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플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덤플링은 다양한 개인과 문화에 따라 정의가 다르며, 끓이거나 찌는 방식으로 조리한 작은 반죽 덩어리를 지칭한다. 반죽에 속을 채운 형태를 포함하며, 끓이기, 찌기, 굽기, 튀기기 등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된다. 덤플링은 한국의 만두, 중국의 자오쯔, 이탈리아의 뇨키 등과 같이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며, 지역별로 다양한 역사와 문화를 가지고 있다.
덤플링의 정확한 기원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고대부터 세계 여러 문화권에서 밀가루나 곡물 반죽으로 속을 감싸 익혀 먹는 유사한 형태의 요리가 존재해 왔다. 각 지역의 식재료와 조리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으며,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는 음식이 되었다.
2. 정의








덤플링(dumpling)에 대한 정확한 정의는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개인과 문화에 따라 다르게 이해된다.[1][2] 이 용어는 17세기 영국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당시에는 삶거나 찌는 방식으로 조리한 작은 반죽 덩어리를 의미했다.[5][2] 시간이 지나면서 반죽이 달콤하거나 짭짤한 속을 감싸는 형태의 속을 채운 만두까지 포함하도록 그 의미가 넓어졌다.[6][5][2][7]
덤플링은 삶기, 끓이기, 찌기 등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될 수 있다. 때로는 굽기나 튀기기 방식으로 만들기도 하지만, 일부 정의에서는 프리터나 다른 페이스트리와 같이 일반적으로 덤플링으로 간주되지 않는 음식들과 구분하기 위해 굽거나 튀기는 조리법을 제외하기도 한다.[1]
예를 들어 엠파나다는 속 재료, 제조법, 종류가 다양하며, 튀기거나 찌거나 구운 후 남은 반죽을 잘라내지 않는다는 점에서 전통적인 덤플링과 차이가 있다.
영어에서 밀가루에 물을 더해 만든 것을 반죽(dough)이라고 하는데, 이를 활용한 요리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반죽을 얇게 펴서 속 재료를 싸서 만드는 덤플링(dumpling)이고, 다른 하나는 반죽을 자르거나, 늘리거나, 찢거나, 구멍 또는 틀에서 밀어내는 방식으로 모양을 만드는 국수(noodle)이다.[66] 'Dump'는 동사로 "엉망으로 섞다" 또는 "털썩 던지다"라는 뜻을 가지며, 형용사 'dumpy'는 "통통한"을 의미한다. 명사 'dumpling'은 "내던지는 것"이라는 의미 외에 "동그란 동물"이나 "통통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나타내기도 한다.[67]
일본의 수제비나 소바가키, 중국의 교자나 쫑쯔, 이탈리아의 뇨키 등도 영어권에서는 덤플링으로 분류된다. 이처럼 유라시아 대륙을 비롯한 세계 각지에서 다양한 형태의 덤플링 요리가 만들어지고 있다.[66]
3. 역사
3. 1. 한국의 덤플링 역사
한국 요리에서 만두는 일반적으로 ''만두''라고 불리며, 교자 (중국 자오즈의 변형)와 호빵 (중국 바오쯔의 변형)과 같은 하위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호빵은 고려 시대에 중국에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30][31] 중국에서는 원래 서민들이 먹던 음식이었으나 점차 인기를 얻어 널리 퍼졌다. 그러나 과거 한국에서는 궁중 요리의 일부였으며, 조선 초기까지 만두는 사치스러운 음식으로 여겨져 양반 계층조차 허가 없이는 먹기 어려웠다. 당시 만두, 국수, 떡은 조상 제사나 불교 의식을 제외하고는 금지되기도 했다.
한국에서 만두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고려사의 효우열전(孝友列傳)에서 찾아볼 수 있다. 고려 명종 재위 기간에 귀화한 거란족이 만두를 만들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그의 아버지가 병에 걸렸을 때, 의사가 '아들의 살을 먹으면 병을 고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아들은 자신의 허벅지 살을 베어 다른 재료와 섞어 만두를 만들어 아버지께 드렸고, 아버지는 병이 나았다고 한다. 1185년, 왕은 이 효행 이야기를 듣고 신하들에게 포상 방법을 논의하게 했으며, 그의 효심을 기리기 위해 홍살문을 세우고 그 이야기를 역사에 기록하도록 명했다.[32]
4. 지역별 덤플링
덤플링(dumpling)에 대한 명확한 정의는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개인과 문화에 따라 그 의미가 다르게 받아들여진다.[1][2] 이 용어는 17세기 영국에서 처음 등장했으며, 당시에는 끓이거나 찌는 방식으로 조리한 작은 반죽 덩어리를 의미했다.[5][2] 이후 시간이 지나면서 반죽으로 달콤하거나 짭짤한 속을 감싼 형태의 '속 채운 덤플링'까지 포함하도록 그 의미가 확장되었다.[6][5][2][7]
덤플링은 끓이기, 삶기, 찌기 등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할 수 있으며, 때로는 굽기나 튀기기도 하지만, 일부 정의에서는 굽거나 튀긴 요리(예: 프리터나 특정 페이스트리)를 덤플링으로 간주하지 않기도 한다.[1] 전 세계적으로 매우 다양한 종류의 덤플링이 존재하며, 각 지역의 문화와 역사, 그리고 구할 수 있는 재료에 따라 독특한 형태와 조리법, 곁들여 먹는 소스 등을 발전시켜 왔다.
다음은 세계 여러 지역의 다양한 덤플링 예시이다.
각 지역별 덤플링의 구체적인 종류와 특징은 아래 상세 문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4. 1. 아시아
아시아 대륙은 매우 넓고 다양한 문화를 가지고 있어, 각 지역마다 독특한 형태와 조리법을 가진 덤플링이 발전해왔다. 동아시아의 만두, 자오쯔, 교자, 중앙아시아의 만티, 네팔과 티베트의 모모 등이 잘 알려져 있으며, 이 외에도 수많은 종류의 덤플링이 각 지역의 식문화를 풍부하게 만들고 있다.
남아시아에서는 인도의 사모사처럼 튀긴 형태의 덤플링이 인기가 있으며, 달콤한 소를 넣은 코루카타 같은 덤플링도 찾아볼 수 있다. 서아시아와 유럽의 경계에 있는 캅카스 지역의 조지아에서는 힝칼리라는 독특한 모양의 덤플링을 즐겨 먹는다. 이처럼 아시아 각지의 덤플링은 사용하는 재료, 만드는 방식, 먹는 문화 등에서 다채로운 모습을 보여준다. 각 지역별 상세한 덤플링 종류는 하위 문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4. 1. 1. 한국
한국 요리에서 만두는 일반적으로 ''만두''라고 불린다. 이는 중국의 자오쯔에서 유래한 교자나 바오쯔에서 변형된 호빵과 같은 하위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만두는 고려 시대에 중국으로부터 전래된 것으로 추정된다.[30][31] 중국에서는 본래 서민들이 즐겨 먹던 음식이었으나 점차 대중적인 인기를 얻어 널리 퍼졌다. 반면, 과거 한국에서는 궁중 요리의 하나로 취급되었으며, 조선 초기에는 사치스러운 음식으로 분류되어 양반 계층조차 함부로 먹기 어려웠다. 당시 만두, 국수, 떡 등은 조상 제사나 불교 의식 외에는 금지되기도 했다.
한국에서 만두에 관한 가장 오래된 기록 중 하나는 고려사의 효우열전(孝友列傳)에서 찾아볼 수 있다. 고려 명종 재위 시절(1170년~1197년)에 귀화한 거란족 인물에 얽힌 이야기이다. 그의 아버지가 병에 걸리자 의원이 '아들의 살을 먹으면 병을 고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에 아들은 자신의 허벅지 살을 베어 다른 재료와 섞어 만두를 빚어 아버지께 드렸고, 아버지는 병이 나았다고 전해진다. 1185년, 명종은 이 효행을 전해 듣고 신하들에게 포상 방법을 논의하게 했으며, 그의 효심을 기리기 위해 홍살문을 세우고 그 이야기를 역사에 기록하도록 명했다.[32]
오늘날 만두는 다양한 재료로 속을 채워 만든다. 주로 다진 돼지고기, 김치, 갈비, 불고기, 여러 채소나 당면 등을 사용하며, 이 외에도 수많은 변형이 존재한다. 조리법 또한 다양하여 찌거나, 튀기거나, 삶아서 먹는다. 또한, 맑은 장국에 넣어 끓인 만둣국은 한국인이 즐겨 먹는 음식 중 하나이다.
만두 외에도 한국에는 수제비처럼 밀가루나 다른 곡물 반죽을 떼어 국물에 넣어 익혀 먹는 덤플링 형태의 음식이 있다.
4. 1. 2. 중국
중국에는 "만두"로 분류될 수 있는 매우 다양한 요리가 있지만, 중국어에는 덤플링을 통칭하는 단어가 없다. 영어에서 만두로 묘사되는 것들(예: ''자오쯔'', ''완탕'', 그리고 많은 찐만두)은 서로 다른 음식으로 여겨진다.
'''자오쯔'''(餃子|자오쯔중국어)는 일반적인 중국식 만두로, 일반적으로 다진 고기와 잘게 썬 채소를 반죽으로 감싸 만든다. 모양은 사람의 귀를 닮았다. 피는 얇고 쫄깃하거나 더 두꺼울 수 있으며, 때로는 만두피가 품질을 결정한다고 말하기도 한다.[14] 인기 있는 고기 소로는 다진 고기(보통 돼지고기, 때로는 소고기 또는 닭고기), 새우, 심지어 생선도 있다. 인기 있는 혼합물로는 돼지고기와 배추, 돼지고기와 부추, 돼지고기와 새우, 돼지고기와 파, 부추와 달걀 프라이가 있다. 소 혼합물은 개인의 취향, 지역 및 계절에 따라 다르다. 지역과 계절에 따라 굴을 포함할 수 있다.[14] 자오쯔는 일반적으로 삶거나, 찌거나, 또는 튀겨서 먹으며, 전통적인 요리로 남아 있다. 중국 북부에서는 만두를 일반적으로 식초와 고추 기름 또는 고추장에 찍어 먹거나, 때로는 약간의 간장을 첨가하여 먹는다.
전설에 따르면 자오쯔는 중국의 유명한 의사인 장중경에 의해 동한 시대(150~219년)에 발명되었다고 한다. 혹독한 겨울 동안 장중경이 고향으로 돌아왔을 때 그는 많은 가난한 사람들이 귀에 동상에 걸린 것을 보았다. 그는 중국 약초와 의학에 대한 지식을 사용하여 몸을 따뜻하게 하는 약초를 양고기와 고추와 반죽에 섞어 반죽을 귀 모양으로 접어 끓는 물에 넣고 가난한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약초를 넣은 만두를 먹고 국물을 마신 후 사람들의 동상은 빠르게 치유되었다고 전해진다.[15] 많은 사람들을 도운 것을 기념하기 위해 자오쯔를 먹는 것이 겨울 동안의 전통이 되었다.[16][17] 기록에 따르면 자오쯔는 중국의 남북조 시대(420~589년) 동안 인기를 얻었으며, 가장 오래된 실제 자오쯔는 아스타나 묘지에서 발견되었고 499년에서 640년 사이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18][19]
고대에는 자오쯔가 흔하지 않고 사치스러운 음식으로 여겨졌지만, 현재는 일년 내내 흔하게 먹는 음식이며, 특히 중요한 축제와 날짜에 먹는다.[20] 특히 중국 북부에서는 따뜻한 겨울을 기원하며 일반적으로 동지에 자오쯔를 먹는다. 대가족 구성원들이 함께 모여 자오쯔를 만들 수 있으며, 가족이나 친구들과의 작별 시에도 먹는다. 중국 설날 전날 밤에는 큰 저녁 식사 후 자정 무렵에 자오쯔를 내놓는 것이 일반적이다.[20] 이는 "자오쯔"라는 용어가 "새로운 시대로 들어선다"는 옛 중국 속담과 비슷하게 들리기 때문이며, 이것이 새해에 적용된다.[21] 어떤 사람들은 행운을 얻거나 달콤한 삶을 살기 위해 만두 안에 동전이나 사탕을 넣기도 한다.[14][22] 중국인들은 또한 음력 설날 이후 5일째 되는 날에도 자오쯔를 먹는다. 중국 전통에 따르면 이 처음 5일 동안 많은 것이 금지되어 있으며,[23] 사람들은 이 기간의 종료를 기념하기 위해 5일째 되는 날에 자오쯔를 먹는다.[24] 여름의 가장 더운 날 중 첫날에는 자오쯔가 수확의 시작을 알리며, 수확한 밀을 자오쯔와 같은 음식으로 만들어 앞으로의 수확 성공을 축하한다.[25]
완탕(광둥어: wonton) 또는 중국 표준어로는 훈둔(餛飩|훈툰중국어)은 이탈리아의 토르텔리니와 비슷한 모양의 또 다른 종류의 만두이다. 보통 고기나 새우로 속을 채워 묽은 국물이나 수프에 넣어 끓여 먹는다. 완탕피는 자오쯔에 사용되는 피보다 더 얇고 덜 탄력적이다.[26] 완탕은 중국 남부(상하이, 광둥, 홍콩 등)에서 더 인기가 있는 반면, 자오쯔는 중국 북부에서 더 인기가 있다.
바오쯔(包子)는 다양한 종류의 중국 이스트를 사용해 발효시킨 속을 채운 찐빵이다. 속 재료에 따라 짭짤하거나 달콤할 수 있다. 유명한 종류로는 차슈바오, 수이젠바오 등이 있다.[27] 전설에 따르면, 속을 채운 바오쯔는 군사 작전의 행운을 위해 중국 신에게 바치기 위해 제갈량에 의해 발명되었다고 한다.[28]
탕바오(湯包)는 수프가 들어있는 중국식 만두로, 가장 유명한 것은 장쑤 요리의 찐 샤오롱바오(小籠包)이다. 샤오롱바오는 발효 또는 무발효 반죽으로 만들어지며, 다진 돼지고기나 육수 아스픽으로 속을 채워 쪄서 젤라틴 충전물이 국물로 녹아들게 한다.[29]

중국식 만두는 밀 대신 찹쌀을 기반으로 할 수도 있다. 쫑쯔(粽子)는 삼각 또는 원뿔 모양이며 지역에 따라 팥소, 대추, 또는 절인 고기로 채울 수 있다. 찹쌀 만두는 전통적으로 단오절에 먹는다. 그러나 중국 본토에서는 쫑쯔(粽子)를 일반적으로 덤플링으로 번역되는 자오쯔(餃子)의 한 종류로 여기지 않는다.
중국 요리에는 달콤한 만두도 포함된다. 탕위안(湯圓)은 찹쌀가루로 만든 작고 달콤한 참깨, 땅콩, 또는 팥소로 속을 채운 만두이다. 탕위안은 속을 채우지 않고 제공될 수도 있다. 이들은 정월 대보름 또는 원소절에 먹는다. 중국 남부에서는 동지에도 각진 모양의 탕위안을 먹는다.[14]
다른 종류의 만두로는 하가우, 펀궈, 샤오마이, 로마이 가이, 수정 만두, 그리고 여러 종류의 딤섬이 있다.
주요 중국 덤플링 종류:4. 1. 3. 일본
경단 団子|단고일본어는 쌀가루로 만든 달콤한 덤플링으로, 모치와 유사하다. 1년 내내 먹지만, 계절에 따라 다른 종류를 전통적으로 먹는다. 3~4개의 경단이 꼬치에 꽂아 제공되는 경우가 많다.
교자 ギョーザ/餃子|교자일본어는 중국의 ''자오즈''를 일본식으로 변형한 것이고, 주카만 中華まん|주카만일본어은 ''바오즈''의 일본식 변형이다.
그 외 일본의 덤플링 종류는 다음과 같다.
4. 1. 4. 몽골
부즈 (Бууз)는 중국의 바오쯔에서 유래된 몽골식 찐만두이다. 일반적으로 반죽, 다진 마늘, 다진 소고기 또는 다진 양고기로 만들어진다. 원래 몽골 음력 설날의 주요 축제 음식 중 하나였으나, 현재는 일년 내내 널리 먹는다.
후슈르 (хуушууp)는 부즈를 튀김으로 만든 것이다. 국가 축제 나담 기간 동안 흔히 먹는다.
반시는 부즈보다 작은 버전으로, 찌거나 튀기거나 밀크티나 수프에 삶아 먹을 수 있다.4. 1. 5. 중앙아시아


만티 (''manti'' 또는 ''mantu'')는 중앙아시아 요리 및 중국 이슬람 요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찐만두이다. 주로 양고기나 쇠고기를 다져 후추로 양념한 소를 밀가루 반죽으로 감싸 만든다. 만티는 여러 층으로 된 찜통(''mantovarka'')에 쪄서 만들며, 보통 버터, 요구르트, 사워크림 또는 양파 소스를 곁들여 먹는다. 이 만두는 아프가니스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파키스탄, 타지키스탄, 우즈베키스탄, 중국의 신장 지역 및 캅카스 등 중앙아시아 전역에서 즐겨 먹는다.
추치바라 (''chuchvara'')는 우즈베키스탄과 타지키스탄 요리에서 찾아볼 수 있는 아주 작은 삶은 만두이다. 누룩을 넣지 않은 반죽을 사각형으로 잘라 고기 소를 채워 만들며, 러시아의 펠메니나 중국의 완탕과 비슷하지만, 이슬람 식단 규율에 따라 돼지고기는 사용하지 않는다. 추치바라는 맑은 수프에 넣어 먹거나, 식초 또는 잘게 썬 채소, 토마토, 고추로 만든 소스와 함께 단독으로 먹기도 한다. 추치바라를 먹는 또 다른 인기 있는 방법은 수즈마 (걸러낸 카티크)나 스메타나(사워크림)를 얹어 먹는 것이다.
4. 1. 6. 네팔/티베트

네팔에서 모모로 알려진 찐만두는 인기 있는 간식이며, 종종 한 끼 식사로도 즐겨 먹는다. 이는 중국의 자오쯔 또는 중앙 아시아의 만티와 유사하다. 모모가 티베트에서 유래하여 네팔로 전파되었는지, 아니면 그 반대인지는 분명하지 않지만, 모모는 14세기 초부터 네팔에 존재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59] 모모는 네팔 식당, 특히 카트만두 계곡의 메뉴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음식 중 하나이다.
모모의 일반적인 소는 고기, 채소, 치즈 등이며, 달콤한 디저트 형태의 모모도 만들어진다. 모모는 튀기거나 찌거나 구워서 제공될 수 있다. 보통 토마토와 고추를 기본으로 하여 다양하게 변형된 아차르 소스와 함께 먹는다. 모모를 넣은 수프도 흔하며, 네팔의 졸 모모와 티베트의 목툭이 대표적인 예이다.[60]
'''요마리'''는 '''야마리'''라고도 불리며, 네팔의 네와르 공동체의 전통 음식이다. 쌀가루[61]로 만든 피 안에 차쿠와 같은 단맛이 나는 소를 채워 넣은 찐만두 형태이다. 이 음식은 네와르 사회에서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며, 요마리 푸니 축제의 핵심적인 부분을 차지한다.[62] 일부에서는 요마리의 삼각형 모양이 사라스바티와 지혜의 상징인 샤드코나의 절반을 나타낸다고 해석하기도 한다.[63]
4. 2. 유럽
프랑스에서는 도피네 지역 특산품인 도피네 라비올리(Raviole du Dauphiné)가 있다. 이는 부드러운 밀가루, 달걀, 물로 만든 파스타 반죽 사이에 콩테 치즈나 에멘탈 치즈, 코티지 치즈, 버터, 파슬리 등을 넣어 만든다. 또한, 론알프 지역의 퀘넬 드 브로셰(Quenelles de brochetfra, '강꼬치고기 만두')는 다진 강꼬치고기와 우유, 밀가루, 버터, 달걀 반죽으로 만든 숟가락 모양의 덤플링으로, 주로 크림 해산물 소스와 함께 제공된다.[36][37]
키프로스 요리에서는 라비올리(ραβιολες|라비올레스ell)라고 불리는 덤플링이 있으며, 키프로스 고유의 할루미 치즈(Χαλούμιell)를 넣어 만든다. 모양은 이탈리아식 라비올리와 비슷하다.
노르웨이 요리의 덤플링은 지역 방언에 따라 ''potetball'', ''klubb'', ''raspeball'', ''komle'' 등 매우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주로 으깬 감자에 보리나 밀 등 다양한 종류의 밀가루를 섞어 만들며, 때로는 소금에 절인 돼지고기로 속을 채우기도 한다. 시럽, 린곤베리 잼, 스웨덴 순무 등과 함께 먹으며, 속이 없는 경우 고기를 곁들인다. 남은 덤플링은 버터에 튀겨 설탕을 뿌려 먹기도 한다. 뫼레오그롬스달 지역에는 감자와 생선(주로 폴락이나 대구)을 같은 비율로 섞어 만드는 ''blandaball''(혼합 볼)이라는 독특한 종류도 있다.
스웨덴 요리의 감자 덤플링은 독일에서 유래했으며[43], 사용된 밀가루 종류에 따라 지역별 이름이 다르다.
''팔트''에는 돼지, 소, 순록의 피를 섞은 ''블로팔트''(blodpaltswe), 다진 간을 넣은 leverpaltswe, 잘게 썬 신장을 넣은 njurpaltswe 등의 변형이 있다.[43] ''블로팔트''는 과거 스웨덴 전역에서 먹었으며, 할란드의 철기 시대 무덤에서도 발견되었다.[45]
속을 채운 ''크롭카카'', ''팔트'', ''캄스''나 속 없는 flatpaltswe, flatkamsswe, klabbeswe는 끓는 소금물에 삶아 떠오르면 건져낸다. 전통적으로 녹인 버터와 링곤베리 잼과 함께 따뜻하게 먹지만, 지역에 따라 하프 크림이나 우유 소스, 메스모르로 양념한 우유 소스를 곁들이기도 한다. 남은 ''크롭카카''는 반으로 잘라 튀겨 먹기도 한다.[43]
수프에 넣는 속 없는 밀가루 덤플링은 밀가루 종류에 따라 ''클림프''(klimpswe, 밀가루) 또는 ''미욀팔트''(mjölpaltswe, 보리/호밀 가루)라고 부른다.[43]
4. 2. 1. 이탈리아

5세기 로마 요리책인 ''아피키우스''에는 구운 꿩 덤플링에 대한 레시피가 있다.[42]
라비올리와 토르텔리니와 같은 속을 채운 파스타는 덤플링의 기본적인 정의에 부합한다. 이들은 다양한 속(치즈, 버섯, 시금치, 해산물 또는 고기)을 감싸는 파스타 주머니이다. 반죽 덩어리로 만드는 대신, 반죽을 얇게 밀어 모양으로 자르고, 다른 재료로 채운 다음, 반죽으로 속을 감싸서 닫는다.
세아다는 페코리노 사르도로 채워진 세몰리나 덤플링의 일종인 풍미있는 디저트이다.
뇨키는 다른 종류의 이탈리아 덤플링이다. "뇨키"라는 단어는 문자 그대로 "덩어리"를 의미하며, 달걀과 감자, 세몰리나, 밀가루 또는 리코타 치즈 (때로는 시금치 포함)의 혼합물로 굴리고 모양을 낸다. 이 덩어리들은 물에 삶아 녹인 버터, 강판 치즈 또는 다른 파스타 소스와 함께 제공된다. 뇨키는 수프에 자주 추가된다.
덤플링 형태의 파스타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4. 2. 2. 독일
독일에는 다음과 같은 종류의 덤플링이 있다.4. 2. 3. 동유럽

독일, 폴란드, 루마니아, 오스트리아, 우크라이나, 체코, 슬로바키아 등 동유럽 및 중부 유럽 지역에서는 달콤하거나 속을 든든하게 채운 다양한 덤플링이 발달했다. 독일 북부에서는 클뢰세(Klöße)라고 불리며, 독일 남부와 오스트리아에서는 크뇌델(Knödel), 노커를(Nockerl) 또는 크뇌플레(Knöpfle), 폴란드에서는 피에로기라고 부른다.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밀가루 덤플링으로, 얇거나 두껍게 반죽하여 달걀과 세몰리나 가루를 넣어 물에 삶아 만든다. 고기 덤플링(독일 북동부에서는 클롭세(Klopse) 또는 클뢰프세(Klöpse), 독일 남부에서는 크뇌플레(Knöpfle)와 노켄(Nocken)이라고 불림)에는 고기나 간이 들어간다. 간 덤플링은 주로 수프에 넣어 먹는다. 튀링어 클뢰세(Thüringer Klöße)는 생감자나 익힌 감자, 또는 둘을 섞어 만들며, 종종 크루통으로 속을 채우기도 한다. 빵 덤플링은 흰 빵으로 만들어 덩어리 모양으로 빚어 냅킨에 싸서 삶는데, 이 때문에 "냅킨 덤플링"(Serviettenknödel|제르비에텐크뇌델de)이라고도 불린다. 감자 덤플링은 '카르토펠클뢰세'(Kartoffelklöße)로 알려져 있으며 바이에른, 튀링겐, 라인란트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지만 독일 전역에서 즐겨 먹는다.[38] 보통 익힌 감자와 생감자를 섞어 소금물에 삶거나 버터에 구워 만든다. 튀링겐식 감자 덤플링인 ''튀링어 클뢰세''는 감자와 빵으로 만들어지며 감자 덤플링의 한 종류이다. ''카르토펠클뢰세''는 주로 구운 고기, 졸인 고기, 자우어브라텐, 자우어크라우트, 굴라쉬, ''룰라덴'' 등과 함께 곁들여 먹는다.
마울타셴은 슈바벤(바덴뷔르템베르크) 지역의 특산 음식으로, 파스타 반죽 안에 다진 고기, 시금치, 빵가루, 양파 등을 넣고 다양한 향신료로 맛을 낸다. 이탈리아의 라비올리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마울타셴은 보통 개당 약 8cm에서 12cm 정도로 크기가 더 크다.
세계 유일의 감자 덤플링 박물관인 튀링어 클로스 박물관(Thüringer Kloßmuseum)은 독일 바이마르 근처 하이헬하임에 있다.
할루쉬키(Halushky)는 체코, 헝가리, 루마니아, 세르비아, 슬로바키아, 우크라이나 등 중앙 및 동유럽 요리에서 찾아볼 수 있는 전통 덤플링이다. 밀가루와 달걀로 만든 두꺼운 반죽을 작은 덩어리로 잘라 끓는 물에 넣어 익히는 방식으로, 독일의 슈페츨레, 크뇌플레, 또는 크뇌델과 유사하다.
헝가리와 루마니아에서는 덤플링 속에 자두나 코티지 치즈를 넣는 경우가 많다. 속 재료에 따라 헝가리어로는 szilvásgombóc|실버시곰보츠hu(자두 덤플링) 또는 túrógombóc|투로곰보츠hu(치즈 덤플링), 루마니아어로는 găluște cu prune|갤루슈테 쿠 프루네ro(자두 덤플링) 또는 colțunași cu brânză|콜추나시 쿠 브란저ro(치즈 덤플링)라고 부른다. 달콤한 덤플링 위에는 설탕을 뿌리거나 설탕에 굴려 더욱 달콤하게 만든다. 헝가리에서 덤플링은 gombóc|곰보츠hu라고 불리며, 오스트리아에서는 자두 덤플링을 Zwetschgenknödel|츠베치겐크뇌델de이라고 한다. 헝가리의 달콤한 곰보츠는 밀가루와 감자 반죽으로 통자두나 살구를 감싸 삶은 뒤, 뜨거운 버터와 빵가루를 묻혀 만든다. 슐리쉬케스(Schlickkrapfen) 또는 krumpli nudli|크룸플리 누들리hu는 자두 덤플링과 같은 감자 반죽으로 만든 작은 삶은 감자 덤플링으로, 뜨거운 버터와 빵가루를 묻혀 먹는다.
브린조베 할루슈키는 슬로바키아의 국민 요리로 꼽히며, 속이 없는 작은 감자 덤플링 위에 소금에 절인 양젖 치즈(브린자)를 얹어 먹는다. 비슷한 요리인 스트라파츠키(Strapačky)를 만들 때도 같은 덤플링을 사용한다. 또한 브린자(bryndzové pirohy|브린조베 피로히sk), 쿼크 치즈, 감자, 양파, 양배추, 버섯 또는 고기로 속을 채운 피에로기 형태의 pirohy|피로히sk도 있다.
체코 요리의 덤플링은 크게 두 가지 형태가 있다.
이드리츠키 즐리크로피는 슬로베니아의 이드리야 지역 덤플링이다. 감자로 속을 채운 반죽으로 만들며, 독특한 모자 모양을 하고 있다. 19세기부터 전해 내려오는 전통 레시피로 만들어지지만, 역사적 자료 부족으로 레시피의 정확한 기원은 알려지지 않았다. 이 요리는 전채 요리나 고기 요리의 반찬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즐리크로피는 슬로베니아 음식 중 최초로 전통 특선 보증(TSG) 지위를 받았다.

폴란드의 피에로기와 우크라이나의 바레니키는 라비올리와 비슷한 반달 모양의 덤플링으로, 짭짤하거나 달콤한 속을 채운다. 바레니키는 보통 삶거나 쪄서 먹고, 피에로기는 삶은 후 기름에 튀기거나 굽기도 한다.
"작은 귀"라는 뜻의 덤플링은 폴란드에서는 우슈카, 러시아에서는 ушки|우시키ru, 우크라이나에서는 вушка|부슈카uk, 벨라루스에서는 вушкі|부슈키be라고 불린다. 이탈리아의 토르텔리니나 유대인의 크레플라흐와 비슷한 고리 모양이다. 속은 주로 고기나 버섯으로 채우며, 전통적으로 보르시나 맑은 수프에 넣어 먹는다. 루마니아에서는 "작은 귀"(urechiușe|우레키우셰ro)를 덤플링 수프(supă de găluște|수퍼 데 갤루슈테ro)에 넣어 먹기도 한다.
리투아니아의 반죽 덤플링은 칼두니와 바레니키라고 불린다. 주로 고기나 커드 치즈로 속을 채운다. 그중 šaltanosiai|샬타노사이lt("차가운 코"라는 뜻)는 블루베리 속을 넣어 만든다. 또한 체펠리나이 또는 didžkukuliai|디즈쿠쿨리아이lt라고 불리는 감자 덤플링도 있는데, 고기나 커드 치즈로 속을 채우고 사워크림과 함께 먹는다. 비슷한 요리가 벨라루스에도 있으며, клёцкі|클료츠키be라고 불린다.
러시아의 펠메니는 바레니키보다 크기가 작으며, 다진 고기에 양파와 향신료를 섞어 속을 만든다. 속 재료로는 쇠고기만 사용하거나, 쇠고기와 돼지고기 또는 양고기를 섞기도 하며, 시베리아에서는 사슴고기를 넣는 경우도 있다. 펠메니는 속이 촉촉한 것이 특징이다. 주로 메인 요리로 먹지만, 때로는 파스타처럼 취급되기도 한다. 보통 향신료와 소금을 넣은 물이나 고기 육수에 삶으며, 때로는 삶은 후 튀기기도 한다. 먹을 때는 사워크림을 듬뿍 곁들인다.
펠메니, 바레니키, 피에로기의 중요한 차이점 중 하나는 반죽 피의 두께이다. 펠메니는 피를 가능한 한 얇게 만들고, 속 재료와 반죽의 비율에서 속이 차지하는 비중이 일반적으로 더 높다.[39] 또한 펠메니는 절대로 달콤한 속을 넣지 않는다는 점에서, 때때로 달콤한 속을 넣는 바레니키나 피에로기와 구별된다. 펠메니의 속은 보통 생고기인 반면, ''바레니키''와 ''피에로기''의 속은 일반적으로 미리 익힌 것을 사용한다.
"펠메니"라는 이름은 우랄어족 언어인 코미어( пельнянь|펠냔kv)와 우드무르트어( пельнянь|펠냔udm)에서 "귀 모양 빵"을 의미하는 단어에서 유래했다.[40][41] 펠메니가 시베리아 원주민의 요리에 언제 들어왔고 러시아 요리에 언제 처음 등장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한 가지 설은 펠메니 또는 속을 채워 삶은 덤플링이 일반적으로 시베리아에서 유래했으며, 중국 만두(일부 방언에서는 包面|bāomiàn중국어이라 불림)의 단순화된 형태일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펠메니는 특히 긴 시베리아 겨울 동안 고기를 보존하는 좋은 방법이었으며, 가축에게 먹이를 줄 필요성을 덜어주었다.
펠메니와 티베트의 모모의 주요 차이점은 크기이다. 일반적인 펠메니는 지름이 약 2cm에서 3cm인 반면, 모모는 종종 그 두 배 이상 크다.
시베리아에서는 특히 부랴트족 사이에서 인기 있는 찐 덤플링으로 позы|포지bxr(몽골어로 부우즈, 중국어 包子|bāozi중국어에서 유래)가 있다. 보통 효모를 넣지 않은 반죽으로 만들지만, 발효시킨 반죽으로 만들기도 한다. 전통적인 속 재료는 고기이지만, 고기의 종류와 조리 방식은 다양하다. 몽골에서는 양고기를 선호하며 다지지 않고 썰어서 사용하지만, 러시아에서는 돼지고기와 쇠고기를 섞은 것이 더 일반적이다.
만티, 사모사, 치부레키, 벨리야시 등도 동유럽 지역에서 즐겨 먹는, 다른 지역에서 유래한 덤플링이다.
유대인 공동체에서는 다음과 같은 덤플링을 먹는다.4. 2. 4. 영국/아일랜드
짭짤한 반죽 덩어리로 만든 덤플링은 전통적인 영국 요리와 아일랜드 요리의 일부이다. 전통적으로 덤플링은 중력분의 2배에 해당하는 쇠기름을 사용하여 만들어지며, 찬물로 반죽하여 덩어리를 만들고 소금과 후추로 간을 한다. 버터를 사용하여 만들 수도 있다. 이 반죽 덩어리를 끓고 있는 스튜나 수프, 또는 캐서롤에 넣어 조리한다. 덤플링은 스튜 등에 부분적으로 잠긴 채로 약 10분간 끓는 물에 반쯤 잠겨 쪄지면서 부풀어 오른다. 이렇게 익힌 덤플링은 속은 부드럽고 겉은 촉촉한 식감을 가진다. 반죽에 허브로 향을 더하거나 치즈를 넣어 만들 수도 있다.
영국에는 다양한 종류의 덤플링이 있다.4. 3. 아메리카
아메리카 대륙에서도 다양한 형태의 덤플링을 찾아볼 수 있다. 미국에서는 달콤한 디저트나 짭짤한 스튜의 일부로 덤플링을 즐겨 먹으며, 캐나다와 카리브 지역에서도 고유한 덤플링 요리가 발달했다. 아래는 아메리카 지역의 덤플링 예시이다.4. 3. 1. 미국
덤플링은 전 세계적으로 훨씬 더 오래 존재해 왔지만,[54] 1800년대 미국의 도시화가 증가하면서 중국과 독일처럼 이미 덤플링 형태를 가지고 있던 지역의 이민이 늘어난 것이 미국에서 덤플링이 대중화된 이유 중 하나로 여겨진다.[55] 19세기의 요리책에서는 통조림 비스킷과 통조림 국물 같은 식품의 공장 생산이 얼마나 중요한지 강조하여 집에서 드롭 덤플링을 요리하는 것이 더 쉬워졌다. 이것은 특히 이전에는 옥수수를 기반으로 한 지역 원주민과 아프리카계 미국인 레시피를 대체하기 시작한 캐롤라이나와 같은 주에서 특히 그러했다. 초기 형태로는 순무 잎과 함께 짭짤한 옥수수 가루 덤플링과 폰(영어로는 '구운'을 의미)이 우드랜드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과일을 기반으로 한 '슬럼프'가 있다.[58] 따라서 미국식 덤플링은 속을 채운 페이스트리 유형(보통 구운 것)이거나 짭짤하거나 달콤한 요리에 추가되는 작은 반죽 조각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보통 삶는다.
'''구운 덤플링'''
구운 달콤한 덤플링은 미국 요리에서 인기 있는 디저트이다. 대표적인 예로 애플 덤플링이 있는데, 통통한 사과 전체를 페이스트리로 감싸서 굽고, 페이스트리가 갈색으로 변하고 속이 부드러워질 때까지 굽는다. 굽는 동안 덤플링은 일반적으로 갈색 설탕, 버터, 계피 또는 기타 향신료를 포함하는 달콤한 소스에 둘러싸여 바를 수도 있다. 구운 짭짤한 덤플링은 피자 롤 형태로 인기 있는 간편 식품이다.
'''삶은 덤플링'''
삶은 덤플링은 밀가루, 지방, 베이킹파우더를 우유나 물과 섞어 반죽을 만들어 만든다. 이 반죽은 얇게 밀어 한 입 크기로 잘라 사용하거나, 단순히 짭짤한 수프나 스튜의 끓는 액체에 숟가락으로 떠 넣거나, 디저트 덤플링의 경우 끓는 설탕에 절인 과일에 넣을 수 있다. 드롭 덤플링은 때때로 "도우보이(doughboys)"라고 불린다. 닭고기 육수에 닭고기와 채소를 넣으면 덤플링의 전분이 육수를 그레이비로 걸쭉하게 만들어 인기 있는 소울 푸드인 치킨 앤 덤플링을 만든다. 다른 일반적인 짭짤한 조합, 특히 미국 중서부와 남부에서는 칠면조, 햄, 버터빈이 있다. 인기 있는 달콤한 조합으로는 딸기, 사과, 블랙베리가 있다. 덤플링은 중서부와 남부의 지역 스튜인 "버고스(burgoos)"에도 등장한다. 더 북쪽에서는 덤플링이 종종 쇠고기, 소금에 절인 쇠고기 및 오리 스튜와 함께 제공되며, 블루베리는 디저트 덤플링에 가장 선호하는 과일이다.
4. 3. 2. 캐나다
캐나다에서는, ''poutine râpée|푸틴 라페프랑스어''는 밀가루 반죽 안에 다진 돼지고기를 채워 넣은 일종의 만두이다. Poutine|푸틴영어은 아카디아인의 전통 요리로, 반찬부터 과자까지 종류가 다양하다.
4. 4. 라틴 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엠파나다는 소, 제조법, 종류가 다양하며, 튀기거나 찌거나 굽고 남은 반죽을 잘라내지 않는다는 점에서 전통적인 덤플링과 다르다.
바베이도스의 덤플링은 다른 카리브해 섬의 덤플링과 달리 약간 달콤하다는 특징이 있다. 덤플링은 밀가루나 옥수수 가루로 만들 수 있으며, 반죽에는 향신료, 계피, 육두구를 넣어 맛을 낸다. 덤플링은 종종 바잔 수프에 넣어 끓인다. 스튜와 같은 요리에서는 뿌리채소, 소금에 절인 고기, 플랜테인과 다른 재료와 함께 덤플링을 찌고, 그레이비와 함께 제공한다. 덤플링은 강력분, 물, 소금으로 이루어진 간단한 반죽으로 만들어지며, 모양을 낸 덤플링은 황금색으로 변할 때까지 팬에 튀기거나 수프에 넣어 끓인다. 튀긴 덤플링은 보통 아침 식사 코다시와 함께 제공된다.
도미니카 공화국의 덤플링은 코코로와 함께 이 땅에 도착했다. 이들은 설탕 산업에 종사하기 위해 영국령 카리브해에서 왔으며 주로 산 페드로 데 마코리스 주변에 정착했다. 덤플링은 밀가루와 물로 만들어 반죽한 후 끓는 수프나 소금물에 넣어 스튜와 함께 먹거나 버터만 발라 먹기도 한다.
아이티에서는 doumbrey|둠브레이ht는 길쭉한 밀가루 덤플링이다. 밀가루와 물로 만들어 반죽하고 굴린 다음, 물에 삶아 수프나 스튜에 넣는다.
자메이카에서는 덤플링이 튀긴 것, 삶은 것, 구운 것 세 가지 형태로 존재한다. 모두 밀가루로 만들며, 때로는 옥수수 가루를 약간 섞기도 한다. 이 음식들은 아키와 소금 생선, 콩팥, 간, 소금 고등어 등 다양한 요리와 함께 제공된다. 삶은 덤플링을 다시 튀겨서 겉은 약간 바삭하고 속은 부드럽게 만든 '다시 튀긴 덤플링'도 있다. 순수한 밀가루 튀김 덤플링은 Johnny Cake|조니 케이크영어라고도 불리며 황금빛 갈색을 띠고 부뉴엘로와 비슷하다. 주로 아침 식사로 먹으며 설탕을 넣거나 넣지 않고 만들 수 있다. 인기 있는 변형 중 하나는 자메이카 페스티벌로, 밀가루, 설탕, 옥수수 가루, 베이킹 파우더로 만든 원통형 튀김 덤플링이다. 이 약간 달콤한 덤플링은 전통적인 자메이카 가정식, 특히 달콤하고 시큼한 에스코비치 생선과 함께 제공되며, 길거리 음식으로도 인기가 있다.
페루의 Papas rellenas|파파스 레예나스es(속을 채운 감자)는 으깬 감자를 손바닥으로 납작하게 만들어 맛있는 속 재료를 채워 넣은 음식이다. 속 재료는 보통 볶은 고기(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양파, 마늘로 구성되며, 커민, 아히 소스, 건포도, 땅콩, 올리브, 슬라이스하거나 다진 삶은 달걀로 간을 한다. 속을 채운 후 공 모양으로 만들어 밀가루를 묻혀 뜨거운 기름에 튀긴다. 보통 슬라이스한 양파, 라임 주스, 올리브 오일, 소금, 후추, 신선한 고추 조각으로 구성된 소스와 함께 제공된다. 같은 요리를 해산물로 만들거나, 유카 퓌레를 전분 재료로 사용하기도 한다.
푸에르토리코에서는 유카, 고구마, 말랑가와 같은 덩이줄기나 옥수수 가루, 빵나무, 호박, 덜 익은 바나나, 또는 플랜테인을 밀가루, 물, 우유 또는 코코넛 밀크, 마늘, 소금, 아나토, 파슬리와 섞어 덤플링을 만든다. 이 덤플링은 푸에르토리코식 비둘기콩 수프인 asopao|아소파오es의 전통적인 부분이다. 반죽을 부드럽고 유연해질 때까지 반죽한 후 덮어두고 숙성시킨다. 만두는 작은 공 모양으로 만들어 끓는 물에 넣거나 수프에 넣기 전에 튀길 수 있다.
Pupusa|푸푸사es는 엘살바도르와 온두라스의 두꺼운 팬케이크 또는 납작빵으로, 베네수엘라와 콜롬비아의 아레파와 유사하게 옥수수 가루나 쌀가루로 만들어진다. 일반적으로 치즈 (케실로 또는 로로코 싹이 있는 치즈 등), 차차론, 호박 또는 콩 으깨기 등 하나 이상의 재료로 속을 채운다. 보통 쿠르티도 (매운 발효 양배추 슬로)와 토마토 살사와 함께 제공되며, 전통적으로 손으로 먹는다.
베네수엘라 엘 카야오 시에서는 domplin|돔플린es을 밀로 만들어 튀기며, 보통 카레 치킨과 치즈를 채워 넣는다.[13] 일반적으로 엘 카야오의 칼립소 축제에서 맛볼 수 있다.
4. 4. 1. 브라질
브라질에는 다양한 종류의 덤플링이 있다. 파스테이스는 얇은 반죽으로 만들며, 속에는 조미된 다진 쇠고기, 닭고기, 새우, 혼합 채소, 치즈, 심지어 단맛을 내는 재료 등 다양하게 채울 수 있다. 주로 튀기거나 굽는다. Empada|엠파다pt는 머핀 모양의 반죽으로 만들며, 주로 닭고기, 치즈 또는 해산물로 속을 채운다. 코시냐는 닭고기로 속을 채운 두꺼운 반죽으로 만드는데, 닭고기 콘 도그와 비슷하다. 볼리냐스(Bolinhas|볼리냐스pt, 말 그대로 '작은 공'이라는 뜻)는 안에 고기(bolinhas de carne|볼리냐스 지 카르니pt) 또는 치즈(bolinhas de queijo|볼리냐스 지 케이조pt)를 넣을 수 있다.
이러한 덤플링에는 올리브, 양파 또는 향신료 등을 추가하여 원래 형태와 다르게 만들기도 한다. 주로 파티 음식으로 제공된다. 리우데자네이루와 같은 브라질 일부 지역에서는 길거리 음식 가판대나 도시 공원에서 덤플링을 맛볼 수 있다.
4. 4. 2. 칠레
칠레에서는 판트루카라는 덤플링이 있다. 이는 신선한 파슬리로 맛을 낸 납작하고 길쭉하며 불규칙한 모양의 만두의 일종으로, 주로 수프에 넣어 먹는다.
감자가 원산지인 칠레 남부의 섬 칠로에에서는 감자를 기반으로 한 여러 전통 덤플링이 있는데, 여기에는 ''차팔레레'', ''밀카오'', ''추초카'', ''추후아녜'', ''바에메'' 등이 포함된다. 이 덤플링들의 반죽은 감자를 기본으로 하며, 밀가루나 라드를 다양한 비율로 넣기도 한다. 조리법도 다양한데, 납작하고 둥글게 만들어 찌꺼기를 채워 튀기거나(''밀카오''), 납작하게 삶거나(''차팔레레'', ''밀카오''), 또는 롤 모양으로 만들어 막대기에 구울 수 있다(''초초카''). 때로는 꿀과 함께 후식으로 제공되기도 한다.
''파파스 레예나스''는 양념된 고기 속을 감자와 밀가루로 만든 반죽으로 감싼 덤플링이다.
4. 5. 아프리카
반쿠와 켄키는 서아프리카에서 만들어지는 음식으로, 찐 전분 덩어리라는 점에서 만두로 정의된다. 둘 다 발효된 옥수수 가루로 만들어진다. 반쿠는 끓여서 계속 반죽해야 하는 반면, 켄키는 부분적으로 끓인 다음 옥수수나 바나나 잎으로 찐다.[8]
티흘로는 구운 보리 가루로 만들어지며, 에티오피아의 티그레이 지역에서 유래되었고 현재는 암하라 지역에서도 매우 인기가 있으며 남쪽으로 더 퍼져나가고 있다.[9]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Souskluitjies, melkkos, 그리고 돔볼로와 같은 만두를 찾아볼 수 있다. Souskluitjies는 달콤한 찐 만두이고, melkkos는 우유로 만들며, 돔볼로는 증기 빵 형태로 다양한 스튜와 함께 먹는다.[10][11][12]
카이마티와 마토보샤는 케냐에서 발견되는 만두로, 주로 아침 식사로 소비되며 파티나 길거리 음식으로도 흔히 제공된다.
4. 5. 1. 서아프리카
(내용 없음)
4. 5. 2. 남아프리카 공화국
Souskluitjies, melkkos, 그리고 돔볼로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발견되는 만두이다. Souskluitjies는 찐 달콤한 만두로, 때로는 밀가루로 만들고 때로는 말린 과일이나 다른 맛을 첨가하기도 한다. 종종 계피나 커스터드 소스를 곁들여 제공된다.[10][11] Melkkos는 우유를 한 찻숟가락씩 마른 밀가루 혼합물에 넣어서 만든다. 밀가루는 우유에 달라붙어 만두를 형성하고, 이를 우유와 버터 혼합물에 끓인다. 뜨겁게 제공되며 계피 설탕을 뿌린다.[12] Dombolo는 ujeqe 또는 증기 빵이라고도 불리며, 찐 반죽으로 만들어지며 종종 닭고기 스튜, 쇠고기 스튜, 꼬리 곰탕, 양고기 스튜 또는 양과 같은 다양한 반찬과 함께 소비된다.
5. 덤플링과 유사한 요리
엠파나다는 속 재료, 제조법, 종류가 다양하며, 튀기거나 찌거나 굽고 남은 반죽을 잘라내지 않는다는 점에서 전통적인 덤플링과는 차이가 있다.
푸푸사는 엘살바도르와 온두라스의 두꺼운 팬케이크 또는 납작빵으로, 베네수엘라와 콜롬비아의 아레파와 유사하게 옥수수 가루나 쌀가루로 만들어진다. 일반적으로 치즈(로로코 싹이 있는 치즈 등), 차차론, 호박 또는 으깬 콩 등 하나 이상의 재료로 속을 채운다. 보통 쿠르티도(매운 발효 양배추 슬로)와 토마토 살사와 함께 제공되며, 전통적으로 손으로 먹는다.
이 외에도 사모사 등 덤플링과 유사한 형태나 조리법을 가진 요리들이 세계 각지에 존재한다.
6. 현대의 덤플링
최근에는 전통적인 덤플링의 형태와 조리법을 변형한 퓨전 덤플링이 인기를 얻고 있다. 예를 들어, 김치만두, 불고기만두, 피자만두 등 다양한 재료와 맛을 조합한 덤플링이 등장하고 있다. 덤플링은 간편식으로도 인기가 높아 냉동만두, 즉석 덤플링 등의 형태로 쉽게 접할 수 있다.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덤플링이 존재하며, 아래는 그 예시이다.
참조
[1]
서적
Dumplings: a global history
Reaktion Books
2015
[2]
웹사이트
"What's a dumpling? Trying to define a world of dough balls"
https://www.chicagot[...]
2017-02-01
[3]
뉴스
Now's the Time for Homemade Dumplings
https://www.nytimes.[...]
2021-02-01
[4]
웹사이트
How a Simple Dish Conquered the World?
https://thebitbotsbr[...]
2024-12-04
[5]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food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6]
서적
On cooking: a textbook of culinary fundamentals
Pearson
2019
[7]
서적
The Professional Chef
John Wiley & Sons
2011
[8]
웹사이트
Banku & Kenkey
http://www.congocook[...]
2009
[9]
웹사이트
CUSTOMS
http://www.tigraionl[...]
[10]
웹사이트
Souskluitjies (Dumplings In Cinnamon Syrup)
http://dessert.food.[...]
Food.com
2005-08-16
[11]
웹사이트
Souskluitjies (South African Dumplings In Custard Sauce)
http://www.food.com/[...]
2006-06-17
[12]
웹사이트
South African Recipes
http://www.godsglory[...]
God's Glory Ministries International
[13]
웹사이트
Gastronomía callaoense sobrevive puertas adentro
http://elestimulo.co[...]
2019-09-03
[14]
Youtube
"《舌尖上的中国》第三季 第七集 生 {{!}} CCTV纪录"
https://www.youtube.[...]
2018-02-26
[15]
서적
Dumplings - a global history.
Reaktion Books
2015-05-15
[16]
웹사이트
Delightful, Delicious Dumplings
https://www.history.[...]
2018-08-23
[17]
웹사이트
Origin of Chinese dumplings[1
https://www.chinadai[...]
[18]
간행물
Archaeobotanical Study of Ancient Food and Cereal Remains at the Astana Cemeteries, Xinjiang, China
2012
[19]
웹사이트
新疆出土现时我国最早的饺子_藏趣逸闻_新浪收藏_新浪网
http://collection.si[...]
[20]
웹사이트
大年三十吃饺子?还是大年初一吃饺子?很多人错了,答案在这里
https://www.163.com/[...]
2021-02-10
[21]
웹사이트
说真的,为什么北方过节喜欢吃饺子?-新华网
http://www.xinhuanet[...]
[22]
서적
A History of Food Culture in China
SCPG Publishing Corporation
2015-01
[23]
웹사이트
Chinese New Year ⭐️ Traditions, Superstitions, Vocab & Experiences
https://ltl-school.c[...]
2022-09-28
[24]
웹사이트
吃饺子迎财神 华侨华人守传统过"破五"-中新网
https://www.chinanew[...]
[25]
웹사이트
入伏吃什么 多吃饺子瓜果类食物
http://www.agri.cn/V[...]
[26]
웹사이트
The Difference Between Wontons and Dumplings
https://www.tastingt[...]
2023-02-08
[27]
웹사이트
All about bao
https://www.escoffie[...]
2016-04-19
[28]
웹사이트
"《说郛》 - 《中国大百科全书》第三版网络版"
https://www.zgbk.com[...]
[29]
웹사이트
Our Guide to Popular Chinese Dumplings
https://restaurantcl[...]
2022-10-23
[30]
문서
'[네이버 지식백과] 만두 [mandu / Dumplings, 饅頭]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31]
문서
'[네이버 지식백과] 만두 [饅頭]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s://terms.naver.[...]
[32]
웹사이트
당당뉴스 모바일 사이트
http://www.dangdangn[...]
[33]
웹사이트
Norfolk Dumplings Recipe
http://www.greenchro[...]
[34]
웹사이트
Cotswold Dumpling Recipe
http://www.greenchro[...]
[35]
웹사이트
Clootie Dumpling Recipe
http://www.scotlands[...]
[36]
웹사이트
"“Rhône-Alpes Region of France - Food & Gastronomy - Quenelle de Brochet.”"
https://www.regions-[...]
[37]
웹사이트
"Quenelle de Brochet: A Culinary Emblem of Lyon."
https://www.travelta[...]
2023-11-05
[38]
웹사이트
Kartoffelklöße {{!}} Traditional Dumplings From Germany {{!}} TasteAtlas
https://www.tasteatl[...]
2022-08-11
[39]
뉴스
Пельменів не буде — будуть равіолі? Нові стандарти на заморожені напівфабрикати відклали до весни
http://vidido.ua/ind[...]
2008-12-19
[40]
웹사이트
Dal Dictionary Online
http://www.slovardal[...]
[41]
웹사이트
пельмень - Этимологический онлайн-словарь русского языка Макса Фасмера
http://vasmer.info/%[...]
[42]
웹사이트
Delightful, Delicious Dumplings
https://www.history.[...]
2018-08-23
[43]
웹사이트
Om kroppkakor, palt & kams
http://www.dietkokbo[...]
Krister Hanner
2015-04-13
[44]
웹사이트
Kroppkakor från Blekinge
http://www.inthekitc[...]
2013-02-19
[45]
웹사이트
Palt/Kams
http://smakasverige.[...]
2015-04-13
[46]
웹사이트
Kroppkakor
http://smakasverige.[...]
2015-04-13
[47]
웹사이트
Klabbe med fläsk och messmörsås
http://www.matklubbe[...]
2015-04-13
[48]
웹사이트
Бораки
http://retsepti.ru/s[...]
2017-09-12
[49]
간행물
Dumplings / Dushbara
http://azer.com/aiwe[...]
2000-Autumn
[50]
서적
The World Cookbook for Students, Volume 1
https://books.google[...]
Greenwood Press
[51]
서적
Georgia: in the Mountains of Poetry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52]
서적
Armenian Food: Fact, Fiction & Folklore
https://books.google[...]
Yerkir Publishing
[53]
간행물
101 Best Comfort Food Classics: Classic Chicken and Dumplings
http://www.southernl[...]
Time Inc. Lifestyle Group
2017-09-12
[54]
웹사이트
"The Ancient Story of Dumplings in China."
https://www.archaeol[...]
2022-01-26
[55]
웹사이트
"Chicken and Dumplings: The Great Equalizer of Southern Cooking."
https://www.tastecoo[...]
2022-07-14
[56]
서적
Housekeeping in Old Virginia
J. P. Morton & Co.
[57]
서적
The Virginia Housewife: Or Methodical Cook
"[[JohnPlaskitt]]"
[58]
웹사이트
"“Native American ‘Slump’: Puffy Dumplings in Simmered Fruit.”"
https://www.bbc.com/[...]
2023-11-16
[59]
웹사이트
The history of MOMO (The king of fast food-Dumpling)
https://neweverestcu[...]
2023-01-16
[60]
웹사이트
An essential guide to thukpas
https://kathmandupos[...]
2023-04-25
[61]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Sugar and Sweet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62]
서적
Sweet Treats around the World: An Encyclopedia of Food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ABC-CLIO
2014
[63]
서적
Kantipur (कान्तिपुर)
[64]
웹사이트
dumplingの意味 - goo辞書 英和和英
https://dictionary.g[...]
2022-06-21
[65]
웹사이트
ダンプリング(dumpling)の意味 - goo国語辞書
https://dictionary.g[...]
2022-06-21
[66]
웹사이트
うどん類の歴史と分類
https://ku-food-lab.[...]
"[[関西大学]]"
2020-11-08
[67]
웹사이트
"「dump」で始まる言葉1ページ目 - goo辞書 英和和英"
https://dictionary.g[...]
2022-06-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