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스라엘 요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스라엘 요리는 3,000년의 역사를 가진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의 영향을 받아 발전해 온 음식과 조리법으로 구성된다. 고대 이스라엘 요리는 7가지 작물을 기반으로 했으며, 동서 무역로의 교차점에 위치하여 향신료를 쉽게 구할 수 있었다. 제2성전 시대에는 헬레니즘과 로마 문화가 영향을 미쳤고, 제2성전 멸망 이후 유대인들은 여러 국가에서 유랑하며 각 국가의 요리 전통의 영향을 받았다. 19세기 말에는 오스만 제국 지배 하의 팔레스타인 지역 유대인 공동체인 올드 이슈브가 세파르딕 요리를 중심으로 독자적인 음식 문화를 발전시켰고, 동유럽에서 이주해 온 하시디즘 유대인들은 아슈케나지 요리를 가져왔다. 1881년 이후 유대인들은 예멘, 동유럽에서 팔레스타인으로 이주하며 현지 농산물에 적응해야 했고, 이들이 채택한 빵, 올리브, 치즈, 생 채소는 키부츠 아침 식사의 기초가 되었다. 이스라엘 건국 초기에는 식량 배급과 긴축 정책으로 인해 민족 요리가 여러 대체 식품으로 수정되었고, 이민자들은 각자의 요리 문화를 도입했다. 1970년대 후반부터 국제 요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1980년대에는 현지 생산 재료의 품질이 향상되었으며, 세파르디와 아슈케나지 모두의 민족 유산 요리가 부활했다. 1990년대에는 국제 요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2000년대에는 건강한 식단에 대한 트렌드가 두드러졌다. 이스라엘 요리는 지중해 지역의 음식, 다양한 기후에서 재배되는 신선한 과일과 채소를 특징으로 하며, 유대교 명절 음식과 카슈루트 전통의 영향을 받는다. 이스라엘은 팔라펠, 이스라엘식 아침 식사, 샐러드, 샥슈카 등 다양한 음식을 제공하며, 길거리 음식, 레스토랑, 명절 음식 등 다양한 형태로 즐길 수 있다. 이스라엘 요리는 문화 전유 논란에 직면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스라엘 요리 - 슈니첼
    슈니첼은 얇게 펴서 빵가루를 입혀 튀긴 고기 요리로, 오스트리아 빈 요리의 대표 음식이며, 비너 슈니첼이 대표적이고, 돼지고기, 닭고기 등 다양한 고기를 사용한 변형이 존재하며, 한국에서는 돈가스와 유사한 형태로 즐겨 먹는다.
  • 이스라엘 요리 - 아이란
    아이란은 요구르트에 물과 소금을 섞어 만든 중앙아시아 튀르크족의 전통 음료이며, 지역에 따라 제조법에 차이가 있다.
이스라엘 요리
지도
개요
종류지중해 요리, 중동 요리, 아슈케나지 유대인 요리, 미즈라히 유대인 요리, 세파르드 유대인 요리, 유대인 요리
기원이스라엘
특징
재료올리브 오일
향신료
채소
과일
콩과 식물
생선
주요리
수프예멘 수프
하리라
쿠스쿠스
마프룸
마르카
미네스트로네
페르시아 곤디
슈르바
타브힐
테프시
반찬바바 가누쉬
이스라엘식 샐러드
후무스
마투부하
사부아
살라트 미즈라히
테치나
터키식 샐러드
고기예루살렘 믹스 그릴
케밥
메오라브 이루살미
슈니첼
슈와르마
생선게필테 피쉬
생선 프리카세
흐라이메
곡물이스라엘 쿠스쿠스
프리카
무자드라
오즈
팔라펠
피티

티비트
디저트바클라바
할바
크나페
말라비
루갈라흐
수프가니야
음료아라크
이스라엘 와인
리모나나
사흘라브

2. 역사

이스라엘 요리는 3,000년이 넘는 역사 동안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의 영향을 받으며 발전해왔다. 종교적, 민족적 배경은 이스라엘 요리를 다채롭게 만들었다.

고대 이스라엘 요리는 7가지 작물인 올리브, 무화과, 대추야자, 석류, 밀, 보리, 포도를 기반으로 했다.[9] 제2성전 시대(기원전 516년 – 서기 70년)에는 헬레니즘고대 로마 문화의 영향으로 호화로운 식사가 발달했다.[8] 제2성전 멸망 이후 유대인들은 유랑 생활을 하며 각 지역의 요리 전통에 영향을 받았다.

오스만 제국 시기(Old Yishuv)에는 세파르디 요리가 발전했다. 1492년 알함브라 칙령으로 추방된 스페인 유대인들은 발칸 반도와 오스만 제국 각지로 이주하여 그곳의 요리 문화를 발전시켰다. 예루살렘에서는 오스만 요리의 영향을 받아 ''삼부사크'', ''부레카스'', 채소 그라탕 등이 발달했다.[10] 하시디즘 유대인들은 동유럽에서 이주하여 아슈케나지 요리를 가져왔고, ''예루살렘 쿠겔''과 같은 지역 특색 음식도 만들었다.[11]

1881년 제1차 알리야 이후 예멘, 동유럽 등지에서 온 유대인들은 주키니, 피망, 가지 등을 활용하여 현지 농산물에 적응해야 했다.[7] 1930년대 히브리어 요리책은 지중해 허브와 향신료 사용을 권장했다.[10] 키부츠 아침 식사는 빵, 올리브, 치즈, 채소를 기본으로 했으며, 오늘날 이스라엘 가정식의 기본이 되었다.[7][10]

텔아비브 주민들이 1954년 긴축 정책 기간 동안 식량 배급을 받기 위해 줄을 서 있다.


이스라엘 건국 초기에는 긴축 정책 시기(1948~1958년)를 겪으며 대체 식품이 많이 개발되었다. 가지를 이용한 "간" 조각, 칠면조 슈니첼, 냉동 생선 쿠베 등이 그 예시이다.[7][10] 프티팀 같은 대체품도 도입되었다.[12] 쿠베자는 독립 전쟁 기간 동안 중요한 식량원이었다.[13]

1948년 이스라엘 건국 이후, 다양한 지역 출신의 유대인 이민자들은 각자의 고유한 음식 문화를 가져왔다.[1] 중앙 유럽 출신은 슈니첼과 스트루델을, 러시아 출신은 보르시와 포르슈마크를 가져왔다.[7] 북아프리카 출신은 쿠스쿠스, 샥슈카 등을, 발칸과 터키 출신은 부레카스, 요거트 등을, 예멘 출신은 야흐눈, 말라와흐 등을 전파했다.[1][7]

1970년대 후반부터 국제 요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스라엘 요리는 더욱 발전했다. 1980년대에는 해외 여행 증가와 경제 회복으로 음식과 와인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골란 고원 와이너리 설립(1983년)은 이스라엘 와인 생산에 변화를 가져왔다.[10] 1990년대에는 스시퓨전 요리가 유행했다. 2000년대에는 유기농 식품통곡물 식품을 강조하는 "건강한 식사" 트렌드가 나타났고, 지중해식 식단이 재조명되었다.[18]

2. 1. 기원

이스라엘 요리는 3,000년의 역사를 아우르는 음식과 조리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전통은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의 영향을 받았으며, 종교적, 민족적 영향으로 인해 요리의 용광로가 되었다. 성경과 고고학적 기록은 기원전 1000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이 지역의 요리 생활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8]

고대 이스라엘 요리는 현대 이스라엘 요리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7가지 작물인 올리브, 무화과, 대추야자, 석류, 밀, 보리, 포도를 기반으로 했다.[9] 현지 재배 농산물을 기반으로 한 식단은 동서 무역로의 교차점에 위치한 이스라엘의 이점으로 쉽게 구할 수 있는 수입 향신료로 강화되었다.[8]

제2성전 시대(기원전 516년 – 서기 70년) 동안, 헬레니즘고대 로마 문화는 특히 제사장예루살렘 귀족들의 요리에 큰 영향을 미쳤다. 매콤한 전채 요리와 알코올 음료, 생선, 소고기, 고기, 절인 채소와 신선한 채소, 올리브, 시큼하거나 달콤한 과일이 포함된 호화로운 식사가 제공되었다.[8]

제2성전 멸망과 대부분의 유대인들이 이스라엘 땅에서 유랑한 이후, 유대 요리는 후기 고대 시대부터 유대인 공동체가 존재해 온 많은 국가에서 계속 발전했으며, 해당 국가의 경제, 농업 및 요리 전통의 영향을 받았다.

2. 2. 오스만 제국 시기 (Old Yishuv)

올드 이슈브는 1881년에 시작된 유대교 디아스포라에서 일어난 시온주의 알리야 이전 오스만 시리아에 거주했던 유대인 공동체를 지칭한다. 이 공동체의 요리 스타일은 세파르디 요리였는데, 이는 1492년 알함브라 칙령으로 추방되기 전 스페인 유대인들 사이에서 발전했으며, 이후 그들이 이주한 지역, 특히 발칸 반도와 오스만 제국에서 발전했다. 세파르딤과 아슈케나짐 역시 올드 이슈브에 공동체를 설립했다. 특히 예루살렘에서는 오스만 요리의 영향을 받아 요리 스타일을 계속 발전시켜 예루살렘 세파르디 요리라고 알려진 스타일을 만들었다.[10] 이 요리에는 사모사 종류인 ''삼부사크'', 파스텔 및 뵈렉 종류인 ''부레카스'', 채소 그라탕, 소를 채운 채소, 밥과 불거 필라프 등이 포함되었으며, 이는 현재 예루살렘의 대표적인 요리로 여겨진다.[7]

하시디즘 유대인들은 18세기 말부터 동유럽에서 공동체를 설립하기 시작했고, 그들의 전통적인 아슈케나지 요리를 가져왔지만, 특히 고추 맛이 나고 캐러멜화된 국수 푸딩인 ''예루살렘 쿠겔''과 같은 독특한 지역 변형을 발전시켰다.[11]

2. 3. 유대인 이민

1881년 제1차 알리야를 시작으로 예멘, 동유럽(특히 폴란드와 러시아)에서 온 유대인들이 이 지역으로 많이 이주했다. 이들 시온주의 개척자들은 이념적 이유와 지중해성 기후 때문에 아슈케나지 요리 방식을 버리고 주키니, 피망, 가지, 아티초크, 병아리콩 등을 활용하여 현지 농산물에 적응해야 했다.[7] 1930년대 초 여성 국제 시온주의 기구 팔레스타인 연맹에서 출판한 에르나 마이어의 최초 히브리어 요리책은 요리사들에게 지중해 허브, 중동 향신료, 현지 채소를 요리에 사용할 것을 권장했다.[10] 빵, 올리브, 치즈, 생 채소는 키부츠 아침 식사의 기초가 되었으며, 더 풍성한 형태로 이스라엘 호텔에서 제공되고 오늘날 대부분의 이스라엘 가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제공된다.[7][10]

2. 4. 이스라엘 건국 초기



이스라엘은 건국 초기에 엄청난 군사적, 경제적 어려움에 직면했고, 1948년부터 1958년까지는 "체나"로 알려진 식량 배급과 긴축 정책 시기를 겪었다. 이 시기에는 유럽의 홀로코스트 생존자들을 포함하여 주로 아랍 국가에서 온 100만 명 이상의 유대인 이민자들이 이스라엘로 들어왔다.[7][10] 이들은 기본적인 식량만 구할 수 있는 상황에서 도착했고, 가지로 만든 "간" 조각, 아슈케나짐을 위한 송아지 슈니첼 대신 칠면조, 이라크 유대인을 위해 다진 고기 대신 냉동 생선으로 만든 쿠베, 미즈라히 유대인의 양고기 케밥 대신 칠면조 등 다양한 대체 식품으로 민족 요리를 수정해야 했다. 이러한 변화는 그 시대의 유산으로 남아 있다.

밀 기반의 쌀 대용품인 ''프티팀'' 같은 대체품이 도입되었고, 가지와 같은 다용도 채소가 고기 대신 사용되었다. 값싼 통조림 토마토 페이스트와 퓌레, ''후무스'', ''타히나'', 튜브에 담긴 마요네즈에서 추가적인 맛과 영양을 얻었다. 고기는 부족했고, 1950년대 후반이 되어서야 소 떼가 농업 경제에 도입되었다.[12]

쿠베자는 말로우 식물의 지역 품종으로 독립 전쟁 기간 동안 중요한 식량원이었다. 예루살렘 포위 동안 식량 수송대가 도시에 도달할 수 없을 때, 예루살렘 사람들은 철분과 비타민이 풍부한 ''쿠베자'' 잎을 따기 위해 들판으로 나갔다.[13] 예루살렘에 기반을 둔 라디오 방송국 콜 하마겐(Kol Hamagen)에서 방송된 요리법은 요르단에서 잡혔고, 이는 아랍인들에게 유대인들이 굶어 죽어가고 있으며 승리가 눈앞에 있다는 것을 확신시켰다.[14] 지난 10년 동안 이스라엘의 음식 작가들은 인구에게 이스라엘 독립 기념일에 ''쿠베자''를 준비하도록 권장했다.[15] 현지 요리사들은 고급 레스토랑에서 들판에서 수집한 ''쿠베자''와 다른 야생 식물을 제공하기 시작했다.[16] 독립 전쟁 때 만들어진 이 요리는 ''크치초트 쿠베자''라고 불리며 오늘날에도 이스라엘 사람들이 먹고 있다.

2. 5. 이민의 영향

1948년 이스라엘 건국 이전부터 다양한 지역 출신의 유대인 이민자들은 각자의 고유한 음식 문화를 이스라엘에 가져왔다.[1] 중앙 유럽 출신 유대인들은 슈니첼과 스트루델을, 러시아 유대인들은 보르시와 포르슈마크와 같은 청어 요리를 이스라엘에 소개했다.[7]

1948년 이후, 특히 터키, 이라크, 쿠르디스탄, 예멘, 그리고 모로코 출신 유대인들의 대규모 이주가 이루어지면서 이스라엘 요리에 큰 영향을 미쳤다.[7] 북아프리카 출신 유대인(미즈라히 유대인)들은 쿠스쿠스, 샥슈카, 마트부차 등을 이스라엘 요리에 더했다.[7]

발칸과 터키 출신 유대인(세파르딕 유대인)들은 부레카스, 요거트 등을 이스라엘 요리에 포함시켰다.[1] 예멘 유대인들은 야흐눈, 말라와흐, 스쿠그 등을, 이라크 유대인들은 암바, 다양한 종류의 쿠바 등을 이스라엘에 전파했다.[1]

2. 6. 현대의 발전

1970년대 후반부터 국제 요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스라엘 요리는 더욱 세련되어졌다. 1974년에 출판된 루스 시르키스의 요리책 ''사랑으로 가득한 주방''은 국제적인 요리 트렌드를 소개했고, 중국, 이탈리아, 프랑스 요리를 제공하는 레스토랑이 늘어나면서 외식이 증가했다.[10][17]

1980년대는 이스라엘 요리의 형성기였다. 1979년 이집트-이스라엘 평화 조약 체결 이후 낙관적인 분위기, 1980년대 중반의 경제 회복, 해외 여행 증가는 음식과 와인에 대한 관심을 높였다. 또한 고품질 현지 식재료의 생산이 증가했다. 개인 유제품 회사들이 염소, 양, 소의 우유로 수제 치즈를 생산하기 시작하여 셰프와 대중들에게 인기를 얻었다. 1983년에는 골란 고원 와이너리가 설립되어 이스라엘 와인 생산에 변화를 가져왔다. 수제 빵과 고품질 올리브 오일 생산에도 새로운 관심이 쏟아졌다. 수산 양식의 발전은 신선한 생선의 꾸준한 공급을 보장했고, 농업 혁명은 다양한 과일, 채소, 허브 생산으로 이어졌다.[10]

세파르디와 아슈케나지 유대인들의 전통 요리는 사회적 인식 증가와 함께 다시 부활했다. 가정 요리 외에도 다양한 민족 음식들이 시장, 슈퍼마켓, 레스토랑에서 판매되고, 결혼식과 바르 미츠바에서 제공되면서, 사람들은 자신의 배경과 다른 민족의 음식을 즐겨 먹게 되었다. 다민족 음식 문화가 발전하면서 서로 다른 민족 음식의 조합이 일반화되었다.[7][10]

1990년대에는 국제 요리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졌다. 특히 스시는 외식과 행사용 전채 요리로 인기를 얻었다. 레스토랑에서는 프랑스, 일본 요리와 현지 재료를 융합한 퓨전 요리가 유행했다.

2000년대에는 유기농 식품통곡물 식품을 강조하는 "건강한 식사" 트렌드가 두드러졌고, 의학 연구를 통해 많은 이스라엘인들이 지중해식 식단을 재수용하게 되었다.[18]

3. 특징

지중해성 기후의 영향으로 올리브, 밀, 병아리콩, 유제품, 생선, 토마토, 가지, 호박 등이 이스라엘 요리의 주재료로 사용된다.[19] 이스라엘은 다양한 기후를 가지고 있어, 해안 평야에서는 오렌지, 레몬, 자몽과 같은 감귤류가 잘 자라고, 언덕 지역에서는 무화과, 석류, 올리브가 재배된다.[8] 갈릴리 호수 근처와 요르단 강 계곡의 아열대 기후는 망고, 키위, 바나나 재배에 적합하며, 갈릴리와 골란의 산악 지역에서는 포도, 사과, 체리가 잘 자란다.[20]

이스라엘의 식습관은 지중해 지역과 유사하여, 평일에는 저녁 식사보다 점심 식사를 주로 한다. 키부츠 음식은 다양한 종류의 치즈, 요구르트, 라브네, 채소, 샐러드, 올리브, 삶은 달걀, 빵 등으로 구성된 이스라엘식 아침 식사의 대표적인 예이다.[7]

유대교 명절은 할라, 수프가니요트, 하멘타셴, 차로세트 등 특별한 명절 음식을 통해 이스라엘 요리에 영향을 미쳤다. 카슈루트 전통은 가정, 공공 기관, 식당에서 음식 조리법에 영향을 미치며, 우유와 고기의 분리, 돼지고기와 조개류 사용 제한 등을 포함한다. 유월절에는 빵과 발효 식품 대신 마차와 무발효 식품을 먹는다.[21]

4. 음식

지리학은 이스라엘 요리에 큰 영향을 미친다. 올리브, 밀, 병아리콩, 유제품, 생선, 토마토, 가지, 호박과 같은 지중해 지역의 음식 재료들이 이스라엘 음식에서 두드러진다. 이스라엘로 이주한 다양한 문화와 국가 출신의 이민자들은 그들의 고유한 요리 요소를 도입했다.[1] 1948년 이전 약 50년 동안 유대인 이민의 물결이 이어지면서 다양한 음식과 요리 스타일이 유입되었다. 중앙 유럽 출신 이민자들은 슈니첼과 스트루델을, 러시아 유대인들은 보르쉬와 포르슈마크 같은 청어 요리를 가져왔다.[7]

할바가 예루살렘 마하네 예후다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다, 2010


아슈케나지 요리에는 닭고기 수프, 훈제 연어, 다진 간, 게필테 피쉬, 크니시, 키시카, 쿠겔 등이 있다. 최초의 이스라엘 제과점은 아슈케나지 유대인에 의해 문을 열었으며, 이들은 바브카, 슈네켄, 초콜릿 롤 등 중앙 및 동유럽식 케이크와 페이스트리를 대중화했다.

1948년 이후, 터키, 이라크, 쿠르디스탄, 예멘, 특히 모로코에서 온 미즈라히 유대인의 대규모 이주가 큰 영향을 미쳤다. 군대, 학교, 병원, 호텔, 레스토랑 주방 직원들은 주로 미즈라히, 쿠르드족, 예멘 유대인으로 구성되어 이 나라의 요리 유행과 재료에 영향을 미쳤다.[7]

북아프리카 유대인의 요리인 미즈라히 요리는 구운 고기, 달콤하고 짭짤한 페이스트리, 쌀 요리, 속을 채운 채소, 피타, 샐러드를 특징으로 하며, 아랍 요리와 많은 유사점을 공유한다. 이스라엘에서 인기 있는 다른 북아프리카 요리에는 쿠스쿠스, 샥슈카, 마트부차, 당근 샐러드, 크라임 등이 있다.

세파르딕 요리는 발칸과 터키의 영향을 받아 부레카스, 요거트, 타라모살라타 등을 포함한다. 예멘 유대인 음식에는 야흐눈, 말라와흐, 스쿠그, 쿠바네 등이 있다. 이스라엘에서 인기 있는 이라크 요리에는 암바, 다양한 종류의 쿠바, 속을 채운 채소(mhasha|므하샤ar), 케밥, 삼부사크, 사비치, 절인 채소(하무짐) 등이 있다.

베르셰바의 주로 베두인 시장에서 절인 채소 모음, 2007


이스라엘의 농업이 발전하고 새로운 종류의 과일과 채소가 시장에 등장하면서 요리사와 셰프들은 이를 이용해 새로운 요리를 실험하고 개발하기 시작했다.[12] 또한, 꿀, 무화과, 석류와 같은 "성경적" 재료와 손바닥 선인장(tzabbarhe)과 병아리콩과 같은 토착 음식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1970년대 후반부터는 국제 요리, 와인과 허브를 이용한 요리, 그리고 채식주의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7]

1974년에 출판된 루스 시르키스의 ''사랑으로 가득한 주방''과 같은 요리책은 국제적인 요리 트렌드를 소개했다. 중국, 이탈리아, 프랑스 요리를 제공하는 레스토랑의 개업과 함께 외식이 늘어나면서 이스라엘에서 더욱 세련된 음식 문화가 발달하기 시작했다.[10][17]

1980년대는 형성기였다. 1979년 이집트와의 평화 조약 체결, 1980년대 중반의 경제 회복, 일반 시민들의 해외 여행 증가는 음식과 와인에 대한 더 큰 관심에 기여했다. 고품질의 현지 생산 재료의 가용성이 높아졌다. 개인 소유의 유제품 회사들이 염소, 양, 소의 우유로 수제 치즈를 생산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셰프들과 일반 대중 모두에게 빠르게 인기를 얻었다. 1983년, 골란 고원 와이너리는 세계적인 수준의 와인 생산을 통해 맛을 변화시키는 데 기여했다. 수제 빵 제작과 고품질 올리브 오일 생산에 새로운 관심이 쏟아졌다. 수산 양식의 성공적인 발전은 신선한 생선의 꾸준한 공급을 보장했고, 이스라엘의 농업 혁명은 신선한 과일, 채소, 허브의 압도적인 선택과 품질로 이어졌다.[10]

세파르디와 아슈케나지 모두의 민족 유산 요리는 이질적인 사회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다시 부활했다. 가정 요리 외에도 많은 민족 음식들이 이제 길거리 시장, 슈퍼마켓, 레스토랑에서 구할 수 있거나, 결혼식과 바르 미츠바에서 제공되며, 사람들은 점점 더 자신의 배경과 다른 민족의 음식을 먹는다. 다민족 음식 문화가 발전함에 따라 서로 다른 민족 집단의 음식의 중복과 조합이 표준이 되고 있다.[7][10]

1990년대에는 국제 요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특히 스시는 외식과 행사용 전채 요리로 인기를 얻었다. 레스토랑에서는 프랑스, 일본과 같은 고전 요리와 현지 재료를 융합한 퓨전 요리가 널리 퍼졌다.

2000년대에는 유기농 식품통곡물 식품을 강조하는 "건강한 식사" 트렌드가 두드러졌고, 의학 연구를 통해 많은 이스라엘인들이 건강상의 이점이 있다고 선전되는 지중해식 식단을 재수용하게 되었다.[18]

이스라엘은 보편적으로 인정되는 국가 요리를 가지고 있지 않다. 과거에는 양념한 병아리콩을 튀긴 팔라펠이 이 요리로 여겨졌다.[22][23] 이스라엘 전역의 길거리 상인들은 과거에 팔라펠을 판매했으며, 수십 년 동안 인기 있는 "길거리 음식"이었고, 현재도 메제 요리 또는 피타 빵에 후무스를 곁들여 먹는 음식으로 인기가 있지만, 튀김 기름 사용과 높아진 건강 의식으로 인해 피타 빵의 주된 속 재료로서는 덜 사용된다.[12]

이스라엘식 아침 식사는 항상 건강에 좋은 편이었으며, 한 책에서는 이스라엘식 아침 식사를 "세계 요리에 대한 유대 국가의 기여"라고 칭했다.[24]

4. 1. 샐러드와 전채

채소 샐러드는 이스라엘 식사의 필수 요소이다. 대부분의 식사와 함께 제공되며, 전통적인 이스라엘식 아침 식사에는 달걀, 빵, 그리고 코티지 치즈와 같은 유제품이 포함된다. 점심이나 저녁에는 샐러드가 반찬으로 나올 수 있다. 피타에 샐러드, 후무스, 프렌치 프라이(칩)를 넣어 가볍게 먹는 식사를 '후무스칩살라트'라고 부른다.[25]

이스라엘 샐러드는 보통 잘게 썬 토마토와 오이를 올리브 오일, 레몬 즙, 소금, 후추로 양념하여 만든다. 여러 변형이 있는데, 잘게 썬 붉은색 또는 녹색 피망, 간 당근, 잘게 찢은 양배추나 양상추, 얇게 썬 무, 회향, 쪽파, 다진 부추, 다진 파슬리나 민트, 자타르, 수맥과 같은 허브와 향신료를 추가할 수 있다.[25] 이러한 혼합 샐러드는 키부츠에서 대중화되었지만, 여러 지역에서 이스라엘로 유입되었다. 예를 들어, 인도 유대인들은 잘게 썬 생강과 녹색 고추를 넣고, 북아프리카 유대인들은 절인 레몬 껍질과 카이엔 페퍼를 넣을 수 있으며, 부하라 유대인들은 채소를 매우 잘게 썰고 기름 없이 식초를 드레싱으로 사용한다.[26]

타불레는 레반트 지역의 채식 요리(때로는 샐러드로 간주됨)로, 전통적으로 토마토, 잘게 썬 파슬리, 민트, 불거, 양파로 만들고 올리브 오일, 레몬 즙, 소금으로 간을 한다. 이스라엘 샐러드의 일부 변형에서는 토마토 대신 석류 씨를 사용하기도 한다. 사비흐 샐러드는 이스라엘 요리인 사비흐의 변형으로, 가지, 삶은 달걀/완숙 달걀, 타히니, 이스라엘 샐러드, 감자, 파슬리, 암바를 재료로 한다.

쿠바는 쌀, 세몰리나, 또는 부르굴(거친 밀), 다진 양파, 그리고 잘게 간 쇠고기, 양고기, 또는 닭고기로 만든다. 가장 잘 알려진 종류는 다진 쇠고기, 닭고기, 또는 양고기로 속을 채운 어뢰 모양의 튀긴 크로켓이다. 이 요리는 이라크, 쿠르드, 시리아 출신 유대인들이 이스라엘로 가져왔다. 삼부사크는 으깬 병아리콩, 튀긴 양파, 향신료로 채워진 반원 모양의 반죽이다. 고기, 튀긴 양파, 파슬리, 향신료, 잣으로 채워진 또 다른 종류가 있으며, 때로는 으깬 병아리콩과 아침 식사 버전으로 페타 또는 츠파트 치즈와 자타르를 섞기도 한다. 튀기거나 다른 방식으로 조리할 수 있다.

구운 채소에는 피망, 고추, 토마토, 양파, 가지, 때로는 감자와 호박이 포함된다. 주로 구운 고기와 함께 제공된다. 하무츠임은 물과 소금(때로는 올리브 오일)에 담가 공기를 차단하여 만든 절인 채소이다. 재료로는 오이, 양배추, 가지, 당근, 순무, 무, 양파, 케이퍼, 레몬, 올리브, 콜리플라워, 토마토, 고추, 피망, 마늘, 콩 등이 있다.

가지 샐러드와 딥의 다양한 종류는 구운 가지로 만든다.[27] 이스라엘에서는 살라트 하칠림이라고 불리는 바바 가누쉬를 타히나와 마늘, 레몬 즙, 양파, 허브, 향신료와 같은 기타 조미료로 만든다. 음식 작가이자 역사가인 길 마크스는 "이스라엘인들은 아랍인들로부터 바바 가누시를 만드는 법을 배웠다."라고 말했다.[28] 가지는 때때로 열린 불 위에서 구워 펄프에 연기가 나는 맛을 낸다. 샐러드의 특별한 이스라엘식 변형은 마요네즈로 만들며, 살라트 하칠림 비마요네즈라고 한다.[29] 가지 샐러드는 요거트, 페타 치즈, 다진 양파와 토마토, 또는 루마니아 유대인 스타일로 구운 붉은 피망으로 만들기도 한다.[30]

타히니팔라펠의 드레싱,[31] 고기 및 생선의 요리 소스로 자주 사용되며, 할바와 같은 과자의 기초를 형성한다.[32] 후무스는 이스라엘 요리의 초석이며, 음식 평론가 엘레나 페레티는 이스라엘에서의 소비를 "미국의 땅콩 버터, 유럽의 누텔라 또는 호주의 베지마이트"에 비유했다.[33] 피타에 담긴 후무스는 학교 아이들의 일반적인 점심이며, 많은 식사에 인기 있는 추가 재료이다. 슈퍼마켓에서는 다양한 상업적으로 준비된 후무스를 판매하며, 일부 이스라엘인들은 후무스를 판매하는 데 전념하는 시설인 후무시아에서 신선하게 준비된 후무스를 구하기 위해 먼 길을 간다.[34]

살라트 아보카도는 이스라엘식 아보카도 샐러드로, 레몬 즙과 다진 쪽파가 들어 있으며, 1920년대 해안 평원에 아보카도 나무를 심은 농부들에 의해 소개되었다. 아보카도는 그 이후 겨울 별미가 되었으며 샐러드에 썰어 넣거나 빵에 발라 먹는다.[35] 신선하고 조리된 채소 샐러드, 절인 오이 및 기타 채소, 후무스, 풀, 타히니, 암바 딥, 올리브 오일과 함께 제공되는 라브네 치즈, 그리고 이크라는 축제 만찬과 레스토랑에서 제공된다.

샐러드에는 터키 샐러드(잘게 썬 양파, 토마토, 허브, 향신료로 만든 매콤한 샐러드), 타불레, 당근 샐러드, 절인 구운 붉은 피망과 녹색 피망, 튀긴 콜리플라워 꽃, 마트부차, 토르시(절인 채소), 다양한 가지 샐러드가 포함된다.[36][37] 현대 이스라엘식 ''메제''는 전통과 현대를 혼합하여 일반적인 전채 요리와 회향과 피스타치오 샐러드, 비트와 석류 샐러드, 샐러리와 카슈카발 치즈 샐러드와 같은 독특한 조합을 곁들인다.[38]

멤룰라임이라고 불리는 속을 채운 채소는 원래 저렴한 재료로 식사를 늘리기 위해 고안되었다. 모든 민족적 배경의 이스라엘 요리사가 준비하며, 매운맛이나 단맛과 신맛 등 다양한 맛으로 만들어진다. 피망, 고추, 무화과, 양파, 아티초크 밑동, 근대, 사탕무, 말린 과일, 토마토, 포도 잎, 감자, 아욱, 가지, 호박, 발칸 스타일의 고기와 쌀, 중동 스타일의 불거, 또는 이스라엘식 파스타의 일종인 프티팀과 같은 속을 채운 재료가 사용된다.[39] 오스만 투르크는 16세기에 포도 잎에 속을 채운 요리를 도입했으며, 포도 잎은 일반적으로 고기와 쌀의 조합으로 속을 채우지만, 렌틸콩과 같은 다른 재료는 다양한 커뮤니티에서 발전해 왔다.[40] 고기로 속을 채운 아티초크 밑동은 올드 이슈브의 세파르디 예루살렘 요리의 훌륭한 요리 중 하나로 유명하다.[41] 속을 채운 대추와 말린 과일은 쌀과 불거 요리와 함께 제공된다. 속을 채운 반 호박은 라디노어로 ''메디아스''라고 한다.

4. 2. 수프와 만두

닭고기 수프는 중세 시대부터 유대 요리의 주요 음식이었으며 이스라엘에서도 인기가 많다.[42] 다양한 수프가 즐겨 먹으며, 특히 겨울에 인기가 많다.

전통적인 닭고기 수프는 양파, 당근, 셀러리 등의 채소와 , 파슬리 등의 허브를 넣어 간단한 국물로 만든다.

더 정교한 버전은 오르조 또는 을 넣거나 레몬즙 또는 민트나 고수와 같은 허브를 첨가하여 ''세파르딤'' 요리법으로 준비되며, ''아슈케나짐''은 국수를 추가할 수 있다.[43] 이스라엘에서는 전통적인 아슈케나지 수프 파스타인 ''만들렌''을 변형한 ''슈케데이 마라크''( "수프 아몬드")가 닭고기 수프와 함께 흔히 제공된다.

''슈케데이 마라크'' (이스라엘식 크루통)


특히 명절에는 아슈케나짐의 ''크네이들라흐''(마짜 볼) 또는 이란 유대인의 ''곤디''(병아리콩 만두), 또는 중동 유대인이 이스라엘로 가져온 만두 종류인 ''쿠바''와 같은 만두가 수프와 함께 제공된다. 특히 불거로 만들어 다진 양고기으로 속을 채운 ''쿠바'', 부드러운 세몰리나 또는 쌀 ''쿠바''를 수프에 넣어 요리한 것[43]은 쿠르드 유대인 또는 이라크 유대인들이 금요일 점심 식사로 즐겨 먹는다.[44]

렌즈콩 수프는 고수 또는 고기와 같은 첨가물을 넣어 다양한 방식으로 준비한다.[45] 다른 수프에는 양고기(또는 닭고기), 병아리콩, 렌즈콩, 쌀로 만든 매콤한 수프인 모로코 유대인의 ''하리라''와 결혼식과 같은 특별한 날에 전통적인 ''하와이즈'' 향신료 혼합물로 양념하여 제공되는 예멘의 골수 수프 ''푸트''가 있다.[46][47]

토마토 소스를 곁들인 흰 강낭콩 수프는 안달루시아에서 추방된 후 세파르딕 유대인들이 예루살렘에 정착하면서 흔하게 먹는다.

4. 3. 곡물과 파스타

쌀은 단순한 찐 백미부터 축제 요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된다. 향신료와 함께 조리되어 아몬드와 잣을 곁들여 제공되기도 한다. 다양한 신선한 다진 허브로 준비된 "녹색" 쌀은 페르시아 유대인들이 선호한다. 또 다른 쌀 요리로는 얇은 국수를 먼저 튀긴 다음 쌀과 함께 끓여서 만든다.

무자다라는 아랍 요리에서 유래된 인기 있는 쌀과 렌즈콩 요리이다. 오레즈 슈잇은 예루살렘에서 세파르디 유대인들이 개발한 요리로, 토마토 스튜에 조리된 흰 강낭콩을 일반 삶은 쌀 위에 얹어 제공한다. 예루살렘 지역에서 널리 먹는다.[48][49]

쿠스쿠스는 북아프리카 출신 유대인들에 의해 이스라엘로 전해졌다. 여전히 일부 레스토랑이나 전통 요리사들이 세몰리나를 체로 여러 번 걸러낸 다음, '쿠스쿠시어'라고 불리는 특수 증기 냄비에서 향긋한 국물에 끓여 요리한다. 일반적으로 가정 요리에는 "인스턴트" 쿠스쿠스가 사용된다. 쿠스쿠스는 샐러드, 주요 요리, 심지어 일부 디저트에도 사용된다. 주요 요리로는 사프란이나 강황으로 맛을 낸 수프에 조리된 닭고기 또는 양고기, 채소를 찐 쿠스쿠스 위에 얹어 제공한다.

프티팀은 이스라엘의 파스타로, 현재는 펄, 고리, 별, 하트 등 다양한 모양으로 출시되지만 원래는 쌀알 모양이었다. 이는 미즈라히 유대인들의 주식인 쌀이 부족했던 이스라엘 국가 초기 시절에 밀 기반의 쌀 대체품으로 시작되었다. 이스라엘의 초대 총리인 다비드 벤구리온은 오셈사에 이 대체품을 개발하도록 요청했다고 알려져 있으며, 그래서 "벤구리온 쌀"이라는 별명이 붙었다.[50]

프티팀은 파스타처럼 삶거나, 볶은 다음 물이나 육수에 끓여 필라프 스타일로 준비하거나, 캐서롤에 구울 수도 있다. 다른 파스타와 마찬가지로 향신료, 허브, 소스로 다양한 맛을 낼 수 있다. 한때 주로 어린이를 위한 음식으로 여겨졌던 프티팀은 현재 이스라엘과 해외의 레스토랑에서 준비되고 있다.

불거는 일종의 말린 으깬 밀로, 때로는 쌀 대신 제공된다.

4. 4. 생선

지중해홍해 연안, 갈릴리 호수, 그리고 양식업을 통해 얻는 신선한 생선은 이스라엘 요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송어(''forel''), 참돔(''denisse''), 성 베드로 물고기(''musht'') 등은 통째로 굽거나 튀겨 갓 짜낸 레몬즙을 뿌려 먹는다.[51] 채소를 곁들이거나 숯불에 굽고, 다양한 소스를 곁들여 먹기도 한다.[52]

다금바리(이스라엘에서는 아랍어 이름 로 더 잘 알려져 있음)나 넙치 같은 생선을 조림으로 요리하기도 한다. 라고 불리는 이 요리는 북아프리카 유대인들이 로쉬 하샤나, 유월절, 안식일에 고추 등 향신료를 넣은 소스에 조려 먹는 방식이다.

게필테 피쉬는 잉어 등 튼튼한 백색 어류를 다져 빵이나 공 모양으로 만들어 육수에 요리한 아슈케나지 유대인의 전통 음식이다. 이들은 절인 청어도 동유럽에서 가져왔다.

청어는 특히 아슈케나지 공동체에서 안식일 시나고그 예배 후 ''키두쉬''에서 자주 제공된다. 러시아 이민자 공동체에서는 삶은 감자, 사워크림, 검은 빵, 슈냅스 또는 보드카와 함께 가벼운 식사로 제공되기도 한다.[52][53]

생선 코프타는 향신료, 허브, 양파(때로는 잣)와 함께 튀겨 타히니나 요거트 소스를 곁들인다. 삶은 생선 코프타는 토마토, 타히니, 요거트 소스에 조리한다.

타히니 소스를 곁들이고 올리브 오일, 고수, 민트, 바질, 잣(때로는 튀긴 양파)을 얹은 틸라피아는 티베리아스의 특산품이다.

4. 5. 가금류와 육류

닭고기와 칠면조는 이스라엘에서 가장 널리 소비되는 육류이다.[54] 닭고기는 오븐구이부터 풍부한 소스를 곁들인 캐서롤까지 다양하게 조리된다. 쿠스쿠스를 곁들인 닭고기 캐서롤, 올리브를 곁들인 닭고기, 토마토 소스를 곁들인 닭고기 ''알본디가스''(미트볼) 등이 그 예이다.[54] ''알본디가스''는 다진 고기로 만들어지며,[55] 이와 비슷한 ''쿠프타''는 다진 고기, 허브, 향신료를 토마토 소스, 대추 시럽, 석류 시럽 또는 타마린드 시럽 등과 함께 조리한다.

구운 및 바비큐 육류도 흔하다. 이스라엘에는 ''케밥'', ''쉬쉬 타우크'', ''메르게즈'', ''샤슬릭'' 등을 파는 작은 식당들이 많다. 야외 바비큐(망갈 또는 알 하에쉬)는 이스라엘인들이 즐겨하는 취미이며, 이스라엘 독립 기념일에는 공원과 숲에서 바비큐를 즐기는 모습을 볼 수 있다.[56] 꼬챙이에 끼운 거위 간은 텔아비브 남부 요리이다.

터키 슈니첼은 송아지 슈니첼을 이스라엘식으로 변형한 것이다.[57] 이스라엘 건국 초기에는 송아지 고기를 구하기 어려워 닭고기나 칠면조를 사용했고, 카슈루트 때문에 버터 대신 기름으로 조리한다. 오늘날 대부분의 요리사는 빵가루를 입힌 슈니첼을 구입하여 간편하게 조리한다.

''무사카''는 다진 고기와 가지를 넣어 만든 층층이 쌓은 캐서롤 요리이다. 고기 스튜는 향신료, 허브, 석류 당밀, 타마린드 등 다양한 재료와 함께 조리된다.

4. 6. 유제품

코티지 치즈, 흰색 치즈, ''레벤''(leben)과 ''에쉘''(eshel)을 포함한 요구르트, 노란색 치즈, 지중해 지역의 전형적인 소금물에 절인 치즈 등 신선하고 품질 좋은 유제품을 많이 구할 수 있다.[59]

낙농업은 이스라엘 농업의 주요 분야이며, 현지 젖소의 산유량은 세계 최고 수준이다. 처음에는 저렴하고 영양가가 높아 모샤브(농업 협동 조합)와 키부츠에서 주로 부드러운 흰색 치즈를 생산했다. 이는 긴축의 해에 중요한 주식이 되었고 오늘날까지 인기를 누리고 있다.

부드러운 흰색 치즈, ''그비나 레바나''는 종종 지방 함량(5% 또는 9% 등)으로 언급된다. 그냥 먹거나 과일이나 채소를 섞어 빵이나 크래커에 발라 파이와 페이스트리에 사용한다.

라브네(Labneh)는 발칸 반도와 중동 전역에서 흔히 사용되는 요구르트 기반의 흰색 치즈이다. 그냥 판매되거나, 자타르(za'atar)와 함께 판매되거나, 올리브 오일에 절여 판매된다. 다른 치즈 및 빵과 함께 아침 식사로 자주 먹는다.[60] 이스라엘 북부에서는 올리브 오일에 절인 ''라브네'' 공이 중부 및 남부 지역보다 더 흔하다. ''라브네'' 공을 보존할 때 ''자타르'', 건조된 오레가노 또는 수맥과 같은 향신료, 백리향, 민트 또는 파와 같은 허브를 첨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아침에는 일반적으로 고기를 먹지 않기 때문에 아침 식사 때 먹는 것이 특히 일반적이다.

''츠파트 치즈''(Tzfatit) — 염소 우유로 만든 반경성 치즈


''츠파트'' 치즈는 페타 치즈와 유사한 흰색 치즈로, 1837년 사페드에 있는 메이리 유제품에서 처음 생산되었으며, 현재도 최초의 치즈 제조업체의 후손들이 생산하고 있다. 메이리 유제품은 또한 발칸 스타일의 ''브린자'' 치즈 생산으로 유명해졌으며, 1950년대 초 불가리아에서 온 유대인 이민자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어 불가리아 치즈로 알려지게 되었다. 현재 다른 유제품에서도 이 치즈의 다양한 종류를 생산한다. 홀로코스트 생존 불가리아 유대인에 의해 이스라엘에 소개된 불가리아 요구르트는 전통적인 요구르트 오이 수프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61]

1980년대 초, 소규모의 사립 유제품 회사들이 프랑스, 스페인, 이탈리아의 시골에서 만든 전통 치즈와 유사한 유기농 우유뿐만 아니라 염소 및 양 우유로 만든 수제 치즈를 생산하기 시작했다. 이 치즈들은 현재 ''키부츠''와 전국 트누바 유제품에서도 생산되고 있다.

4. 7. 달걀 요리

샥슈카는 매운 토마토 소스에 계란을 넣고 조리한 북아프리카 요리로, 특히 겨울에 이스라엘 사람들이 즐겨 먹는 음식이다.[62] 샥슈카는 전통적으로 소스를 찍어 먹을 빵과 함께 무쇠 냄비에 담아 제공된다.[62] 가지, 고추, 핫 파프리카, 시금치, 페타 또는 사페드 치즈와 같은 재료를 듬뿍 넣어 조리하기도 한다.

오믈렛은 양파, 딜 씨(''샤미르''), 시금치, 파슬리, 민트, 고수, 아욱과 같은 허브와 강황, 커민, 수맥, 계피, 정향과 같은 향신료, 사페드 및 페타와 같은 치즈로 양념한다.

하미나도스는 삶은 후 구운 계란으로 스튜 또는 식사와 함께 제공된다. 하민에서는 아침 식사로 사용되며, 때로는 사비흐에서 일반적인 계란을 대체하기도 한다. 야흐눈, 간 토마토 및 스쿠그와 함께 아침 식사로 먹기도 한다.

4. 8. 과일

이스라엘은 세계 최고의 신선한 감귤 생산국이자 수출국 중 하나이며,[63] 오렌지, 자몽, 귤과 이스라엘에서 개발된 자몽과 유자나무의 잡종인 포멜리트를 포함하여 40종 이상의 과일이 재배된다.[64] 이스라엘에서 재배되는 과일에는 아보카도, 바나나, 사과, 체리, 자두, 리치, 천도복숭아, 포도, 대추야자, 딸기, 선인장 열매(tzabbarhe), , 비파 (shesek|셰세크he) 및 석류 등이 있으며, 이들은 정기적으로 섭취된다. 이스라엘인은 1인당 연간 평균 거의 160kg의 과일을 소비한다.[65]

많은 독특한 품종의 망고가 이스라엘 원산이며, 대부분 20세기 후반에 개발되었다. 새롭고 개선된 망고 품종이 몇 년마다 시장에 출시되고 있다. 가장 인기 있는 품종은 마야(Maya) 품종으로, 크기가 작거나 중간이며 향이 좋고 색상이 화려하며(3~4가지 색상), 일반적으로 섬유질이 없다. 이스라엘 망고 시즌은 5월에 시작하여 10월이 다가오면서 마지막 과일이 익는다. 다양한 품종이 서로 다른 달에 시장에 나오며, 마야 품종은 7월에서 9월 사이에 볼 수 있다. 망고는 퓨전 요리에 자주 사용되며 셔벗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

많은 이스라엘인들은 정원에 과일 나무를 키우며, 감귤류(특히 오렌지, 레몬)가 가장 흔하다. 망고도 이제 가정용 나무로 인기가 높다. 뽕나무는 공공 정원에서 자주 볼 수 있으며, 그 열매는 다양한 디저트와 주스와 함께 제공된다.

과일은 다른 음식과 함께 또는 단독으로 간식이나 디저트로 제공된다. 갓 짜낸 과일 주스는 길거리 키오스크에서 준비되며, 슈퍼마켓에서 병에 담아 판매한다.[65] 다양한 과일이 닭고기 또는 고기 요리에 추가되며, 신선한 과일 샐러드와 콩포트는 종종 식사 마지막에 제공된다.[66]

4. 9. 구운 요리, 쿠키, 페이스트리, 루겔라

이스라엘에는 제과점이 거의 없던 시절부터 이어져 온 훌륭한 홈 베이킹 전통이 있다. 많은 전문 제빵사들이 중앙 유럽에서 이스라엘로 와서 ''콘디토리아''라고 불리는 지역 빵집과 제과점을 설립하여 현지의 취향과 선호도에 영향을 미쳤다.[67]

현재는 다양한 케이크와 페이스트리를 갖춘 지역 스타일이 발달했으며, 여기에는 여러 요리의 영향이 섞여 있다. 전통적인 유럽 재료와 함께 할바, 필로 반죽, 대추, 로즈 워터와 같은 지중해 및 중동 재료가 결합되었다.[67]

예를 들어, 세몰리나 케이크는 시럽을 첨가하여 촉촉하게 만들고 감귤 향을 낸 것으로, 세파르딤 유대인 제과점에서 ''바스부사'', ''티슈피쉬티'', 또는 ''레바니''라는 이름으로 판매된다. 아슈케나지 유대인의 ''밥카''는 전통적인 시나몬 외에 ''할바'' 또는 초콜릿 스프레드를 넣어 만들기도 한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애플 케이크가 있다. 부순 대추로 만든 쿠키인 ''마물''은 중동 전역에서 커피나 차와 함께 제공된다.[67]

예루살렘 쿠겔(''쿠겔 예루살미'')은 캐러멜 설탕을 넣고 후추로 양념한 전통 국수 푸딩 ''쿠겔''의 이스라엘식 변형이다.[68] 이것은 원래 올드 이셔브의 아슈케나지 유대인들의 특산품이었다.[11] 보통 오븐에서 매우 낮은 온도로 밤새 구워 안식일 아침 예배 후에 먹는다.[69]

''부레카스''는 터키, 발칸, 테살로니키에서 온 유대인들이 이스라엘로 가져온 짭짤한 페이스트리이다. 다양한 모양의 바삭한 반죽으로 만들어지며, 종종 참깨를 얹는다. 속 재료로는 고기, 병아리콩, 치즈, 시금치, 감자, 버섯 등이 사용된다. ''부레카스''는 키오스크, 슈퍼마켓, 카페에서 판매되며, 행사나 축하 행사 때 제공되기도 하고 가정에서 직접 만들기도 한다.[70] 종종 삶은 달걀과 잘게 썬 채소 샐러드를 곁들여 가벼운 식사로 제공된다.[71]

비엔나부다페스트 출신의 아슈케나지 유대인들은 정교한 페이스트리 제조 기술을 이스라엘로 가져왔다. ''자허 토르테''와 ''린저 토르테''는 전문 제과점에서 판매되지만, 치즈케이크와 ''스트루델''은 가정에서도 굽는다.[72]

젤리 도넛 (''수프가니요트'')은 전통적으로 빨간 젤리(잼)로 채워지지만, 커스터드나 ''돌체 드 레체''를 넣기도 하며, 하누카 때 간식으로 먹는다.[73]

''타히니'' 쿠키는 타히니, 밀가루, 버터, 설탕으로 만든 이스라엘식 쿠키로, 보통 잣을 얹는다.

''루겔라''는 이스라엘에서 매우 인기가 높으며, 대부분의 카페와 제과점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미국 유대인들 사이에서도 인기 있는 간식이다.

전형적인 이스라엘 페이스트리와 ''루겔라''

4. 10. 빵과 샌드위치

할라 — 원래 아슈케나지 요리에서 만들어진 땋은 빵의 일종


예루살렘의 마하네 예후다 시장에서 판매되는 피타 빵, 2010


할라는 샤밧에 먹는 빵으로, 아슈케나지 유대인 전통에서는 땋은 모양으로 만들고, 로쉬 하샤나에는 둥글게 만든다.[75]

예멘 유대인의 샤밧 및 축제 빵으로는 자흐눈, 말라와흐, 쿠바네, 라호흐 등이 있으며, 이스라엘에서 인기를 얻어 슈퍼마켓에서 냉동 상태로 구매할 수 있다. 자흐눈은 아주 얇게 밀어 기름이나 지방을 바르고 밤새 아주 약한 불로 구운 것으로, 으깬 토마토 딥, 삶은 달걀, 스쿠그와 함께 먹는다. 말라와흐는 팬에 토스트한 얇은 원형 반죽이다. 쿠바네는 하룻밤 동안 구운 효모 반죽이며, 샤밧 아침에 먹는다. 라호흐는 발효된 밀가루와 물로 만든 스펀지 같은 팬케이크 모양의 빵으로, 팬에 튀겨낸다. 에티오피아 출신 유대인 가루로 인제라라는 비슷한 빵을 만든다.[76]

피타는 중동 및 지중해 요리에서 사용되는 이중층 납작빵 또는 주머니 빵이다. 그냥 굽거나 참깨, 흑미 씨앗, 자타르 등을 토핑으로 굽는다. 팔라펠, 샐러드, 다양한 고기 등을 채워 간식이나 패스트푸드 식사로 먹거나, 슈니첼, 샐러드, 감자튀김을 채워 점심 식사로 먹는다. 학교 학생들은 초콜릿 스프레드를 채워 간식으로 먹기도 하고, 후무스, 가지, 기타 딥을 떠먹기 위해 조각으로 부숴서 사용하기도 한다.

라파피타보다 크고 부드러운 납작빵으로, 팔라펠이나 샤와르마를 싸서 먹는다.[77] 구 소비에트 조지아 공화국 출신 유대인은 납작빵 라바쉬를 만든다.[74]

4. 11. 과자, 사탕, 간식

바클라바는 시럽으로 달콤하게 조린 견과류가 들어있는 필로 페이스트리로, 중동에서 유래한 유대인 공동체의 축제에서 제공된다.[78] 식당에서도 터키 커피 작은 잔과 함께 디저트로 제공되기도 한다. 카다이프는 호두나 피스타치오로 속을 채우고 시럽으로 단맛을 낸 얇고 긴 국수 가닥으로 만든 페이스트리로, 바클라바와 함께 제공된다.

할바는 타히니(테히나)와 설탕으로 만든 달콤한 음식으로 이스라엘에서 인기가 많다.[79] 할바 파르페와 같은 독창적인 디저트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마물은 대추, 피스타치오 또는 호두(또는 가끔 아몬드, 무화과 또는 기타 속재료)로 속을 채운 작은 쇼트브레드 페이스트리이다.

오즈네 하만(하만타셴)은 다진 견과류, 건포도, 말린 살구, 대추, 할바 또는 딸기잼을 채워 오븐에 구운 달콤한 효모 반죽으로, 푸림절의 특별 음식이다. 삼각형 모양은 하만의 옛 그림에서 그가 세 모서리 모자를 쓰고 있던 것에서 영향을 받았을 수 있다.

'가리님'(글자 그대로 '씨앗')이라고 불리는 해바라기 씨는 야외, 경기장, 집에서 어디에서나 먹으며, 보통 껍질째 구입하여 이빨로 깨 먹는다.[80] 견과류와 씨앗을 전문으로 취급하는 상점과 시장 노점에서 갓 구운 것을 구입할 수 있으며, 슈퍼마켓에서도 포장 판매한다. 또한 인기 있는 호박 씨와 수박 씨, 피스타치오, 설탕을 입힌 땅콩과 함께 판매한다.

밤바


밤바는 부드러운 땅콩 맛 스낵으로 아이들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며, 비스리는 바삭한 스낵으로, 튀긴 마른 파스타로 만들어 바베큐, 피자, 팔라펠, 양파 등 다양한 맛으로 판매된다.

휘핑크림을 얹은 밀키 푸딩


말라비는 터키에서 유래한 크림 푸딩으로 우유나 아몬드 우유(코셔 버전)와 옥수수 전분으로 준비한다. 이는 카트나 노점에서 길거리 음식으로 판매되며, 두껍고 달콤한 시럽과 다진 피스타치오 또는 코코넛과 같은 다양한 바삭한 토핑이 들어간 일회용 컵에 담겨 제공된다.[81][82] 인기로 인해 슈퍼마켓에서 플라스틱 포장으로 판매하고, 식당에서는 베리 및 과일과 같은 다양한 토핑과 고명으로 더 풍부하고 정교한 버전을 제공한다. 사흘라브는 난초의 덩이줄기 가루와 우유로 만든 유사한 디저트이다.[81]

수박과 페타 치즈 샐러드는 인기 있는 디저트로, 때로는 샐러드에 민트를 넣기도 한다.

크렘보는 겨울에만 판매되는 초콜릿 코팅 마시멜로 간식으로, 아이스크림의 매우 인기 있는 대안이다. 다채로운 알루미늄 호일에 싸여 있으며, 비스킷 받침대 위에 초콜릿으로 덮인 마시멜로 크림이 얹혀 있다.[83]

밀키는 초콜릿, 바닐라, 카페 모카 맛으로 제공되며, 위에 휘핑크림 층이 있는 인기 있는 유제품 푸딩이다.[84]

4. 12. 소스, 향신료, 조미료

고추를 기본으로 한 핫 소스는 이스라엘 음식에서 자주 사용된다. 녹색 또는 빨간색 고추를 기본으로 하며, 전채 요리, ''팔라펠'', 캐서롤, 구운 고기와 함께 제공된다. ''후무스'' 및 ''타히나''와 섞어 먹기도 한다. 주로 북아프리카와 예멘 이민자들로부터 유래했지만, 현재 널리 소비된다.[85]

''스후그''는 예멘 유대인들이 이스라엘로 가져온 매운 고추 소스로, 이스라엘에서 가장 인기 있는 조미료 중 하나이다. ''팔라펠''과 ''후무스''에 첨가되며, 생선, 흰 치즈, 계란, 살라미 또는 아보카도 샌드위치에 뿌려 매운맛과 향을 더한다.[86]

''말라와치'', 예멘 유대인들이 흔히 만드는 납작한 빵


고추와 마늘로 만든 다른 핫 소스로는 튀니지 요리의 ''하리사''와 이스라엘 리비아 유대인 공동체의 ''필펠 추마''가 있다.[87]

''암바''는 이라크 유대인들이 들여온 절인 망고 소스이다. ''샤와르마'', ''케밥'', ''메오라브 예루살미'', ''팔라펠'', 야채 샐러드와 함께 조미료로 흔히 사용된다.[87]

포도, 캐럽, 석류 및 대추로 만든 농축 주스는 다양한 지역에서 흔히 사용되며, 스튜, 수프, ''말라비'' 및 쌀 푸딩과 같은 디저트의 토핑으로 사용된다.

아몬드 시럽은 로즈 워터 또는 오렌지 블라썸 워터로 향을 내며, 디저트에 흔히 사용된다. ''아라크''와 같은 칵테일에 첨가되기도 한다.

수맥은 중동이 원산지인 수맥 덤불의 말린 열매를 거친 가루로 갈아서 만든 짙은 붉은색 향신료이다.[88]

4. 13. 음료

이스라엘에는 강력한 커피를 마시는 문화가 있다.[89] 커피는 인스턴트(''nes''), 아이스, 라떼(''hafuḥ''), 이탈리아식 에스프레소, 때로는 카다멈(hel)을 넣은 터키 커피로 준비된다. 카페는 도시 지역 어디에서나 찾아볼 수 있으며 사교와 사업을 위한 만남의 장소 역할을 한다. 거의 모든 카페에서 구운 식품과 샌드위치를 제공하며, 많은 카페에서는 가벼운 식사도 제공한다. 체인 카페와 지역 소유의 동네 카페가 모두 있으며, 대부분 이스라엘의 지중해성 기후를 활용하기 위해 야외 좌석을 갖추고 있다. 텔아비브는 특히 카페 문화로 유명하다.[91]

차 또한 널리 소비되는 음료이며 카페에서 제공되고 집에서도 마신다. 차는 설탕을 넣은 러시아식, 터키식 흑차, 레몬 또는 우유를 넣은 차, 박하(''nana'')를 넣은 중동식 차 등 다양하게 준비된다.[92] 로즈 워터를 넣은 차도 흔하다.

신선하게 짠 레몬과 민트로 만든 레모네이드의 일종인 리모나나는 1990년대 초 이스라엘에서 발명되었으며, 중동 전역에서 여름철 필수 음료가 되었다.[93][94]

사흘라브는 한때 난초 식물의 가루로 만들었지만, 오늘날에는 일반적으로 옥수수 전분으로 만든 음료이다. 특히 겨울철에 시장이나 길거리 노점상에서 판매되며, 계피와 잘게 썬 피스타치오를 토핑으로 얹는다.[95]

흑맥주(בִירָה שְחוֹרָה, ''bira shḥora'')로 알려진 맥아 맥주는 이스라엘에서 국가 형성 이전부터 생산된 무알코올 음료이다. 골드스타와 마카비는 이스라엘 맥주이다. 최근에는 댄싱 캐멀,[96] 네게브,[97] 카난과 같은 몇몇 소규모 부티크 양조장에서 새로운 브랜드의 맥주를 양조하기 시작했다.

아라크는 이스라엘과 중동 전역에서 흔히 사용되는 아니스 향이 나는 증류주이다.(~40–63% Alc. Vol./~80–126 proof) 투명하고 무색이며, 설탕을 넣지 않은 식전주이다. 종종 그대로 또는 얼음과 물을 섞어 제공하며, 이로 인해 액체가 유백색으로 변한다. 때로는 자몽 주스와 섞어 '아라크 에쉬콜리옷'이라는 칵테일을 만들기도 한다.

이스라엘 와인

카르멜 와이너리(Carmel Winery), 티쉬비 와이너리(Tishbi Winery), 골란 하이츠 와이너리(Golan Heights Winery)의 이스라엘 와인 모음


대부분의 이스라엘 사람들은 적당량의 와인을 마시며, 거의 항상 식사나 사교 모임에서 와인을 즐긴다. 이스라엘 와인 외에도 프랑스, 이탈리아, 호주, 미국, 칠레 및 아르헨티나에서 수입되는 와인도 증가하고 있다.[98]

1880년대부터 생산 및 소비된 대부분의 와인은 카르멜 와이너리(Carmel Winery)가 설립되었을 때의 달콤한 코셔 와인이었다.[99] 1980년대까지는 골란 하이츠 와이너리(Golan Heights Winery)의 첫 빈티지가 출시된 이후 더 많은 드라이 또는 세미 드라이 와인이 생산되고 소비되기 시작했다.[100] 이 와이너리는 카베르네 소비뇽, 메를로, 소비뇽 블랑, 샤르도네, 피노 누아, 화이트 리슬링게뷔르츠트라미너 품종의 와인을 재배하고 생산하는 데 주력한 최초의 와이너리였다. 이 와인들은 코셔 와인이며 국제 대회에서 은메달과 금메달을 수상했다.[101]

현재 이스라엘 와인은 수백 개의 와이너리에서 생산되며, 규모는 마을의 작은 부티크 와이너리부터 연간 1,000만 병 이상을 생산하여 전 세계에 수출하는 대형 기업까지 다양하다. 포도 외에 무화과, 체리, 석류, 캐럽, 대추 등 과일로 만든 와인도 이 나라에서 흔하다.

4. 14. 코셔가 아닌 음식

카슈루트할랄에서 금지된 음식들은 다원주의 사회인 이스라엘의 다양한 요리에 포함될 수 있다. 부분적으로 법적 제한이 있지만,[102][103] 돼지고기갑각류는 비코셔 레스토랑(이스라엘 레스토랑의 약 3분의 1만이 코셔 라이선스를 가지고 있다[104])과 마아다네이 미즈라, 티브 타암, 마아다네이 마니아와 같은 슈퍼마켓 체인을 포함하여 전국적으로 널리 퍼져있는 일부 상점에서 판매된다.[105][106]

현대 히브리어에서 돼지고기에 대한 완곡어법은 "백색 고기"이다.[106] 유대교와 이슬람교의 돼지고기 섭취에 대한 종교적 제한에도 불구하고, 2009년 1인당 돼지고기 소비량은 2.7kg이었다.[107]

2008년 설문 조사에 따르면 이스라엘 유대인의 약 절반이 항상 카슈루트를 지키지 않는다고 보고되었다.[108] 이스라엘이 종교적 식단 규정에 대해 보이는 이례적인 평정심은 이스라엘 아하로니의 히브리어 요리책 중 일부가 코셔 및 비코셔 버전으로 출판된다는 사실에 반영될 수 있다.

5. 외식

이스라엘에는 다양한 음식과 요리 스타일을 제공하는 수천 개의 레스토랑, 캐주얼 식당, 카페, 바가 있다.[116][117]

이스라엘 특유의 식당은 다음과 같다.


  • 팔라펠 가판대: 동네마다 흔히 볼 수 있는 ''팔라펠'' 가판대나 키오스크. ''팔라펠'' 판매점들은 경쟁에서 이기기 위해 감자튀김, 튀긴 가지, 샐러드, 피클과 같은 특별 서비스를 ''팔라펠'' 가격에 추가로 제공하기도 한다.
  • 후무스 전문점: 주로 ''후무스''를 팔며, ''타히니'', 삶은 달걀, ''팔라펠'', 양파, 피클, 레몬 및 마늘 소스, 피타 또는 타분 빵과 같은 추가 메뉴를 제한적으로 제공한다.[118]
  • 미사다 미즈라히트(Mizrahit): 문자 그대로 "동부 레스토랑"을 의미하며, 미즈라히 유대인, 중동 또는 아랍 레스토랑을 말한다. 저렴한 가격에 다양한 ''메제'' 샐러드를 제공하고, 구운 고기와 프렌치 프라이를 곁들이며 초콜릿 무스와 같은 간단한 디저트를 제공한다.[119]
  • 스테키요트: 고기 구이집으로, 스테이크, ''샤슬릭'', ''케밥''은 물론 예루살렘 믹스 그릴 등 닭고기, 칠면조 또는 양고기를 앉아서 먹거나 포장해 갈 수 있도록 판매하며, 피타 또는 타분 빵에 담아 제공한다.[120]

5. 1. 길거리 음식

이스라엘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길거리 음식을 맛볼 수 있는데, 때로는 길에 서서 먹기도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앉아서 먹을 수 있는 장소도 있다.

피타에 담긴 다양한 채소와 조미료를 곁들인 팔라펠


사비흐 — 이라크 유대인들이 전통적으로 준비하는 피타 샌드위치 종류


음식설명
팔라펠향신료를 넣고 으깬 병아리콩 또는 잠두를 튀긴 공이나 패티 형태의 음식이다. 흔한 중동 길거리 음식으로 이스라엘 요리와 동일시되어 왔다. 보통 피타 빵에 피클, 타히나, 후무스, 잘게 썬 채소 샐러드와 함께 제공되며, 매운 소스인 하리프를 곁들이기도 한다.[12] 파슬리와 고수를 넣은 녹색 팔라펠, 필펠 추마로 만든 붉은색 팔라펠, 강황으로 만든 노란색 팔라펠, 참깨로 코팅된 팔라펠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109]
샤와르마얇게 썰어 양념한 고기를 회전 꼬치에 구워 만든다. 이스라엘에서는 일반적으로 양고기 지방을 첨가한 칠면조 고기를 사용한다. 구운 고기를 깎아 피타 빵에 후무스, 타히나와 함께 제공하거나, 양파 링, 프렌치 프라이, 샐러드, 피클 등과 곁들여 먹는다.[110] 고급 레스토랑에서는 스테이크 스트립, 구운 가지, 샐러드 등을 라파라는 빵에 얹어 제공하기도 한다.[110]
샥슈카매운 토마토 소스에 달걀을 넣어 만든 요리로, 북아프리카 유대인 노동자들이 즐겨 먹던 아침 식사였다. 다른 채소나 소시지를 추가하기도 하며, 보통 조리한 프라이팬에 그대로 담아 빵, 샐러드와 함께 제공한다.[111] 토마토 소스 없이 시금치와 페타 치즈를 넣은 순한 버전, 매운 고추와 고수를 넣은 매운 버전 등 다양한 변형이 있다.[111] 피타 빵에 담은 샥슈카는 샥슈카 베-피타라고 부른다.[112]
예루살렘 모듬 구이 (메우라브 예루살미)내장과 양고기를 양파, 마늘, 향신료와 함께 구운 모듬 구이이다. 예루살렘에서 유래했지만, 현재는 이스라엘 전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인기 길거리 음식이다.[113]
예루살렘 베이글둥글고 삶아 구운 일반 베이글과 달리 길쭉한 모양의 빵이다. 자타르참깨로 덮여 있으며 부드럽고 쫄깃하며 달콤한 맛이 난다. 축구 경기 관중들이 즐겨 먹으며, 호텔이나 가정에서도 제공된다.[114]
말라비우유나 크림, 옥수수 전분으로 만든 터키식 크림 푸딩이다. 얇고 달콤한 시럽과 다진 피스타치오나 코코넛 등을 얹어 일회용 컵에 담아 판매한다. 슈퍼마켓에서 포장된 형태로 판매되기도 하며, 레스토랑에서는 과일 등 다양한 토핑을 얹은 고급스러운 버전을 선보이기도 한다.[81]
사비흐이라크 유대인들이 이스라엘에 소개한 전통 샌드위치이다. 튀긴 가지, 삶은 달걀, 샐러드, 테히나, 피클 등을 피타 빵에 넣어 만든다.[115]
튀니지 샌드위치바게트 빵에 참치, 달걀, 절인 레몬, 샐러드, 튀긴 매운 녹색 고추 등 다양한 재료를 넣어 만든다.[115]


5. 2. 식당

이스라엘에는 수천 개의 레스토랑, 캐주얼 식당, 카페, 바가 있어 다양한 음식과 요리 스타일을 제공한다.[116][117] 이스라엘 특유의 식당은 다음과 같다.

  • '''팔라펠 가판대:''' 모든 동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팔라펠'' 가판대나 키오스크. ''팔라펠'' 판매점들은 경쟁업체와 차별화하기 위해 감자튀김, 튀긴 가지, 샐러드, 피클과 같은 추가 특별 서비스를 단일 ''팔라펠'' 가격에 제공하기도 한다.
  • '''후무스 전문점:''' 주로 ''후무스''를 제공하며, ''타히니'', 삶은 달걀, ''팔라펠'', 양파, 피클, 레몬 및 마늘 소스, 피타 또는 타분 빵과 같은 제한적인 추가 메뉴를 제공한다.[118]
  • '''미사다 미즈라히트(Mizrahit):''' 문자 그대로 "동부 레스토랑"을 의미하며, 미즈라히 유대인, 중동 또는 아랍 레스토랑을 의미한다.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여러 종류의 ''메제'' 샐러드를 제공하고, 구운 고기와 프렌치 프라이를 곁들여 초콜릿 무스와 같은 간단한 디저트를 제공한다.[119]
  • '''스테키요트:''' 고기 구이집으로, 스테이크, ''샤슬릭'', ''케밥''은 물론 예루살렘 믹스 그릴 등 닭고기, 칠면조 또는 양고기를 앉아서 먹거나 포장해 갈 수 있도록 판매하며, 모두 피타 또는 타분 빵에 담겨 제공된다.[120]

6. 명절 음식

레카흐 (아슈케나즈 요리)에서 로쉬 하샤나를 위해 전통적으로 준비되는 케이크


수프가니요트 - 아슈케나지 요리에서 하누카 기간 동안 전통적으로 준비되는 젤리가 들어간 둥근 도넛


''오즈네이 하만'' — 아슈케나즈 요리에서 푸림 축제를 위해 준비되는 삼각 페이스트리


일반적으로 투 비슈밧에 먹는 건조 과일과 아몬드


로쉬 하샤나는 유대교의 새해로, 가족 만찬과 함께 꿀에 담근 사과, 꿀 케이크 등 상징적인 음식을 먹으며 기념한다. 둥근 할라 빵과 석류, 당근 등도 곁들인다. 풍요를 상징하는 생선 요리도 먹는데, 아슈케나즈인은 게필테 피쉬를, 모로코 유대인은 크라이메를 먹는다.[125]

하누카 때는 기름에 튀긴 음식을 먹는 전통이 있는데, 감자 팬케이크인 라트케와 젤리 도넛인 수프가니요트가 대표적이다.[126] 이스라엘 제빵업자들은 다양한 맛의 수프가니요트를 개발해 판매하고 있다.[127]

투 비슈밧에는 나무 심기와 함께 무화과, 대추야자 등 건조 과일과 견과류를 먹는다.[128] 카발라의 영향을 받은 투 비슈밧 세데르 의식을 따르기도 한다.[129]

푸림에는 에스더에 나오는 하만의 음모에서 유대인이 구원받은 것을 기념하며, 미쉬로아흐 마노트라는 음식 꾸러미를 이웃과 나눈다. 하만타셴(오즈네이 하만)이라는 세모꼴 페이스트리를 먹는 것이 특징이다.[132]

유월절에는 이집트 탈출을 기념하며 일주일 동안 이나 발효 식품을 먹지 않는다. 크네이들라흐가 들어간 치킨 수프를 먹고, 감자 전분 등을 이용해 만든 특별한 음식을 먹는다.[133] 유월절 이후에는 미무나 축제가 열리는데, 모플레타라는 얇은 크레이프를 먹는다.[134]

샤부오트는 추수 감사절로, 치즈, 요구르트, 치즈 케이크 등 다양한 유제품을 먹는다.[135]

6. 1. 안식일 (샤밧)

금요일 밤(안식일 전날) 저녁 식사는 대개 가족 중심적이고 사교적인 식사이다. 가족이 좋아하는 음식 외에도 민족적 배경에 따라 어느 정도 차이가 있지만, 전통적인 요리인 ''할라'' 빵, 닭고기 수프, 샐러드, 닭고기 또는 고기 요리, 케이크 또는 과일 등을 디저트로 제공한다.

안식일 점심 또한 중요한 사교적인 식사이다. 고대부터 전 세계 유대인 공동체는 금요일 밤 안식일 촛불을 켜는 것으로 안식일이 시작되기 전에 요리가 시작되는 육류 캐서롤을 고안하여 안식일 준수에 대한 종교적 규정을 준수했다.

현대 이스라엘에서는 이러한 푸짐한 식사가 여러 변형으로 여전히 안식일 날에 먹히고 있으며, 종교적으로 관찰하는 가정뿐만 아니라 주중에도 일부 레스토랑에서 제공된다.[121]

기본 재료는 고기와 콩 또는 쌀로, 핫 플레이트 또는 ''블레흐''에서 밤새 끓이거나 저온 오븐에 넣는다. 아슈케나지 ''촐렌트''는 일반적으로 고기, 감자, 보리, 콩, 때로는 ''키슈케''를 포함하며, 후추와 파프리카와 같은 양념을 사용한다.

스파라드 유대인의 ''하민''에는 닭고기 또는 고기, 쌀, 콩, 마늘, 고구마 또는 일반 감자, 강황과 계피와 같은 양념, 그리고 ''하미나도스''라고 알려진 껍질째의 통 계란이 들어간다.[122][123]

모로코 유대인은 고기, 양파, 골수뼈, 감자, 병아리콩, 밀 곡물, 달걀, 그리고 강황, 커민, 파프리카, 후추와 같은 향신료를 사용하여 ''다피나'' 또는 ''스히나''(또는 ''스히나'')라고 알려진 변형을 준비한다. 이라크 유대인은 닭고기와 쌀을 사용하여 ''테비트''를 준비한다.[121][124]

안식일의 디저트나 격식 없는 모임을 위해, 홈 베이커들은 여전히 안식일에 즐길 수 있도록 금요일에 다양한 종류의 케이크, 예를 들어 스펀지 케이크, 감귤 세몰리나 케이크, 계피 또는 초콜릿 ''밥카'', 과일과 견과류 케이크 등을 굽거나, 제과점이나 상점에서 구입한다.[67]

6. 2. 로쉬 하샤나 (유대교 새해)



유대교 새해인 로쉬 하샤나는 가족 만찬과 상징적인 음식으로 널리 기념된다. 단맛이 주요 테마이며 로쉬 하샤나 저녁 식사는 일반적으로 꿀에 담근 사과로 시작하여 꿀 케이크로 끝난다.

할라는 보통 둥글며 종종 건포도가 박혀 있고 꿀을 뿌리고 있으며, 석류, 당근, 부추, 사탕무와 같은 다른 상징적인 과일과 채소가 전채로 먹는다.[125]

풍요를 상징하는 생선 요리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게필테 피쉬는 아슈케나즈인에게 전통적이며, 모로코 유대인은 매운 생선 요리인 크라이메를 준비한다.

꿀 케이크 (레카흐)는 종종 차나 커피와 함께 디저트로 제공된다.[125] 이 기간 동안 석류 주스로 조리한 요리가 흔하다.

6. 3. 하누카



하누카 축제는 소량의 기름이 하루 동안 사용될 수 있었던 것이 8일 동안 지속된 기적을 기념하기 위해 기름에 튀긴 전통적인 하누카 음식을 먹는 것으로 기념된다.

가장 인기 있는 두 가지 하누카 음식은 감자 팬케이크인 '레비보트'(라트케라고도 함)와 기름에 튀겨지는 젤리 도넛인 '수프가니요트'(폰치키 (이디시어) 또는 비무엘로스 (라디노어)이다.[126]

하누카 팬케이크는 전통적인 감자나 치즈에서부터 옥수수, 시금치, 주키니, 고구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진다.[125]

이스라엘의 제빵업자들은 표준 딸기 젤리 충전 외에도 초콜릿, 바닐라 또는 카푸치노 크림 등을 포함하여 '수프가니요트'에 대한 많은 새로운 종류의 충전재를 대중화시켰다. 최근에는 칼로리에 대한 우려 때문에 크기가 작아진 "미니" '수프가니요트'도 등장했다.[127]

6. 4. 투 비슈밧 (나무의 새해)

투 비슈밧은 1월 말이나 2월 초에 지켜지는 작은 유대교 휴일로, "나무의 새해"를 기념한다. 관습적으로 나무를 심거나, 무화과, 대추야자, 건포도, 캐롭, 아몬드 등 건조 과일과 견과류를 먹는다.[128]

많은 이스라엘인들은 종교적이든 세속적이든, 카발라에서 영감을 얻은 투 비슈밧 세더로 이를 기념하며, 페사흐의 하가다를 모델로 한 특별한 ''하가다''에 제시된 의식에 따라 과일 잔치와 네 잔의 와인을 즐긴다.[129]

6. 5. 푸림



푸림은 에스더에 묘사된 대로 고대 페르시아 아케메네스 제국에서 하만의 음모로부터 유대 민족이 구원받은 것을 기념하는 축제이다.[130]

이 날은 어린이와 많은 어른들이 의상을 입는 기쁨과 유쾌함의 날이다.[130] 늦은 오후에는 축제 만찬(세우닷 푸림)[131]을 먹는 것이 관례이며, 흥겨운 분위기를 유지하기 위해 와인을 주요 음료로 자주 마신다.[59]

많은 사람들은 푸림에 이웃, 친구, 가족 및 동료에게 줄 음식 꾸러미(미쉬로아흐 마노트)를 준비한다. 여기에는 종종 와인, 구운 식품, 과일, 견과류, 사탕 등이 포함된다.[59]

푸림과 가장 관련된 음식은 오즈네이 하만|하만의 귀he(하만타셴)이다. 이것은 가장 흔히 양귀비 씨앗으로 채워지지만 다른 충전재도 들어가는 세 개의 모서리가 있는 페이스트리이다. 삼각형 모양은 하만이 세 모서리가 있는 모자를 썼던 옛 삽화의 영향을 받았을 수 있다.[132]

6. 6. 유월절 (페사흐)

유월절은 이스라엘에서 봄에 일주일 동안 지내는 휴일로, 이집트 탈출을 기념하며, 보통 친구와 친척을 방문하고 여행을 떠나는 시기이다. 유월절 첫날 밤에는 세데르로 알려진 전통 의례 만찬이 열린다.

이나 발효 식품을 뜻하는 ''하메츠''는 유월절 기간 동안 먹을 수 없다. 즉, 빵, 페이스트리 및 맥주와 같은 특정 발효 음료를 섭취할 수 없다. 아슈케나짐은 ''kitniyot''라고 알려진 콩류도 먹지 않는다.

수 세기 동안 유대인 요리사들은 대체 재료를 사용하여 요리를 개발해 왔으며, 이는 오늘날 이스라엘의 유월절 음식의 특징이다.[133]

크네이들라흐가 들어간 치킨 수프는 모든 민족적 배경의 이스라엘인들이 세데르 식사의 시작으로 자주 먹는다.[133] 아스파라거스아티초크와 같은 봄 채소가 식사에 자주 곁들여진다.[133]

이스라엘의 레스토랑들은 감자 전분 및 기타 비표준 재료를 사용하여 파스타, 햄버거 빵, 피자 및 기타 패스트 푸드를 ''유월절 코셔'' 버전으로 만들기 위해 ''하메츠'' 재료의 창의적인 대안을 내놓았다.

유월절 이후에는 미무나 축제가 열리는데, 이는 북아프리카의 유대인 공동체가 이스라엘로 가져온 전통이다. 저녁에는 이웃과 방문객들이 즐길 수 있도록 과일, 과자 및 페이스트리가 차려진다. 특히 유월절 이후 처음으로 먹는 얇은 크레이프인 ''모플레타''는 꿀, 시럽 또는 잼과 함께 제공된다.[134] 이 행사는 다음 날 샐러드와 바비큐 고기가 눈에 띄는 야외 피크닉으로 기념된다.

6. 7. 샤부오트

초여름은 유대교의 추수 감사절인 샤부오트를 기념하는 시기이다. 샤부오트는 새로운 곡물 수확의 절정과 첫 열매의 수확을 기념하며, 역사적으로 우유가 가장 풍부했던 시기이기도 하다.

이러한 샤부오트 명절을 기념하기 위해 다양한 유제품(''밀히그'')을 먹는다. 여기에는 치즈와 요구르트, 파시티도트라고 불리는 치즈 기반 파이와 키슈, 치즈 블린츠, 부드러운 백색 치즈(''그비나 레바나'') 또는 크림 치즈로 만든 치즈 케이크 등이 있다.[135]

7. 문화 전유 논란

이스라엘 외부에서 유래한 식품에 "이스라엘"이라는 이름을 붙이는 것은 일부 비평가들로부터 문화 전유라는 비난을 받았다.[136][137][138] 팔레스타인, 레바논 및 기타 아랍인들이 대표적으로 한탄하는 예시는 이집트에서 기원했음에도 불구하고 이스라엘의 국가 요리로 선포된 팔라펠이다.[6][139][140] 팔라펠은 특별히 유대교 요리는 아니었지만, 시리아 유대인과 이집트 유대인들이 오랫동안 먹어 왔으며,[141][142] 초기 유대인 이민자들이 오스만 시리아의 유대인 공동체 식단에 포함시켰다.[6] 팔라펠은 식물성이기 때문에, 유대교 율법은 이것을 파르베로 분류하여 고기와 유제품 식사와 함께 먹을 수 있도록 한다.[143] 팔레스타인-요르단 학자 조셉 마사드는 미국과 유럽 식당에서 팔라펠 및 기타 아랍에서 기원한 요리를 이스라엘 요리로 기념하는 것을 광범위한 "식민 정복"의 일부라고 묘사했다.[144] 레바논 산업가 협회는 팔라펠과 관련하여 이스라엘에 저작권 침해 주장을 제기하기도 했다.[142][145][146]

참조

[1] 뉴스 "A Region's Tastes Commingle in Israel"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94-07-20
[2] 서적 Food Cultures of Israel: Recipes, Customs, and Issues https://books.google[...] ABC-CLIO 2020-11-10
[3] 뉴스 'NY Times presents: Israeli cuisine course' http://www.ynetnews.[...] Ynet – LifeStyle 2010-02-19
[4] 문서 The Book of New Israeli Food
[5] 뉴스 Here's why Palestinians object to the term 'Israeli food': It erases us from history https://www.washingt[...] 2020-02-18
[6] 서적 Food in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7] 문서 The Book of Jewish Food
[8] 문서 The Food of Israel
[9] 웹사이트 'The Biblical Seven Species' http://www.gemsinisr[...] Gems in Israel 2010-02-14
[10] 문서
[11] 문서 The World of Jewish Cooking
[12] 문서 The Foods of Israel Today
[13] 뉴스 Superfoods to the rescue http://www.jpost.com[...] Jerusalem Post
[14] 웹사이트 Don't Leave These Alone https://www.haaretz.[...] 2008-05-07
[15] 웹사이트 Independence Day: The feast that moved away from home http://www.encyclope[...] 2021-11-08
[16] 뉴스 Our man cooks slowly: Eucalyptus restaurant http://www.the-eucal[...] Jerusalem Post
[17] 문서
[18] 문서 "Celebrating sixty years of Israeli cuisine" Derech HaOchel 2008-05
[19] 웹사이트 'Overview: Israeli Food' http://www.myjewishl[...] 2009-09-10
[20] 문서 The Foods of Israel Today
[21] 문서
[22] 웹사이트 'Falafel: About Israel's signature food' http://www.myjewishl[...] 2010-02-14
[23] 문서
[24] 서적 Cultures of the World: Israel https://books.google[...] Marshall Cavendish
[25] 문서
[26] 문서
[27] 문서
[28] 간행물 Baba Ghanouj https://books.google[...] Houghton Mifflin Harcourt
[29] 문서 Feast from the Mideast Harper Collins
[30] 문서
[31] 문서
[32] 문서
[33] 뉴스 There’s Hummus Among Us http://www.foxnews.c[...] Fox News
[34] 문서
[35] 문서
[36] 서적 Gur, pp. 50-55
[37] 서적 Ansky pg. 37-38
[38] 서적 Gur, pp. 56-61
[39] 서적 Gur, pp. 149-157
[40] 서적 Ansky, pg. 76
[41] 서적 Roden, pg. 544
[42] 서적 Marks, pg. 54
[43] 서적 Gur, pp. 194-195
[44] 서적 Ansky, pg. 60
[45] 서적 Ansky, pg. 58
[46] 서적 Gur, pp. 109-115
[47] 서적 Roden, pg. 324
[48] 서적 Gur, pp. 116-119
[49] 서적 Ansky, pg. 30
[50] 서적 Gur, pp. 127-128
[51] 서적 Gur pp. 130-136
[52] 서적 Ganor, pg. 68
[53] 서적 Ansky, pg, 98
[54] 서적 Gur, pp. 142-146
[55] 서적 Ansky, pg. 88
[56] 서적 Gur, pp. 165-175
[57] 서적 Roden, pg. 125
[58] 서적 Roden, pg. 426
[59] 서적 Gur, pp. 218-223
[60] 서적 Ansky pg. 37
[61] 서적 Roden pg. 313
[62] 웹사이트 Shakshuka: Israel's hottest breakfast dish http://www.thejc.com[...] 2021-11-08
[63] 서적 Citrus fruit: biology, technology and evaluation Elsevier Inc. 2008
[64] 뉴스 Israeli fruit hybrid lowers cholesterol http://www.israel21c[...] 2010-02-11
[65] 서적 Gur, pp. 176-179
[66] 웹사이트 Fruit Salad https://www.jewishvi[...] 2010-02-14
[67] 서적 Gur, pg. 206-215
[68] 서적 Roden, pg. 154
[69] 서적 Ansky, pg. 66
[70] 서적 Gur, pg. 92
[71] 서적 Ansky, pg. 70
[72] 서적 Roden, pg. 170
[73] 서적 Roden, pg. 197
[74] 서적 Gur, pp. 158-160
[75] 서적 Gur, pg. 188
[76] 서적 Roden, pg. 549
[77] 서적 Gur, pp. 84–86, 90
[78] 서적 Roden, pg. 581
[79] 웹인용 Halvah Parfait https://www.jewishvi[...] 2010-02-14
[80] 서적 Ganor pp. 144-145
[81] 서적 Gur pg. 98-99
[82] 서적 Ansky, pg. 126
[83] 뉴스 'Chestnuts roasting in my gelato' http://www.haaretz.c[...] Haaretz 2007-11-08
[84] 웹사이트 'Milky That Everyone Grew Up With' http://www.strauss-g[...] 2009-10-22
[85] 서적 Ganor, pg. 21–26
[86] 서적 Ansky, pg. 36
[87] 서적 pp. 298–299
[88] 웹사이트 Sumac is the Middle Eastern Spice You Need to Try Right Now | The Nosher https://www.myjewish[...] 2020-03-02
[89] 뉴스 'Israeli coffee culture goes global' http://www.israel21c[...] Israel 21c Innovation News Service 2010-01-20
[90] 서적 Roden, pg. 202
[91] 서적 Gur, pg. 217
[92] 서적 The Tea Book Pelican Publishing Company, Inc. 1995
[93] 웹사이트 Limonana: Sparkling Summer http://blogs.forward[...] 2011-07-11
[94] 간행물 Virtual Limonana http://www.themarker[...] 2001-05-29
[95] 서적 Roden, pg. 629
[96] 웹사이트 Pub | Dancing Camel | Israel https://www.dancingc[...] 2021-11-08
[97] 웹사이트 Negev Brewery https://www.negevbre[...] 2021-04-06
[98] 웹인용 Wine Consumption in Israel https://www.jewishvi[...] 2009-12-15
[99] 웹사이트 Carmel Winery: A Microcosm Of The Middle East http://www.winebusin[...] Wine Business Monthly 2000-12-30
[100] 서적 Roden pg. 633
[101] 웹사이트 'Golan Wines, Awards' http://www.golanwine[...] 2009-09-10
[102] 뉴스 The Makings of History / Pork and the people http://www.haaretz.c[...] 2012-01-27
[103] 서적 Outlawed Pigs: Law, Religion, and Culture in Israel http://library-genes[...] Univ of Wisconsin Press
[104] 뉴스 Only third of Israel's restaurants kosher https://www.ynetnews[...] 2007-01-29
[105] 웹사이트 "Mania Group - Home Page {{!}} Mania Group" https://mania-m.co.i[...]
[106] 뉴스 On Israel's Only Jewish-Run Pig Farm, It's The Swine That Bring Home the Bacon - Letter From Kibbutz Lahav By April 24, 2008 http://forward.com/a[...] Forward 2008-04-24
[107] 웹사이트 FAOSTAT http://faostat3.fao.[...] 2013-04-01
[108] 뉴스 Poll: 40% of secular Jews keep kosher http://www.ynetnews.[...] 2008-05-26
[109] 문서 Gur, pg. 68
[110] 문서 Gur, pgs 74-76
[111] 문서 Gur, pg. 78-82
[112] 간행물 Consuming Palestine: Palestine and Palestinians in Israeli food culture 2014
[113] 문서 Roden, pg. 128
[114] 문서 Gur, pg. 90
[115] 웹사이트 Israeli Street Foods http://www.israel-tr[...] 2014-03-06
[116] 웹사이트 Israel’s Restaurants website http://www.restauran[...] 2010-01-24
[117] 웹사이트 Restaurants in Israel: The Israeli Restaurant Guide http://www.restauran[...] 2012-02-27
[118] 문서 Gur, pg. 44
[119] 문서 Gur, pg. 12
[120] 문서 Gur, pg. 164
[121] 문서 Gur, pp. 198-205
[122] 문서 Cooper, ''Eat and Be Satisfied'', pg. 131
[123] 문서 Ansky, pp. 29-30
[124] 문서 Roden, pp. 428-443
[125] 문서 Gur, pp. 228-236
[126] 문서 Roden, p. 168
[127] 웹사이트 Hanukkah: Doughnuts go healthy' http://www.ynetnews.[...] ynetnews.com 2010-01-14
[128] 문서 Gur, pg. 245
[129] 웹사이트 Tu BiShvat Customs https://archive.toda[...] Virtual Jerusalem 2022-11-01
[130] 웹사이트 Overview: Purim At Home http://www.myjewishl[...] My Jewish Learning 2011-05-12
[131] 웹사이트 Seudat Purim - Halachipedia https://halachipedia[...] 2021-04-06
[132] 문서 Roden, pg. 192
[133] 문서 Gur, pp. 250-263
[134] 문서 Roden, pg. 554
[135] 문서 Gur, pp 264-272
[136] 간행물 Foodways and Foodwashing: Israeli Cookbooks and the Politics of Culinary Zionism https://academic.oup[...] 2021-03-22
[137] 웹사이트 Here's why Palestinians object to the term 'Israeli food': It erases us from history https://www.washingt[...] 2020-02-18
[138] 웹사이트 Israel-Palestine: How food became a target of colonial conquest https://www.middleea[...] 2021-11-17
[139] 웹사이트 Historian's Cookbook – Falafel https://www.historyt[...] 2019-01-01
[140] 웹사이트 The falafel battle: which country cooks it best? http://www.theguardi[...] 2016-05-04
[141] 서적 Slow food : collected thoughts on taste, tradition, and the honest pleasures of food https://books.google[...] Chelsea Green Publishing 2011-02-06
[142] 웹사이트 A History of the Mideast in the Humble Chickpea https://www.nytimes.[...] 2020-01-08
[143] 서적 Mouth Wide Open: A Cook and His Appetite https://books.google[...] Macmillan 2011-02-23
[144] 웹사이트 Israel-Palestine: How food became a target of colonial conquest https://www.middleea[...] Middle East Eye 2023-03-22
[145] 뉴스 Lebanon turns up the heat as falafels fly in food fight http://www.theage.co[...] The Age 2010-02-10
[146] 뉴스 Lebanon: Israel stole our falafel http://www.ynetnews.[...] Ynet News 2010-02-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