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이누 요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이누 요리는 아이누 민족의 전통적인 음식 문화를 의미한다. 아이누는 에조사슴, 불곰, 연어 등 다양한 식재료를 수렵, 어로, 채집, 농경을 통해 얻었으며, 이를 활용한 독특한 조리법과 보존 방식을 발전시켰다. 생식, 굽기, 끓이기 등의 조리법을 주로 사용했으며, 오하우, 라타시케프, 사요, 시토 등이 대표적인 음식이다. 또한, 건조, 훈제, 발효 등을 통해 식재료를 보존했다. 식사 예절과 식기 사용에도 고유한 전통이 존재했으며, 현대에는 전통적인 조리법이 변화하여 계승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이누 요리 - 루이베
    루이베는 아이누어에서 유래된 홋카이도의 향토 음식으로, 냉동 생선을 얇게 썰어 먹는 요리이며, 연어, 송어 등을 사용하고 늦가을부터 초겨울에 잡은 생선을 냉동 보존하여 기생충을 제거하고 풍미를 더한다.
  • 일본 요리 - 복어
    복어는 몸을 부풀려 방어하고 독을 지닌 물고기로, 섭취 시 신경 마비를 일으킬 수 있지만, 자격증을 갖춘 요리사가 조리하면 식용으로 사용되며, 한국, 일본 등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된다.
  • 일본 요리 - 우동
    우동은 일본의 면 요리로, 굵고 쫄깃한 면발이 특징이며 따뜻한 국물이나 차가운 츠유에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되어 일본 각지의 특색을 살린 여러 종류가 있고, 한국을 포함한 여러 나라에서 인기를 얻어 각 나라의 식문화에 맞게 변형되기도 한다.
아이누 요리
아이누 요리
개요
종류전통 요리
현대 요리
주재료육류 (주로 사슴, 곰)
어패류 (연어, 송어, 곤들매기, 물개, 고래)
야생 식물 (행커, 우바유리, 오오바기보우시)
특징자연에서 얻은 재료를 최대한 활용, 저장 및 가공 기술 발달
식사 예절누사산에 대한 존중, 음식에 대한 감사 표현
주요 요리
주식
사유 (죽)곡물 (주로 조, 쌀)이나 감자를 주재료로 한 죽
이모케모치감자를 으깨어 만든 떡
시토쌀가루나 곡물가루로 만든 경단
국/찌개
오하우육류, 어패류, 야채 등을 넣고 끓인 국
케나시루발효시킨 연어 머리를 넣고 끓인 국
반찬
라타슈케프호박, 콩, 감자 등을 으깨어 섞은 요리
치타타프다진 고기나 생선을 야채와 함께 섞은 요리
메프ン발효시킨 사슴 창자
토노토곡물로 만든 술지게미를 발효시킨 음식
이나우신에게 바치는 제물
어패류 요리
루이베냉동한 연어회
이챺구운 생선
말린 생선이나 고기를 두드려 만든 육포
저장 음식
타시로말린 음식
사케 토바말린 연어
음료
토노토 (술)쌀, 조, 피 등을 발효시켜 만든 술
니세우껍질을 벗긴 팥을 삶아 만든 음료
식재료
동물성
육류사슴

물개
고래
어류연어
송어
곤들매기
식물성
곡물
야채행커
우바유리
오오바기보우시
감자
호박

2. 식재료

아이누 요리는 사냥과 어획으로 얻은 연어, 사슴과 같은 고기, 참나리 구근(''turepain'')과 도토리와 같이 산에서 채집한 야생 식물, 그리고 농사를 통해 얻은 다양한 곡물과 감자를 사용했다.[2][3] 기름을 조미료로 넉넉하게 사용한다는 특징이 있다.[1] 아이누족은 지역의 사냥감과 동물에 의존했기 때문에 모든 지역에서 같은 재료를 사용하지 않고 가장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를 사용했다.[1]

, 사슴.


, 물개. 사할린 아이누는 물개 지방을 다양하게 사용했다.


, 일본산 곤들매기. 홋카이도가 원산이며, 북극 곤들매기 종에 속한다.


전통적으로 여성들은 일반적으로 (산마늘)와 같은 야생 식물을 채집했다.


조미료로는 소금 외에 대구, 정어리, 청어, 상어, 물개, 고래(''humpesumain''), 사슴(yuk)과 곰(''pasumain'')의 지방(''sumain'')을 사용하여 요리에 풍미를 더했다.[4] 현대에는 된장과 간장도 사용되었다. 수프는 다시마, 동물의 뼈, 말린 생선을 사용하여 만들 수 있다. 조미료와 향신료로는 ''pukusaain''(''산마늘''), 황벽나무 열매, 그리고 개갓냉이를 사용했다.[5]

아이누족은 수렵, 어로, 채집, 농경을 통해 식재료를 얻었다.

2. 1. 수렵

아이누 민족의 식문화는 어업과 수렵으로 얻은 연어사슴, 산야에서 채집한 참나리비늘줄기도토리, 산채, 에서 재배된 잡곡이나 감자 등을 소재로 한다.[13][14] 특징으로는, 유지를 듬뿍 사용한 맛을 낸다는 점을 들 수 있다.[15][16]

조미료는 소금 외에도, 물고기나 짐승의 지방 (대구, 정어리, 청어, 상어, 물개, 에조사슴, 불곰 등에서 얻음)을 사용했다.[17] 근세 이후에는 된장도 사용되었다.[18] 또한, 다시마나 동물의 뼈, 생선의 구운 건어물을 사용해 육수를 내는 문화를 가지고 있었다.[19] 향신료로는 명이나물이나 황경피 열매, 개갓냉이를 이용했다.[16]

수렵은 늦여름~만추를 제외하고 1년의 대부분의 시기에 행해졌으며, 유ㇰ(yukain 에조사슴), 김운카무이(kimun kamuyain 불곰), 이소포카무이(isopo kamuyain 토끼), 모유ㇰ(moyukain 에조너구리), 치론누ㇷ゚(cironnupain 북방여우), 호이누(hoinuain ), 루오ㇷ゚(ruopain 줄무늬다람쥐) 등의 수렵 대상 동물, 후미루이(humiruyain 에조뇌조), 쿠스예ㇷ゚(kusuyepain 양비둘기), 코페차(kopecaain 청둥오리), 파라케우(parkewain 어치), 아마메치리(amameciriain 참새) 등의 조류를 사냥했다.[20]

이 중에서 사슴이 가장 주요한 사냥감이었다.[21] 과거 홋카이도에는 상상을 초월하는 수의 사슴이 서식하고 있었으며,[22] "냄비를 불에 올려놓고 사냥하러 간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쉽게 얻을 수 있었다.[23] 곰이나 너구리 등 "수렵의 대상이 되는 동물"을 아이누는 "카무이(신)가 인간을 위해 모피와 고기를 선물로 가져와 이 세상에 나타난 모습"이라고 해석했지만, 사슴에 관해서는 "하늘에 유ㇰ(사슴)을 관장하는 신 '유ㇰ아테카무이'(yuk atte kamuyain)가 있어서, 큰 자루에서 인간을 위해 던져 내린다"고 이해하고, 그것 자체에 신격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여겼다. 너무 많은 수 때문에 고마움이 옅어진 듯하다.[24][25] 홋카이도 동부·혼베츠정, 아쇼로정, 시라누카정의 경계에 걸쳐 있는 해발 745m의 우코타키누푸리는 토지의 아이누로부터 유ㇰ란케누푸리(사슴이 내려오는 산)라고 불리며, 산 정상에서 천둥소리가 울려 퍼질 때는 하늘에서 신이 사슴이 든 자루를 던져 내린다는 전승이 있었다. 주변 주민들은 이 산에 이나우를 바치고 사냥의 행운을 빌었다.[26]

곰은 이른 봄에 동면에서 깨어난 곳을 노려, 숨어 있는 굴 입구를 막은 다음 창으로 찌른다. 여름에는 화살을 바른 "아맛포"를 짐승길에 설치하여 잡는다. 부비 트랩에서 발사되는 화살에는 스ㇽ쿠(surkuain 투구꽃의 뿌리)의 독이 발라져 있지만, 화살이 꽂힌 부분의 고기를 주먹 크기만큼 도려내 버리면 다른 부분은 먹을 수 있었다.[28] 아이누가 김운카무이(산의 신)로 숭상하는 곰의 고기는 다른 짐승 고기와는 격이 달랐다. 아이누어로 고기는 "카ㇺ"이지만, 곰고기에 한해서는 "카무이할"(신의 음식)이라고 부른다. 조리할 때는 "여자가 조리하게 하지 않는다", "다른 짐승 고기와 함께 삶지 않는다", "삶을 때, 냄비에 뚜껑을 덮지 않는다" 등의 계율이 지켜진다. 중화 요리의 "웅포"처럼, 우레할(발바닥 고기)은 특히 진미로 여겨졌다.[29]

사슴은 독화살 사냥 외에, 절벽에서 떨어뜨려 잡는 경우도 있었다.[30]

아이누의 주요 사냥감[4][2][6]
동물 종류아이누어 표기한국어 표기
불곰(곰)kimun kamuyain
다람쥐ruopain
유라시아 어치parkewain
참새amameciriain
북방여우cironnupain
주목humiruyain
일본 담비hoinuain
청둥오리kopecaain
동양 자고새kusuyepain
토끼isopo kamuyain
너구리moyukain
사슴yukain


2. 2. 어로

아이누 민족은 다양한 해양 동물을 사냥하기 위해 작살을 사용하고, 작은 생물을 잡기 위해 그물과 낚싯대를 사용하여 통나무배로 바다에서 낚시를 했다.[7] 좌초된 고래는 특히 귀하게 여겨졌는데, 일반적으로 통나무배와 작살을 사용하여 고래를 잡는 것은 불가능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부드러운 조류의 도움을 받아 사초 독을 바른 작살을 사용하여 푼카 만에서 고래잡이를 한 사례가 있었다.[2] 아이누족은 또한 담수어를 잡기 위해 낚싯대, 그물, 함정(''urayain''), 낚시 바구니(''raomapain'')를 포함한 여러 도구를 사용했다.[7]

아이누 민족의 식문화는 어업과 수렵으로 얻은 연어사슴 등을 재료로 한다.[13][14] 조미료는 소금 외에도, 대구, 정어리, 청어, 상어, 물개 등 물고기나 짐승의 지방을 사용했다.[17]

바다에서는 통나무배를 타고, 작살돌고래(tannup), 바다사자(etaspe), 물개(tukar), 바다코끼리(unew) 등의 바다 포유류나 황새치(sirkap), 개복치(kinapo), 상어(same) 등의 대형 어류를 잡았다. 또, 그물이나 낚싯대로 청어(heroki), 가자미(samampe), 정어리(iwasi), 대구(erekus), 꺽지(cimakani), 명태(komay), 빙어(tokikar), 가오리(uttap) 등의 소형 어류를 잡았다.[20]

고래(humpe)는 통나무배나 작살로 잡기 어려웠기 때문에, 해안에 떠밀려오는 "고래"는 매우 귀중했다. 시라오이에서 히다카 지청에 걸친 지역에는 맹인 할머니가 고래를 찾아내 마을 사람들과 기뻐하며 나누는 모습을 표현한 촌극 "고래 춤"이 전해진다.[31] 홋카이도 각지에는 다음과 같은 전설이 있다.

  • 바다에 떠 있는 큰 바위를 "고래"라고 착각하고, 모닥불을 피우며 해변으로 밀려오기를 기다렸다. 그러나 밀려올 리도 없이 땔감이 부족해지고, 소중한 뚝배기까지 불에 집어넣어 결국 모두 굶어 죽었다. (무로란시 이탄키 해변의 지명 전승)[32]
  • 요새에 틀어박힌 적을 유인하기 위해 해변에 모래를 쌓아 올려 큰 고래 모양을 만들었다. 그곳에 해초나 생선을 꽂아두면 새들이 모여 시끄럽게 굴고, 마치 "고래"가 밀려온 것 같다. 예상대로, 적은 속아 요새에서 뛰쳐나와 그들을 쳐부쉈다. (우라호로 정 아쓰나이의 모래 고래 전설)[33]


분화만에서는 트리카보토의 독을 바른 작살로 포경이 이루어졌다.[34]

연안부의 코탄(kotan)은 바다의 은혜로 윤택했지만, 장소 청부제에 의해 주민들은 일본인 상인이 경영하는 어장에 예속되어 곤궁한 길을 걷는 예가 많았다.[35][36]

강 낚시에서는 낚시, 그물 어업, "우라이"(uray 어전), "라오마프"(raomap 어항) 등의 방법으로 연어(kamuycep), 송어(icaniw), 연준모치(supun), 시베리아 연어(tuksis), 열목어(ciray), 철갑상어(yupe), 뱅어(susam), 산천어(icankot), 산천어(ciporkeso), 붕어(rampara) 등의 어류를 포획했다.[20]

강 낚시로 얻는 은혜 중에서는, 가을이 되면 강을 거슬러 올라오는 연어가 가장 중요한 자원이었다.[37] 아이누는 연어를 "카무이체푸"(신의 물고기), 또는 "시페"(본래의 음식)라고 부르며, 어기가 다가오면 하늘의 은하수를 올려다보며 어획의 풍흉을 점쳤다.[38] 시라오이, 노보리베츠에서는 봄에 목련이 아래로 쳐진 꽃을 피우고, 어기에 머리가 벗겨진 "파시쿠르"(까마귀)를 보면 풍어를 예감하며 기뻐했다.[39] 풍어 기원으로서 강의 신을 모시는 제례 "펙카무이노미"(강신에게의 기도)를 열고, 연어가 오르기 쉽도록 강 주변에서 쓴 수액의 나무를 제거했다.[39] 처음으로 올라온 연어를 "마레푸"(회전식 작살)로 정성스럽게 포획하여, 그것을 신에게 바치는 "아시리체푸노미"(asircepnomi 새로운 연어의 기도)를 행하고, "이나우"(inaw)와 "토노토"(tonoto 막걸리)와 함께 아페후치 (불의 여신)에게 바쳐 기도했다.[40][39]



연어는 회전식 작살 "마레쿠"로 찌르거나, "우라이"(어전)로 포획하고, 수량이 있는 곳에서는 2척의 통나무배 사이에 그물을 쳐서 노를 저어 연어를 몰아넣는 "야시 어업"(그물 어업)을 사용했다.[39] 하늘의 W자 모양을 한 카시오페이아 자리는 2척의 배와 그물과 비슷하기 때문에, 아이누는 "야시노카"(그물 끄는 별)라고 불렀다.[41] 날뛰는 연어는 그것만을 위해 만들어진 신성한 곤봉 "이사파키크니"(isapakikni)로 쳐서 숨통을 끊는다. 이것은 활어와 동등한 효과가 있다고 한다.[42] 낫 등으로 걸어 당기는 것은 신을 모독하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어기에는 물금지가 지켜졌고, 생리 중인 여성은 강에 접근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았다.[39] 연어는 하구의 코탄에서 독점하지 않고, 상류부로도 잘 흘러가도록 절도 있게 잡는다. 그리고 연어알이나 정액을 가진 맛있는 연어를 노리는 것이 아니라, 산란을 마치고 약해진 연어 "홋챠레"를 중점적으로 잡았다.[20] 이는 이듬해 이후의 연어의 개체수를 유지하기 위해서라는 이유도 있었지만, 지방이 빠진 "홋챠레"가 보존에 적합하다는 사정도 크다.

이렇게 잡은 연어는, 일부를 당장의 식용으로 돌리는 외에는 전부 보존식으로 가공했다. 배를 갈라 내장을 제거하고, 옥외의 건조대에 걸어 건조(건어물)시킨다. 실내의 화로 위에 매달아 훈제를 한다. 또는 속에 묻어 얼린다.[43] 건조 연어를 "삿·체푸"(satcep 말린 물고기), 또는 "아탓"(atat)이라고 부른다. 먹을 때는 물에 불리고, 어유를 더하여 풍미를 더하면서 삶는다.[44]

얼린 연어가, 현재 홋카이도에서 향토 요리로 유명한 "루이베"(ruype)이다. 먹을 때는 "마키리"(makiri 작은 칼)로 대충 잘라 버드나무 꼬치에 꽂아 불에 구워 녹이고, 소량의 소금으로 간을 해서 먹는다.[45] 소금은 교역으로만 얻을 수 있는 귀중품이므로, 보존료로 대량으로 사용할 수 없었다. 아이누의 전통적인 식문화에, 소금 연어, 소금은 존재하지 않는다.[18]

홋카이도 각지에 "곰소""쿠마이시" 등의 지명이 있는데, 이것들은 아이누어의 "쿠마·우시"(건조장이 있는 곳)에 한자를 붙인 것이다. 옛날에는 풍어의 땅으로, 주민들이 건어물 만들기에 힘썼던 모습이 엿보인다.[23]

해변 채집으로 가리비, 바지락, 고둥, 해삼, 다시마, 미역 등, 어패류와 해조류가 채집되었다. 특히 다시마와 해삼은 나가사키 무역에서 일본 측이 표물로서 청나라에 수출하는 귀중한 물산이었으며, 일본인과의 교역품으로 중요했다. 그러나 17세기 중반 이후의 교역은 불공정한 것으로, 건조 연어 100마리가 쌀 한 되, 짊어질 수 없을 정도의 다시마가 찬밥 한 그릇이라는 예조차 있었다.[35]

아이누족이 어로 활동으로 획득한 물고기는 다음과 같다.

아이누어한국어
uttapBathyraja lindbergi
susam열빙어
erekus대구
rampaa붕어
tannup돌고래
samampe넙치
unew물개
supun피라미
cimikani일본수수미꾸리
ciray연어
tokikar빙어
icankot산천어
kinapo개복치
heroki청어
cicira미꾸리
kamuycep연어
komay명태
iwashi정어리
etaspe바다사자
tukar물개
same상어
yupe철갑상어
sirkap황새치
icaniw송어
tuksis시로마스


2. 3. 채집

아이누 민족의 식문화는 어업과 수렵으로 얻은 연어사슴, 산에서 채집한 참나리비늘줄기도토리, 산채, 밭에서 재배된 잡곡이나 감자[13][14] 등을 재료로 한다. 유지(기름)를 듬뿍 사용한 맛을 내는 것이 특징이다.[15][16]

남성이 사냥과 강 낚시를 담당하는 동안, 여성은 앗투시 짜기, 육아, 농업과 함께 산야에서 산채와 과실을 채집하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눈이 녹아 새싹이 돋아나면 여성들은 "사라니프"(시나노키 섬유로 짠 자루)와 "메노코마키리"(여성용 칼), "이타니"(파는 막대기), "싯타프"(사슴 뿔로 만든 소형 곡괭이)를 들고 산으로 나섰다.[46]

봄에는 에하(돌콩 열매), 푸쿠사(산마늘), 오하우키나(꿩의다리), 안차미(엉겅퀴), 핏토크(참당귀), 노야(), 마카요(머위), 소르마(고비), 시케르페키나(삿갓사초), 코르코니(큰잎부처손), 멘피로(달래의 인경), 무크(개별꽃의 뿌리), 톱무크(고본의 뿌리), 푸이(개구리자리의 뿌리)를 채집했다. 초여름에는 보존식으로 중요한 투레프(참나리의 인경)를 대량으로 채집했다.

아이누어에서는 유크칼시, 카무이칼시라고 불리는 상황버섯. 일본인과의 교역품으로 중요했기 때문에, 일본어 이름인 마이타케도 일찍부터 퍼졌다.


가을에는 나무 열매가 열렸다. 마우(해당화 열매), 페로(떡갈나무에 열리는 도토리)나 니세우(굴참나무에 열리는 도토리), 야무(), 네시코(호두), 핫(머루 열매), 굿치(다래 열매) 등이다.[20] 카루시(버섯) 종류도 중요한 식량이었다. 특히 유크카루시(상황버섯)는 맛도 좋고, 일본인과의 교역에서 유리한 거래를 할 수 있었다.[48] 그래서 발견하면 그 주위에서 춤을 춘 뒤 온카미(헌배)하며 채취했다고 한다.[49]

호수 연안에 있는 코탄(마을)에서는 과 비슷한 맛의 페칸페(마름 열매)도 중요한 산물이었다. 가을이 되면 호수에 열리는 열매는 라타시케프(조림)의 재료, 신에게 바치는 훌륭한 음식이었다. 특히 구시로 강 유역의 도도로 호는 페칸페의 대산지로 알려져 있으며, 연안에는 그 은혜로 인해 호수가 많은 코탄이 존재했다. 쇼와 시대 중기까지, 이 지역에서는 가을이 되면 페칸페의 은혜에 감사하는 신사 페칸페카무이노미가 엄숙하게 거행되었고, 이것이 끝나고 나서 수확을 했다. 수렵 어로 민족인 아이누가 식물을 위해 행하는 신사는 홋카이도에서도 여기뿐이며, 매우 드문 예이다.[50] 그러나 풍부한 마름의 은혜는 수탈의 대상이기도 했고, 호반에는 "페칸페 쟁탈전에 대비했다"고 전해지는 차시(요새)가 존재한다.[51]

산채류는 데쳐서 아쿠를 빼고, 오하우(국물)의 재료나 라타시케프(산채와 기름을 섞은 요리)로 만들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건조 가공이었다. 1년의 절반을 눈으로 덮이는 홋카이도에서는 겨울철에 푸른 채소 부족을 겪게 된다. 그것은 각기병이나 괴혈병으로 이어져 죽음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봄부터 여름에 걸쳐 대량으로 채취된 산채류는 큰 솥에 데친 후 고자리에 펼쳐서 햇볕에 말려 "포로사라니프"(큰 자루)에 넣어 "푸"(높은 창고)에 보관했다.[39][52]

에도 시대 후기, 러시아의 침공에 대비한 연안 경비를 위해 홋카이도에서 월동한 일본인은 쌀과 된장을 중심으로 한 일본식에 고집했기 때문에 많은 사람이 각기병으로 인한 부종으로 쓰러졌다. 1807년에 오호츠크 해 연안의 샤리 군에서 발생한 쓰가루 번사 순난 사건에서는, 거주하던 쓰가루 번사 100여 명 중 72명이 수개월 안에 사망했다. 그러나 아이누는 건조 보존한 식물이나 냉동 보존한 육류, 어육을 먹고 비타민을 섭취하여 가혹한 겨울을 이겨냈다.

도토리 종류는 데쳐서 아쿠를 빼고 시토(경단)나 라타시케프(무침)로 가공한다.[53]

은방울꽃 열매. 식용이 아니므로, 치론누프·후레프(여우의 딸기)라고 불린다.


산채류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푸쿠사(산마늘)였다. 겨울 추위 속에서 가장 먼저 녹색 짙은 줄기를 내고, 식욕을 돋우는 마늘 냄새를 풍겼다. 그것은 바로 봄의 기쁨이었고, 여성들은 산야로 나아가 채집했다. 채집 시 문제가 되는 것은 세타푸쿠사(은방울꽃)의 존재이다. 은방울꽃의 싹은 산마늘과 매우 흡사하지만, 독초이다. 따라서 아이누 민족은 은방울꽃의 싹을 세타 푸쿠사(개의 푸쿠사), 은방울꽃 열매를 치론누프·후레프(여우딸기)라고 부르며 혐오했다.[54] 독초를 골라내며 채집된 푸쿠사는 데쳐서, 수지나 소금으로 간을 해서 먹거나 국에 넣었다. 끓일 때 김에는 약효가 있다고 하며, 감기가 걸렸을 때는 증기를 쐬었다.[55]

게다가 특유의 마늘 냄새는 마귀를 물리친다고 하여, 천연두 등의 전염병이 유행했을 때는 마을 입구에 걸어두어 병마의 퇴산을 빌었다.[56] 서양의 흡혈귀 퇴치에 마늘을 사용하는 풍습과 통하는 점이 있다. 일본어의 홋카이도 방언으로 푸쿠사를 "아이누네기"라고 하는데, 그 이름은 바로 "아이누 민족의 "에서 유래한 것이다.[57]

일본 본토에서는 거의 이용되지 않는 냉이는, 연어와 궁합이 좋다고 하여 시페키나(연어의 풀)라는 이름으로 연어 요리의 향신료로 사용되었다.[58] 홋카이도 방언으로는 "아이누 와사비"라고 불린다.[59]

그리고 투레프(참나리)의 구근, 그리고 그것으로부터 추출되는 전분이다.

남성이 사냥과 낚시를 담당하는 동안, 여성은 이른 봄부터 식용 식물을 채집하는 역할을 했다. 산으로 채집 여행을 갈 때 사용되는 도구로는 ''saranipain''(일본 보리수나무 섬유로 짠 가방), ''menoko makiriain''(작은 여성용 칼), ''itaniain''(일종의 파는 막대기), 그리고 ''shitapain''(사슴 뿔로 만든 작은 갈고리) 등이 있었다.[2] 봄에 채집되는 가장 중요한 산 식물 중 하나는 산마늘(''pukusaain'')이었다. 여름에는 보존 식품으로 중요했기 때문에 많은 양의 ''Cardiocrinum cordatum'' 구근 (''turepain'')을 채집했다.

채집 시기별 식물은 다음과 같다.

계절채집 식물
여름
가을


2. 4. 농경

홋카이도에서는 아이누 문화가 처음 등장하기 전인 조몬 시대부터 이미 농업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러나 12세기부터 아이누 시대까지 농업은 쇠퇴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혼슈와의 교역을 위한 건어물과 모피의 수요 증가로 인해 추운 날씨보다는 사냥과 어업의 중요성이 커졌기 때문으로 여겨진다.[10] 재배 작물은 감자, 카보차, 콩과 같은 새로운 작물의 도입으로 수년에 걸쳐 변화했다.[8]

아이누 민족의 식문화는 에서 재배된 잡곡이나 감자 등을 소재로 한다.[13][14]

아이누 시대 이전인 10세기경 삿몬 시대, 더 나아가 그 이전의 속 죠몽 시대부터 이미 홋카이도에서도 농경이 이루어졌다. 삿포로시의 사쿠슈코토니 강 유역이나, 우라호로정 도카치타에서 발견된 11세기의 삿몬 유적에서는 , , 기장 등의 잡곡류가 출토되었으며, 보리도 확인되었다.[60] 더욱이 오호츠크해 연안 지방에서 동시기에 번성했던 오호츠크 문화에서도 조, 피, 보리의 재배가 확인된다.[61] 그러나 12세기부터 시작된 아이누 시대에 이르러 농경은 축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춥고 추운 기후 때문에 농경을 포기했다기보다는, 본토와의 교역을 위한 건어물이나 모피 조달을 위해 수렵, 어로에 중점을 둔 결과로 보인다.[62] 17세기 후반 샤쿠샤인의 난 이후, 아이누와의 교역을 자신들의 편의에 맞게 진행하고 싶어했던 마쓰마에 번은 아이누가 농업으로 자립하지 못하도록 괭이나 쟁기, 등 쇠제 농기구의 유통을 제한했던 것도 농경 쇠퇴의 이유로 꼽힌다.[63][64]

아이누어로 농업을 "토이타"라고 부른다. 에도 시대 후기의 일본인의 기행문이나 메이지 시대 학자에 의한 아이누에 대한 청취 조사에 따르면, 농업은 여자의 일이었고 틈틈이 행해지는 것이었다.[65]

먼저 강의 연안에서 나무와 잡초가 적은 땅을 정한다. 그 땅에 소유권을 주장하는 의미로 십자 모양으로 묶은 나무 "쿠이타ㇰ페"를 세우고, 며칠 안에 개간·정지하면 일 년 동안 토지 소유권이 인정된다.[66] 개간은 나무를 벌채하여 불태우는 화전이 아니라, "토이타이욧페"라는 날이 굽은 으로 풀밭을 베어내고 흙과 함께 베어내어 정지하는 간단한 것이다.[65] 한 가구당 경작 면적은 안세이 연간의 토카치 장소(도카치 지청)나 몬베츠 장소(몬베츠 지청)에서 30평 정도, 기후가 온난한 히다카 지방에서도 4반 정도였다.[67]

밭에는 피야파(), 멘쿠르(기장), 문치로(), 메밀, 아타네()를 뿌린다. 시대가 내려오면서 류, 더 나아가 감자, 호박신대륙 원산의 작물도 재배하게 되었다.[68] 잡곡류에는 아이누어 이름이 붙어 있지만, 콩, 감자, 호박은 아이누어에서도 각각 "마메", "이모, 에모", "캄보차"이며, 시대가 오래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기록에 따르면, 간세이 연간에 최상 도쿠나이가 에조지에 씨감자를 들여와 아부타군의 아이누에게 재배하게 한 것이 홋카이도에서의 감자 재배의 기원이라고 한다.[69] 한편, 치시마 아이누나 사할린의 아이누는 감자를 "누차토마"(러시아의 개울애기풀[70])라고 부르기 때문에, 아이누 세계에서의 감자 전파에는 북방(러시아 제국)과 남방(일본), 두 개의 루트가 존재했음을 엿볼 수 있다.[13]

일 년의 경작 중에 풍년을 기원하는 예축 연예 등의 의례는 행해지지 않지만, 파종 시에는 씨곡물을 야생 조류의 에 담갔다가 뿌린다. 이것은 야생 조류의 생명력을 빌려 작물의 생육을 기원하는 신앙이다. 또한, 뻐꾸기오리의 둥지, 의 허물을 가지고 있으면 풍작을 얻는다는 전승도 있었다.[71] 실제 농작업에서는 에 이랑을 만들지 않고, 비료는 밑거름은 물론이고 와 부엽토 종류까지 "대지를 더럽힌다"고 여겨 시비하지 않았다. 제초도 그다지 행해지지 않았기 때문에 가을의 수확량은 많지 않았다.[71]

다만, 광대한 홋카이도는 지방에 따라 기후 차이가 있다. 온난한 도난과 히다카 지방은 아이누 문화권에서 가장 경작이 활발한 지역이며, 막부 말기에 이 땅을 여행한 마쓰우라 다케시로는 저서 『무고 동서 에조 산천 지리 취조 일지』에 무카와의 촌장이 3년분의 곡물을 비축하고, 호베쓰의 촌장이 연간 35말의 잡곡을 수확하며, 아쓰마에서는 일반 가정에서도 피와 조를 연간 10말 이상 수확하고 있었다고 기록하고 있다.[72] 더욱이 히다카 지방에서는 밭 구석의 를 버리는 장소(무루쿠타누사)가 신성한 장소로 여겨지는 등, 농경신의 존재도 엿볼 수 있다.[63] 반대로 한랭하여 농경에 적합하지 않고 외부와의 교류도 적은 도호쿠 내륙에 사는 아이누는 농업의 기본조차 몰랐던 듯하다. 메이지 중기, 관리가 이 지역의 아이누에게 농업 보급을 꾀하여 "이것을 흙에 묻으면 맛있는 것이 늘어난다"고 감자 씨앗이 담긴 가마니를 건네주고 간단한 설명을 하고 돌아갔다. 그런데 가을이 되어 재방문해 보니, "샤모(일본인)에게 속았다!"라며 몹시 언짢아했다. 자세히 물어보니 씨감자를 가마니째 흙에 묻었기 때문에 전부 썩었다고 한다.[73]

가을에 여문 곡물은 "피파"라고 불리는 조개의 조개껍데기로 만든 도구로 하나하나 이삭을 벤다. 이 수확법은 야요이 시대본토 등에서 돌칼을 사용해 행해진 수확과 매우 흡사하다.[65] 이와 같이 수확된 곡물은 건조된 후 "푸"(고상식 창고)에 넣어 보관하고, 필요에 따라 "니스"(절구)로 정백, 제분하여 사요()나 시토(경단), 토노토(술)로 가공한다. 나 감자, 호박은 국 재료, 라타ㇱ케ㇷ゚(후술)의 재료가 되었다. 또한 감자는 겨울의 추위를 이용하여 폿체이모라는 보존 식품으로 가공했다.[65]

벼농사는 행해지지 않았지만, 은 삿몬 시대부터 교역으로 들어왔다. 홋카이도 각지에서 발견되는 아오모리현 고쇼가와라토기는 쌀을 이출할 때의 용기로 사용된 것으로 생각된다.[74] 아이누어로 쌀은 "참된 곡물"을 의미하는 "시아맘"이라는 단어로 불렸으며, 매우 사치스러운 식품으로 여겨졌다. 에도 시대 전기, 도쿠가와 미쓰쿠니가 에조지에 파견한 쾌풍환의 승무원은 이시카리 강 유역의 아이누와의 교역에서 생연어 100마리에 쌀 1되 2홉을 내놓았다. 그러나 시대가 내려갈수록 교역은 아이누 측에 불리하게 되었다. 간세이 연간에는 "에조 볏짚"(에조다와라)라고 불리는 8홉들이 볏짚 1개를 얻기 위해 아이누 측이 내는 물품은 말린 연어라면 100마리, 청어라면 1200마리였다.[75][76]

파는 에도 시대 후기부터 재배되었으며, 국이나 회의 약재로 사용되었다.


시대가 내려갈수록 일본인이 경영하는 어장을 통해 채소류도 순차적으로 홋카이도에 전래되었다. 안세이 3년(1856년)에 홋카이도의 동해 측에서 사할린, 오호츠크해 연안 지역을 횡단한 탐험가 마쓰우라 다케시로는 도난 지방 연안은 물론 아바시리(아바시리 지청), 토코로(도코로 지청), 앗케시(앗케시 지청) 등 기후가 한랭한 오호츠크해 연안 지역에 이르기까지 조, 피 등 잡곡, 더 나아가 감자, , 강낭콩, 오이, 호박, 등 각종 작물이 소규모로 재배되고 있는 모습을 기록하고 있다.[77] 식용 식물 외에도 섬유용 과 기호용 담배가 재배되는 경우도 있었다.[78]

아이누는 다음과 같은 작물을 재배했다.

작물아이누어 표기
품종mameain
메밀sobaain
수수munchiroain
일본 조piyapain
감자imoain
차조menkulain
호박kabochaain
순무ataneain


3. 조리법

아이누 민족의 식문화는 어업과 수렵으로 얻은 연어사슴, 산야에서 채집한 참나리비늘줄기도토리, 산채, 에서 재배된 잡곡이나 감자[13][14] 등을 재료로 한다. 특징으로는, 유지를 듬뿍 사용한 맛을 낸다는 점을 들 수 있다[15][16]

조미료는 소금 외에도, 물고기나 짐승의 지방 (대구, 정어리, 청어, 상어, 물개, 에조사슴, 불곰 등에서 얻음)을 사용했다[17]。근세 이후에는 된장도 사용되었다[18]。또한, 다시마나 동물의 뼈, 생선의 구운 건어물을 사용해 육수를 내는 문화를 가지고 있었다[19]향신료로는 명이나물이나 황경피 열매, 개갓냉이를 이용했다[16]

7세기부터 12세기경에 걸쳐 번성했던 삿몬 시대의 수혈 주거는 집 중앙에 난로가 설치됨과 동시에 벽가에는 연도가 설치된 부뚜막이 마련되어 취사의 일익을 담당했다. 그러나 12세기경을 기원으로 하는 아이누 문화 시대에 이르러서는 어째서인지 부뚜막은 쇠퇴했다[79]。이 이유는 잘 알 수 없다. 장작이 귀중한 한랭지이기에 그 낭비를 피하기 위해 집 중앙의 난로에 난방・조명・조리를 집약했을지도 모른다.

아이누의 주거 '''치세'''(cise)는, 땅을 다진 위에 짚이나 고사리, 모피를 깔아 바닥으로 한 평지 건물로, 그 중앙에 나무 의자를 뺀 큰 난로가 설치되어 있었다. 이 난로에 몇 개의 "슈왓"(자유자재 갈고리)이 내려져 있고, 거기에 화인과의 교역으로 얻은 크고 작은 "슈"(냄비)가 걸려 있다.



아이누는 화인이나 니브흐와 마찬가지로 생식을 좋아하여, 소재의 신선함을 최대한 살린 생선회나 고기・생선의 타타키를 매우 좋아했다[80]。가열 조리에 관해서는, 난로의 직화와 냄비만으로 가능한 조리법, 즉 "굽기", "굽기", "끓이기", "삶기", " 속에서의 "이다[81]。장소청부제 등으로 아이누가 화인의 식문화에 접하는 예도 있었지만, 그들이 부뚜막이나 가마, 시루 등 새로운 조리 도구를 도입하는 일은 없었다[82]

아이누 문화에서는 참나리의 찌꺼기로 만든 보존 식품 온투레프(후술)나 토노토(탁주)를 제외하고 발효 문화가 발달하지 않았다. 그러나 화인으로부터 구입한 된장이나 일본주, 간장은 자신들의 식문화에 받아들였다. 근대 이후에는 아이누 스스로 된장을 양조하여 산나물 된장 무침 등에 사용한 예도 있다[83]

'''오하우(ohaw)'''

육류, 어류, 산채, 채소를 쇠 냄비에 넣고 끓인 국물 요리. 단순한 수프에 그치지 않고 냄비 요리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건더기가 푸짐한 국물 요리로, 주식이 존재하지 않는 수렵·어업 민족인 아이누의 식생활의 중심을 이루는 요리였다. 홋카이도의 향토 요리로 유명한 이시카리나베, 산페이 국의 기원이라고도 한다[84][85][86]

재료에 특별한 규정은 없지만, 대략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조리된다[87]

# 냄비에 물을 채우고, 짐승 뼈나 작은 생선의 구이 말린 것을 넣고 불에 올려 육수를 낸다.

# 대략적으로 썰어 놓은 고기, 생선을 넣고 끓인다. 말린 고기, 말린 생선일 경우 시간을 들여 끓인다. 고기나 생선의 거품은 일종의 약효 성분으로 여겨지므로 제거하지 않는다[88]

# 채소는 뿌리채소 등 잘 무르지 않는 것부터 넣고, 다음으로 섬유질이 많은 산채, 그리고 잎채소를 넣는다. 그것들이 부드러워질 때까지 끓인다.

# 동물성 지방, 생선 기름, 소량의 소금으로 간을 맞추고, 마지막으로 풍미를 더하기 위해 구운 다시마 가루, 말린 푸쿠사(산마늘)를 뿌린다.

※ 고기의 거품이 신경 쓰인다면, 나중에 넣는 채소나 향신료에 흡수시킨다[88]

중심이 되는 재료에 따라 각각 "체ㇷ゚ 오하우"(cep ohaw 물고기 국물), "카ㇺ 오하우"(kam- 고기 국물), "카무이 오하우"(kamuy- 곰 국물), "키나 오하우"(kina- 채소 국물) 등으로 불렸다. 쌍동이풀은 국물과 궁합이 좋아서 "오하우키나"(ohawkina 국물의 풀)라고 불리며, 재료로 특히 선호되었다[89]

도브로토볼스키[90]의 『아이누어러시아어 사전』은 아이누어의 "yхау(오하우)"는 러시아어의 "уха(우하)"의 의미라고 하고 있으며[91], 이 사전은 "o"와 "u"의 음의 혼동이 보인다고 지적받고 있다[92]. 두 언어에 비슷한 단어가 존재하는 경우, 같은 조어에서 유래한 동근어[93]이거나, 교류를 통해 받아들여진 차용어[94][95]일 가능성이 있다[96]. 아이누어의 언어 계통은 불분명하지만[97], 러시아어의 "우하(생선 수프)"는, 고대 슬라브어로 "수프(액체)"를 의미하는 "jucha"를 어원으로 하며, 그 어두의 "j"가 떨어진 것이다[98][99][100]."jucha"는 더 나아가 "조림 국물, 수프"를 의미하는 인도유럽어 공통 어휘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101]. 또한, 아이누 민족은 참나리의 뿌리를 가공하여 오하우에 넣어 전분을 섭취하는데, 이와 마찬가지로 러시아·하바롭스크 지방의 소수 민족 나나이족이 우하 (уха)에 식물의 뿌리를 넣어 전분을 섭취하고 있으며, 이는 북방 민족에 널리 퍼져 있는 식습관이었다[102].

'''라타스케프(rataskep)'''



직역하면 "섞은 것". 산나물이나 채소, 류를 부드럽게 국물이 없어질 때까지 끓여서 가볍게 으깬 다음 수지, 어유, 소량의 소금으로 간을 맞춘 요리[103]

일상식으로도 만들어지지만, 의식의 공물이나 대접에는 빠질 수 없는 하레식이다.

사용하는 재료에 따라 무한한 종류가 있다[103]

요리명설명
시케ㇾ페키나라타ㇱ케ㇷ゚ sikerpekina rataskepain건조시킨 시케ㇾ페키나(히메자젠소)를 뜨거운 물에 불린 후 약불로 수 시간 동안 국물이 없어질 때까지 끓인다. 먹기 좋은 크기로 썰어, 수지와 소금 소량으로 간을 맞춘다.
푸쿠사라타시케푸 pukusa rataskepain콩을 부드러워질 때까지 끓여 푸쿠사(마늘종)의 줄기를 넣고 더 끓인다. 수지와 소금으로 간을 맞춘다.
치스이에라타ㇱ케ㇷ゚ cisuye rataskepain초여름에 채취한 치스이에(개미취)로 만든다. 콩을 삶아 부드러워지면 치스이에를 넣고 더 끓여 수지와 어유로 간을 맞춘다.
캄포차라타ㇱ케ㇷ゚ kampoca rataskepain콩을 부드러워질 때까지 끓여, 말려서 보존해 둔 호박을 물에 불려 넣고 더 끓인다. 호박이 뭉개지면 소금과 어유로 간을 맞춘다. 향신료로 시케레페(황백)의 열매를 뿌린다.
치포로라타ㇱ케ㇷ゚ cipor rataskepain「치포로 감자」라고도 불리는 요리. 감자는 껍질째 삶는다. 다른 냄비에 치포로(연어알)를 넣고 약불로 으깨면서 반쯤 익힌다. 삶아진 감자는 껍질을 벗겨 두껍게 썰어, 앞서 익힌 치포로를 넣고 소금을 넣어 잘 섞는다.
니세우라타ㇱ케ㇷ゚ nisew rataskepain니세우(도토리)는 껍질을 벗기고, 껍질이 있는 채로 여러 번 삶아 아쿠를 뺀다. 여기에 미리 물에 불려둔 콩을 물과 함께 넣고, 끓으면 국물을 버린다. 다시 물을 붓고 전체가 부드러워질 때까지 끓여, 옥수수 알갱이를 넣고 더 끓인다. 원하는 부드러움이 되면 쌀가루를 넣고 전체를 반죽한다. 소금과 기름으로 간을 맞추면 완성.



또한, 치에토이(규조토. 아이누어로 "우리 먹는 흙"의 뜻)로 산나물을 버무린 식품도 별미로 즐겨 먹었다[104]

'''사요(sayo)'''

피야파(기장)나 시아맘()으로 끓인 묽은 . 대부분은 곡물만으로 끓이지만, 산나물을 넣어 끓이는 경우도 있다. 농경 민족의 주식으로서의 죽이 아니라, 기름진 국물이나 구운 고기, 구운 생선으로 배를 채운 후 "입가심"으로 처럼 마시는 것이다.[105] 따라서 기름기가 섞이지 않도록, 전용 작은 냄비로 끓인다. 담을 때에도, 푸는 카스ㇷ゚(국자)는 국물용과는 다른 사요카스ㇷ゚(죽 국자)를 사용하여, 국물의 맛이 섞이지 않도록 신경썼다.[15] 곡물의 이용은 묽은 죽이 중심이었기 때문에, 1인당 곡물 소비량은 한 달에 1되, 5명 가족이라도 1년에 6말이면 충분했다.[106]

요리명설명
투레ㇷ゚사요 turep sayoain투레ㇷ゚(참나리)에서 전분을 채집할 때의 전분 찌꺼기를 발효시킨 보존식 온투레ㇷ゚(on turep)를 넣은 죽. 먼저 딱딱하게 건조된 온투레ㇷ゚를 절구로 찧어 부수고, 물에 불린다. 물의 침전물로 지름 3cm 정도의 경단을 만들어, 기장의 묽은 죽에 넣고 더 끓인다.
투레ㇷ゚의 구근 비늘줄기를 넣은 죽도, 같은 이름으로 불린다.
이루ㇷ゚사요 irup sayoain참나리의 이루ㇷ゚(전분)을 경단으로 만들어 넣은 죽.
엔토사요 ento sayoain산나물의 일종인 엔토(나기나타코우쥬)를 넣은 죽. 독특한 향기가 선호된다.
삿시라리사요 satsirari sayoain토노토(막걸리)를 만들 때 생기는 시라리(술지게미)를 죽에 넣는다.
키킨니사요 kikinni sayoain키킨니(에조노우와미즈자쿠라)의 껍질을 넣은 죽.
치포ㇿ사요 cipor sayoain쌀로 죽을 끓이고, 치포ㇿ(연어알)을 넣는다. 생 연어알을 사용한 치포ㇿ사요는, 가을에만 먹을 수 있는 진수성찬이다. 그 외의 계절에는, 삿치포ㇿ(sat cipor 건조 연어알)을 넣은 죽을 만든다.



'''시토(sito)'''

경단. 명칭인 "시토"는 일본어로 페이스트 상태로 으깬 생 곡물이나 경단을 가리키는 "'''시토기'''"와 같은 계통으로 여겨진다[15][107]。과거 곡물의 정백이나 제분을 절구로 손으로 하던 시대에는 그 수고로움 때문에 사치스러운 식품이었으며, 일상적인 식품보다는 이오만테(곰 보내기)나 이챠르파(조령제) 외에도 하레날의 공물이나 진수성찬으로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았다[108]

재료는 멘쿠르(기장), 문치로(), 시아맘(). 멘쿠르로 만든 것을 정식으로 한다. 시대가 내려오면서 에모(감자), 칸포챠(호박)도 재료로 더해졌다. 일본의 쑥떡과 마찬가지로 노야()를 섞은 "노야시토"도 봄의 맛으로 좋아했다[89]

만드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109]

# 정백된 곡물을 하룻밤 물에 담근다. 물에서 건져낸 후, 하룻밤 물기를 뺀다.

# 곡물을 절구에 넣고, 여러 사람이 이우타우포포(절구질 노래)를 부르며 박자를 맞추면서 찧어 가루로 만든다.

# 완성된 가루를 뜨거운 물에 반죽하여 직경 7, 8cm, 두께 1cm 정도의 크기로 둥글게 빚는다.

# 큰 냄비에 끓인 물에 냄비 바닥에 눌어붙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삶아낸다.

삶아낸 시토는, 공물로 할 때는 그대로 신토코(sintoko 찬합, 옻칠한 통), 팟치(patci 나무 그릇), 옷케(반상)에 담거나, 미즈키 꼬치에 꽂은 거대한 꼬치 경단 "니오시토"로 만들어 신전에 바친다[108]。사람이 먹을 때는, 치포로(연어알)를 반쯤 으깬 것이나, 구운 다시마를 부수어 기름으로 반죽한 소스를 찍어 먹는다[110]

시토의 식품으로서의 역사는 오래되어, 아쓰마정에서 발견된 마제 문명 시대의 유적에서도 조로 만든 경단이 발견되고 있다[111]。한편 아이누의 전통적인 식문화에는 찐 곡물을 절구로 찧어 으깬 ""은 존재하지 않았다. 아이누가 일본식 떡을 접한 것은 장소 청부제 등으로 일본인의 왕래가 증가한 에도 시대 후기 이후이다[112]

'''치타타프(citatap)'''

치타타ㇷ゚(citatapain)라는 아이누어를 번역하면, "치・타타・ㇷ゚"(ci-tata-pain 우리들이・많이 두드린・것)이다. 그 이름대로, 생선 타타키이다.

다음은, 대표적인 조리법[113]이다.

# 연어알], 머리,

4. 보존식

아이누어로 말린 고기는 satkam|삿캄ain, 말린 생선은 satcep|삿체프ain, nikeruy|니케루이ain 또는 atat|아탓ain이라고 한다.

특히 가을에는 연어를 많이 잡아서 최대 6개월까지 보존할 수 있도록 가공했다. 생선의 머리와 내장을 제거하고 밖에서 말린 다음, 실내 화덕에서 훈제했다. 여름에 잡은 송어(icaniw|이차니우ain)와 산천어(tuksis|투쿠시시ain)는 파리가 생선을 상하게 하는 것을 막기 위해 불에 말렸다. 이렇게 말린 생선은 살을 뜯어 먹거나, 물에 불려 수프 재료로 쓰거나, 요리해서 먹었다. 산란 후 말린 연어는 맛이 없어, 생선 기름을 첨가하여 끓여 먹는 경우가 많았다.
[7] 이리(up|우프ain)와 연어알(cipor|치포로ain)도 말려서 보존한 후 sayo|사요ain나 ohaw|오하우ain 육수를 만드는 데 사용했다.[7]

곰 고기와 내장은 신선할 때 생으로 먹었지만, 비수기에 먹기 위해 일부를 보존했다. 사슴(yuk|육ain)과 불곰(kimun kamuy|키문 카무이ain) 고기는 좁게 잘라 큰 냄비에 넣고 끓였다. 즙을 제거한 후, 고기를 실내 불 위에 걸어 말리고 훈제했다. 이 satkam|삿캄ain은 그대로 먹거나, 다시 끓여 수프를 만들었다.[7]

큰우산나물(Cardiocrinum cordatum) 구근(turep|투레프ain)에서 얻은 녹말은 곡물보다 중요했다.



음력 4월은 mo kiwtacup|모 키우타춥ain(곧 turep|투레프ain을 파는 시기), 5월은 si kiwtacup|시 키우타춥ain(turep|투레프ain을 파는 달)이라고 불렀다.[4] 이 시기에 아이누 여성들은 자루(saranip|사라니프ain)와 파는 막대기(itani|이타니ain)를 가지고 산에 들어가 구근을 채집했다. 채집한 구근으로 녹말을 가공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7]

# 구근에서 잎과 뿌리를 제거하고, 비늘을 벗겨 물에 헹군다.

# 비늘을 큰 양동이에 넣고 끈적해질 때까지 간다. 양동이에 물을 붓고 약 이틀 동안 둔다.

# 며칠 후, 섬유와 껍질은 물 위에 뜨고 녹말은 바닥에 가라앉는다. 섬유질 거품은 제거하여 turep|투레프ain에 사용하기 위해 보관한다. 바닥에 모인 녹말은 반액체 상태의 이차 녹말과 가루 형태의 일차 녹말로 나뉜다.

이 두 종류의 녹말은 건조하여 보존했지만, 신선한 음식을 만드는 데에도 사용했다. 일차 녹말은 물과 섞어 일본 억새(kuttar|쿳타르ain) 또는 Parasenecio hastatus(wakkakutu|왓카쿠투ain) 줄기 속을 채워 얇은 국수 모양으로 굽는다. 이차 녹말은 머위(korkoni|코르코니ain) 또는 목련(pusni) 잎으로 감싸 둥근 경단을 만들어 불 속 재에 넣어 굽는다. 그런 다음 연어알이나 동물성 지방과 함께 먹었다.

이차 녹말은 보존을 위해 건조된 후 매일 사용되었다. 경단으로 만들어 sayo|사요ain에 넣었다. 일차 녹말은 거의 먹지 않고 선물용으로 보관하거나 약으로 사용했다.[7]

녹말 제조 과정 중 술이나 연애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은 금기였다. 그런 대화는 녹말을 휘저어 가라앉지 않게 한다고 전해진다.[7]



On turep|온 투레프ain는 "발효된 turep|투레프ain"라는 뜻이다. turep|투레프ain 전분 추출 과정에서 생기는 섬유질과 껍질 부산물을 발효시켜 만든 보존 식품이다. 만드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7]

# 체(icari|이차리ain)를 사용하여 turep|투레프ain 구근을 으깨어 물에 담근 후, 물 위에 뜨는 섬유질과 껍질을 모은다.

# 섬유질에서 물기를 짜낸 다음, 일본 머위(korkoni|코로코니ain) 또는 wakkakutu|왓카쿠투ain 잎으로 감싸 3~10일 동안 발효시킨다. 이 과정을 on|온ain이라고 한다.

# 발효된 것을 절구와 절굿공이로 간다. 빻은 후에는 반죽하여 도넛 모양으로 만들고 건조시킨다.

# 끈을 가운데로 통과시켜 on turep|온 투레프ain을 난로 위 선반에 걸어 보관한다.

on turep|온 투레프ain는 부수어 다시 수분을 공급하여 경단을 만들어 sayo|사요ain에 넣어 먹었다.



Pocche-imo|폿체이모ain는 penekoshoi-imo|페네코쇼이모ain 또는 munini-imo|무니니이모ain라고도 불리는 감자 보존 식품이다. 이 과정은 남아메리카의 추뇨 생산과 유사하게 홋카이도의 추위를 활용한다.

가을에 수확한 감자 중 작거나 모양이 좋지 않은 감자는 밖에 둔다. 겨울 추위가 닥쳐 감자를 얼리고, 봄에 다시 녹게 한다. 이 냉동과 해동 과정을 반복하면 감자 구조가 파괴되어 부드러워진다. 그 상태가 되면 감자를 물에 담가 완전히 녹인다. 물 바닥에 가라앉은 전분을 모아 덩어리로 만들고 따뜻한 곳에 두어 발효시킨다. 이로 인해 고운 질감의 감자 가루가 만들어진다. 이 가루로 케이크를 만들어 불씨 속에서 굽고, 곰 기름 또는 cipor|치포르ain(연어 알)을 넣고 함께 sayo|사요ain에 넣어 먹는다.[11] 현대에는 일본 문화의 영향으로 pocche-imo|폿체이모ain사카린 같은 인공 조미료를 첨가한 다음 튀겨 먹는 것이 더 흔해졌다. 튀긴 음식은 김이나 설탕과 간장의 혼합물과 함께 먹는다.[7]

사케토바, 홋카이도의 유명한 지역 특산물로, 아이누 보존 식품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5. 음료

아이누어로 "술"을 의미하는 단어에는 "사케", "토노토", "아시코로"가 있다. 사케는 일본어에서 차용한 단어이며, 토노토 역시 일본의 유력자를 의미하는 "토노"(殿, 님)에서 유래한 단어로, 일본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126] 아이누의 술은 피(좁쌀)를 누룩으로 빚은 양조주로, 탁주와 매우 흡사하다.

술 제조는 모든 과정이 여성이 담당한다. 주변에서 캇케마(숙녀·안주인)라고 존경받는 여성이 담당하기에 적합하다고 여겨졌다. 반대로 젊은 여성, 특히 메노코타스무(생리. 직역하면 "여자의 병") 기간의 여성은 부정한 존재로 여겨져 참여할 수 없었다.[127]

술의 재료는 피야파(피)나 멘쿠르(수수)가 최상으로 여겨진다. 먼저 큰 솥에 곡물을 넣어 죽처럼 끓인 후 미지근하게 식혀 누룩을 섞는다. 누룩은 일본과의 교역으로 얻거나, 피, 도토리, 큰산나리 구근을 삶은 것에 계피 가루를 뿌려 직접 만들기도 했다. 아이누어로 누룩을 의미하는 "캄타치"는 일본어 고어로 糀를 의미하는 "카무타치"와 동일하다.[128]

술을 담근 신토코(옻칠)에는 악귀를 쫓기 위해 불씨를 담았다. 이는 아페후치(불의 신)의 분신을 모셔 술을 악신으로부터 지키고, 술을 만드는 일의 성공을 기원하는 신앙이다.[127] 또한 악귀를 쫓기 위해 신토코 위에 타시로(칼)나 엠시를 올려놓고, 카무이푸야라(치세의 가장 안쪽의 신성한 창문) 곁에 10일 정도 둔다. 충분히 발효되면 술지게미를 이챠리(소쿠리)로 걸러 시라리(술지게미)를 분리하여 완성한다.[129] 술은 사케피삭(술 국자)으로 저어 에토우누프(주둥이가 있는 그릇)에 담아 이탄키(사발)에 따른다.[130] 신에게 술을 바칠 때는 타카이사라(천목대)에 놓인 이탄키의 술에 이쿠파수이(봉주 주걱)를 담가 이노우에 바른다. 이쿠파수이를 거치면 인간계에서는 한 방울의 술이 천계에는 한 통의 양으로 전달된다고 여겨졌다.[131] 아이누에게 술은 "신과 함께, 모두 함께 맛보는 것"으로 여겨진다. 혼자 술을 마시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었다.[126]

시즈나이정 등 히다카 지방의 아이누에게는 "쓰나미의 신은 술지게미를 싫어한다"는 전승이 있었다. 때문에 집 주변에 술지게미를 뿌려 쓰나미를 막는 주술로 삼았다.[132]

"차"라고는 해도, 차나무과의 상록수인 ""의 잎을 가공한 음료가 아니라, 냉대 기후의 홋카이도에 자생하는 나무 열매, 껍질, 약초를 달인 물(차 외 차)이다.[15]

아이누 민족은 푸ㇱ니(pusni 호오노키)의 가지나 열매, 오마우쿠ㇱ니(omawkusni 목련)의 껍질이나 가지, 스무누하ㇱ(sumnuhas 검양옻나무)의 가지, 키킨니(kikinni 벚나무)의 껍질, 하ㇱ포(haspo 진달래 잎), 엔토(ento 배초향의 잎), 우페우(upew 방풍의 뿌리), 핏토쿠(pittok 개구리자리의 뿌리), 무누시(munusi 궁궁이)를 달여 차처럼 마셨다.[15][133] 또한 해안에 밀려온 치ㇷ゚라스(ciprasu 녹나무)도 마찬가지로 사용되었다.[134] 사할린 지방에서는 누후차(nuxca 두릅나무의 줄기 잎), 오타르후니(otaruxni 해당화의 나무)의 깎아낸 꽃의 솜, 키나카오호니(kinakaoxni 장딸기의 줄기 잎)를 달여 마셨다.[49]

근대 이후에는 본토에서 유입된 일본차가 널리 마셔지게 되었다.

홋카이도에 자생하는 수목 중에는 달콤한 수액을 축적한 것도 있다. 아이누는 이러한 수목의 니왓카(수액. 번역하면 "나무의 물")를 음료나 조미료로 사용했다.

봄철의 카팟탓니(kapattatni 사스래나무의 줄기)에 상처를 내면, 대량의 수액이 흘러나온다. 이 수액을 탓니・왓카(tatni wakka 사스래나무의 물)라고 부르며, 주변에 물가가 없는 곳에서 야영할 때 취사용 물로 사용했지만, 이 사스래나무 수액에 썰어 넣은 시케ㇾ페키나(얼레지)를 넣어 풍미를 더해 음용하기도 했다.[133] 가라후토 아이누는, 방치하여 굳어지기 시작한 사스래나무 수액에 검은 건포도의 즙을 넣어 발효시켜 술을 만들었다.

북미의 설탕 단풍나무와 같은 종에 속하는 토페니(네군도단풍. 아이누어로 "젖의 나무"의 의미)의 줄기에 상처를 내면, 단맛이 나는 수액이 흘러나온다. 겨울철의 토페니의 줄기에 상처를 내어 얻은 "수액 고드름"을 아이스 캔디처럼 즐기는 외에, 졸여서 감미료로 사용한다. 이것으로 콩이나 마름 열매를 삶은 요리는, 상등의 라탓케프로서 선호되었다.[135] 메이지 시대 이후 설탕의 유입으로 수액 이용도 쇠퇴했지만, 태평양 전쟁 시 물자 부족으로 인해 수액 이용이 일시적으로 부활했다고 한다.

담배아이누어로 "탄파쿠"(tampaku)라고 하며, 일본인과의 교역을 통해 칠기, 철제품, 쌀, 면직물과 함께 입수했다. 극소수 아이누인들이 직접 재배한 "토이타 탄파쿠"(toyta tampaku)도 있었다.[133] "토이타"(toyta)는 밭일을 의미하며 "자신이 재배한 담배"라는 뜻이다.

호로베츠 지방에서는 재배하는 담배를 "아에토이타・탄파쿠"(aetoyta tampaku)라고 부르고, 야생화된 담배를 야이툭카・탄파쿠(yaytukka tampaku)라고 불렀다.[49]

담배는 잘게 썰어 키세리(kiseri, 담뱃대)에 채워 사용했다. 굿타르(kuttar, 호장근), 핫하무(hatham, 머루 잎), 우페우(upew, 방풍), 에후르페시키나(ehurpeskina, 고사리)를 섞기도 했다.[49]

또한 담배 대용품으로 오이나마키나(oynamatkina, 노루발), 하스포(haspo, 섬매발톱) 잎, 리야함(riyaham, 노랑만병초), 리야에무스(riyaemus, 참좁쌀 잎), 에후르페시키나(고사리)가 사용되기도 했다.[49]

담뱃대는 교역을 통해 입수하는 것 외에도, 속이 빈 라스파(rasupa, 수국) 가지로 직접 만든 니키세리(nikiseri, 나무 담뱃대)도 있었다.[133]

아이누의 전설에 따르면, 인간이 좋아하는 담배는 신이나 요괴도 또한 좋아하는 것이었다. 그래서 의식 때는 카무이에게 담배를 바쳤다. 또한, 산속에서 김운아이누(kimun aynu, 설인)나 민투치(mintuci, 갓파)와 마주쳤을 때 담배를 건네면 해코지를 당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사냥운과 보물을 내려준다고 한다.[136][137]

6. 식기 및 식사 예절

아이누어로 "식사"는 "ipeain"이다. 전통적으로 하루에 두 끼, 아침 식사(''kunneywa ipeain'')와 저녁 식사(''onuman ipeain'')를 했다. 다이쇼 시대에 점심 식사(''tokes ipeain'')가 추가되었다. 밤 낚시나 늦은 활동을 할 때는 야식(''kunne ipeain'')을 먹기도 했다.[2]

음식은 국자(''kasupain'')를 사용하여 조리 냄비에서 옻칠 그릇(''itankiain'')으로 옮겨 먹었다. 이 그릇들은 일본인과의 교역을 통해 얻었으며, 400ml 정도 담을 수 있었다. 그릇에 담을 수 없을 만큼 큰 고기나 생선 덩어리는 갈대로 엮은 매트 위에 올려놓았다.[2] 꼬챙이에 구운 생선이나 ''sitoain'' 같은 음식은 손으로 먹었지만, 그 외 대부분의 음식은 젓가락(''pasuyain'')이나 숟가락(''parapasuyain'')으로 먹었다. ''Parapasuyain''는 문자 그대로 "넓은 젓가락"을 의미한다. 숟가락과 젓가락 모두 나무로 조각했다.[2]

손님이 왔을 때, 안주인은 "''ipeyanain''"(드세요)이라고 권했다. 손님은 감사를 표하고, 곰고기처럼 귀한 음식일 경우, 먹기 전에 이마에 댔다. 가족끼리 식사할 때는 먹기 전에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식사 후에는 "''hunnaain''"라고 말하며 음식에 감사했다.[2]

일본인처럼, 제공된 음식을 모두 먹는 것이 예의였다. 그릇 안쪽에 남은 소스를 손가락으로 닦아 핥는 것도 예의였다. 이 때문에 아이누어로 검지손가락을 "''itanki kem atsukepain''"이라 불렀는데, "그릇 핥는 손가락"이라는 뜻이다.[2][10]

7. 현대의 아이누 요리

아칸코탄의 아이누 요리점 메뉴의 일례. 왼쪽부터 육오하우(사슴고기 수프), 메훈(연어신장 젓갈), 아마ㇺ(밥)


아이누 민족의 식생활은 에도 시대 후기부터 메이지 시대 초까지의 예이다. 이후 메이지 시대에 본격화된 개척 사업이나 에조사슴 대량 폐사 등의 자연재해로 인해 사냥감을 배불리 얻을 수 없게 되었다. 현재 아이누 민족은 주변의 와인과 거의 차이가 없는 식생활을 하고 있다.[141]

그러나 산간 지역에 사는 아이누 민족에게 봄의 산채 채취는 지금도 대규모 행사이다. 조상과 마찬가지로 명이나물을 대량으로 채집하여 나물 무침, 초된장 무침, 달걀찜, 간장 절임 등 와인의 조리법을 도입하여 맛을 즐기고 있다.

앞서 언급한 오하우(국)는 된장을 넣어 된장국과 동화되었지만, 그래도 식생활 속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라타시케ㇷ゚는 수지나 어유 대신 버터를 사용하고, 감자 샐러드처럼 되어 현재에도 널리 애용되고 있다. 믹서를 사용하여 큰우산나물의 구근을 갈아 으깨어 추출한 전분을 중국 요리나 콘 수프의 농후제로 사용하는 예도 있다고 한다.[141]

아이누 요리의 전통은 형태를 바꾸면서도 지금도 전승되고 있다. 홋카이도 남서부의 시라오이정에 있는 "우포포이(민족 공생 상징 공간)"나 홋카이도 동부의 아칸호 아이누 코탄의 음식점 등에서 맛볼 수 있다.[142][143] 「치세가 있는 개별실 선술집 우미소라의 하루」에는 당시의 식사를 재현한 전통 식사 세트가 있다.[144] 역 도시락 등으로 이벤트 형식으로 기간 한정 판매·제공되기도 한다.[145]

신주쿠구신오쿠보에 있는 아이누 요리 및 홋카이도 창작 요리점인 "하루코로"는 수도권에서 아이누 문화의 거점 역할을 하고 있다.[146][149] "하루코로"의 전신은 "레라 치세(바람의 집)"(1994 - 2009)이며, 이 가게에서 일하던 모자가 2011년에 개점했다.[147][148] "차란케 축제" 등의 행사에도 포장마차를 출점한다.[149][150]

오사카 도톤보리에 있는 '마녀의 부엌 CAULDRON(코르도론)'에는 치타타ㇷ゚ 만들기를 체험할 수 있는 코스가 있다.[151]

참조

[1] 서적 Ipe Taberu http://www.hm.pref.h[...] Hokkaido Ainu Culture Research Center 2014
[2] 서적 Ainu minzokushi Dai-ichi Hōki Shuppan Kabushiki Gaisha
[3] 서적 Nihon no shoku to kokoro: sono rūtsu to yukue Kokugakuin University Institute for Japanese Culture and Classics
[4] 서적 Ainu rekishi to minzoku 社会思想社 1968
[5] 서적 Ainu densetsu shū Miyama Shobō 1981
[6] 서적 Sekai no shokubunka 20: Kyokuhoku Rural Culture Association Japan 1995
[7] 서적 Kikigaki Ainu no shokuji Rural Culture Association Japan 1992
[8] 웹사이트 とる https://web.archive.[...] アイヌ民族博物館 2018-09-12
[9] 서적 Ainu no noukou Keiyūsha 1969
[10] 서적 Ainu no rekishi: umi to takara no nomado Kōdansha 2007
[11] 서적 Ainu saijiki : Nibutani no kurashi to kokoro Heibonsha 2000
[12] 서적 Bunrui Ainugo Jiten Shokubutsuhen Heibonsha
[13] 문서 아이누의 농경문화
[14] 문서 아이누민속지 상권
[15] 문서 아이누민속지 상권
[16] 문서 세계의 식문화20 극북
[17] 문서 세계의 식문화20 극북
[18] 문서 듣기쓰기 아이누의 식사
[19] 문서 듣기쓰기 아이누의 식사
[20] 문서 듣기쓰기 아이누의 식사
[21] 문서 세계의 식문화20 극북
[22] 기타
[23] 문서 아이누 역사와 민속
[24] 문서 아이누 역사와 민속
[25] 기타
[26] 문서 아이누전설집
[27] 문서 증보개정판 히구마
[28] 문서 아이누민속지 상권
[29] 문서 증보개정판 히구마
[30] 문서 아이누민속지 상권
[31] 문서 아이누 역사와 민속
[32] 문서 아이누전설집
[33] 문서 아이누전설집
[34] 문서 아이누민속지 상권
[35] 문서 아이누 역사와 민속
[36] 서적 世界の食文化20 極北
[37] 서적 世界の食文化20 極北
[38] 서적 アイヌ 歴史と民俗
[39] 서적 アイヌ民俗誌 上巻
[40] 서적 世界の食文化20 極北
[41] 서적 アイヌ 歴史と民俗
[42] 뉴스 北海道の釣具屋になぜ金属バット? 「サーモンメタルバット」の使い道にネット民が震える - ねとらぼ https://nlab.itmedia[...]
[43] 서적 世界の食文化20 極北
[44] 서적 聞き書き アイヌの食事
[45] 서적 聞き書き アイヌの食事
[46] 서적 アイヌ民俗誌 上巻
[47] 서적 アイヌ 歴史と民俗
[48] 서적 アイヌ民俗誌 下巻
[49] 서적 分類アイヌ語辞典 1953-01-01
[50] 서적 アイヌ民俗誌 下巻
[51] 간행물 北海道東部のチャシ http://www.frpac.or.[...]
[52] 서적 聞き書き アイヌの食事
[53] 서적 聞き書き アイヌの食事
[54] 서적 アイヌ民俗誌 上巻
[55] 서적 聞き書き アイヌの食事
[56] 서적 アイヌ 歴史と民俗
[57] 서적 聞き書き アイヌの食事
[58] 서적 アイヌ 歴史と民俗
[59] 웹사이트 アイヌワサビ https://www.plantsin[...]
[60] 웹사이트 十勝太若月遺跡 http://www.ob.hkd.ml[...] 2013-02-05
[61] 서적 アイヌの歴史
[62] 서적 アイヌの歴史
[63] 서적 世界の食文化20 極北
[64] 간행물 擦文からアイヌへ http://www.chikyu.ac[...]
[65] 서적 アイヌ民俗誌 上巻
[66] 서적 アイヌの農耕文化
[67] 서적 アイヌの農耕文化
[68] 웹사이트 アイヌ民族博物館 しらおいポロトコタン とる・つくる・運ぶ http://www.ainu-muse[...] アイヌ民族博物館 2016-12-17
[69] 서적 アイヌの農耕文化
[70] 문서 エゾエンゴサク
[71] 문서 アイヌ民俗誌 上巻
[72] 문서 アイヌの歴史
[73] 문서 北邊・開拓・アイヌ
[74] 웹사이트 五所川原須恵器窯跡 http://www.pref.aomo[...]
[75] 웹사이트 湧別町百年史 http://www.phoenix-c[...]
[76] 문서 厚真町史
[77] 문서 近世蝦夷地農作物誌
[78] 문서 アイヌ民俗誌 上巻
[79] 문서 アイヌの歴史
[80] 문서 聞き書き アイヌの食事
[81] 문서 アイヌ民俗誌 上巻
[82] 문서 アイヌの農耕文化
[83] 문서 聞き書き アイヌの食事
[84] 문서 アイヌ語では心臓を「サンペ」と呼ぶ。鮭の心臓はじめ内臓を入れた「サンペの汁物」が、「三平」の語源、三平汁の起源である、との説がある。
[85] 간행물 北海道の食材と食文化 https://doi.org/10.2[...] 日本食生活学会 2006
[86] 웹사이트 神々と共に生るアイヌ文化 生活 https://www.akanainu[...]
[87] 문서 聞き書き アイヌの食事
[88] 문서 聞き書き アイヌの食事
[89] 문서 アイヌ民俗誌 上巻
[90] 웹사이트 ドブロトボルスキー,M.M.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22-05-26
[91] 웹사이트 Аинско-русский словарь(1875)(Добротворс кий М.М.)、p.383、8565単語目 https://rusneb.ru/ca[...] 2022-05-26
[92] 웹사이트 『アイヌ語ロシア語辞典』中のアイヌ語樺太方言テキスト(坂口 諒) 千葉大学大学院人文公共学府研究プロジェクト報告書(358)、p.44 2022-05-26
[93] 서적 アイヌ祖語とインド・ヨーロッパ祖語 共通語根を探る 北海道出版企画センター 2000
[94] 간행물 サハリンの言語世界 : 単語借用から見る https://hdl.handle.n[...] 北海道大学大学院文学研究科 2022-05-30
[95] 서적 北方言語叢考 北海道大学図書刊行会 2004-11-01
[96] 웹사이트 "#411. 再建の罠---同根語か借用語か[reconstruction][loan_word][relationship_noun]" http://user.keio.ac.[...] 慶應英語史フォーラム(khelf) 2022-05-26
[97] 서적 世界のことば・辞書の辞典 アジア編 三省堂 2008-08-01
[98] 웹사이트 Краткий этимологический словарь русско го языка(1971)p.469 https://imwerden.de/[...] 2022-05-26
[99] 웹사이트 Уха - Этимологический словарь русского я зыка https://endic.ru/rus[...] 2022-05-26
[100] 웹사이트 Происхождение слова уха https://lexicography[...] 2022-05-26
[101] 서적 世界の食文化 19 ロシア 農山漁村文化協会 2006-03-10
[102] 서적 鮭・鱒〈2〉(ものと人間の文化史) 法政大学出版局 2006-04-01
[103] 문서 聞き書き アイヌの食事
[104] 문서 聞き書き アイヌの食事
[105] 문서 聞き書き アイヌの食事
[106] 서적 アイヌの農耕文化
[107] 서적 日本の食とこころ
[108] 서적 聞き書き アイヌの食事
[109] 서적 聞き書き アイヌの食事
[110] 서적 聞き書き アイヌの食事
[111] 서적 アイヌの歴史
[112] 서적 アイヌの農耕文化
[113] 서적 聞き書き アイヌの食事
[114] 서적 聞き書き アイヌの食事
[115] 서적 聞き書き アイヌの食事
[116] 서적 聞き書き アイヌの食事
[117] 서적 増補改訂版 ヒグマ
[118] 서적 聞き書き アイヌの食事
[119] 서적 聞き書き アイヌの食事
[120] 서적 聞き書き アイヌの食事
[121] 서적 聞き書き アイヌの食事
[122] 서적 聞き書き アイヌの食事
[123] 서적 聞き書き アイヌの食事
[124] 서적 アイヌ歳時記
[125] 서적 聞き書き アイヌの食事
[126] 서적 アイヌの農耕文化
[127] 서적 聞き書き アイヌの食事
[128] 서적 アイヌの歴史
[129] 서적 聞き書き アイヌの食事
[130] 서적 聞き書き アイヌの食事
[131] 웹사이트 アイヌの儀礼具 http://www.ainu-muse[...]
[132] 서적 アイヌ伝説集
[133] 서적 アイヌ 歴史と民俗
[134] 사전 分類アイヌ語辞典 植物編
[135] 서적 アイヌ民俗誌 上巻
[136] 서적 アイヌ伝説集
[137] 서적 アイヌ伝説集
[138] 도서 蝦夷生計図説 アマヽイヘの図 http://www26211ue.sa[...]
[139] 웹사이트 農耕民アイヌ http://www.city.asah[...] 2015-04-28
[140] 서적 アイヌ民俗誌 上巻
[141] 서적 世界の食文化20 極北
[142] 웹사이트 レストラン・フードコート https://ainu-upopoy.[...] ウポポイ(民族共生象徴空間) 2022-05-26
[143] 웹사이트 民芸品と飲食店 https://www.akanainu[...] 阿寒湖アイヌコタン 2022-05-26
[144] 웹사이트 チセのある個室居酒屋 海空のハル https://umizoranohar[...] 2022-05-26
[145] 뉴스 アイヌ料理の駅弁販売、札幌駅で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8-04-16
[146] 웹사이트 【グルメ】老舗の味を今に伝える都内唯一のアイヌ料理店「ハルコロ」 / 東京・新大久保 https://rocketnews24[...] ロケットニュース 2013-02-25
[147] 웹사이트 朝日新聞2011年10月1日記事より - 新宿「ハルコロ」母の志継ぎ、店きりもり https://ameblo.jp/ai[...] アイヌウタリ連絡会 2011-10-08
[148] 웹사이트 アイヌ集う場所を東京にも…亡き祖母の思い引き継ぐ 新大久保の料理店 https://web.archive.[...] SankeiBiz 2020-08-24
[149] 웹사이트 ヒンナヒンナ…「東京に住むアイヌ」の喜びと悲しみを知っていますか https://gendai.media[...] 講談社 現代ビジネス 2018-02-02
[150] 웹사이트 アイヌ民族と沖縄出身者が中心になって作り上げたチャランケ祭 https://www.tbs.co.j[...] TBSラジオ 人権Today 2013-12-07
[151] 웹사이트 チタタプって言えぇ!!『ゴールデンカムイ』の再現レシピを提供する店オーナーの作品愛が凄かった https://news.livedoo[...] 2021-11-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