즉, 하나의 소프트웨어가 여러 문자, 언어, 문화적 관습을 동시에 혼합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국제화"는 소프트웨어 사용자에 초점을 맞춰,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언어 및 문화적 요구에 따라 여러 언어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두 개념은 서로 보완적이며, 다중 언어화되지 않았지만 국제화된 소프트웨어(예: 국제화된 영문 워드 프로세서)나, 다중 언어화되었지만 국제화되지 않은 소프트웨어(예: 조작 메뉴는 영어만 지원하지만 다국어 표시가 가능한 웹 브라우저)도 존재할 수 있다. 단, "국제화"와 대비하지 않을 때는 여러 언어를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경우도 "다중 언어화"라고 부르기도 한다.
- 월드 와이드 웹(WWW)에서 여러 언어를 지원하는 사이트를 다중 언어 사이트라고 한다 (예: 위키백과).
- 개인용 컴퓨터(PC) 및 서버용 운영 체제(OS)는 1990년대에는 다국어 지원을 위해 별도의 소프트웨어를 추가하거나 특별한 조작이 필요한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2000년대 이후로는 사용자가 OS 설정을 통해 키보드, 글꼴, 언어별 날짜 표시 방식 등 다국어 처리를 직접 할 수 있게 되었다.
- 전 세계적으로 사업을 운영하는 조직의 직원 정보나 고객 정보를 다루는 디렉터리 서비스나 데이터베이스에서는 인명 등을 해당 언어 그대로 등록할 수 있도록 여러 언어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다.
- 외국어 사전에서는 두 개 이상의 언어를 각각 정확한 표현으로 다룰 필요가 있다.
8. 다언어 사용의 예시
영어에서 "multilingual"이라는 단어가 처음 기록된 사용례는 1830년대에 나타났다. 이 단어는 "multi-"("많은")와 "-lingual" ("언어에 관한")의 결합이다.[9] 다중 언어 사용 현상 자체는 다양한 언어가 존재해 온 역사만큼이나 오래되었다.[10]
오늘날 여러 언어가 사용된다는 증거는 같은 내용을 여러 언어로 표기한 이중 언어 표지판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역사적으로는 특정 텍스트에 다른 언어로 설명을 덧붙인 주석, 독자가 두 가지 이상의 언어를 이해할 것을 예상하고 여러 언어를 섞어 쓴 마카로니 텍스트, 교회 라틴어와 속 라틴어, 히브리어와 아람어 및 유대 언어처럼 종교 의례 등에 사용하는 신성 언어와 일상에서 사용하는 통용 언어가 별도로 존재했던 현상, 그리고 언어 접촉 과정에서 나타나는 언어 차용 등 다양한 형태로 다중 언어 사용의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11]
과거에는 광범위한 다중 언어 사용이 흔한 일이었다. 초기 인류 사회에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작은 언어 공동체에 속해 있었기 때문에, 자신이 속한 마을이나 지역 사회를 벗어나 다른 집단과 교류하거나 거래하기 위해서는 두 개 이상의 언어를 구사하는 능력이 필수적이었다. 이러한 경향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나 인도처럼 언어적 다양성이 매우 높은 지역에서 특히 두드러졌다. 언어학자 에케하르트 울프는 아프리카 인구의 약 50%가 다중 언어를 구사하는 것으로 추정하기도 한다.[84]
8. 1. 국가 및 지역

다중 언어 사회라고 해서 모든 구성원이 여러 언어를 구사하는 것은 아니다. 어떤 국가들은 다중 언어 정책을 채택하여 여러 공용어를 인정하기도 한다. 캐나다의 영어와 프랑스어가 대표적인 예이다. 특정 언어가 국가 내 특정 지역(예: 캐나다의 퀘벡주)이나 특정 민족 집단(예: 말레이시아 및 싱가포르)과 연관되기도 한다.
언어학자들은 관련된 언어의 기능적 분포에 따라 다중 언어 공동체를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 '''디글로시아''': 사회 내에서 언어 사용이 상황에 따라 구조적, 기능적으로 나뉘는 경우를 말한다. 예를 들어 유럽의 일부 지역에서는 지역 언어가 비공식적이거나 구어적인 상황에서 사용되고, 국가 언어는 공식적인 상황에서 사용된다. 프리지아 (프리지아어와 독일어 또는 네덜란드어)나 루사티아 (소르브어와 독일어)가 잘 알려진 예이다. 일부 학자들은 디글로시아를 서로 밀접하게 관련된 언어, 즉 방언 관계로 볼 수 있는 언어들 사이의 상황으로 한정하기도 한다. 스코틀랜드에서는 공식적인 상황에서는 영어가 사용되지만, 많은 지역에서 비공식적인 상황에서는 스코트어가 선호된다. 아랍어권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나타나는데, 현대 표준 아랍어와 구어체 아랍어 사이에 차이가 존재한다. 시간이 지나면서 아랍어 사용자들은 두 극단 사이의 "중간 아랍어" 또는 "공통 아랍어"로 여겨지는 형태를 발전시켰다. 이러한 언어의 다양화 때문에 스펙트로글로시아[85]라는 개념이 제안되기도 했다.
- '''양언어 구사''' : 언어 사용에 뚜렷한 기능적 분포가 나타나지 않는 지역을 말한다. 이런 지역에서는 특정 상황에서 어떤 언어가 사용될지 예측하기 어렵다. 진정한 의미의 양언어 구사는 드물지만, 프랑스어와 독일어 문화가 혼합된 룩셈부르크, 말레이계, 중국계, 인도계 문화가 융합된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 같은 작은 국가에서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역사적으로 대부분의 주민이 마사빈야드 수화와 영어를 모두 사용했던 마사빈야드나, 지역 주민들이 알-사이드 베두인 수화와 아랍어 또는 히브리어를 함께 사용하는 이스라엘 남부처럼 청각 장애인 비율이 높은 지역 사회에서도 발견될 수 있다. 양언어 구사는 지배적인 국가 언어와 함께 소수 언어가 보호받는 큰 국가의 특정 지역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나다 전체에서 퀘벡주의 영어 사용이나, 스페인 전체에서 카탈루냐의 스페인어 사용처럼, 지역 언어가 널리 쓰이더라도 모든 시민이 국가 언어를 사용할 것이라는 가정이 있을 때 두드러진다. 국경 지역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현상이다.
- '''양분-언어 구사''': 특정 지역에서 두 개 이상의 언어가 사용되지만, 대부분의 화자는 단일 언어 사용자이며 인접한 다른 언어 집단과 교류가 거의 없는 경우를 말한다. 발칸 반도가 이러한 예에 해당한다.
위 용어들은 주로 두 언어 간의 관계를 설명하지만, 특정 지역에 여러 언어가 존재하는 경우 '''다언어 구사''', '''전언어 구사''', '''다중-언어 구사''' 등의 용어가 더 적합하다.
택셀의 역설은 단일 언어 솔루션이 기능적 이중 언어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필수 요소이며, 다국어 솔루션은 결국 단일 언어 사용으로 이어진다는 개념이다. 이 이론은 핀란드에서 스웨덴어 교육처럼 상호 언어 학습의 긍정적인 측면에도 불구하고, 실용적이고 사회적인 이유로 다수 언어인 핀란드어에 종속되는 현상 관찰에 기반한다.[86][87]
여러 국가 및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다음은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 또는 주요 언어로 사용되는 언어들의 예시다.
언어 | 주요 사용 국가 및 지역 |
---|---|
아랍어 | 모로코, 튀니지, 알제리, 리비아, 모리타니, 이집트, 수단, 레바논, 팔레스타인, 시리아, 이라크, 요르단, 사우디 아라비아, 예멘, 아랍 에미리트, 쿠웨이트, 카타르, 바레인, 오만 (공용어: 말리, 차드, 소말리아, 에리트레아, 지부티, 잔지바르, 코모로) |
중국어 | 중국, 대만, 싱가포르 (공용어: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
독일어 | 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 리히텐슈타인, 룩셈부르크, 벨기에 |
그리스어 | 그리스, 키프로스, 알바니아 남부, 이탈리아(칼라브리아, 살렌토), 터키 일부 지역 |
프랑스어 | 프랑스, 벨기에, 룩셈부르크, 모나코, 안도라, 스위스, 캐나다 (공용어: 알제리, 베냉, 부르키나파소, 부룬디, 카메룬,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차드, 코모로, 콩고 공화국, 콩고 민주 공화국, 코트디부아르, 지부티, 적도 기니, 가봉, 감비아, 기니, 기니비사우, 마다가스카르, 말리, 모리타니, 모리셔스, 모로코, 튀니지, 니제르, 르완다, 세이셸, 토고 등 다수 아프리카 국가) |
포르투갈어 | 포르투갈, 브라질, 앙골라, 모잠비크, 상투메 프린시페 |
영어 | 영국, 미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아일랜드, 남아프리카 공화국, 케냐, 나이지리아, 인도, 앤티가 바부다, 바하마, 바베이도스, 벨리즈, 보츠와나, 도미니카, 에스와티니, 피지, 감비아, 홍콩,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잠비아, 짐바브웨, 몰타 |
네덜란드어 | 네덜란드, 벨기에, 아루바, 수리남 |
스웨덴어 | 스웨덴, 핀란드 |
이탈리아어 | 이탈리아, 스위스, 산마리노, 몰타 |
러시아어 | 러시아, 벨라루스, 우크라이나 (공용어 또는 주요 사용: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카자흐스탄, 몰도바, 키르기스스탄, 이스라엘) |
페르시아어 | 이란, 아프가니스탄, 타지키스탄 |
영어는 학교에서 제2언어로 널리 교육되기 때문에 모국어가 다른 사람들 사이의 의사소통에 가장 흔하게 사용된다. 하지만 일부 언어들은 서로 유사하여 해당 언어 사용자들이 만났을 때 영어가 아닌 모국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언어 그룹은 다음과 같다.
- 덴마크어, 스웨덴어, 노르웨이어
- 아랍어 방언 연속체
- 체코어와 슬로바키아어: 체코슬로바키아 시절에는 공통 체코슬로바키아어의 방언으로 간주되었다.
- 세르비아어, 크로아티아어, 보스니아어, 몬테네그로어: 19세기 표준화 이후 유고슬라비아 시기에는 공통 세르보크로아트어의 변종으로 여겨졌다. 유고슬라비아 해체 후 각 국가는 독자적인 공식 언어를 선포했지만, 사회언어학에서는 여전히 슈토카비아 방언에 기반한 하나의 다중심 언어의 표준 변종으로 간주한다.
국가 및 지역별 사례
- 벨기에: 네덜란드어, 프랑스어, 독일어 3개 언어를 공용어로 사용한다.
- 핀란드: 핀란드어와 스웨덴어를 공용어로 하며, 많은 국민이 영어 등 제3외국어를 구사한다.
- 스위스: 독일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로만슈어 4개 언어를 공용어로 한다.
- 룩셈부르크: 룩셈부르크어, 프랑스어, 독일어를 공용어로 사용한다.
- 스페인: 스페인어가 전국 공용어이며, 카탈루냐어, 바스크어, 갈리시아어 등 지역 공용어가 존재한다.
- 몰타: 몰타어와 영어를 공용어로 하며, 이탈리아어도 널리 사용된다.
- 미국: 연방 차원의 법정 공용어는 없으나 영어가 사실상 공용어이다. 뉴멕시코주에서는 스페인어, 하와이주에서는 하와이어가 영어와 함께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다. 특히 스페인어는 히스패닉 인구 증가와 함께 미국 내 제2언어로서의 지위를 굳히고 있다. 푸에르토리코는 스페인어와 영어가 공용어지만, 주민 대다수는 스페인어만 사용한다.
- 캐나다: 연방 정부 차원에서 영어와 프랑스어를 공용어로 지정하고 있다. 퀘벡주는 프랑스어만을 공용어로 한다.
- 니카라과: 스페인어가 공용어지만, 카리브해 연안의 미스키토족을 위해 영어와 미스키토어도 해당 지역의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다.
- 페루: 스페인어 외에 원주민 인구를 고려하여 케추아어, 아이마라어도 공용어로 지정했다.
- 볼리비아: 스페인어와 함께 케추아어, 아이마라어, 과라니어 등 다수의 원주민 언어를 공용어로 인정한다.
- 파라과이: 인구 대다수가 과라니족과의 메스티소이며 이중 언어 구사가 가능하여, 스페인어와 함께 과라니어가 공용어이다.
- 아르헨티나: 코리엔테스 주에서는 스페인어와 함께 과라니어가 공용어이다.
- 인도: 힌디어와 영어 외에 21개의 공용어가 있다. (인도의 공용어 목록·인도의 언어 참조) 지역에 따라 여러 언어를 배우는 것이 일반적이다.
- 파키스탄: 우르두어가 국가어, 영어가 공용어이지만, 실제 모어 화자 수는 펀자브어, 파슈토어, 신디어 등이 더 많다. 우르두어 공용어화 정책이 추진 중이나 남부 지역의 반대가 있으며, 공식 문서는 주로 영어로 작성된다.
- 중화인민공화국: 표준 중국어(푸퉁화)가 공식 언어지만, 지역별 방언 차이가 크다. 내몽골 자치구, 신장 위구르 자치구, 티베트 자치구, 광시 좡족 자치구 등 소수민족 자치구에서는 해당 민족 언어가 푸퉁화와 함께 공용어로 사용된다.
- 홍콩: 중국어(광둥어), 영어를 공용어로 사용한다.
- 마카오: 중국어(광둥어), 포르투갈어를 공용어로 사용한다.
-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어가 국어이며, 영어, 중국어, 타밀어 등도 널리 사용된다.
- 싱가포르: 영어, 말레이시아어, 중국어(푸퉁화), 타밀어 4개 언어를 공용어로 한다.
- 대만 (중화민국): 궈위(표준 중국어) 외에 타이완어, 하카어, 원주민 언어 등이 사용된다.
- 필리핀: 필리핀어와 영어가 공용어이다. 과거에는 스페인어도 공용어였다.
- 스리랑카: 싱할라어와 타밀어를 공용어로 한다.
- 동티모르: 테툼어와 포르투갈어가 공용어이며, 인도네시아어, 영어 등도 사용된다.
- 브루나이: 말레이시아어, 영어, 중국어 등이 사용된다.
- 팔라우: 팔라우어와 영어가 공용어이며, 일부 주에서는 일본어 등 다른 언어를 공용어로 지정하기도 한다. (앙가우르 주)
- 아프가니스탄: 파슈토어와 다리어를 공용어로 한다.
- 중앙아시아 국가: 구 소련의 영향으로 러시아어가 널리 사용되며, 각국의 고유 언어(카자흐어, 키르기스어, 타지크어, 투르크멘어, 우즈베크어 등)와 함께 공용어 또는 제2언어의 지위를 갖는다.
- 러시아: 타타르족, 바슈키르족 등 소수 민족 중 다국어 사용자가 많다. 타타르스탄에서는 타타르어 의무 교육으로 러시아계 주민의 타타르어 구사 능력이 향상되었다.
세계화와 다양성 증가는 다국어 인구를 늘리고 있다. 특히 유럽 연합의 개방된 노동 시장은 이주를 촉진하여 복잡한 다국어 환경을 만들고 있다. 이민자들은 다양한 직종에서 활동하며 사회의 다국어화를 심화시키고 있다.
8. 2. 특정 분야
인터넷은 지구 규모로 전개되며, 다언어 사회의 대표적인 예시이다. 초기에는 영어가 주로 사용되었으나, 점차 다언어화가 진행되어 검색 엔진 등 많은 서비스가 다언어 지원을 제공하고 있으며, 기계 번역 엔진도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월드 와이드 웹(WWW)에서는 여러 언어를 지원하는 다중 언어 사이트(예: 위키백과)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소프트웨어 분야에서는 "다중 언어화"(m17n, multilingualization)와 "국제화"(i18n, internationalization)라는 개념이 중요하다. "다중 언어화"는 하나의 소프트웨어가 여러 문자, 언어, 문화적 관습을 동시에 혼재하여 다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국제화"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언어 및 문화적 관습에 맞춰 여러 언어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둔다. 이 둘은 상호 보완적인 관계에 있다. 예를 들어, 조작 체계는 영어만 지원하지만 다중 언어 표시가 가능한 웹 브라우저는 다중 언어화는 되었지만 국제화는 덜 된 경우로 볼 수 있다. 개인용 컴퓨터(PC) 및 서버용 운영 체제(OS)는 2000년대 이후 대부분 사용자가 직접 설정을 통해 키보드, 글꼴, 날짜 표시 방식 등 다중 언어 처리를 손쉽게 할 수 있도록 발전했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사업을 운영하는 조직의 직원 및 고객 정보를 다루는 디렉터리 서비스나 데이터베이스에서는 인명 등을 원어 그대로 등록하기 위해 다중 언어를 혼재하여 처리하는 기능이 중요하다. 외국어 사전 소프트웨어 역시 두 개 이상의 언어를 정확하게 표현해야 하므로 다중 언어 처리가 필수적이다.
문학 분야에서도 다중 언어 사용은 활발하다. 특히 이민자나 2세 이민자 작가들의 소설, 에세이 등에서 자주 나타난다.[104][105] 치카나 작가 글로리아 E. 안잘두아(Gloria E. Anzaldúa)는 자신의 정체성과 경험을 표현하기 위해 다중 언어 글쓰기가 필수적임을 강조했다.[106] 그녀의 저서 ''Borderlands/La Frontera: The New Mestiza''는 이러한 입장을 잘 보여준다.[107] 치마만다 응고지 아디치에(Chimamanda Ngozi Adichie)의 초기 소설 ''보라색 히비스커스''와 ''Half of a Yellow Sun''에서는 이보어 구절과 번역을 함께 제시했지만, 후기작 ''Americanah''에서는 비영어 구절의 번역을 제공하지 않기도 한다.[107] 산드라 시스네로스(Sandra Cisneros)의 ''망고 가의 집''은 스페인어 단어와 구절을 번역 없이 이탤릭체로 표기하여 사용한 치카노 문학의 예이다.[108] 자신의 문화 배경 외의 언어를 문학적 효과를 위해 사용하는 경우도 있는데, 미국 소설가 코맥 매카시(Cormac McCarthy)는 그의 소설에서 번역되지 않은 스페인어와 스패글리시를 사용한다.[109]
다중 언어 시는 미국 라틴 문학에서 널리 나타나며, 영어, 스페인어, 그리고 스패니쉬 사이의 코드 스위칭과 트랜스랭귀징은 한 편의 시 또는 한 권의 시집 전체에서 흔히 발견된다.[110] 라틴 시는 또한 포르투갈어로 쓰이기도 하며, 나와틀어, 마야어, 위촐어, 아라와크어 및 라틴 경험과 관련된 다른 토착 언어의 구절을 포함할 수 있다. 현대 다중 언어 라틴 아메리카 시인으로는 지아니나 브라스키(Giannina Braschi), 아나 카스티요(Ana Castillo), 산드라 시스네로스(Sandra Cisneros), 기예르모 고메스-페냐(Guillermo Gómez-Peña) 등이 있다.[111]
음악에서는 당대의 공용어나 영어, 독일어, 스페인어, 프랑스어처럼 널리 알려진 언어로 가사를 쓰는 경우가 많다.[101] 여러 언어로 가사를 쓴 노래는 혼성시(macaronic verse)라고 불린다.[103] 2011년 발매된 클래식 앨범 ''트로이카''에는 요제프 브로드스키와 블라디미르 나보코프가 러시아어 시를 영어로 직접 번역한 것에 곡을 붙인 이중 언어 노래 사이클 "there..."와 "Sing, Poetry"가 수록되어 있다.[102]
영화 분야의 예시로는 2021년 인도 다큐멘터리 영화 꿈의 단어들(Dreaming of Words)이 있다. 이 영화는 초등학교 4학년 중퇴 학력에도 불구하고 4개의 주요 드라비다어(말라얄람어, 칸나다어, 타밀어, 텔루구어)를 연결하는 다국어 사전을 편찬한 냐티엘라 스리드하란(Njattyela Sreedharan)의 삶과 업적을 다룬다.[112][113][114] 그는 25년간[115] 4개 주를 여행하며 광범위한 조사를 통해 이 사전을 완성했다.
참조
[1]
간행물
A Global Perspective on Bilingualism and Bilingual Education
http://www.cal.org/c[...]
Carnegie Mellon University
2018-05-08
[2]
웹사이트
Multilingualism
http://www.linguisti[...]
2016-09-07
[3]
웹사이트
Europeans and their languages, a survey co-ordinated by the European Commission
http://ec.europa.eu/[...]
European Commission
2016-11-15
[4]
웹사이트
The importance of multilingualism
http://multilinguali[...]
multilingualism.org
2010-09-16
[5]
웹사이트
Polyglot
http://www.thefreedi[...]
Thefreedictionary.com
2010-07-10
[6]
서적
Introduction to language development
SAGE Publications
2013-07-30
[7]
서적
The Sun is Feminine: A Study on Language Acquisition in Bilingual Children
https://books.google[...]
Springer Berlin Heidelberg
2022-06-12
[8]
논문
The bilingual advantage in novel word learning
[9]
웹사이트
multilingual, adj. & n.
https://www.oed.com/[...]
2023-12-30
[10]
웹사이트
The Impact of Multilingualism on Global Education and Language Learning
https://www.cambridg[...]
2023-12-30
[11]
서적
The Encyclopedia of Applied Linguistics
https://onlinelibrar[...]
Wiley
2013-01-30
[12]
웹사이트
Multi-competence definition
http://www.viviancoo[...]
2018-05-08
[13]
논문
Perceived effectiveness of language acquisition in the process of multilingual upbringing by parents of different nationalities
https://www.research[...]
[14]
서적
Second Language Learning and Language Teaching
Hodder Education
[15]
문서
A.J. Aitken in The Oxford Companion to the English Language
Oxford University Press
1992
[16]
문서
Ems Ukaz
[17]
웹사이트
Writing With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http://foreign-langu[...]
Foreign-Language.org
[18]
웹사이트
Foreign Languages in Finland's Educational System
https://www.thenewfe[...]
2022-01-22
[19]
웹사이트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Who in Europe speaks it best?
https://www.europela[...]
Europe Language Jobs
2018-12-22
[20]
문서
Bilingualism and Second-Language Learning
McGraw-Hill Companies, Inc.
2008
[21]
웹사이트
Most EU students learn two foreign languages: Study
http://www.euractiv.[...]
2018-05-08
[22]
논문
The Relationship Between Age and Second Language Productive Ability
Wiley
[23]
논문
Cultural thought patterns in intercultural education
1966
[24]
서적
With Different Eyes: Insights into Teaching Language Minority Students Across the Disciplines
Addison-Wesley
1994
[25]
웹사이트
Can a second language help you learn a third?
https://www.psycholo[...]
2016-09-07
[26]
논문
Does bilingualism come with linguistic costs? A meta-analytic review of the bilingual lexical deficit
https://doi.org/10.3[...]
2023-06-01
[27]
논문
Receptive bilingual children's use of language in interaction
https://www.research[...]
The Japanese Society for Language Sciences
2019-09-01
[28]
웹사이트
Ethnologue report for language code: spa
http://www.ethnologu[...]
Ethnologue.com
2010-07-10
[29]
웹사이트
One Language or Two? Home Language or Not? Some Answers to Questions about Bilingualism in Language-Delayed Children
http://www.hanen.org[...]
"[[The Hanen Centre]]"
2018-05-08
[30]
서적
Second Language Acquisition: An Introductory Course
"[[Routledge]]"
[31]
웹사이트
Developing Native Language Literacy in Language Minority Adults
https://www.ericdige[...]
2019-02-24
[32]
논문
Language choice, education and community identity
http://www.sil.org/r[...]
2019-12-06
[33]
서적
Bilingual education: issues and strategies
Sage Publications
2022-06-12
[34]
논문
A Synthesis of Studies Examining Long-Term Language Minority Student Data on Academic Achievement
Informa UK Limited
[35]
간행물
The Ramírez report: Longitudinal study of structured English immersion strategy, early-exit and late-exit bilingual education programs for language-minority children: Volume I
Aguirre International
1991
[36]
논문
An early detailed description of aphasia in a deaf-mute: Anton leischner's "die 'aphasie' der taubstummen" (1943)
1990
[37]
웹사이트
Speaking a second language delays dementias, even in the illiterate, study finds
https://www.nbcnews.[...]
NBCUniversal
2013-11-06
[38]
웹사이트
The cult of the polyglot
http://www.latg.org/[...]
2016-07-19
[39]
서적
Babel No More: The Search for the World's Most Extraordinary Language Learners
Free Press
[40]
논문
Covert bilingualism and symbolic competence: Analytical reflections on negotiating insider/outsider positionality in Swedish speech situations
2014
[41]
논문
Quantitative analyses in a multivariate study of language attrition: The impact of extralinguistic factors
[42]
논문
Maturational Constraints and First Language Attrition
[43]
논문
Is there a bilingual advantage on interference-control tasks? A multiverse meta-analysis of global reaction time and interference cost
2019-02-27
[44]
논문
Is bilingualism associated with enhanced executive functioning in adults? A meta-analytic review
http://eprints.white[...]
2018-04
[45]
웹사이트
APA PsycNet
https://psycnet.apa.[...]
2023-07-08
[46]
논문
Is bilingualism associated with enhanced executive functioning in adults? A meta-analytic review.
http://doi.apa.org/g[...]
2018-04
[47]
논문
Attention and inhibition in bilingual children: evidence from the dimensional change card sort task
[48]
논문
Effect of bilingualism on cognitive control in the Simon task: evidence from MEG
[49]
간행물
How the Brain Benefits from Being Bilingual
https://science.time[...]
2013-07-18
[50]
논문
Does Bilingualism Delay the Development of Dementia?
[51]
논문
How a second language can boost the brain
https://www.knowable[...]
2019-01-04
[52]
웹사이트
The Bitter Fight Over the Benefits of Bilingualism
https://www.theatlan[...]
2016-02-11
[53]
논문
Is bilingualism associated with enhanced executive functioning in adults? A meta-analytic review.
https://eprints.whit[...]
2018-04
[54]
논문
Cognitive Advantage in Bilingualism: An Example of Publication Bias?
https://www.pure.ed.[...]
2019-12-06
[55]
논문
Bilingual advantages in executive functioning either do not exist or are restricted to very specific and undetermined circumstances
2015-08
[56]
논문
Characterizing the social diversity of bilingualism using language entropy
https://jasonwgullif[...]
2021-11-28
[57]
논문
Describing bilinguals: A systematic review of labels and descriptions used in the literature between 2005–2015
http://nrs.harvard.e[...]
2019-03
[58]
논문
Interactional context mediates the consequences of bilingualism for language and cognition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20
[59]
논문
Bilingual experience and resting-state brain connectivity: Impacts of L2 age of acquisition and social diversity of language use on control networks
https://jasonwgullif[...]
2021-11-28
[60]
논문
Engaging proactive control: Influences of diverse language experiences using insights from machine learning.
https://jasonwgullif[...]
2021-11-28
[61]
논문
Bilingualism as a gradient measure modulates functional connectivity of language and control networks.
2020
[62]
논문
A comparison of temporal processing and spectral processing abilities of monolingual, bilingual and multilingual children
2020
[63]
웹사이트
The New Economy and Languages: HYPIA in Neoliberalism
https://papers.ssrn.[...]
Social Science Research Network (SSRN)
2021
[64]
서적
Economics of the multilingual workplace.
Routledge
2013
[65]
논문
The long-term effects of bilingualism on children of immigration: student bilingualism and future earnings
http://dare.uva.nl/p[...]
[66]
논문
The Foreign-Language Effect: Thinking in a Foreign Tongue Reduces Decision Biases
2012-04-18
[67]
논문
Second language as an exemption from sociocultural norms. Emotion-Related Language Choice revisited
[68]
논문
Your Morals Depend on Language
Public Library of Science (PLoS)
2014-04-23
[69]
논문
Polysystem, Repertoire und Identität
https://unipub.uni-g[...]
2021-06-12
[70]
논문
Multilingualism, empathy, and multicompetence
http://www.bbk.ac.uk[...]
[71]
논문
The effect of multilingualism, socio-biographical, and situational factors on communicative anxiety and foreign language anxiety of mature language learners
http://eprints.bbk.a[...]
2019-07-09
[72]
웹사이트
Life as a Bilingual
https://www.psycholo[...]
[73]
서적
The Multilingual Mind: Issues Discussed By, For, and About People Living with Many Languages
Praeger Publishers
[74]
서적
Growing up with three languages: Birth to eleven
Multilingualism Matters
[75]
서적
Cultural and Language Diversity and the Deaf Experie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76]
간행물
Who Is a Hyperpolyglot?
https://papers.ssrn.[...]
2021
[77]
잡지
Are You A Hyperpolyglot?: the secrets of language superlearners
https://healthland.t[...]
2012-01-30
[78]
서적
Handbook of Cognitive Linguistics and Second Language Acquisition
Routledge
2019-02-24
[79]
논문
The savant syndrome: Intellectual impairment and exceptional skill
[80]
논문
Comparing the intelligence profiles of savant and nonsavant individuals with autistic disorder
https://www.research[...]
[81]
논문
The savant syndrome: an extraordinary condition. A synopsis: past, present, future
2009-05-27
[82]
논문
On Language Savants and the Structure of the Mind Review of: The Mind of a Savant: Language Learning and Modularity by Neil Smith and Ianthi-Maria Tsimpli, 1995
https://journals.sag[...]
1997-09
[83]
논문
Linguistic modularity? A case study of a 'Savant' linguist
https://citeseerx.is[...]
1991-08
[84]
문서
Language and Socie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85]
문서
Arabic Culture Through Its Language and Literature
Kegan Paul International, London
1984
[86]
학위논문
En- eller tvåspråkiga lösningar?: diskursanalys om användning av begreppet 'den taxellska paradoxen' i Vasabladets debattinlägg 2013–2018
https://jyx.jyu.fi/h[...]
2022-05-17
[87]
뉴스
Taxell om sin paradox
https://svenska.yle.[...]
2022-05-17
[88]
논문
Sometimes I'll start a sentence in Spanish y termino en español": toward a typology of code-switching
[89]
서적
České, polské a slovenské jazykové a literární souvislosti: sborník referátů z mezinárodního odborného semináře uspořádaného u příležitosti sedmdesátin prof. PhDr. Edvarda Lotka, CSc., na filozofické fakultě univerzity Palackého v Olomouci dne 20. února 2002
Palacký University
2003
[90]
학회자료
An Evaluation of the Challenges of Multilingualism in Data Warehouse Development
https://www.research[...]
[91]
웹사이트
The New Reynell Developmental Language Scales
http://oro.open.ac.u[...]
2015-12-21
[92]
Youtube
Jan Nelson (Microsoft): The Multilingual App Toolkit Version 3.0
https://www.youtube.[...]
2015-12-21
[93]
논문
Australiansuomalaiset kielenvaihdon kynnyksellä
https://journal.fi/v[...]
2022-06-12
[94]
뉴스
9 of the world's most multilingual countries
http://www.mnn.com/l[...]
Dotdash Meredith
2014-06-28
[95]
논문
A model for polyglossia and multilingualism (with special reference to Singapore and Malaysia)
1977-12
[96]
서적
Encyclopedia of Applied Linguistics
John Wiley & Sons
2012
[97]
웹사이트
Bilingual Policy
https://www.nlb.gov.[...]
Singapore Infopedia
2024-08-31
[98]
논문
Multilingualism in the Workpla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03
[99]
학위논문
Dvuyazıçiye v Tatarstane
https://web.archive.[...]
[100]
논문
Multilingualism in European Workplaces
2014
[101]
논문
"The Last Lingua Franca: English Until the Return of Babel''by Nicholas Ostler"
http://dx.doi.org/10[...]
2012-11-26
[102]
CD
Troika, Russia's Westerly Poetry in Three Orchestral Song Cycles
2013
[103]
논문
Macaronic Techniques in Anglo-Norman Verse
1978
[104]
웹사이트
Second-Generation Americans
https://www.pewsocia[...]
2020-11-04
[105]
웹사이트
Second Generation Stories {{!}} Literature by Children of Immigrants
https://secondgensto[...]
2020-11-04
[106]
서적
Crossing Borderlands: Composition and Postcolonial Studi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ittsburgh Pre
2004-01-01
[107]
뉴스
Top 10 bilingual books
https://www.theguard[...]
2020-11-04
[108]
웹사이트
Hispanic Heritage Month: Recommending Latin American Women Authors
https://www.nypl.org[...]
2020-11-04
[109]
간행물
Thinking in Uno and Reading en Otro: Codeswitching in American Novels
https://rio.tamiu.ed[...]
Texas AM International University
[110]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Latino Studies
http://dx.doi.org/10[...]
Oxford University Press
2020-11-04
[111]
서적
The FSG book of twentieth-century Latin American poetry: an anthology
https://books.google[...]
Farrar, Straus, Giroux
2023-06-25
[112]
웹사이트
82-year-old Kerala man's Dictionary is in the four Dravidian languages. 25 long years to compile
https://bookofachiev[...]
2022-03-07
[113]
웹사이트
83-YO Kerala School Dropout Creates Unique Dictionary in 4 South Indian Languages
https://www.thebette[...]
2022-03-07
[114]
뉴스
For Keralites, door opens to three other Dravidian languages
https://www.thehindu[...]
2022-03-07
[115]
웹사이트
The Man Who Wrote A Dictionary In Four Languages – Silver Talkies
https://silvertalkie[...]
2022-03-07
[116]
문서
「セミリンガル」という差別用語
https://bilingualsci[...]
[117]
문서
英語の早期教育、本当に必要? 中途半端な「セミリンガル」を生む恐れ 韓国の二の舞に
https://www.dailyshi[...]
[118]
문서
幼児英語教育のデメリット(セミリンガル)を心配するあなたへ
https://kodomo-eigon[...]
[119]
문서
ダブルリミテッドに関する誤解。子どもの早期英語教育に弊害はない
https://www.joylingu[...]
[120]
문서
日本育ちの子をインターナショナルスクールに入れるのは愚の骨頂だ
https://gendai.media[...]
[121]
서적
英語を子供に教えるな
中公新書ラクレ
[122]
문서
コロラド大学内 日本語教師会 『語彙獲得達成レベルにおける第一言語と第二言語の相関性:継承日本語の観点からの考察』
http://www.colorado.[...]
[123]
문서
母語・継承語・バイリンガル研究会『事例4. 帰国生徒教育の現場から』
http://www.mhb.jp/20[...]
[124]
논문
Bilingualism and working memory capacity: A comprehensive meta-analysis
http://journals.sage[...]
2017-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