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의 대외 관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목차

1. 개요

대한민국의 대외 관계는 외교사, 제1~5공화국, 노태우 정부의 북방 외교, 국제기구와의 관계, 자유 무역 협정(FTA), 각국별 대외 관계, 인도-태평양 전략 등을 포함한다. 대한민국은 을사늑약으로 외교권을 박탈당한 쓰라린 외교사를 겪었으며, 1948년 정부 수립 이후 새로운 외교사를 시작했다. 이념, 지정학, 외세 개입 등 다양한 제약 속에서도 탈이념화, 외교 내용의 다양화, 외교 상대국의 다변화, 외교 주체의 다원화, 여론 및 사회 단체의 비중 증대, 국제 사회에서의 위상 신장 등의 특징을 보였다. 1980년대 후반 노태우 정부의 북방 외교를 통해 공산권 국가들과의 관계를 개선했으며, 다양한 국제기구에 가입하여 활동하고 있다. 또한, 여러 국가 및 경제 블록과 자유 무역 협정을 체결하여 경제적 교류를 확대하고 있으며, 인도-태평양 전략을 통해 역내 국가들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항공 정보 - 한미 관계
    한미 관계는 1882년 수교 이후 정치, 경제, 안보 등 다방면에서 협력과 경쟁을 거듭하며 발전해왔으나, 불평등 조약, 무력 충돌, 주한미군 문제, 경제적 이권 다툼, 북핵 문제 등으로 갈등과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 항공 정보 - 버진 사모아
    버진 사모아는 버진 오스트레일리아 홀딩스와 사모아 정부의 합작으로 설립되어 피지, 사모아 등 섬들을 연결하는 노선을 운항했으나, 사모아 정부의 투자 철수로 2017년 운항을 중단했다.
  • 대한민국의 대외 관계 - 판문점 선언
    판문점 선언은 2018년 남북정상회담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서명한 합의문으로, 한반도 비핵화, 종전 선언 및 평화협정 추진, 남북 관계 개선, 군사적 긴장 완화 등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한 사항에 합의한 문서이다.
  • 대한민국의 대외 관계 - 6자 회담
    6자 회담은 북한 핵무기 개발 문제 해결을 위해 대한민국, 북한,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6개국이 참여하는 다자 회담으로, 2003년부터 베이징에서 개최되었으나 2009년 북한의 탈퇴 선언 이후 재개되지 못하고 있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3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3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대한민국의 대외 관계

2. 외교사

을사늑약(1905년)으로 한국은 외교권을 박탈당해 1948년까지 일체의 대외관계가 단절되어 버린 쓰라린 외교사를 경험했다. 제2차 세계대전의 종전으로 해방과 독립이 재래했으나 38선 획정에 따른 국토분단을 초래하는 또 하나의 비운이 겹쳐왔다. 그 결과 한반도 남부에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1948년)됨으로써 이후 한국의 대외 관계는 새로운 시대배경 속의 새로운 역사의 장(章)을 펴 나가게 되었다.[353] 한국외교의 환경적인 조건은 결코 유리한 것이 아니었다. 전통적으로 볼 때 한국의 지리·정치·기술 및 이념의 제반 요소는 근대국가체제와의 경쟁 내지 갈등 상황 속에서 적응해 나가기가 매우 불리하였다. 이와 같은 환경적 여건 때문에 한국은 국제환경을 자국에 유리하게끔 개선하거나 혹은 이에 영향을 주었다기보다는 오히려 상대적인 제약성에 의하여 외세(外勢)의 영향을 받는 경우가 더 많았다.[354] 한국의 외교 정책은 이념적 요인, 지정학적 요인, 국가 건설 과정에서 수용할 수밖에 없었던 외세의 개입과 그로부터 파생된 국가의 성격과 행위 범위의 제약 등 국제환경[355] 으로부터 투입되는 여러 가지 제약을 받고 있다.[356] 그러나 국제환경의 변동 과정에서 국가의 안전보장 및 위신, 국민의 경제 복지, 민족 통일 등 국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외교정책결정자들의 노력들을 살펴볼 때 한국의 외교 정책은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보이고 있다.

첫째, 한국의 외교 정책에서 이념의 중요성이 현저히 약화되었다. 즉, 건국 후 6·23선언까지 한국의 외교 정책은 반공 이념에 의해 강력히 지배되어 왔다. 그러나 한국 경제의 고도 성장과 국력 신장으로 인해 남·북한간의 역학 관계가 역전되고, 국제환경의 탈이념화 추세에 힘입어 1970년대부터 경제 실리에 비중을 크게 두면서 외교 정책에서 탈이념화가 뚜렷한 특징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최근의 변화는 국제 사회의 구조적 변화도 중요하게 작용했지만, 한국 국민들의 민주화 운동에 따른 정치 체제 전반의 민주화의 영향도 크다고 볼 수 있다.

둘째, 내용의 다양화를 지적할 수 있다. 즉, 생존에 직접적으로 관계되는 안보 문제 위주에서 국민 복지에 관계되는 경제·통상 문제, 국가의 위신에 관계되는 문화·체육, 산업화의 진전과 국제사회에서의 활동영역 확대에 따른 자원·환경 문제 등으로 건국 초기보다 외교 정책의 내용이 풍부해졌다. 한국은 북방외교 선언을 기점으로 공산권 국가와의 수교 및 1986년 아시안 게임, 1988년 하계 올림픽 개최 등을 통해 보다 적극적이고 다각적인 측면에서의 외교에 나서게 되었다.[359]

셋째, 외교 상대 국가의 다변화를 지적할 수 있다. 미국 일변도에서 일본, 유럽, 중동, 아프리카 동남아, 구·현 공산주의권 국가 등 외교 상대국의 수가 현저히 늘어났다. 그리고 그들과의 외교 관계가 기능적으로 휠씬 더 긴밀해졌다.

넷째, 한국 외교의 주체가 한편으로는 전문화되면서 동시에 비정부 차원의 기관들의 역할이 중요시되는 다원화 현상이 보이고 있다. 즉, 외교 사안들이 복잡해지고, 외교 활동 영역이 확대됨에 따라 전문 직업 외교관의 역할도 중요시되지만, 해당 영역의 민간 외교 활동의 활성화도 뚜렷이 보인다.

다섯째, 외교 정책에서 여론 및 사회 단체의 비중이 증대되고 있다. 즉, 외교 정책의 내용이 국민들의 일상 생활과 이익에 직접 관계되는 사안들로 확대되고, 민주화에 따른 정치 체제의 투입 기능이 신장됨에 따라 특정 외교 사안에 직·간접적으로 관계되는 국민들의 입장이 정책 결정에 반영될 수밖에 없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한국이 유엔에 가입하여 평화 유지군을 파견하고, 안보리 이사국 가입을 내다보는 등, 국제 무대에서의 주체적 역할을 담당함으로써 국제사회에서 그 위상이 현저히 신장되었다. 곧, 대미·대일 외교에 있어서, 한국은 과거보다 주체적 역량이 크게 신장되었다.[356]

대한민국은 1948년 8월 15일 건국과 함께 1905년 제2차 한일 협약 체결 이후 43년 만에 독자적인 외교권을 회복하게 되었다. 한국의 환경적 조건은 외교를 펼치는 데 결코 유리하지 않았다. 전통적으로 볼 때, 한국의 지리·정치·기술 및 이념 제반 요소는 근대 국가 체제와의 경쟁 또는 갈등 속에서 적응하는 데 매우 불리했다. 이러한 환경적 여건으로 인해, 한국은 국제 환경을 자국에 유리하게 개선하거나 타국에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오히려 상대적인 제약성으로 인해 외세의 영향을 받는 경우가 훨씬 많았다.

대한민국 외교는 정부 수립 이후 국제 사회에서 한국 정부의 위상을 굳건히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특히 미국·일본·중화인민공화국·소비에트 연방(러시아)과 같은 주변 4개국과의 관계는 지경학적·역사적인 측면에서 외교에 가장 많은 비중을 두게 되었다. 한국의 독립과 정부 수립, 한국 전쟁. 그리고 그 후에 전개된 세계적인 냉전 구조의 형성 및 와해 과정은 한국과 주변 4개국과의 관계에 그대로 반영되어 왔다. 따라서, 아직도 냉전 구조가 지속되고 있는 한반도에서의 남북 간의 평화 공존, 나아가 장래에 통일을 이루기 위해 주변 4개국과의 협력 관계를 어떻게 발전시켜야 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앞으로도 한국 외교의 최중요 과제로 남을 것이다.

한국 전쟁 이후 과도한 반공주의 이념에 갇혀 있던 한국의 외교 정책은 1972년10월 유신으로 권력 기반을 강화한 박정희대통령1973년 6월 23일 발표한 "평화 통일 외교 선언"(6·23 선언)을 계기로, 동구권을 포함한 모든 국가에 대한 문호 개방이 선언된 것을 기점으로 1986년 아시안 게임 및 1988년 서울 올림픽 개최 등을 통해 더욱 적극적이고 다각적인 측면에서 외교를 전개하게 되었다. 또한, 1991년 9월 17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한)과 동시에 국제 연합에 가입했으며, 1996년 12월 12일에는 OECD에 가입했고, 2010년에는 명목 GDP가 세계 15위가 되었다[288]

== 제1공화국 ==

한미원조 (1,500만불) 조인식에 참석한 유완창 부흥부장관과 주한미국 대사 엘리스 브리그스(1955)


대한민국 제1공화국의 외교 정책은 동·서간의 냉전과 한국전쟁의 영향을 받아 강력한 반공 노선을 따랐다.[357] 이승만 대통령의 집권기(1948∼60년)는 한국 외교정책의 형성기이자 시련기였다.[357] 1948년 대한민국 건국 이후, 각국으로부터 국가 승인을 받는 것이 급선무였다.[357]

이승만 정권의 외교 정책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다.[357]

  • 철저한 반공주의 외교 정책으로, 무력을 사용해서라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을 격퇴하고 통일을 달성하려 했으나 (북진 통일) 미국의 반대로 좌절되었다.
  • 중립국이나 중립 노선을 표방하는 국가에 대한 적대주의 외교 정책을 펼쳤다.
  • 철저한 반일주의를 표방하여 일본과의 교류, 무역 등을 배격하고 한국전쟁 참전도 거부하였다.
  • 미국을 중심으로 한 자유 우방 국가와의 우호 증진 정책을 추진하였다. 미국은 제1공화국의 강력한 동맹국이었지만, 무력 통일론에 제동을 걸어 불신의 대상이기도 했다.
  • 국제 연합의 통한결의안(統韓決議案)에 대한 절대적인 지지 정책을 가졌다.
  • 이승만 라인 설정과 그에 따른 배타적 경제 수역 문제로 일본 및 중화인민공화국과 유혈 충돌을 빚기도 하였다.
  • 아시아 지역의 집단 안보 구축에 앞장섰다.


제1공화국은 대한민국만이 한반도의 유일한 합법 정부임을 과시하기 위하여 할슈타인 원칙을 채택하였다.[357]

== 제2공화국 ==

이승만 정부의 외교정책은 지나치게 탄력성이 부족하여 시시각각 변하는 국제정세에 적응하기 힘들었다. 그러나 당시(1948∼60년)의 상황에서는 이와 같은 정책이 한국의 국가이익에 공헌해 온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다만, 이승만 정부 붕괴 전까지의 국제정세 변동이 붕괴 후의 변동 속도보다 느렸다는 점이 다행이었다. 1950년대 말경 이승만 정부는 외부 변화에 대한 민감도가 지나치게 둔하다는 비판을 받았다.[358] 결국 한국 외교정책의 신축성은 1960년 4·19 혁명 이후에 나타나기 시작했다. 당시 임시 내각의 수반과 외무장관을 겸하고 있었던 허정은 건국 후 처음으로 대일정책과 대중립국정책 재조정에 관한 필요성을 공식적으로 강조하였다. 1960년 8월에 집권한 장면 국무총리도 탄력성 있는 한국 외교정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이승만 정부의 구호였던 북진통일 정책을 배격했다. 따라서 한국의 통일은 유엔 헌장에 입각한 한반도의 총선거를 통한 평화적인 통일정책이 강조되었다.[358]

== 제3공화국 ==

허정 과도정부를 이은 제2공화국 장면 내각의 외교목표는 5·16 군사정변으로 사실상 이행되지 못했다.[359] 군사정부는 경제력 증강과 반공결의 공고화에 의한 국토통일 목표 달성을 강조했다.[359] 1963년 박정희 대통령 취임으로 제3공화국은 다음과 같은 외교정책 목표를 이행하려고 하였다.[359]

첫째, 적극적인 다변외교(多邊外交)를 지향하여 중립노선(中立路線)을 표방하는 국가와의 외교관계 수립을 목표로 하였다.[359] 미국은 쿠데타로 집권한 박정희를 불신하였으나, 대한민국 국군의 베트남 참전 결정은 이러한 미국의 시각을 완화시켜 주었다.[359] 미국이 닉슨 독트린에 따라 주한 미군을 감축하였고 한국은 자주국방을 위하여 대미 일변도를 탈피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359] 한국은 1971년부터 비적대 공산국가와의 통상관계 허용을 선언하고, 할슈타인 원칙을 전면 폐지했다.[359]

둘째, 경제외교(經濟外交)의 강화를 목표로 하여, 한국은 서유럽 국가들과 우호·친선관계를 유지·강화하는 한편, 경제개발 계획의 성취를 위한 경제외교를 적극 추진하여 각국과의 자본협력 및 기술협력 관계를 가일층 강화하고 통상관계를 증진시키는 데 노력하였다.[359] 특히 서독과의 관계가 가장 중심이 되었다.[359] 한국 정부는 아르헨티나의 땅을 사들여 해외농업 투자를 하였으나 성공적이지는 못했다.[359]

셋째, 한국은 미국의 압력과 경제개발의 자금 충당이라는 동기로, 국내 야당과 대학생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사토 에이사쿠 내각총리대신과 한일 기본 조약을 비준하여 일본과의 국교를 정상화하였다.[359]

넷째, 지역안전 방위체제를 염두에 둔 아시아·태평양이사회의 창설을 주도하였으나, 회원국들의 반대로 문화 및 경제협력기구에 머물렀다.[359]

이러한 노력은 한국 외교정책을 현실화시키는 한편 한국외교의 방향전환에 기틀을 제공했던 것이다. 1960년대1970년대의 초반은 세계정치의 격변기였다.[359]

== 제4공화국 ==

1970년대 공산주의 국가들은 '국내주의'에서 벗어나 대외 행동의 변화를 추구했다.[360] 1960년대 후반부터 동유럽 공산권 국가들은 서방과의 교류를 통해 자국의 이익을 추구했다.[360] 이들은 상호 호혜 원칙에 따라 경제, 문화, 인적 교류를 통해 국가 간 관계 개선을 추진했으며, 이는 EU 형성의 기반이 되었다.[360]

한편, 중소 분쟁 속에서 소련중화인민공화국은 대미, 대일 관계 정상화를 추구하며 외교 노선을 변경했고, 아시아, 아프리카, 라틴 아메리카, 서유럽 국가들과의 관계 개선도 추진했다.[360] 이러한 공산권 내부의 변화는 국제 정치 체제의 전환기적 성격을 띠었다.[360]

한국은 급변하는 국제 정세에 대응하기 위해 신축적이고 실질적인 적극 외교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360] 따라서 쌍무적 정치 협력 및 군사 동맹 강화뿐만 아니라, 국제 정치 체제 변화에 민감하게 대응하는 폭넓은 외교를 추구해야 했다.[360]

== 제5공화국 ==

제5공화국은 반공의 기치 아래 한·미·일 삼각동맹을 추진했다.[361][289] 전 정권에 이어 친미 일변도의 정책을 추진하여, 한국에 있어서 미국은 혈맹관계라고 지칭될 만큼 전통적인 우방이었다. 이러한 정책은 학생들의 반미주의 운동을 조장한 측면도 있었다. 5∙18 광주 민주화 운동에 대한 미국의 개입 또는 방조 의혹은 이 시기 학생운동의 한 테마였다. 일본과는 일본의 역사교과서 문제, 재일한국인 지문날인제도, 일본의 대북 접근 등 주로 일본이 야기시킨 각종의 현안 때문에 갈등을 빚었다.[361] 일본과는 이 시기에 역사 교과서 문제나 재일 한국·조선인에 의한 지문 날인 거부 운동 등, 마찰도 발생하게 되었다.[289] 한국은 북한에 대해 민족화합민주통일방안과 남북 정상회담을 제의하였으나, 북한은 아웅산묘역 폭탄테러사건, 대한항공 858편 폭파사건을 일으켰다.[361] 북한은 아웅산 폭탄 테러 사건이나 대한항공 858편 폭파 사건을 일으키는 등, 일관되게 적대적인 태도를 취했다.[289] 서유럽과는 정치적 이슈가 크지 않았고, 경제·통상 부문에 집중하였다.[361] 서유럽과는 정치적 이슈가 작아, 경제·통상 면에서의 교류가 주가 되었다.[289]

== 노태우 정부의 북방 외교 ==

노태우 정부의 5년은 외교적으로 대체로 성공적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북방정책'으로 불리는 외교정책을 통해 한국 외교를 양적인 면에서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렸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북방정책의 성공은 노태우 정부의 노력보다는 국내외 외교 환경의 변화 덕택이 컸다는 평가도 있다.[362] 한국 전쟁 이후 공산권 국가들과 적대적 관계를 형성했던 기존의 외교 정책과는 달리, 노태우 정부 시기에 한국의 대(對)공산권 외교는 새로운 전기를 맞았다. 제5공화국까지 북방외교는 답보상태였고 교역·통상분야도 간접·제3자 형식의 미미한 규모였지만, 제6공화국 출범과 동시에 북방정책은 가속화되었다.

1988년 7월 7일, 노태우 대통령은 〈민족자존과 통일번영을 위한 특별선언〉(7 ·7선언)에서 6개항 원칙을 선언하며 공산권과의 관계개선 의사를 천명하였다. 그는 "한반도의 평화를 정착시킬 여건을 조성하기 위하여 북한이 미국·일본 등 우리 우방과의 관계를 개선하는 데 협조할 용의가 있다. 또한 우리는 소련·중국을 비롯한 공산주의국가들과의 관계개선을 추구한다"고 밝혔다.[363][364] 이러한 "북방외교"(또는 "북방정책", Nordpolitik)는 곧 가시화되었다. 1988년 서울 올림픽에 소련, 헝가리 등 구 공산권 국가들이 참가한 것을 계기로 본격적인 외교관계 수립이 시작되었다. 1988년 8월 헝가리와의 상주대표부 설치협정 체결은 북방정책의 첫 결실로 평가되며, 1988년 10월 부다페스트에 주(駐)헝가리 한국대표부가 개설되었다.[363]

이후 한국은 소련, 중국 등 공산권 국가와 수교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1991년 9월 남북한 유엔 동시가입을 이끌어 냈다. 1990년 소련과 수교하였고, 소련 붕괴직후 러시아와 재수교하였다. 1989년 노태우 정부는 일본 도쿄에서 거행되는 히로히토 일왕 장례식에 강영훈 국무총리를 정부 사절로 파견했다.[365] 1992년 1월 노태우-부시 정상 회담이 있었고, 2월에 남북한은 나진-선봉 지구 개발 공동보조에 합의하였다. 노태우 대통령은 중국을 방문하여 장쩌민 총서기와 양상쿤 국가주석 등을 만나 정상회담을 개최해 중국과의 외교 관계를 수립(8월)하였고, 같은 해 몽골베트남(12월)과도 대사급 외교관계를 수립하였다.

구소련(舊蘇聯)에서 독립한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아제르바이잔, 벨로루시(1991년 독립), 아르메니아, 조지아, 몰도바(1992년 독립)와 수교하였다. 구 유고슬라비아에서 독립한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와도 수교하였다. 남아프리카공화국, 탄자니아 등 1992년에만 모두 18개국과 수교하여 총수교국數가 1백70개국으로 늘어났고 정상회담이 12회, 외무장관회담이 41회에 이르는 등 활발한 외교를 벌였다. 특히 수교국수가 크게 늘어난 것은 구소련(舊蘇聯)에서 독립한 나라들과 잇따라 국교를 수립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주요 공산권 및 제3세계국가들이 대거 포함돼 있다는 사실은 노태우 정부가 추진해온 북방외교가 결실을 맺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366] 이라크(1989년), 몽골, 예멘(각 1990년)와도 수교하였다.

북방외교의 성과는 1970년대 말 중국의 실용주의 노선 채택, 냉전체제의 종식, 소련의 페레스트로이카와 그에 유발된 동유럽 국가들의 정치·경제개혁 및 개방 등의 국제정세의 변화에 한국의 경제성장과 국민적 논의의 대두라는 국내 정세변화가 맞물린 결과이다. 다만, 급변하는 정세변화에 한국이 조금 더 빨리 진지하게 대응하고 그 주체가 정부나 정치권 일부에 그치지 않고 정보개방과 국민적 의사의 결집에 의하였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367]

2. 1. 제1공화국



대한민국 제1공화국의 외교 정책은 동·서간의 냉전과 한국전쟁의 영향을 받아 강력한 반공 노선을 따랐다.[357] 이승만 대통령의 집권기(1948∼60년)는 한국 외교정책의 형성기이자 시련기였다.[357] 1948년 대한민국 건국 이후, 각국으로부터 국가 승인을 받는 것이 급선무였다.[357]

이승만 정권의 외교 정책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다.[357]

  • 철저한 반공주의 외교 정책으로, 무력을 사용해서라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을 격퇴하고 통일을 달성하려 했으나 (북진 통일) 미국의 반대로 좌절되었다.
  • 중립국이나 중립 노선을 표방하는 국가에 대한 적대주의 외교 정책을 펼쳤다.
  • 철저한 반일주의를 표방하여 일본과의 교류, 무역 등을 배격하고 한국전쟁 참전도 거부하였다.
  • 미국을 중심으로 한 자유 우방 국가와의 우호 증진 정책을 추진하였다. 미국은 제1공화국의 강력한 동맹국이었지만, 무력 통일론에 제동을 걸어 불신의 대상이기도 했다.
  • 국제 연합의 통한결의안(統韓決議案)에 대한 절대적인 지지 정책을 가졌다.
  • 이승만 라인 설정과 그에 따른 배타적 경제 수역 문제로 일본 및 중화인민공화국과 유혈 충돌을 빚기도 하였다.
  • 아시아 지역의 집단 안보 구축에 앞장섰다.


제1공화국은 대한민국만이 한반도의 유일한 합법 정부임을 과시하기 위하여 할슈타인 원칙을 채택하였다.[357]

2. 2. 제2공화국

이승만 정부의 외교정책은 지나치게 탄력성이 부족하여 시시각각 변하는 국제정세에 적응하기 힘들었다. 그러나 당시(1948∼60년)의 상황에서는 이와 같은 정책이 한국의 국가이익에 공헌해 온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다만, 이승만 정부 붕괴 전까지의 국제정세 변동이 붕괴 후의 변동 속도보다 느렸다는 점이 다행이었다. 1950년대 말경 이승만 정부는 외부 변화에 대한 민감도가 지나치게 둔하다는 비판을 받았다.[358] 결국 한국 외교정책의 신축성은 1960년 4·19 혁명 이후에 나타나기 시작했다. 당시 임시 내각의 수반과 외무장관을 겸하고 있었던 허정은 건국 후 처음으로 대일정책과 대중립국정책 재조정에 관한 필요성을 공식적으로 강조하였다. 1960년 8월에 집권한 장면 국무총리도 탄력성 있는 한국 외교정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이승만 정부의 구호였던 북진통일 정책을 배격했다. 따라서 한국의 통일은 유엔 헌장에 입각한 한반도의 총선거를 통한 평화적인 통일정책이 강조되었다.[358]

2. 3. 제3공화국

허정 과도정부를 이은 제2공화국 장면 내각의 외교목표는 5·16 군사정변으로 사실상 이행되지 못했다.[359] 군사정부는 경제력 증강과 반공결의 공고화에 의한 국토통일 목표 달성을 강조했다.[359] 1963년 박정희 대통령 취임으로 제3공화국은 다음과 같은 외교정책 목표를 이행하려고 하였다.[359]

첫째, 적극적인 다변외교(多邊外交)를 지향하여 중립노선(中立路線)을 표방하는 국가와의 외교관계 수립을 목표로 하였다.[359] 미국은 쿠데타로 집권한 박정희를 불신하였으나, 대한민국 국군의 베트남 참전 결정은 이러한 미국의 시각을 완화시켜 주었다.[359] 미국이 닉슨 독트린에 따라 주한 미군을 감축하였고 한국은 자주국방을 위하여 대미 일변도를 탈피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359] 한국은 1971년부터 비적대 공산국가와의 통상관계 허용을 선언하고, 할슈타인 원칙을 전면 폐지했다.[359]

둘째, 경제외교(經濟外交)의 강화를 목표로 하여, 한국은 서유럽 국가들과 우호·친선관계를 유지·강화하는 한편, 경제개발 계획의 성취를 위한 경제외교를 적극 추진하여 각국과의 자본협력 및 기술협력 관계를 가일층 강화하고 통상관계를 증진시키는 데 노력하였다.[359] 특히 서독과의 관계가 가장 중심이 되었다.[359] 한국 정부는 아르헨티나의 땅을 사들여 해외농업 투자를 하였으나 성공적이지는 못했다.[359]

셋째, 한국은 미국의 압력과 경제개발의 자금 충당이라는 동기로, 국내 야당과 대학생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사토 에이사쿠 내각총리대신과 한일 기본 조약을 비준하여 일본과의 국교를 정상화하였다.[359]

넷째, 지역안전 방위체제를 염두에 둔 아시아·태평양이사회의 창설을 주도하였으나, 회원국들의 반대로 문화 및 경제협력기구에 머물렀다.[359]

이러한 노력은 한국 외교정책을 현실화시키는 한편 한국외교의 방향전환에 기틀을 제공했던 것이다. 1960년대1970년대의 초반은 세계정치의 격변기였다.[359]

2. 4. 제4공화국

1970년대 공산주의 국가들은 '국내주의'에서 벗어나 대외 행동의 변화를 추구했다.[360] 1960년대 후반부터 동유럽 공산권 국가들은 서방과의 교류를 통해 자국의 이익을 추구했다.[360] 이들은 상호 호혜 원칙에 따라 경제, 문화, 인적 교류를 통해 국가 간 관계 개선을 추진했으며, 이는 EU 형성의 기반이 되었다.[360]

한편, 중소 분쟁 속에서 소련중화인민공화국은 대미, 대일 관계 정상화를 추구하며 외교 노선을 변경했고, 아시아, 아프리카, 라틴 아메리카, 서유럽 국가들과의 관계 개선도 추진했다.[360] 이러한 공산권 내부의 변화는 국제 정치 체제의 전환기적 성격을 띠었다.[360]

한국은 급변하는 국제 정세에 대응하기 위해 신축적이고 실질적인 적극 외교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360] 따라서 쌍무적 정치 협력 및 군사 동맹 강화뿐만 아니라, 국제 정치 체제 변화에 민감하게 대응하는 폭넓은 외교를 추구해야 했다.[360]

2. 5. 제5공화국

제5공화국은 반공의 기치 아래 한·미·일 삼각동맹을 추진했다.[361][289] 전 정권에 이어 친미 일변도의 정책을 추진하여, 한국에 있어서 미국은 혈맹관계라고 지칭될 만큼 전통적인 우방이었다. 이러한 정책은 학생들의 반미주의 운동을 조장한 측면도 있었다. 5∙18 광주 민주화 운동에 대한 미국의 개입 또는 방조 의혹은 이 시기 학생운동의 한 테마였다. 일본과는 일본의 역사교과서 문제, 재일한국인 지문날인제도, 일본의 대북 접근 등 주로 일본이 야기시킨 각종의 현안 때문에 갈등을 빚었다.[361] 일본과는 이 시기에 역사 교과서 문제나 재일 한국·조선인에 의한 지문 날인 거부 운동 등, 마찰도 발생하게 되었다.[289] 한국은 북한에 대해 민족화합민주통일방안과 남북 정상회담을 제의하였으나, 북한은 아웅산묘역 폭탄테러사건, 대한항공 858편 폭파사건을 일으켰다.[361] 북한은 아웅산 폭탄 테러 사건이나 대한항공 858편 폭파 사건을 일으키는 등, 일관되게 적대적인 태도를 취했다.[289] 서유럽과는 정치적 이슈가 크지 않았고, 경제·통상 부문에 집중하였다.[361] 서유럽과는 정치적 이슈가 작아, 경제·통상 면에서의 교류가 주가 되었다.[289]

2. 6. 노태우 정부의 북방 외교

노태우 정부의 5년은 외교적으로 대체로 성공적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북방정책'으로 불리는 외교정책을 통해 한국 외교를 양적인 면에서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렸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북방정책의 성공은 노태우 정부의 노력보다는 국내외 외교 환경의 변화 덕택이 컸다는 평가도 있다.[362] 한국 전쟁 이후 공산권 국가들과 적대적 관계를 형성했던 기존의 외교 정책과는 달리, 노태우 정부 시기에 한국의 대(對)공산권 외교는 새로운 전기를 맞았다. 제5공화국까지 북방외교는 답보상태였고 교역·통상분야도 간접·제3자 형식의 미미한 규모였지만, 제6공화국 출범과 동시에 북방정책은 가속화되었다.

1988년 7월 7일, 노태우 대통령은 〈민족자존과 통일번영을 위한 특별선언〉(7 ·7선언)에서 6개항 원칙을 선언하며 공산권과의 관계개선 의사를 천명하였다. 그는 "한반도의 평화를 정착시킬 여건을 조성하기 위하여 북한이 미국·일본 등 우리 우방과의 관계를 개선하는 데 협조할 용의가 있다. 또한 우리는 소련·중국을 비롯한 공산주의국가들과의 관계개선을 추구한다"고 밝혔다.[363][364] 이러한 "북방외교"(또는 "북방정책", Nordpolitik)는 곧 가시화되었다. 1988년 서울 올림픽에 소련, 헝가리 등 구 공산권 국가들이 참가한 것을 계기로 본격적인 외교관계 수립이 시작되었다. 1988년 8월 헝가리와의 상주대표부 설치협정 체결은 북방정책의 첫 결실로 평가되며, 1988년 10월 부다페스트에 주(駐)헝가리 한국대표부가 개설되었다.[363]

이후 한국은 소련, 중국 등 공산권 국가와 수교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1991년 9월 남북한 유엔 동시가입을 이끌어 냈다. 1990년 소련과 수교하였고, 소련 붕괴직후 러시아와 재수교하였다. 1989년 노태우 정부는 일본 도쿄에서 거행되는 히로히토 일왕 장례식에 강영훈 국무총리를 정부 사절로 파견했다.[365] 1992년 1월 노태우-부시 정상 회담이 있었고, 2월에 남북한은 나진-선봉 지구 개발 공동보조에 합의하였다. 노태우 대통령은 중국을 방문하여 장쩌민 총서기와 양상쿤 국가주석 등을 만나 정상회담을 개최해 중국과의 외교 관계를 수립(8월)하였고, 같은 해 몽골베트남(12월)과도 대사급 외교관계를 수립하였다.

구소련(舊蘇聯)에서 독립한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아제르바이잔, 벨로루시(1991년 독립), 아르메니아, 조지아, 몰도바(1992년 독립)와 수교하였다. 구 유고슬라비아에서 독립한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와도 수교하였다. 남아프리카공화국, 탄자니아 등 1992년에만 모두 18개국과 수교하여 총수교국數가 1백70개국으로 늘어났고 정상회담이 12회, 외무장관회담이 41회에 이르는 등 활발한 외교를 벌였다. 특히 수교국수가 크게 늘어난 것은 구소련(舊蘇聯)에서 독립한 나라들과 잇따라 국교를 수립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주요 공산권 및 제3세계국가들이 대거 포함돼 있다는 사실은 노태우 정부가 추진해온 북방외교가 결실을 맺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366] 이라크(1989년), 몽골, 예멘(각 1990년)와도 수교하였다.

북방외교의 성과는 1970년대 말 중국의 실용주의 노선 채택, 냉전체제의 종식, 소련의 페레스트로이카와 그에 유발된 동유럽 국가들의 정치·경제개혁 및 개방 등의 국제정세의 변화에 한국의 경제성장과 국민적 논의의 대두라는 국내 정세변화가 맞물린 결과이다. 다만, 급변하는 정세변화에 한국이 조금 더 빨리 진지하게 대응하고 그 주체가 정부나 정치권 일부에 그치지 않고 정보개방과 국민적 의사의 결집에 의하였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367]

2. 7. 김영삼 정부

2. 8. 김대중 정부

2. 9. 노무현 정부

2. 10. 이명박 정부

2. 11. 박근혜 정부

2. 12. 문재인 정부

2. 13. 윤석열 정부

3. 국제기구와의 관계

대한민국은 1989년 APEC에 가입하였고, 1991년 9월 17일 남북한이 동시에 유엔에 가입하였다. 1996년 OECD에 가입하였고,[359] 1999년 G20에 가입하였다.

대한민국의 대(對) 국제 연합 정책은 1960년 제15회 국제 연합 총회에서 인도네시아가 제안한 남북한 동시 초청안을 계기로 시련이 이어지게 되었다. 대한민국은 유엔에서 북한의 한국 문제 토의를 오랫동안 봉쇄하는 데 성공했지만, 1960년 이전의 유엔 외교와 비교하면 매우 대조적이다. 제15회 유엔 총회에서 미국 애들레이 스티븐슨 국제 연합 대사가 제안한 '스티븐슨 안'에는 북한의 한국 문제 토의 참여의 전제 조건은 어디까지나 북한이 유엔의 권위와 권능을 수용해야 한다는 점이 명시되어 있었다. 북한은 이러한 제의를 거부함으로써 유엔에서의 한국 문제 토의에 참여할 수 없었다.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누려온 유엔에 의한 단일 합법 정부라는 특권이 형해화되었다. 연례 행사처럼 한반도 문제가 상정되었고, 대한민국에 유리한 결의안을 통과시킨 유엔이 1973년에는 투표권은 주지 않았지만 북한 대표의 참가를 인정하고, '유엔 한국 통일 복구 위원회(UNCURK)' 해체를 합의·채택했으며, 1975년에는 서방의 재한 유엔군 주둔 안과 동방의 유엔군 철수 결의안이 동시에 통과되는 사태까지 초래되었다.

대한민국은 다양한 국제기구에 가입하여 활동하고 있다.

4. 자유 무역 협정(FTA)

400px


대한민국은 여러 국가 및 경제 블록과 자유 무역 협정(FTA)을 맺고 있다.[3]

  • 대한민국-아세안(브루나이,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 자유 무역 협정
  • 대한민국-오스트레일리아 자유 무역 협정
  • 대한민국-캐나다 CKFTA 자유 무역 협정
  • 대한민국-중앙 아메리카(코스타리카, 엘살바도르, 온두라스, 니카라과, 파나마) 자유 무역 협정
  • 대한민국-칠레 자유 무역 협정
  • 대한민국-중국 자유 무역 협정
  • 대한민국-콜롬비아 자유 무역 협정
  • 대한민국-EFTA(아이슬란드, 리히텐슈타인, 노르웨이, 스위스) 자유 무역 협정
  • 대한민국-EU(오스트리아, 벨기에, 불가리아, 크로아티아, 키프로스, 체코, 덴마크, 에스토니아, 핀란드, 프랑스, 독일, 그리스, 헝가리, 아일랜드, 이탈리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룩셈부르크, 몰타, 네덜란드, 폴란드, 포르투갈, 루마니아,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스페인, 스웨덴, 영국) 자유 무역 협정
  • 대한민국-인도 CEPA 자유 무역 협정
  • 대한민국-인도네시아 자유 무역 협정
  • 대한민국-이스라엘 자유 무역 협정
  • 대한민국-뉴질랜드 자유 무역 협정
  • 대한민국-페루 자유 무역 협정
  • 대한민국-RCEP(오스트레일리아, 브루나이, 캄보디아, 중국, 인도네시아, 일본, 대한민국,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뉴질랜드,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
  • 대한민국-싱가포르 자유 무역 협정
  • 대한민국-튀르키예 자유 무역 협정
  • 대한민국-영국 KUKFTA
  • 대한민국-미국 KORUS FTA
  • 대한민국-베트남 자유 무역 협정[4]


2021년 말 기준으로 GCC(바레인, 쿠웨이트, 오만, 카타르, 사우디 아라비아, 아랍 에미리트), 이스라엘, 일본, 말레이시아, 메르코수르, 멕시코, 몽골, RCEP(아시아 10개국, 한국, 중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인도), 러시아(BEPA), SACU 및 대한민국-중국-일본 간의 FTA 협상이 진행 중이다.[6][5]

5. 각국별 대외 관계

2017년 BBC World Service 조사 결과[368]나라 긍정적부정적중립편차2 −4657 −2134 −1818 −1022 −647 −559 −345 −126032011 128 622 1017 118 1248 1240 1416 1815 37



style="background:#f99;" colspan="2"|한국의 영향에 대한 나라별 평가
2014년 BBC World Service 조사 결과[369]
나라긍정적부정적중립편차
17-35
29-29
50-24
37-19
39-19
64-14
27-9
12-4
33-3
100
47 7
36 8
288
468
139
1810
4212
4018
2521
1121
1135
642
2147



인도-태평양


대한민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은 인도-태평양 국가들의 경제 및 안보 분야를 포괄하는 종합적인 전략이다. 대한민국은 이 전략을 발표하면서 "안정적이고 번영하는 인도-태평양을 위한 규칙 기반의 국제 질서를 강화하는 동시에 다양한 국가들이 함께 협력하고 번영할 수 있는 지역 질서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2]

;네팔/아시아}}
네팔-대한민국 관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대한민국과 네팔의 공식적인 교류는 1969년 5월 영사관계 수립에 합의하고 1969년 7월 영사협정을 체결하면서 시작되었다. 1972년 6월 대한민국이 먼저 네팔의 수도 카트만두에 주카트만두 총영사관을 설치하였고, 1974년 5월 15일에 정식으로 외교관계를 수립하여 총영사관이 대사관으로 승격되었다. 네팔에서는 2007년 3월 7일 서울에 주한 네팔 대사관을 설치하였다. 대한민국의 대(對)네팔 수출은 3056만USD, 네팔의 대(對)대한민국 수출은 536만USD(각 2023년 12월)에 달하여, 네팔은 대한민국에 있어서 제144위의 수출국이자 제144위의 수입국이다. 모두 599명(재외국민 599명, 시민권자 0명)의 한민족들이 네팔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히말라야 산맥으로의 트레킹 여행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네팔을 방문하는 한국인 관광객 수가 증가하고 있어, 2006년 11월 13일부터 대한항공이 주 1회 카트만두행 직항편을 운항하고 있으며, 더욱 교류가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네팔과 대한민국은 2007년 7월 23일, 네팔인 노동자의 한국 취업 촉진을 목적으로 한 노동 허가 제도에 서명했고, 네팔인들은 2008년 3월부터 한국어능력시험을 거쳐 합법적으로 한국에서 일할 수 있게 되었다.
동티모르와는 동티모르가 독립한 직후 2002년 5월 20일에 외교관계를 수립하였다. 1999년에 파견된 상록수 부대는 치안유지 및 인도적 구호활동 등 부여된 임무뿐만 아니라 태권도와 새마을운동을 전파하였고, 4년의 기간 동안 총 148회에 걸쳐 대민지원과 구호활동을 전개하여 의류 4만여 점, 학용품 4만 5천여 점, 체육기구 2,300여 점, 생필품 6만여 점을 주민들에게 제공하였다.[370] 2002년 8월에는 수도 딜리에 주동티모르 한국대사관이 설립되었다. 서울에 주한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대한민국의 대(對)동티모르 수출은 285만USD, 동티모르의 대(對)대한민국 수출은 56만USD(각 2023년 12월)에 달하여, 동티모르는 대한민국에 있어서 제200위의 수출국이자 제179위의 수입국이다. 모두 137명(재외국민 135명, 시민권자 2명)의 한민족들이 동티모르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라오스1974년 수교하였으나 1975년 라오스에 공산정권이 수립되면서 단교하였다가 1995년 10월 25일에 정상화되었다. 라오스는 1988년 서울 올림픽 때 선수 및 임원단을 파견하였다. 비엔티안에 대한민국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서울에 주한 라오스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대한민국의 대(對)라오스 수출은 1억119만USD, 라오스의 대(對)대한민국 수출은 9289만USD(각 2023년 12월)에 달하여, 라오스는 대한민국에 있어서 제109위의 수출국이자 제95위의 수입국이다. 모두 3,291명(재외국민 3,290명, 시민권자 1명)의 한민족들이 라오스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레바논은 남북한 동시수교국이지만, 종파에 따라 정치적 입장이 매우 다르다. 우경 성향의 그리스도파는 대한민국에 우호적이며, 좌경 성향의 이슬람파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우호적이어서, 사실상 등거리 외교 노선을 걷고 있다. 1981년 2월 12일 베이루트에 대사관(대 시리아 외교 업무 겸임)이 개설되었으며, 서울에 주한 레바논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대한민국의 대 레바논 수출은 8955만USD, 레바논의 대 대한민국 수출은 3308만USD(각 2023년 12월)로, 레바논은 대한민국의 제112위 수출국이자 제119위 수입국이다. 2022년 12월 기준으로 214명(재외국민 214명, 시민권자 0명)의 한민족이 레바논에 거주하고 있다.
1960년 2월 23일 대한민국과 말레이시아는 수교하였다. 1962년 5월 쿠알라룸푸르에 주말레이시아 대한민국 대사관이, 1964년 4월에는 서울에 주한 말레이시아 대사관이 개설되었다.[371] 대한민국의 대(對)말레이시아 수출은 97억6008만USD, 말레이시아의 대(對)대한민국 수출은 152억3714만USD(각 2023년 12월)에 달하여, 말레이시아는 대한민국에 있어서 제12위의 수출국이자 제10위의 수입국이다. 모두 13,152명(재외국민 13,117명, 시민권자 35명)의 한민족들이 말레이시아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말레이시아의 전 총리 마하티르 빈 모하맛는 "국가 경제의 발전을 위하여 일본과 대한민국으로부터 배우자"는 소위, 향동학습정책(向東學習政策, Look East Policy)을 펼쳤다.[372] 이 정책의 일환으로 말레이시아 정부는 장학생을 대한민국에 있는 대학으로 보내고 있다.
모하메드 나시드 몰디브 대통령과 이명박 대한민국 대통령의 회담 (2010)


몰디브는 대한민국과 1967년 11월 30일 수교하였다. 그 이후로 양국은 문화협정(1984.10), 경제기술협정(1984.10), 항공협정(1990.6)을 체결하였다. 몰디브를 방문하는 한국 관광객은 연간 21,000명(2007년 기준)에 이른다.[373] 주 스리랑카 대한민국 대사관이 겸임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대(對)몰디브 수출은 1030만USD, 몰디브의 대(對)대한민국 수출은 6만7931USD(각 2023년 12월)에 달하여, 몰디브는 대한민국에 있어서 제176위의 수출국이자 제203위의 수입국이다. 모두 43명(재외국민 43명, 시민권자 0명)의 한민족들이 몰디브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이명박과 차히아긴 엘베그도르지, 2009년 9월


몽골은 현재 남북한 동시수교국이다. 양국은 1990년 3월 26일에 수교하였다.[17] 대한민국의 대(對)몽골 수출은 4억7644만USD, 몽골의 대(對)대한민국 수출은 6279만USD(각 2023년 12월)에 달하여, 몽골은 대한민국에 있어서 제69위의 수출국이자 제105위의 수입국이다. 모두 1,786명(재외국민 1,786명, 시민권자 0명)의 한민족들이 몽골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대한민국은 몽골 울란바토르에 대사관을 두고 있으며,[17] 몽골은 서울에 대사관을 두고 있다.[18]

1990년 3월 26일 수교 이후, 울란바토르 시내를 달리는 차의 대부분이 한국산일 정도로 대한민국과 몽골의 관계는 긴밀하다. 약 2,000명의 한국인이 몽골에서 학교, 병원, 기업 등을 운영하고 있다. 특히 한국 기업의 자원 개발 투자가 활발하며, 2011년 8월 22일 양국은 "포괄적 동반자 관계"로 관계를 격상하고 에너지·자원 분야의 협력을 강화하기로 합의했다.

그러나 몽골을 방문하는 한국 남성의 70% 이상이 매춘 관광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313][314] 몽골 정부의 단속에도 불구하고 한국인이 운영하는 매춘 목적의 가라오케 바가 50곳 이상 확인되었으며, 승마 클럽이나 마사지 가게에서의 매춘도 증가하고 있다.[313][314] 이는 몽골인들의 강한 반한 감정을 유발하는 원인 중 하나이다.[313][314]

또한, 몽골 내 한국 폭력 조직의 활동, 한류를 이용한 취업 사기, 아파트 건설 사기 등도 혐한 감정을 부추기고 있다.[315] 이러한 이유로 몽골 여론 조사에서 한국은 싫어하는 나라 2위로 꼽히기도 했다.[315]

아사쇼류는 한국인 기자를 "바보 자식!", "이 엿 같은 외놈!", "김치 놈!"이라고 욕설을 퍼부은 적이 있으며,[316] 2014년 아시안 게임 복싱 경기 판정에 대해 Twitter에서 "김치 놈!!" 등의 격한 발언을 하기도 했다.[317]

몽골 경제는 외국인 노동자들의 송금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며, 몽골인의 최대 외화벌이 국가는 한국이다. 2007년 기준 2만 5000명의 몽골인이 한국에 거주하며, 이는 몽골 노동력 인구의 2%에 해당한다. 그러나 이들 중 상당수는 열악한 조건에서 일하며, 산업재해 보상도 제대로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몽골 신문에 비극적으로 보도되기도 한다.[318]

2005년 말에는 중국계·한국계 슈퍼마켓과 호텔을 습격하는 사건이 발생했는데, 이는 한국과 몽골의 급격한 관계 확대와 심화에 대한 반발로 해석된다.[318] 미국 국무부는 2010년 이후 몽골에서 외국인에 대한 배외주의적 습격 사건이 증가하고 있다며, 아시아계 미국인을 중국인이나 한국인으로 오인하여 공격하는 경우가 많으니 주의해야 한다는 여행 정보를 발표했다.[319][320]

2014년 아시안 게임 공식 블로그의 몽골 표기 오류, 몽골 선수단에 대한 부적절한 대응 등으로 한국에 대한 감정이 악화되자, 미얀마/주몽골 대한민국 대사관}}은 "반한 감정이 높아지고 있다. 몽골인과 아시안 게임에 관한 논의는 피하도록"이라고 주의를 촉구하기도 했다.[321]
대한민국은 1961년 8월 미얀마와 영사관계를 수립하고, 1962년 9월 양곤에 총영사관을 개설하였다. 이후 1975년 5월 16일 양국은 외교관계를 수립하고 총영사관을 대사관으로 승격하였다.[374] 1975년 10월 초대 주 미얀마 대한민국 대사 안진생이 신임장을 제정하였고, 같은 달 일본에 상주하며 주일 미얀마 대사를 겸하는 초대 주한 미얀마 대사 U Thaung Lwin이 신임장을 제정하였다.[374] 1989년 3월에는 서울에 주한 미얀마 대사관이 개설되었으며, 1989년 4월에 초대 주한 미얀마 대사 Aye Kyin이 신임장을 제정하였다.[374]

2023년 12월 기준 대한민국의 대(對)미얀마 수출은 6억 9772만 USD, 미얀마의 대(對)대한민국 수출은 5억 4205만 USD이다. 미얀마는 대한민국에 있어서 제59위의 수출국이자 제63위의 수입국이다. 2022년 12월 기준 1,516명(재외국민 1,516명, 시민권자 0명)의 한민족들이 미얀마에 거주하고 있다.
대한민국은 1971년 바레인을 승인하고 양국 간의 수교 교섭을 벌였다. 1976년 4월 13일, 양국간의 대사급 외교관계수립이 합의되었다.[375] 수도 마나마에 현지공관을 두었으나 이후 철수 및 폐쇄하여 주사우디아라비아 대한민국 대사관이 겸직하고 있다. 한국의 대(對)바레인 수출은 2002년부터 2009년까지 연평균 24.4%의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2009년의 경우 바레인 경기침체 영향으로 한국의 주력 수출품목인 승용차 및 화물차와 합성수지 수출이 크게 감소하였으나 2011년 12월말까지 전 품목이 수출 호조를 보이고 있다.[376] 대한민국의 대(對)바레인 수출은 1억5383만USD, 바레인의 대(對)대한민국 수출은 4억9942만USD(각 2023년 12월)에 달하여, 바레인은 대한민국에 있어서 제99위의 수출국이자 제64위의 수입국이다. 모두 234명(재외국민 222명, 시민권자 12명)의 한민족들이 바레인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방글라데시는 동시수교국이다. 방글라데시가 파키스탄으로부터 독립한 뒤, 1972년 5월 12일 대한민국은 방글라데시를 승인했고, 1973년 7월 20일 양국 간의 무역협정이 체결되었으며, 9월 13일에는 영사관계를 맺었다. 그리고, 1973년 12월 18일 양국은 대사급 정식 외교관계를 수립하였다.[377] 다카에 대한민국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서울에 주한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대한민국의 대(對)방글라데시 수출은 16억2599만USD, 방글라데시의 대(對)대한민국 수출은 6억4887만USD(각 2023년 12월)에 달하여, 방글라데시는 대한민국에 있어서 제38위의 수출국이자 제60위의 수입국이다. 모두 1,904명(재외국민 1,904명, 시민권자 0명)의 한민족들이 방글라데시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13세기 리 왕조대월국의 왕자 이용상고려에 귀화한 것을 시초로 여겨진다.[323] 황문웅도 조선과 베트남을 비교하며 "조선사와 비교하면 베트남사는 실로 대조적이었다. 베트남인은 약 천 년 이상 중화 제국의 침략에 저항했다. 물론 베트남이 중화 제국의 수도에서 거리가 멀었던 점도 있지만, 중화 제국도 종주로서의 체면을 유지할 뿐 그 땅을 군림하지 않았다. 반면 조선 역대 왕조의 '존중화'는 철저했다. 그 속국 열망이 강렬하다는 것은 송에 대한 종속을 보면 잘 알 수 있다. 송은 북방의 요나라와 금에 위협받아 국방을 위해 그 북방 여러 왕조에 막대한

5. 1. 아시아

네팔-대한민국 관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대한민국과 네팔의 공식적인 교류는 1969년 5월 영사관계 수립에 합의하고 1969년 7월 영사협정을 체결하면서 시작되었다. 1972년 6월 대한민국이 먼저 네팔의 수도 카트만두에 주카트만두 총영사관을 설치하였고, 1974년 5월 15일에 정식으로 외교관계를 수립하여 총영사관이 대사관으로 승격되었다. 네팔에서는 2007년 3월 7일 서울에 주한 네팔 대사관을 설치하였다. 대한민국의 대(對)네팔 수출은 3056만USD, 네팔의 대(對)대한민국 수출은 536만USD(각 2023년 12월)에 달하여, 네팔은 대한민국에 있어서 제144위의 수출국이자 제144위의 수입국이다. 모두 599명(재외국민 599명, 시민권자 0명)의 한민족들이 네팔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히말라야 산맥으로의 트레킹 여행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네팔을 방문하는 한국인 관광객 수가 증가하고 있어, 2006년 11월 13일부터 대한항공이 주 1회 카트만두행 직항편을 운항하고 있으며, 더욱 교류가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네팔과 대한민국은 2007년 7월 23일, 네팔인 노동자의 한국 취업 촉진을 목적으로 한 노동 허가 제도에 서명했고, 네팔인들은 2008년 3월부터 한국어능력시험을 거쳐 합법적으로 한국에서 일할 수 있게 되었다.

5. 1. 1. {{국기|네팔}}

대한민국과 네팔의 공식적인 교류는 1969년 5월 영사관계 수립에 합의하고 1969년 7월 영사협정을 체결하면서 시작되었다. 1972년 6월 대한민국이 먼저 네팔의 수도 카트만두에 주카트만두 총영사관을 설치하였고, 1974년 5월 15일에 정식으로 외교관계를 수립하여 총영사관이 대사관으로 승격되었다. 네팔에서는 2007년 3월 7일 서울에 주한 네팔 대사관을 설치하였다. 대한민국의 대(對)네팔 수출은 3056만USD, 네팔의 대(對)대한민국 수출은 536만USD(각 2023년 12월)에 달하여, 네팔은 대한민국에 있어서 제144위의 수출국이자 제144위의 수입국이다. 모두 599명(재외국민 599명, 시민권자 0명)의 한민족들이 네팔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히말라야 산맥으로의 트레킹 여행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네팔을 방문하는 한국인 관광객 수가 증가하고 있어, 2006년 11월 13일부터 대한항공이 주 1회 카트만두행 직항편을 운항하고 있으며, 더욱 교류가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네팔과 대한민국은 2007년 7월 23일, 네팔인 노동자의 한국 취업 촉진을 목적으로 한 노동 허가 제도에 서명했고, 네팔인들은 2008년 3월부터 한국어능력시험을 거쳐 합법적으로 한국에서 일할 수 있게 되었다.

5. 1. 2. {{국기|동티모르}}

동티모르와는 동티모르가 독립한 직후 2002년 5월 20일에 외교관계를 수립하였다. 1999년에 파견된 상록수 부대는 치안유지 및 인도적 구호활동 등 부여된 임무뿐만 아니라 태권도와 새마을운동을 전파하였고, 4년의 기간 동안 총 148회에 걸쳐 대민지원과 구호활동을 전개하여 의류 4만여 점, 학용품 4만 5천여 점, 체육기구 2,300여 점, 생필품 6만여 점을 주민들에게 제공하였다.[370] 2002년 8월에는 수도 딜리에 주동티모르 한국대사관이 설립되었다. 서울에 주한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대한민국의 대(對)동티모르 수출은 285만USD, 동티모르의 대(對)대한민국 수출은 56만USD(각 2023년 12월)에 달하여, 동티모르는 대한민국에 있어서 제200위의 수출국이자 제179위의 수입국이다. 모두 137명(재외국민 135명, 시민권자 2명)의 한민족들이 동티모르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5. 1. 3. {{국기|라오스}}

라오스1974년 수교하였으나 1975년 라오스에 공산정권이 수립되면서 단교하였다가 1995년 10월 25일에 정상화되었다. 라오스는 1988년 서울 올림픽 때 선수 및 임원단을 파견하였다. 비엔티안에 대한민국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서울에 주한 라오스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대한민국의 대(對)라오스 수출은 1억119만USD, 라오스의 대(對)대한민국 수출은 9289만USD(각 2023년 12월)에 달하여, 라오스는 대한민국에 있어서 제109위의 수출국이자 제95위의 수입국이다. 모두 3,291명(재외국민 3,290명, 시민권자 1명)의 한민족들이 라오스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5. 1. 4. {{국기|레바논}}

레바논은 남북한 동시수교국이지만, 종파에 따라 정치적 입장이 매우 다르다. 우경 성향의 그리스도파는 대한민국에 우호적이며, 좌경 성향의 이슬람파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우호적이어서, 사실상 등거리 외교 노선을 걷고 있다. 1981년 2월 12일 베이루트에 대사관(대 시리아 외교 업무 겸임)이 개설되었으며, 서울에 주한 레바논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대한민국의 대 레바논 수출은 8955만USD, 레바논의 대 대한민국 수출은 3308만USD(각 2023년 12월)로, 레바논은 대한민국의 제112위 수출국이자 제119위 수입국이다. 2022년 12월 기준으로 214명(재외국민 214명, 시민권자 0명)의 한민족이 레바논에 거주하고 있다.

5. 1. 5. {{국기|말레이시아}}

1960년 2월 23일 대한민국과 말레이시아는 수교하였다. 1962년 5월 쿠알라룸푸르에 주말레이시아 대한민국 대사관이, 1964년 4월에는 서울에 주한 말레이시아 대사관이 개설되었다.[371] 대한민국의 대(對)말레이시아 수출은 97억6008만USD, 말레이시아의 대(對)대한민국 수출은 152억3714만USD(각 2023년 12월)에 달하여, 말레이시아는 대한민국에 있어서 제12위의 수출국이자 제10위의 수입국이다. 모두 13,152명(재외국민 13,117명, 시민권자 35명)의 한민족들이 말레이시아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말레이시아의 전 총리 마하티르 빈 모하맛는 "국가 경제의 발전을 위하여 일본과 대한민국으로부터 배우자"는 소위, 향동학습정책(向東學習政策, Look East Policy)을 펼쳤다.[372] 이 정책의 일환으로 말레이시아 정부는 장학생을 대한민국에 있는 대학으로 보내고 있다.

5. 1. 6. {{국기|몰디브}}



몰디브는 대한민국과 1967년 11월 30일 수교하였다. 그 이후로 양국은 문화협정(1984.10), 경제기술협정(1984.10), 항공협정(1990.6)을 체결하였다. 몰디브를 방문하는 한국 관광객은 연간 21,000명(2007년 기준)에 이른다.[373] 주 스리랑카 대한민국 대사관이 겸임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대(對)몰디브 수출은 1030만USD, 몰디브의 대(對)대한민국 수출은 6만7931USD(각 2023년 12월)에 달하여, 몰디브는 대한민국에 있어서 제176위의 수출국이자 제203위의 수입국이다. 모두 43명(재외국민 43명, 시민권자 0명)의 한민족들이 몰디브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5. 1. 7. {{국기|몽골}}

몽골은 현재 남북한 동시수교국이다. 양국은 1990년 3월 26일에 수교하였다.[17] 대한민국의 대(對)몽골 수출은 4억7644만USD, 몽골의 대(對)대한민국 수출은 6279만USD(각 2023년 12월)에 달하여, 몽골은 대한민국에 있어서 제69위의 수출국이자 제105위의 수입국이다. 모두 1,786명(재외국민 1,786명, 시민권자 0명)의 한민족들이 몽골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대한민국은 몽골 울란바토르에 대사관을 두고 있으며,[17] 몽골은 서울에 대사관을 두고 있다.[18]

1990년 3월 26일 수교 이후, 울란바토르 시내를 달리는 차의 대부분이 한국산일 정도로 대한민국과 몽골의 관계는 긴밀하다. 약 2,000명의 한국인이 몽골에서 학교, 병원, 기업 등을 운영하고 있다. 특히 한국 기업의 자원 개발 투자가 활발하며, 2011년 8월 22일 양국은 "포괄적 동반자 관계"로 관계를 격상하고 에너지·자원 분야의 협력을 강화하기로 합의했다.

그러나 몽골을 방문하는 한국 남성의 70% 이상이 매춘 관광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313][314] 몽골 정부의 단속에도 불구하고 한국인이 운영하는 매춘 목적의 가라오케 바가 50곳 이상 확인되었으며, 승마 클럽이나 마사지 가게에서의 매춘도 증가하고 있다.[313][314] 이는 몽골인들의 강한 반한 감정을 유발하는 원인 중 하나이다.[313][314]

또한, 몽골 내 한국 폭력 조직의 활동, 한류를 이용한 취업 사기, 아파트 건설 사기 등도 혐한 감정을 부추기고 있다.[315] 이러한 이유로 몽골 여론 조사에서 한국은 싫어하는 나라 2위로 꼽히기도 했다.[315]

아사쇼류는 한국인 기자를 "바보 자식!", "이 엿 같은 외놈!", "김치 놈!"이라고 욕설을 퍼부은 적이 있으며,[316] 2014년 아시안 게임 복싱 경기 판정에 대해 Twitter에서 "김치 놈!!" 등의 격한 발언을 하기도 했다.[317]

몽골 경제는 외국인 노동자들의 송금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며, 몽골인의 최대 외화벌이 국가는 한국이다. 2007년 기준 2만 5000명의 몽골인이 한국에 거주하며, 이는 몽골 노동력 인구의 2%에 해당한다. 그러나 이들 중 상당수는 열악한 조건에서 일하며, 산업재해 보상도 제대로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몽골 신문에 비극적으로 보도되기도 한다.[318]

2005년 말에는 중국계·한국계 슈퍼마켓과 호텔을 습격하는 사건이 발생했는데, 이는 한국과 몽골의 급격한 관계 확대와 심화에 대한 반발로 해석된다.[318] 미국 국무부는 2010년 이후 몽골에서 외국인에 대한 배외주의적 습격 사건이 증가하고 있다며, 아시아계 미국인을 중국인이나 한국인으로 오인하여 공격하는 경우가 많으니 주의해야 한다는 여행 정보를 발표했다.[319][320]

2014년 아시안 게임 공식 블로그의 몽골 표기 오류, 몽골 선수단에 대한 부적절한 대응 등으로 한국에 대한 감정이 악화되자, 주몽골 대한민국 대사관한국어은 "반한 감정이 높아지고 있다. 몽골인과 아시안 게임에 관한 논의는 피하도록"이라고 주의를 촉구하기도 했다.[321]

5. 1. 8. {{국기|미얀마}}

wikitext

대한민국은 1961년 8월 미얀마와 영사관계를 수립하고, 1962년 9월 양곤에 총영사관을 개설하였다. 이후 1975년 5월 16일 양국은 외교관계를 수립하고 총영사관을 대사관으로 승격하였다.[374] 1975년 10월 초대 주 미얀마 대한민국 대사 안진생이 신임장을 제정하였고, 같은 달 일본에 상주하며 주일 미얀마 대사를 겸하는 초대 주한 미얀마 대사 U Thaung Lwin이 신임장을 제정하였다.[374] 1989년 3월에는 서울에 주한 미얀마 대사관이 개설되었으며, 1989년 4월에 초대 주한 미얀마 대사 Aye Kyin이 신임장을 제정하였다.[374]

2023년 12월 기준 대한민국의 대(對)미얀마 수출은 6억 9772만 USD, 미얀마의 대(對)대한민국 수출은 5억 4205만 USD이다. 미얀마는 대한민국에 있어서 제59위의 수출국이자 제63위의 수입국이다. 2022년 12월 기준 1,516명(재외국민 1,516명, 시민권자 0명)의 한민족들이 미얀마에 거주하고 있다.

5. 1. 9. {{국기|바레인}}

대한민국은 1971년 바레인을 승인하고 양국 간의 수교 교섭을 벌였다. 1976년 4월 13일, 양국간의 대사급 외교관계수립이 합의되었다.[375] 수도 마나마에 현지공관을 두었으나 이후 철수 및 폐쇄하여 주사우디아라비아 대한민국 대사관이 겸직하고 있다. 한국의 대(對)바레인 수출은 2002년부터 2009년까지 연평균 24.4%의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2009년의 경우 바레인 경기침체 영향으로 한국의 주력 수출품목인 승용차 및 화물차와 합성수지 수출이 크게 감소하였으나 2011년 12월말까지 전 품목이 수출 호조를 보이고 있다.[376] 대한민국의 대(對)바레인 수출은 1억5383만USD, 바레인의 대(對)대한민국 수출은 4억9942만USD(각 2023년 12월)에 달하여, 바레인은 대한민국에 있어서 제99위의 수출국이자 제64위의 수입국이다. 모두 234명(재외국민 222명, 시민권자 12명)의 한민족들이 바레인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5. 1. 10. {{국기|방글라데시}}

방글라데시는 동시수교국이다. 방글라데시가 파키스탄으로부터 독립한 뒤, 1972년 5월 12일 대한민국은 방글라데시를 승인했고, 1973년 7월 20일 양국 간의 무역협정이 체결되었으며, 9월 13일에는 영사관계를 맺었다. 그리고, 1973년 12월 18일 양국은 대사급 정식 외교관계를 수립하였다.[377] 다카에 대한민국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서울에 주한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대한민국의 대(對)방글라데시 수출은 16억2599만USD, 방글라데시의 대(對)대한민국 수출은 6억4887만USD(각 2023년 12월)에 달하여, 방글라데시는 대한민국에 있어서 제38위의 수출국이자 제60위의 수입국이다. 모두 1,904명(재외국민 1,904명, 시민권자 0명)의 한민족들이 방글라데시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5. 1. 11. {{국기|베트남}}

13세기 리 왕조대월국의 왕자 이용상고려에 귀화한 것을 시초로 여겨진다.[323] 황문웅도 조선과 베트남을 비교하며 "조선사와 비교하면 베트남사는 실로 대조적이었다. 베트남인은 약 천 년 이상 중화 제국의 침략에 저항했다. 물론 베트남이 중화 제국의 수도에서 거리가 멀었던 점도 있지만, 중화 제국도 종주로서의 체면을 유지할 뿐 그 땅을 군림하지 않았다. 반면 조선 역대 왕조의 '존중화'는 철저했다. 그 속국 열망이 강렬하다는 것은 송에 대한 종속을 보면 잘 알 수 있다. 송은 북방의 요나라와 금에 위협받아 국방을 위해 그 북방 여러 왕조에 막대한 세공을 행했다. 그 시기조차 고려는 송에 조공책봉을 요청했다. 송은 북방의 강적에게 오해받는 것을 두려워하여 고려의 조공에 난색을 표했다. 본격적으로 중화의 간섭을 받게 된 것은 조선 시대부터이다. 조선의 태조 이성계는 '역성혁명'으로 고려조를 찬탈한 사실과 실권 지배의 획득을 의 태조에게 인지시키기 위해 국가 주권을 명에 매각하고 명의 속국으로 결정했다. 조선의 국호왕위를 명에 의해 하사받는 형태를 취했다"라고 말했다.[323]

베트남 전쟁 당시, 대한민국의 박정희 대통령은 미국 민주당린든 B. 존슨 대통령의 요청으로 남베트남 진영으로 참전했지만, 약 5,000명의 대한민국 국군 병사가 전사하고, 귀환한 병사의 많은 수가 미국군이 살포한 고엽제로 인한 후유증에 시달렸을 뿐만 아니라, 1968년 2월 12일 발생한 퐁니·퐁녓 학살 사건과 같은 30만 명으로 추정되는 베트남 민간인에 대한 학살이 벌어지는 등 양국 간에는 현재에도 뿌리 깊은 화근이 남아있다.

1992년에 한국과 베트남의 국교가 수립된 이후에도 "불행한 시기가 있었다"며 "유감"을 표명했지만 사과는 하지 않았다. 그러나 김대중 대통령은 방한한 쩐득르엉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에서 "불행한 전쟁에 참여하여 본의는 아니었지만 베트남 국민에게 고통을 준 것에 대해 죄송하게 생각한다"고 처음으로 사과했다.

베트남은 한국을 모델로 한 경제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양국 간에는 활발한 경제 협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2010년 기준으로 한국의 대 베트남 수출은 96억 5207만 미국 달러, 베트남의 대 한국 수출은 33억 3081만 미국 달러에 달하여, 한국에게 베트남은 제9위 수출국, 제28위 수입국이 되고 있다.[296] 2023년 12월 기준으로 대한민국의 대(對)베트남 수출은 534억7953만USD, 베트남의 대(對)대한민국 수출은 259억4178만USD에 달하여, 베트남은 대한민국에 있어서 제3위의 수출국이자 제6위의 수입국이다.

하노이 에는 대한민국 대사관이, 호찌민 시에는 총영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서울에 주한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2022년 12월 기준, 178,122명(재외국민 178,122명, 시민권자 0명)의 한민족들이 베트남에 거주하고 있다.

두 중화 문화권 국가 간의 관계는 "적에서 친구로" 묘사된다. 양국은 베트남 전쟁과 베트남 전쟁 중 대한민국군의 전쟁 범죄 및 만행에서 적대적인 입장을 취했으며, 이는 여전히 양국 간에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지만, 양국은 관계를 통해 서로에게 가장 중요한 무역 파트너가 되었다. 대한민국은 베트남의 세 번째로 큰 무역 파트너이자 두 번째로 큰 ODA 제공국이며 베트남에 대한 가장 큰 외국인 직접 투자 국가이다. 한편, 베트남은 대한민국의 세 번째로 큰 무역 파트너이며 삼성 및 LG(LG Corporation)과 같은 대한민국 최대 재벌의 많은 중요한 공장과 시설을 유치하고 있다.[19][20]

2022년 12월, 양국은 관계를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로 격상시켰다. 이는 베트남 외교부가 지정한 양자 관계의 사실상 최고 수준이다. 양국은 2023년 양자 무역을 1,000억 미국 달러로 늘리고, 금세기 말까지 1,500억 달러에 도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주요 경제 관계 및 협력 외에도 대한민국과 베트남은 정치, 문화 외교, 자원 개발, 국가 안보, 방위 산업 분야에서도 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양국은 지역 안보와 관련된 문제에서 핵심적인 이익과 우려를 공유하며 서로를 지지한다. 특히 베트남은 한반도 비핵화(북한 언급) 노력에 대한 대한민국의 노력을 지지하고, 대한민국은 남중국해평화와 항행의 자유에 대한 베트남의 입장을 지지한다.[21] 베트남은 또한 대한민국이 인도 태평양 전략을 실행하고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과의 관계를 강화하는 데 중요한 파트너이다. 베트남은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대한민국의 영향력을 대표하는 "다리" 또는 "대사"가 될 수 있다고 한다.[22]

2022년 12월 베트남 주석의 대한민국 국빈 방문에서 대한민국 대통령 윤석열은 베트남 주석 응우옌 쑤언 푹을 ''"나의 첫 번째 국빈"''으로 예우했으며(이는 베트남 대통령이 윤석열 대통령 임기 동안 대한민국을 방문한 최초의 국가 원수라는 사실을 언급), 베트남과 대한민국의 국민은 ''"가까운 형제"''라고 말했다.[23]

5. 1. 12. {{국기|부탄}}

부탄과는 1987년 9월 24일에 수교하였다. 주 인도 대사관이 겸임하였다가, 주 방글라데시 부탄 대사관이 주한 부탄 대사관을 겸임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대(對)부탄 수출은 446만USD, 부탄의 대(對)대한민국 수출은 298만USD(각 2023년 12월)에 달하여, 부탄은 대한민국에 있어서 제189위의 수출국이자 제156위의 수입국이다. 모두 6명(재외국민 6명, 시민권자 0명)의 한민족들이 부탄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5. 1. 13. {{국기|브루나이}}

브루나이는 1984년 1월 1일에 대한민국과 공식 수교하였으며 국제사회에서 대한민국의 입장을 지지해왔다. 반다르스리브가완에 대한민국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으며, 서울에 주한 브루나이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2023년 12월 기준 대한민국의 대(對)브루나이 수출은 6025만USD, 브루나이의 대(對)대한민국 수출은 4억563만USD로, 브루나이는 대한민국에 있어서 제123위의 수출국이자 제69위의 수입국이다. 2022년 12월 기준 156명(재외국민 152명, 시민권자 4명)의 한민족들이 브루나이에 거주하고 있다.

5. 1. 14. {{국기|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아라비아대한민국과 1962년 10월 16일에 수교하여 한국의 근로자들이 사우디아라비아에 파견되었으며 축구 리그인 사우디 프로페셔널리그설기현, 이영표 등 13명의 선수가 활약하였거나 현재 뛰고 있는 중이고, 현재는 김승규, 정우영이 각각 알샤바브 FC알칼리지 FC에서 활약하고 있다. 리야드에 대사관(주 바레인 대사관 겸임)이, 지다에 총영사관이 개설되어 있으며, 서울에 주한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대한민국의 대(對)사우디 아라비아 수출은 53억2470만USD, 사우디 아라비아의 대(對)대한민국 수출은 327억6255만USD(각 2023년 12월)에 달하여, 사우디 아라비아는 대한민국에 있어서 제25위의 수출국이자 제5위의 수입국이다. 모두 2,098명(재외국민 2,077명, 시민권자 21명)의 한민족들이 사우디아라비아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5. 1. 15. {{국기|스리랑카}}

대한민국은 1972년 10월 9일 주(駐)스리랑카 통상대표부를 개설했으며, 1977년 11월 14일 공식적인 외교관계를 수립한 이후 양국관계는 발전되어 왔다.[378] 1978년 1월에 한국-스리랑카 항공협정을 체결하였고, 1978년 3월에 관민 경제기술협력단이 스리랑카를 방문해 투자보장협정을 체결하고 경제협력 확대에 합의하였다.[378] 1980년 3월 28일에는 외무부 장관의 스리랑카 방문으로 투자보호협정을 체결해 상호경제협력강화에 합의하였으며, 1984년 이중과세방지협정과 무역협정을 체결하였다.[378] 1994년 과학기술협력협정을 체결하였다.[378] 스리랑카는 비동맹 중립노선 표방으로 남북한문제에 대해 중립적인 태도를 유지하고 있으나, 국제무대에서 대한민국에 대해 협조적인 태도를 보여주었다.[378] 대한민국의 대(對)스리랑카 수출은 2억1067만USD, 스리랑카의 대(對)대한민국 수출은 1억1849만USD(각 2023년 12월)에 달하여, 스리랑카는 대한민국에 있어서 제87위의 수출국이자 제89위의 수입국이다. 2005년 기준으로 많은 스리랑카인들이 한국에서 일하고 있으며, 모두 397명(재외국민 397명, 시민권자 0명)의 한민족들이 스리랑카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수도인 콜롬보에 한국 대사관(주 몰디브 대사관을 겸임한다)과 KOICA 사무소가 있다.

5. 1. 16. {{국기|시리아}}

시리아는 아직 대한민국과 수교하지 않았다. 주 레바논 대사관이 시리아 관련 외교 업무를 관할한다. 2023년 12월 기준 대한민국의 대(對)시리아 수출은 1655만 달러, 시리아의 대(對)대한민국 수출은 24만 9343 달러로, 시리아는 대한민국의 제162위 수출국이자 제190위 수입국이다. 2010년 12월 기준 162명의 한민족들이 시리아에 거주하고 있었으나, 2024년 3월 기준 시리아 내전으로 모두 철수하였다.

5. 1. 17. {{국기|싱가포르}}

1970년 12월 싱가포르에 통상경제대표부를 개설한 이래로 이 대표부가 1971년 7월 총영사관으로 승격되었고, 1972년에 양국간 항공협정을 체결하였으며, 1975년 8월 8일 정식으로 대사관계가 수립되었다.[379] 싱가포르 시에 대한민국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서울에 주한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1979년 11월에는 이중과세방지협정이 체결되었다.[379]

2005년 8월 한국과 싱가포르는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했다.[379] 1999년 고촉통 총리의 제안으로 논의가 시작되어 2006년 3월 2일부터 발효되었다.[379] 이 협정은 국제적 비즈니스 거점과의 전략적 연계로 경쟁력을 강화하고 동북아와 동남아 허브를 연결하기 위해 추진되었다.[379] 또한 양국 간 무역 및 투자를 확대하고 한국 기업의 동남아 진출 기반을 강화하는 효과도 있다.[379] 특히 건설업계의 교류가 활발한데 싱가포르의 창이국제공항을 비롯한 많은 주요 건물을 한국 건설업체가 건설하였다.

양국은 서로 15위권 내의 교역 상대국이며, 주로 전자전기제품, 기계류가 수출입 품목이며, 특히 1998년 외환 위기 이후 한국에의 투자가 많이 이루어졌다. 2000년에 정점을 이루다가 줄어들었으나 현재는 다시 늘어나는 추세이다. 대한민국의 대(對)싱가포르 수출은 187억5199만USD, 싱가포르의 대(對)대한민국 수출은 111억7860만USD(각 2023년 12월)에 달하여, 싱가포르는 대한민국에 있어서 제7위의 수출국이자 제13위의 수입국이다.

특히 싱가포르 투자청(GIC, Government of Singapore Investment Corporation)은 1999년 잠실 시그마타워, 2000년에는 프라임타워, 서울파이낸스타워, 무교빌딩, 코오롱빌딩 등의 대형 부동산을 매입했으며, 2005년에는 서울 역삼동의 스타타워빌딩을 매입하였다. 이러한 한국의 부동산 투자과정에서 탈루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모두 21,203명(재외국민 20,437명, 시민권자 766명)의 한민족들이 싱가포르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대한민국-싱가포르 간 항공노선
거점 도시공항
IATA
공항
ICAO
거점 공항
이름
항공사 및 상대국 취항지
서울/인천ICNRKSI인천대한항공(1개) : 싱가포르
아시아나항공(1개): 싱가포르



양국은 1975년 8월에 국교를 수립했으며, 1979년 11월에는 이중 과세 방지 조약을 체결했다. 특히 건설 분야에서의 교류가 활발하며, 창이 국제공항을 포함한 많은 주요 건축물 건설에 한국의 건설 회사가 참여하고 있다.

2010년 시점에서 한국의 대 싱가포르 수출은 152억 4420만 미국 달러, 싱가포르의 대 한국 수출은 78억 4953만 미국 달러에 달하며, 한국에게 싱가포르는 제5위의 수출국, 제14위의 수입국이 되었다[296]

싱가포르 정부 투자청은 1999년 시그마 타워, 2000년에 프라임 타워와 서울 파이낸스 센터, 무교 빌딩, 코오롱 빌딩, 2005년에는 강남구 역삼동의 스타타워 빌딩과 같이 대형 부동산을 잇따라 인수했다.

5. 1. 18. {{국기|아랍에미리트}}

아랍에미리트와 한국은 1980년 6월 18일에 대한민국과 정식으로 수교하였다. 아부다비에 대사관이, 두바이에 총영사관이 각각 개설되어 있다. 서울에 주한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대한민국의 대(對)아랍에미리트 수출은 44억3206만USD, 아랍에미리트의 대(對)대한민국 수출은 164억2276만USD(각 2023년 12월)에 달하여, 아랍에미리트는 대한민국에 있어서 제28위의 수출국이자 제9위의 수입국이다. 2009년 12월 27일 대한민국에게 원자력발전소를 발주했다.[380] 모두 9,227명(재외국민 9,227명, 시민권자 0명)의 한민족들이 아랍에미리트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대한민국-아랍에미리트 간 항공노선
거점 도시공항
IATA
공항
ICAO
거점 공항
이름
항공사 및 상대국 취항지
서울/인천ICNRKSI인천대한항공(1개) : 두바이
아시아나항공(1개): 아부다비


5. 1. 19. {{국기|아르메니아}}

아르메니아와 대한민국은 1992년 2월 21일에 수교하였다. 주 러시아 한국대사관이 아르메니아 겸임하고 있다. 주중국 아르메니아 대사관이 주한 대사관을 겸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대(對)아르메니아 수출은 3556만USD, 아르메니아의 대(對)대한민국 수출은 9683만USD(각 2023년 12월)에 달하여, 아르메니아는 대한민국에 있어서 제140위의 수출국이자 제92위의 수입국이다. 모두 418명(재외국민 68명, 시민권자 350명)의 한민족들이 아르메니아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5. 1. 20. {{국기|아제르바이잔}}

아제르바이잔과 대한민국은 1992년 3월 23일 수교하였다. 바쿠에 대한민국 대사관이, 서울에 주한 아제르바이잔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대한민국의 대(對)아제르바이잔 수출은 2억 4384만 USD, 아제르바이잔의 대(對)대한민국 수출은 297만 USD (각 2023년 12월)에 달하여, 아제르바이잔은 대한민국에 있어서 제85위의 수출국이자 제157위의 수입국이다. 2022년 12월 기준으로 모두 162명(재외국민 156명, 시민권자 6명)의 한민족들이 아제르바이잔에 거주하고 있다.

5. 1. 21. {{국기|아프가니스탄}}

대한민국과는 1973년 12월에 수교하였으나 1978년 공산주의 정권 수립과 동시에 단교되었다가, 2002년 1월에 탈레반 정권 붕괴 이후 과도정부 수립과 함께 국교정상화되었다. 동년 9월에 대사관도 재개설하였다. 대한민국은 항구적 자유 작전의 일부인 아프가니스탄 전쟁당시 아프가니스탄에 군사를 파병하였다. 2007년 2월 27일 폭탄 테러로 한국군 장병 1명이 사망했고, 같은 해인 2007년 7월 19일에 가즈니주 카라바그 부근에서 독일인과 한국인 봉사단 23명이 탈레반에 의해 납치되어 한국인 2명 (목사 1명, 봉사자 1명)이 살해 되었다. 결국 협상의 타결로 나머지 일행들은 석방되었다. 그 이후 본국의 불안한 치안상황 등 여러 정황에 따라 국민의 신변안전을 위해, 대한민국 정부는 허가없이 아프가니스탄으로 입국하는 것을 엄금하고 있다. 카불에 대한민국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서울에 주한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대한민국의 대(對)아프가니스탄 수출은 2508만USD, 아프가니스탄의 대(對)대한민국 수출은 104만USD(각 2023년 12월)에 달하여, 아프가니스탄은 대한민국에 있어서 제147위의 수출국이자 제170위의 수입국이다. 모두 6명(재외국민 6명, 시민권자 0명)의 한민족들이 아프가니스탄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5. 1. 22. {{국기|오만}}

오만은 남북한 동시수교국이며 1974년 3월 28일 대한민국과 외교관계를 수립하였다. 대한민국은 1976년에 무스카트에 대사관을 두었으며 항공, 문화협정을 체결하였다. 서울에 주한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대한민국의 대(對)오만 수출은 5억319만USD, 오만의 대(對)대한민국 수출은 53억6527만USD(각 2023년 12월)에 달하여, 오만은 대한민국에 있어서 제68위의 수출국이자 제26위의 수입국이다. 모두 242명(재외국민 241명, 시민권자 1명)의 한민족들이 오만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5. 1. 23. {{국기|예멘}}

예멘분단국가 시절 아랍문화 성향이 강했던 예멘 아랍 공화국(북예멘)은 1985년 8월 22일에 대한민국과 수교하였고, 공산주의 성향이 강했던 예멘 인민 민주 공화국(남예멘)은 1990년 5월 17일대한민국과 수교하였다. 대한민국은 예멘 현지에 공관을 두었으나 한때 철수하여 주 사우디아라비아 대사관이 겸임하였다가 2008년 수도 사나에 대사관을 재개설하였다. 대한민국의 대(對)예멘 수출은 6899만USD, 예멘의 대(對)대한민국 수출은 3646만USD(각 2023년 12월)에 달하여, 예멘은 대한민국에 있어서 제118위의 수출국이자 제118위의 수입국이다. 모두 2명(재외국민 2명, 시민권자 0명)의 한민족들이 예멘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5. 1. 24. {{국기|요르단}}

요르단은 1962년 7월 26일에 대한민국과 수교하였다.[381]암만에 대한민국 대사관을 두고 있다. 수교 이후 양국은 1972년 11월 29일 무역협정, 1977년 10월 26일 문화협정, 1977년 10월 26일 경제,기술협력 협정, 1978년 5월 14일 항공협정, 2002년 7월 투자보장협정 가서명, 2002년 11월 이중과세방지협정 가서명, 2004년 4월, 2004-2006년간 문화교류 시행계획서 서명, 2004년 7월 24일 한-요 이중과세방지협정 및 투자보장협정 서명, 2005년 1월 27일 관광협정 서명, 2006년 3월 KOICA 봉사단 파견협정, 2008년 12월 원자력협력협정을 체결하였다.[382] 대한민국의 대(對)요르단 수출은 7억5880만USD, 요르단의 대(對)대한민국 수출은 6265만USD(각 2023년 12월)에 달하여, 요르단은 대한민국에 있어서 제58위의 수출국이자 제106위의 수입국이다. 모두 345명(재외국민 345명, 시민권자 0명)의 한민족들이 요르단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5. 1. 25. {{국기|우즈베키스탄}}

IATA공항
ICAO거점 공항
이름항공사 및 상대국 취항지서울/인천ICNRKSI인천대한항공(1개) : 타슈겐트서울/인천ICNRKSI인천아시아나항공(1개) : 타슈겐트서울/인천ICNRKSI인천우즈베키스탄항공(1개) : 서울(인천)


5. 1. 26. {{국기|이라크}}

이라크와 대한민국은 사담 후세인 집권 시절인 1989년 7월 9일에 외교관계를 맺었으나 1994년 바그다드에 주재공관이 폐쇄 및 철수되었다가 2003년 재개설하였으며 사담 후세인 정권 붕괴 이후에도 외교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서울에 주한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2004년 한국군 자이툰부대가 파병되어 주둔하고 있다. 최근 이라크에서 이슬람 계열 무장단체에 의한 한인 피랍 사건이 발생한 후, 대한민국 정부는 아프가니스탄, 소말리아, 우크라이나, 수단 등과 함께 이라크를 여행금지국으로 지정하였다. (이라크는 첫 번째 여행금지국이다.) 대한민국의 대(對)이라크 수출은 11억9597만USD, 이라크의 대(對)대한민국 수출은 78억9927만USD(각 2023년 12월)에 달하여, 이라크는 대한민국에 있어서 제43위의 수출국이자 제19위의 수입국이다. 1999년 당시에는 이라크에 8명의 한국 교민이 살고 있었고, 현재는 모두 934명(재외국민 934명, 시민권자 0명)의 한민족들이 이라크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이라크는 사담 후세인 정권 하의 1989년에 국교를 수립했다. 1994년에 수도 바그다드의 주재 공관을 폐쇄 및 철수했지만, 2003년이라크 전쟁 발발 이후 재개설하여 후세인 정권의 붕괴 이후에도 외교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2004년에는, 한국군 자이툰 부대가 파견되어 2008년 12월 20일까지 주둔했다. 2004년 5월에, 한국인 회사원 피살 사건이 발생한 이후, 대한민국 정부는 자국민에게 이라크 여행 금지를 통보했다.

5. 1. 27. {{국기|이란}}

이란은 남북한 동시 수교국으로 한반도 문제에서는 등거리외교를 원칙으로 삼아왔다. 이란은 대한민국과 교역을 시작한 중동 국가 중 최초의 나라이고, 대한민국이 처음으로 중동 건설에 진출한 나라이기도 하다. 1961년 8월 대한민국의 중동친선사절단이 이란을 방문한 이래 양국은 1962년 10월 23일 수교하였다.[324] 1967년 4월에 주이란 한국대사관이 설치되면서 대한민국과 이란과의 우호관계는 긴밀해 졌다. 1971년 10월 이란 건국 2,500주년 기념식에 김종필 총리가 대통령특사로 참석하였으며 그후 국회의장을 비롯하여 수차례에 걸친 특사 및 사절단이 상호방문 함으로써 양국간의 관계는 더욱 견고해졌을 뿐만 아니라 중동국가중에서도 비교적 대한민국의 대(對)UN정책을 지지해 온 우방국가이다.[324] 서울에 주한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대한민국의 대(對)이란 수출은 1억8331만USD, 이란의 대(對)대한민국 수출은 372만USD(각 2023년 12월)에 달하여, 이란은 대한민국에 있어서 제96위의 수출국이자 제152위의 수입국이다. 모두 167명(재외국민 150명, 시민권자 17명)의 한민족들이 이란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서울에 테헤란로가 있고 테헤란에 서울로가 있기도 하다.[324]

대한민국에게 이란은 중동 국가 중 최초로 국교를 수립한 국가이자, 최초로 중동 개발에 착수한 국가이기도 하다.

2018년, 이란 핵 개발 문제와 관련하여 미국이 각국에 경제 제재에 동참할 것을 요구하자, 대한민국은 이란 측 자금 약 70억 달러를 동결 상태로 두었다. 2021년에도 동결은 해제되지 않았으며, 이란 측은 자금 반환을 요구하고 있다.[324]

5. 1. 28. {{국기|이스라엘}}

1962년 4월 9일 대한민국이스라엘은 수교하여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였다. 1962년 5월 7일경, 이스라엘은 주일 이스라엘 대사 다니엘 레빈을 한국 대사직(비주재)에 겸임하도록 임명하였다.[383] 그러나 대한민국이 원유 수급과 건설시장 확보를 위하여 아랍 국가와의 관계를 강화하자, 관계가 위축되었다. 이스라엘은 1978년 주한 대사관을 폐쇄하고, 주일 대사관에서 대한민국 관련 업무를 담당하도록 하여 양국의 관계는 다소 소원해졌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 관계 개선의 필요성이 커져, 양국은 1992년1993년 텔아비브서울에 상주 대사관을 각각 재개설하였고, 다시 우호적인 관계가 유지되고 있다. 대한민국의 대(對)이스라엘 수출은 18억2409만USD, 이스라엘의 대(對)대한민국 수출은 16억3만USD(각 2021년 12월)에 달하여, 이스라엘은 대한민국에 있어서 제39위의 수출국이자 제42위의 수입국이다. 이스라엘은 한일분쟁요소인 독도 문제나 일본군 위안부 문제도 대부분 대한민국 편을 들어주고 한국 전쟁 때 의료지원을 파병할 정도 친한적인 국가여서 다른 나라들에 비해 관계가 가장 우호적이다. 모두 572명(재외국민 550명, 시민권자 22명)의 한민족들이 이스라엘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대한민국-이스라엘 간 항공노선
거점 도시공항
IATA
공항
ICAO
거점 공항
이름
항공사 및 상대국 취항지
서울/인천ICNRKSI인천대한항공(1개) : 텔아비브


5. 1. 29. {{국기|인도}}

대한민국-인도 관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인도는 남북한 동시수교국으로, 한국과는 1962년 3월 영사관계를 수립한 이후 1973년 12월 10일 대사급 외교관계 수립에 합의했다. 인도는 국제무대에서 한반도 문제에 중립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는 한편 경제문제 등에서 한국과의 관계 증진에 힘쓰고 있다. 양국간에는 1974년 8월 맺은 무역협정을 시작으로 문화협정(1974년 8월)과 과학기술협력협정(1976년 3월)이 체결되었다.[296] 뉴델리에 대한민국 대사관(주 부탄 대사관도 겸임)이, 뭄바이에 총영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서울에 주한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교역량이 점차 증가추세에 있어 1996년 대한수입액 11억 7,697만 달러, 대한수출액 9억 7,572만 달러였다가 2021년 12월 기준 대한민국의 대(對)인도 수출은 156억326만USD, 인도의 대(對)대한민국 수출은 80억5603만USD에 달하여, 인도는 대한민국에 있어서 제7위의 수출국이자 제16위의 수입국이다. 2022년 12월 기준 모두 11,360명(재외국민 11,359명, 시민권자 1명)의 한민족들이 인도에 거주하고 있다.

대한민국-인도 간 항공노선
거점 도시공항
IATA
공항
ICAO
거점 공항
이름
항공사 및 상대국 취항지
서울/인천ICNRKSI인천대한항공(1개) : 뭄바이
아시아나항공(1개): 델리
서울/인천ICNRKSI인천에어인디아(1개): 서울(인천)


5. 1. 30. {{국기|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와 한국은 1973년 9월 17일에 수교하였다.[384] 이명박 대통령은 수실로 밤방 유도요노 대통령을 만나 자국의 방위산업을 대한민국과 협력한다고 말하였다.[385] 자카르타에 대한민국 대사관이, 서울에 주한 인도네시아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대한민국의 대(對)인도네시아 수출은 85억5034만USD, 인도네시아의 대(對)대한민국 수출은 107억2510만USD(각 2021년 12월)에 달하여, 인도네시아는 대한민국에 있어서 제15위의 수출국이자 제11위의 수입국이다. 모두 25,153명(재외국민 24,310명, 시민권자 843명)의 한민족들이 인도네시아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내의 한민족 사회는 한국과 인도네시아 양국 간 수교 훨씬 이전부터 형성되어 오다가, 1973년 상주대사관 설치 후 동포사회의 규모가 점점 확대되면서, 2010년 기준으로 인도네시아 내에서 화교 사회에 이어 제2위의 외국인 커뮤니티로 성장했다. 처음 한국인들의 인도네시아 진출계기는 인도네시아에 풍부한 원목개발 및 수입, 선교활동, 유전개발 참여 및 건설공사 참여, 장학 프로그램에 의한 현지유학 등이었다.[386]

대한민국-인도네시아 간 항공노선
거점 도시공항
IATA
공항
ICAO
거점 공항
이름
항공사 및 상대국 취항지
서울/인천ICNRKSI인천대한항공(2개) : 덴파사르(발리), 자카르타(수카르노 하타)
서울/인천ICNRKSI인천아시아나항공(2개) : 덴파사르(발리), 자카르타(수카르노 하타)
서울/인천ICNRKSI인천가루다인도네시아(2개) : 서울(인천)


5. 1. 31. {{국기|일본}}

일본 총리 기시다 후미오와 대한민국 대통령 윤석열의 2024년 서울 회담


독도의 영유권을 두고 일본과 대한민국 간에 분쟁이 진행 중이다.


대한민국과 일본의 관계는 정치적 갈등과 경제적 친밀성을 모두 가지고 있다. 갈등의 예로는 동해 명칭 분쟁, 역대 일본 내각총리대신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 대한민국 독도의 영유권 분쟁 등이 있다.[14]

1952년 1월 18일,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 이승만독도 인근 해역을 대한민국의 영토로 선언했다(이승만 라인). 이후 이 해역에서 어업 활동을 하던 일본 어선 약 3,000척이 나포되었다. 이 사건은 제1대방마루 사건으로 불리며 한일 관계를 악화시켰다.

1965년 6월 22일, 대한민국 대통령 박정희는 한일 기본 조약을 체결했다. 그 결과 일본은 대한민국을 한반도에 대한 통치의 합법적인 승계자로 간주했다.

1996년 FIFA는 대한민국과 일본이 2002년 FIFA 월드컵을 공동 개최한다고 발표했다. 이후 몇 년 동안 양국 정상들은 대회를 준비하며 관계를 개선하기 위해 만났다.[13] 2005년은 "한일 우정의 해"로 지정되었다. 그러나 일본 시마네현이 "다케시마의 날"을 선포하면서 독도 논란이 다시 불거졌고, 대한민국에서 대규모 시위가 일어났다.

일본은 대한민국을 외교 헌장의 파트너라고 칭하며,[15] 윤석열 대한민국 대통령 또한 "한국과 일본은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고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는 파트너"라고 말했다.[16]

1945년에 제2차 세계 대전이 종결되고, 한반도 남부는 재조선 미 육군 사령부 군정청의 직접 통치를 거쳐 1948년8월 15일의 대한민국이 건국된 후, 초대 대통령에 취임한 이승만은 강렬한 반일 감정을 가지고 있었다. 1952년에는 일방적으로 '평화선'(이승만 라인)을 설정하고, 일본의 조업 어선을 나포하여, 일본 측에 사상자를 냈다. 1959년에는 재일 조선인의 북한 귀환 사업을 방해하기 위해, 일본에 공작원을 보내 니가타 적십자 센터 폭파 미수 사건을 일으키는 등, 양국 간의 관계는 악화되었다.

대일본 제국의 제국 육군 사관학교 57기생으로 교육을 받고, 후에 친일파로 간주된 박정희 소장이 1961년에 5.16 군사 정변으로 '국가재건최고회의'를 수립한 후, 1963년에 제5대 대한민국 대통령에 취임했다. 1965년에 일본국의 사토 에이사쿠내각총리대신과의 사이에 '한일 기본 조약'을 비준하고, 정식으로 국교가 수립되었으며, 양국은 서로 수도 도쿄와 서울에 대사관, 삿포로·센다이·요코하마·니가타·나고야·오사카·고베·히로시마·후쿠오카와 부산·제주에 총영사관을 각각 개설했다.

1972년10월 유신에 의해 권력 기반을 강화한 박정희 군사 정권 하에서의 한국에서는, 반일 교육을 실시하는 한편, 정부의 주도로 국민의 반일 감정을 억제하는 방침을 취해왔다. 1973년8월 8일에 대한민국의 민주화 운동가 김대중이 일본 국내에서 대한민국 중앙정보부 (KCIA)에 의해 납치된 사건 (김대중 사건)은 대한민국의 반 박정희 정권 운동을 고양시키고, 일본에서도 KCIA의 공작은 일본국의 주권 침해라는 목소리가 높아져, 한일 관계는 악화되었다. 1974년에 당시 국민적 인기가 높았던 박정희 대통령 부인 육영수가, 재일 조선인의 문세광에게 암살당하는 사건 (문세광 사건) 등으로 인해, 여러 차례 대규모 반일 운동이 전개되게 되었으며, 문세광 사건 당시에는 주한 일본 대사관 직원에게 철수 준비 지시가 내려지는 등, 국교 단절 직전과 같은 사태에까지 이르렀다.

1998년에 성립된 김대중 정권 하에서, 일본 대중문화의 수입 제한이 완화되었고, 2002년FIFA 월드컵에서는, 양국에 의한 공동 개최가 이루어져, 일본에 친근감을 가진 사람의 비율이 증가한 한편, 민주화가 진전됨과 동시에 반일 감정도 부상하게 되었다. 2003년2월 25일에 발족한 노무현 정권 하에서는, 일본에 대해 강경한 외교가 전개되어, 독도 문제나 역사 인식 문제에서는 강경한 자세에 임하여, 반일 운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고이즈미 준이치로나 아베 신조 등이 총리로 재임하고 있는 동안, 한일 셔틀 외교가 야스쿠니 신사 참배 문제 등으로 인해 중단되는 등, 양국 관계는 잠시 동안 냉각되었다. 그러나 아시아 외교를 중시하는 후쿠다 야스오 내각의 성립과, 한일 관계를 중시하는 이명박이 대통령으로 취임함에 따라, 양국은 관계 개선에 나서 2008년 4월에는 2년 10개월 만에 셔틀 외교가 재개되었다. 이명박 정권은, 전 정권에서 악화된 일본과의 관계를 회복하고, 비교적 온건한 자세로 임하는 방침을 보였다.

양국 간에는 외교적 현안이 많다. 독도에 대해서는, 양국이 모두 '''"역사적으로 자국 고유의 영토이다"'''라고 주장하고 있으며, 아직 해결의 실마리가 보이지 않고 있다. 또한, 동해 표기 문제나 일본에서의 역사 교과서 문제도 오랜 현안 사항이 되고 있다.

2008년 대한민국의 대 일본 무역액은 8억 9,210만 달러였으며, 일본 측은 약 3억 2,710만 달러의 흑자를 기록했다.[12] 일본과 한국 기업은 상호 의존적인 관계를 맺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는 일본이 한국의 성장 시장에서 유리한 위치를 점하도록 했다.

2021년 시점에서의 대한민국의 대일 수출은 305억 2,900만 달러, 일본의 대 한국 수출은 546억 400만 달러에 달하고 있으며, 한국에게 있어서 일본은 제4위의 수출국, 제3위의 수입국이 되고 있다[294]

양국은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고 있기도 해서, 2017년에 양국을 왕래한 사람의 수는 약 945만 명에 달하고 있다[295]

5. 1. 32. {{국기|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한민국북한을 기본적으로 승인하지 않으며, 1950년 한국 전쟁 이후 북한과 적대적인 관계가 심화되었다. 그러나 공식적으로는 1972년 7·4 남북 공동 성명을 시작으로 남북간 대화가 시작되었으며, 2000년 6·15 남북 공동선언과 이산가족 상봉, 금강산 관광과 개성공단 사업 등이 성사되었다. 하지만 KAL 858기 폭파, 아웅산묘역 테러, 연평해전대청해전 등 남북간 적대적 대립관계는 계속되었다. 북한의 핵 실험 문제는 주변국은 물론 남북간의 화해분위기에 찬물을 끼얹었다. 노무현 정부는 북한과 대화를 시도하였고, 2007년 제2차 남북정상회담을 평양에서 개최했다.

2008년 이명박 정부는 북한에 대해 비교적 냉정한 관계를 유지했으며, 금강산 관광객 피격 사망 사건이나 북한의 은하 2호 로켓 발사 등의 사건을 겪으면서 관계가 악화되었다.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의 방북으로 억류되었던 개성공단 남측 직원이 석방되고, 김대중 전 대통령의 장례식 때 북한 고위급 인사들이 남측을 방문해 조문하였다. 이명박 대통령과 면담 시 남북정상회담을 언급하기도 했다. 그 뒤에 이명박 정부 출범 처음으로 이산가족상봉이 이루어졌으며 남북정상회담 가능성도 언급되었다. 하지만 2010년 3월 26일 발생한 천안함 침몰 사건 이후 남북관계는 다시 얼어붙었고, 연평도 포격으로 인해 남북관계는 더욱 악화되었다.

김대중 대통령의 대북 포용 정책인 "햇볕 정책"은 2000년 6월의 역사적인 남북 정상 회담의 발판을 마련했다.[293] 김대중 대통령은 이 정책으로 2000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노무현 대통령의 뒤를 이은 정부에서도 햇볕 정책이 지속되면서 양국 간의 경제적 관계가 증대되었고, 북한에 인도적 지원이 보내졌으며, 일부 이산가족들이 잠시 재회하기도 했다. 그러나 군사적 관계는 여전히 긴장 상태에 놓여 있었으며, 2002년 짧은 해상 교전으로 한국 해군 장병 4명이 사망하면서 햇볕 정책의 미래는 불확실해졌다. 북한은 회담을 중단했지만, 한국은 화해 정책을 고수했고 관계는 다시 해빙되기 시작했다. 2년 후 핵무기 문제가 다시 불거지면서 관계에 의문이 제기되었지만, 한국은 적대자보다는 중재자 역할을 하려 노력했고, 당시 경제적 관계는 다시 성장하는 것처럼 보였다.

햇볕 정책과 화해 노력에도 불구하고, 1993년 북한 미사일 시험, 1998년 북한 미사일 시험, 2006년 북한 핵실험 및 2009년 북한 핵실험으로 상황은 복잡해졌다. 2009년 초, 북한과 한국의 관계는 매우 긴장되었으며, 북한은 미사일을 배치한 것으로 알려졌고,[24] 한국과의 이전 합의를 종료했으며,[25] 계획했던 위성 발사에 간섭하지 말라고 한국과 미국을 위협했다.[26]

2010년 천안함 침몰 사건으로 46명의 해군이 사망한 사건은 두 국가 간의 긴장을 더욱 심화시켰다. 전 세계 연구팀[28]에 의해 북한 어뢰에 의한 것으로 밝혀졌지만, 북한은 이를 부인했다. 한국은 연구팀의 조사 결과를 인정했고, 이명박 대통령은 2010년 5월 서울이 북한에 외교적, 재정적으로 타격을 가하기 위한 조치의 일환으로 북한과의 모든 무역을 중단할 것이라고 선언했다.[29] 이로 인해 북한은 모든 관계를 단절하고 이전의 불가침 조약을 완전히 폐기했다.[30]

2010년 11월, 통일부는 공식적으로 햇볕 정책의 실패를 선언하여 이 정책을 종식시켰다.[31][32] 2010년 11월 23일, 북한 포병은 연평도 포격을 감행하여 연평도와 그 주변 지역에 수십 발의 포탄을 발사했다.[33]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문재인 대한민국 대통령의 2018년 남북 정상 회담 중 모습.


1953년7월 27일의 한국 전쟁 휴전 협정에 대한민국의 요인은 서명하지 않았고, 휴전 이후에도 남북 관계는 적대적이었다. 1960년4·19 혁명으로 이승만 정권이 타도된 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김일성 수상이 같은 해 8월 14일에 "연방제 통일안"과 양 정부 대표에 의한 "최고 민족 위원회"의 수립을 제창하며 남북 조선의 평화 통일을 대한민국에 제시했지만, 장면총리가 이 안을 검토하지 않았다. 1961년에 5·16 군사 정변으로 박정희 소장이 실권을 잡았기 때문에, 본격적인 남북 대화는 1972년7월 4일의 7·4 남북 공동 성명에 의한 관계 개선 분위기 이후가 되었다. 1979년10월 26일의 10·26 사건 이후, "서울의 봄" 민주화 분위기 속에서 1980년에 5·17 쿠데타로 전두환 장군이 실권을 장악하고, 대한민국에 군사 정권이 수립되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김일성 주석은 같은 해 10월 10일에 "고려 민주 연방 공화국" 창설을 제창했다.

5. 1. 33. {{국기|조지아}}

대한민국-조지아 관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대한민국은 1992년 12월 14일에 조지아와 수교하였다. 조지아는 2011년 8월 서울에 상주 공관을 개설하였다. 대한민국은 주 러시아 대사관에서 겸임하다가 주 우크라이나 대사관 겸임으로 변경되었고, 이후 바쿠의 주 아제르바이잔 대사관이 조지아 대사관을 겸하고 있다. 2022년 12월 기준으로 229명(재외국민 222명, 시민권자 7명)의 한민족들이 조지아에 거주하고 있다.

5. 1. 34. {{국기|중화민국}}

대한민국은 아시아에서 대만의 최후 수교국이었다. 중화민국대한민국은 반공산주의 운동과 관련한 냉전 시기 협력관계를 유지하였고, 둘 다 일제의 직접적인 침략 경험을 가지고 분단국가로서 국토수복의 열망을 공유하는 등 역사적 배경이 비슷하다. 양국은 1948년 8월 13일에 공식 수교하였고, 한국 전쟁 때, 중화인민공화국은 중국 인민지원군을 파병하는 등 적극적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원조하였고, 중화민국도 대한민국을 원조하였다. 냉전 기간에 양국은 강력한 동맹국으로써 혈맹을 강조하는 우방이었다. 국부천대 이후부터 1988년까지 대한민국은 중국에 대해, 대륙의 중화인민공화국을 중공(中共)이라 칭하고 중화민국을 자유 중국(自由中國) 또는 중국(中國)으로 구별하였다. 그동안 수교관계를 오랫동안 유지하였으나 1992년 대한민국이 중화인민공화국과 국교를 수립하기로 결정하면서 8월 23일 단교되었고,[11] 1993년에 각각 서울과 타이베이에 대표부를 개설하였다. 대한민국의 대(對)대만 수출은 2021년 12월 기준 242억 8527만 미국 달러, 대만의 대(對)대한민국 수출은 234억 8581만 미국 달러에 달하여, 대만은 대한민국에 있어서 제6위의 수출국이자 제7위의 수입국이다.[296] 모두 5,392명 (재외국민 4,871명, 시민권자 521명)의 한민족이 대만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2010년대년부터 대만과 한국의 관계는 더욱 가까워졌고, 케이팝, 한국 드라마, 한국 영화한국 문화는 대만에서 매우 인기가 높으며 대만 사람들도 이를 매우 좋아한다. 한국과 대만을 오가는 관광객 수가 계속해서 크게 늘어나고 있다. 수도 타이베이시는 서울시의 첫 번째 자매도시이다.

5. 1. 35. {{국기|중화인민공화국}}

대한민국은 중화민국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하나의 중국 원칙에 따라 중화인민공화국과 수교하지 않았다. 중화인민공화국은 중국 공산당에 의해 성립된 지 1년도 되지 않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일으킨 한국 전쟁에 가담한 이유로 대한민국에서는 적성국으로 여겨졌고, 당시 수교국인 중화민국과 구별하여 중공(中共)이라고 불렀다. 그러나 1992년 8월 24일에 정식으로 수교에 합의하면서, 하나의 중국 원칙에 따라 명실상부한 중국 정부로 대우하고 있으며, 기존의 중화민국과는 단교하게 되었다. 그러나 최근 사드 문제, 유커 문제, 대북관계 문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문제로 한중관계는 상당히 나쁘다. 2022년 12월 기준, 2,109,727명(재외국민 215,964명, 시민권자 1,893,763명)의 한민족들이 중화인민공화국에 거주하고 있다.

2009년 4월, 런던에서 이명박 대한민국 대통령과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


1980년대 후반, 대한민국과 중국 간의 활발한 인적 교류가 장려되어 학자, 언론인, 중국 동북부 지린성의 옌볜 조선족 자치주에 거주하는 약 200만 명의 조선족 등이 대한민국 국민과 교류했다.

두 나라 간의 무역은 계속 증가했으며, 중국은 북한과 미국 사이, 그리고 북한과 일본 사이의 중재를 시도했고, 북한, 대한민국, 미국 간의 3자 회담을 시작하고 추진했다.

대한민국은 오랫동안 타이완의 동맹국이었으나, 1992년 서울과 타이베이 간의 외교 관계가 단절되었고, 1992년 8월 24일, 서울과 베이징 사이에 공식 외교 관계가 수립되었다.

2004년,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동북공정을 시작했고, 이 프로젝트가 널리 알려지면서 대한민국에서 엄청난 반발을 불러일으켰다.[7]

한미 FTA (미국-대한민국 자유 무역 협정)가 2007년 6월 30일에 최종 체결된 후,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즉시 대한민국과의 자유 무역 협정 체결을 모색하기 시작했다.[8] 대한민국과 중국 간의 자유 무역 협정은 논의 중이며, 대한민국은 2009년에 325억 달러의 기록적인 무역 흑자를 중국과 기록했다.[9][10]

한반도와 중국의 관계는 매우 역사가 깊다. 고구려, 백제, 신라는 중국의 양, 당 등과 문화・무역 교류를 했다. 고려는 정치적으로 송과 밀접한 우호 관계를 맺으면서 북방 민족을 견제했고, 양국은 빈번한 교역을 통해 서로의 문물을 교환했다. 이씨 조선 시대의 전통적인 외교 정책 중 하나로 , 등 중국의 왕조에 대해 사대주의를 취했던 점을 들 수 있다. 조선 왕조와 중국의 왕조가 실질적으로 끈을 맺게 된 것은 조공하사의 형식을 통한 양국 간의 접촉이었다.

1949년10월 1일 건국된 중화인민공화국1948년9월 9일 건국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과 굳건한 우호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조선로동당에는 박일우, 무정, 방호산 등 중국 공산당, 및 팔로군에 소속되어 항일 투쟁을 벌였던 조선인공산주의자들이 연안파로 1956년 8월 종파 사건까지 일정 세력을 유지했다. 1950년6월 25일 한국 전쟁 발발 후, 조선인민군은 대한민국 정부를 부산까지 몰아넣었지만, 더글러스 맥아더 원수 휘하의 유엔군 참전으로 대한민국은 세력을 회복했고, 이승만 대통령의 "북진통일론"에 의해 38선을 북상하여 대한민국 국군은 일시적으로 중조 국경의 압록강에까지 도달했지만, 중화인민공화국의 마오쩌둥 주석은 한국 전쟁 참전을 결정하여 "'''항미원조'''"("'''미'''국에 '''항'''거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를 '''원'''조"한다는 뜻)를 결정하고, 펑더화이 사령관이 이끄는 중국 인민지원군(항미원조의용군)은 조선인민군과 함께 유엔군 및 대한민국 국군을 38선까지 밀어냈다. 중조 연합군과 유엔군은 1953년7월 27일 한국 전쟁 휴전 협정에 서명했다.

대한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은 1980년대 말부터 자유로운 상호 방문을 시작했고, 학술 및 언론 분야뿐만 아니라, 한국 전쟁의 영향으로 중국으로 이주한 조선족과 한국 내에 거주하는 그들의 가족에 의한 이산 가족 교류가 가능해졌다. 1992년 8월, 대한민국은 "하나의 중국론"에 따라 중화민국대만)과 단교하고 중화인민공화국과 국교를 수립했다. 양국은 서로 베이징과 서울에 대사관, 청두, 광저우, 상하이, 칭다오, 선양, 시안, 우한, 홍콩과 부산, 광주에 총영사관을 각각 개설했다.

2010년 시점 한국의 대중국 수출액은 1168억 3783만 미국 달러, 중국의 대한 수출액은 715억 7360만 미국 달러에 달해 한국에게 중국은 수출액・수입액 모두 1위인 최대 무역 상대국이 되었다. 한편, 한국의 대홍콩 수출액은 252억 9434만 미국 달러, 홍콩의 대한 수출액은 19억 4593만 미국 달러에 달해 한국에게 홍콩은 제4위의 수출국, 제32위의 수입국이 되었다.[296]

200만 명 정도의 조선족, 특히 간도라고 불리는 지린성옌볜 조선족 자치주에 거주하는 조선족은 한국과 활발히 교류하고 있다. 한국 국적 남성이 국제 결혼을 한 경우, 아내의 출신 국가로 가장 많은 것은 중국 국적이다.

1997년경부터 중국 정부는 국가 프로젝트로 "동북공정"을 추진하고, 고구려는 중국인의 국가였고, 중국사의 지방 정권이었다는 역사 연구 성과를 국내외에 발표하고, 이어도 주변 해역은 자국의 배타적 경제 수역이라고 주장하면서 양국 간의 외교 문제로 발전하고 있다.

2016년7월 8일, 대한민국 국방부와 주한 미군이 THAAD 미사일을 주한 미군에 배치하기로 최종 결정했다고 발표한 것에 대해[297], 중국은 "강렬한 불만과 단호한 반대"를 표명했고[298], 중국에서 '금한령' '한한령'이라고 불리는 반한 정책이 일어나 한중 관계가 급속도로 냉각되었다.[299] 2017년10월, 한국 정부는 사태를 진정시키기 위해 "미국의 미사일 방어(MD) 시스템에 참여하지 않는다", "THAAD 미사일을 추가 배치하지 않는다", "한미 동맹을 한미일 3국 동맹으로 발전시키지 않는다"는 이른바 "삼불(3不)"을 중국 정부에 서약했다.[300] 이에 대해 보수계 조선일보는 "국가의 주권은 물론, 장래의 군사 주권 침해까지 인정한 국가적인 망신", "중국에 안보의 주권을 넘겨주는 충격적인 양보", "자국의 안보 정책까지 묶이는 비정상적인 상태", "스스로의 손발을 쇠사슬로 묶는 것과 같은 합의에 응하는 나라는 세계 어디에도 없다", "왜 우리를 지키는 무기 추가 배치는 하지 않겠다고 제3국과 약속하는가. 미국의 MD 참여나 타국과의 군사 동맹도 우리 스스로 결정하는 것이며, 중국의 허가를 받아야 할 이유 따위는 없다", "이 주권 포기만큼은 반드시 철회해야 한다", "경제 보복을 두려워하여 주권을 넘겨준다면 다음은 굴종 단계로 들어갈 것"이라고 맹반발했다.[300][301] 문재인대통령은 중국에 서약한 "삼불(3不)" 합의를 레토릭이 아닌 실제로 성실히 준수・이행하고 있으며, "중국의 주구" 역할을 충실히 하고 있다는 평가가 있으며, 2017년9월 유엔 총회에서 한국・미국・일본의 정상들의 오찬 시 문재인은 트럼프대통령와 아베 신조총리 앞에서 "일본은 우리나라의 동맹국이 아니다"(=한・미・일 군사 동맹 불가)라고 선언했고,[303] 2017년11월 11일 시작된 원자력 항공모함 3척을 투입한 일본해에서의 한국군과 미군의 합동 훈련에서도, 중한 합의인 "삼불(3不)" 중 하나인 "한・미・일의 안보 협력을 군사 동맹으로 발전시키지 않는다"에 근거하여 한・미・일 3국에 의한 훈련을 거부하고 한・미 공동 훈련을 분리하기로 결정했다.[302] 그러나 한국 정부중국 정부에 "삼불(3不)"을 서약한 지 2년이 지난 2019년 11월 현재에도 산업, 관광, 공연, 게임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보복이 이어지고 있고, 실제로는 보복을 중단시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한국의 안보 정책까지 묶이는 비정상적인 상태가 계속되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300]

중국이 고압적인 태도로 이러한 조치를 취하는 것은 "대국(중국)은 소국(한국)을 엿봐도 되지만, 소국은 대국을 엿봐서는 안 된다"는 중화 사상의 발현이라는 지적이 있으며, 2017년 중국은, THAAD의 경상북도성주군 배치를 앞두고 한국에 대해 "소국이 대국에 대항해도 괜찮은가? 배치된다면 단교 수준의 고통을 각오해야 할 것이다"라고 한국을 위협했다.[303] 한국의 THAAD 탐지 거리는 800km에 불과하지만, 일본의 교토부와 아오모리현에 배치된 AN/TPY-2 레이더의 탐지 거리는 4000km이며, 중국의 대부분을 탐지하고 있고, 중국일본의 교토부와 아오모리현에 배치된 AN/TPY-2 레이더가 한반도를 넘어 중국 내륙부까지 감시하고 있는 것에 대해 침묵하면서, 한국의 THAAD 배치에만 강하게 반대하고 한한령을 발동하고 있다.[304] 실제로 2017년4월 3일 인민일보는 "한국의 THAAD 배치가 일으키는 혼란이 멈추지 않은 상태에서 일본까지 이어지고 있다"면서도 "일본의 THAAD 배치는 한국과는 성질이 다르다"고 보도했고, 인민일보의 인터뷰에서 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 산하 외교학원의 저우융성 교수는 "일본은 자발적으로 THAAD를 도입하는 것이며, 실제로 일본 자위대의 군사 방위 능력을 높이려는 것이다", "일본의 THAAD는 방어를 위한 방패"라고 말하며 한국의 THAAD 배치에는 강하게 반대하고 한한령을 발동하는 한편, 일본의 THAAD 배치는 인정하는 이중 잣대를 보이고 있다.[305]

2017년4월 6일 플로리다주에서 미중 정상 회담이 열렸지만, 그 자리에서 중국의 시진핑총서기(국가 주석)이 "한반도는 중국의 일부였다"라고 발언했다는 것을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대통령가 밝혔다.[306][307] 도널드 트럼프대통령는 "시진핑 주석이 중국과 한반도의 역사에 대해 이야기했다. 수천 년의 역사와 수많은 전쟁에 대해. 조선은 사실 중국의 일부였다", "조선은 실제로 중국의 일부였다(Korea actually used to be a part of China영어)", "시 주석에게 중국과 한국의 역사에 대해 들었다. 북한이 아닌 한반도 전체에 대한 이야기였다.(중국과 한국에는) 수천 년의 세월 동안 많은 전쟁이 있었다", "(시 주석의 역사 강의를) 10분 동안 듣고 (북한 문제가) 쉽지 않다는 것을 깨달았다"라고 말했다.[306][307] 이에 대해 한국의 보수파에서는 "(중국은) 사실 수단이나 방법에 관계없이 이웃 국가에 대한 패권을 추구해 왔다. 시주석은 미국의 트럼프대통령에게 '한반도는 중국의 일부였다'는 망언까지 했다. 그것이 그들의 본심이다. 중국 공산당과 시 주석은 그 속성상 패권을 추구하고 폭력적이고 반민주적이며 반인권적이다"라는 중국을 노골적으로 경계하는 의견이 나왔다.[310]

2017년12월 13일, 한국의 문재인대통령이 중국을 국빈으로 공식 방문했지만, 같은 해 방중한 필리핀의 두테르테대통령나 미국의 트럼프대통령에 대한 후대와 비교하여 냉대를 받았다고 보도되었다.[308] 2017년12월 15일, 베이징 대학에서 강연한 문재인대통령은 "한국도 작은 나라이지만 그 꿈(중국의 꿈)을 함께 한다", "중국의 꿈이 중국만의 꿈이 아니라 아시아, 나아가 전 인류가 함께 꿈꾸는 것이 되기를 바랍니다. 한국도 그 꿈을 공유할 것입니다"라고 말하며 중국을 "큰 봉우리"라고 칭했고, 한국을 "작은 나라"라고 빈번하게 강조했지만,[309] 조선일보는, 중국 정부로부터 푸대접을 받고, 의도적인 냉대를 받고 있는데도 자신을 비하하고 있다고 비판했고,[301][310] 스즈키 다카시는 "패권주의를 숨기지 않게 된 중국에 아첨했다"고 평했다.[311] 이러한 문재인대통령의 중국에 대한 "아첨"에도 불구하고, 2017년12월 26일 월스트리트 저널은 "2017년12월 20일 중국 정부가 베이징과 산둥성에 한해 부분적으로 해제한 한한령이 부활하고 있다"고 보도했고, "이러한 소동은 문 대통령의 방중 종료 후에 일어난 것이며, 외부에서는 동 대통령의 방중 효과에 의문을 제기하는 시각도 나오고 있다", "양국 관계에는 개선의 조짐이 보이지만, 구조적인 모순은 아직 해결되지 않았고, 충돌이 자주 일어나고 있다"라고 보도했다.[312]

5. 1. 36. {{국기|카자흐스탄}}

1992년 1월 28일에 수교하였다. 아스타나에 대한민국 대사관이, 알마티에 분관이 개설되어 있다. 서울에 주한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2006년 9월 25일 대한민국의 기업들이 카자흐스탄에서 도로, 철도, 공항, 항만을 세우는 건설 분야에서의 협력을 증진하기로 합의하였음을 한국의 추병직 건설교통부장관이 발표하였다. 이 발표에 따르면, 카자흐스탄의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 행정부는 4천km의 철도와 8천km의 고속도로를 오는 2015년까지 건설하여(Great Bridge 계획) 카스피해 지역에 이르는 교통 인프라를 구축할 예정이다.[387] 모두 121,130명(재외국민 1,588명, 시민권자 119,542명)의 한민족들이 카자흐스탄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한국 기업은 카자흐스탄의 도로·철도·공항·항만 등 교통 인프라 개발 분야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위해 양국 간에 교통 협력 양해 각서가 2006년 9월에 체결되었다. 카자흐스탄 정부는 철도 4000킬로미터와 도로 8000킬로미터를 포함해 카스피해 항만과 공항 등의 교통 인프라를 2015년까지 대대적으로 확충할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325]

대한민국-카자흐스탄 간 항공노선
거점 도시공항
IATA
공항
ICAO
거점 공항
이름
항공사 및 상대국 취항지
서울/인천ICNRKSI인천아시아나항공 (1개): 알마티, 아스타나


5. 1. 37. {{국기|카타르}}

대한민국 정부는 1971년 9월 카타르가 독립하자마자 카타르를 승인, 1974년 4월 18일에 국교를 수립하였다. 도하에 카타르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서울에 주한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1976년부터 대한민국의 건설업체가 진출하였고, 양국은 1984년 4월 경제기술무역협력에 관한 협정, 1999년 4월에 투자보장협정, 외무부 간 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한국인은 대사관 가족을 포함해 모두 2,325명(재외국민 2,325명, 시민권자 0명)의 한민족들이 카타르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대한민국-카타르 간 항공노선
거점 도시공항
서울/인천ICNRKSI인천아시아나항공(1개): 도하


5. 1. 38. {{국기|캄보디아}}

캄보디아는 1970년 3월 18일 노로돔 시아누크가 국가원수직에서 물러남에 따라 북한과의 기존의 외교관계를 단절하고 동년 8월에 한국과 외교 관계를 수립하였다.[388] 1975년 크메르 루즈 집권 이후 한국과 단교되었고[389] 1975년 북한과 재수교하였다. 노로돔 시아누크 국왕이 북한에 망명을 하면서 맺은 친교로 인해 북한에 우호적인 성향을 띠었지만, 민주주의와 입헌 군주제가 부활되고 1993년 훈센 총리가 집권을 하면서 대한민국을 오가면서 한국에 우호적인 성향 또한 많이 나타내었다. 한국과는 20여년간 관계가 단절되었다가, 1996년 주 캄보디아 대표부 설치 및 1997년 10월 30일 국교정상화를 통한 주 캄보디아 대사관 개설을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390]서울에 주한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모두 7,800명(재외국민 7,800명, 시민권자 0명)의 한민족들이 캄보디아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2006년 세계문화엑스포를 11월 21일부터 한국과 공동으로 개최하였다. 이 엑스포에서 노무현 대통령도 참여를 하였으며, 앙드레 김의 특별 패션쇼를 개최하였다.

1993년 훈 센 총리가 한국을 방문했고, 1997년 주캄보디아 대사관이 개설되면서, 현재 한국은 캄보디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국가 중 하나가 되었다. 수도 프놈펜에 42층 높이의 고층 빌딩을 건축하고 있으며, 프놈펜 교외에 20억 달러 규모의 신도시를 건설 중이다.

대한민국-캄보디아 간 항공노선
거점 도시공항
IATA
공항
ICAO
거점 공항
이름
항공사 및 상대국 취항지
서울/인천ICNRKSI인천대한항공(2개) : 씨엠립, 프놈펜
아시아나항공(1개): 씨엠립(앙코르)


5. 1. 39. {{국기|쿠웨이트}}

쿠웨이트대한민국1979년 6월 11일에 외교관계를 수립했으며 쿠웨이트시티에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서울에 주한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1988년 서울에서 열린 하계올림픽에는 선수 및 임원진을 서울 현지에 파견하여 참가하였고 1991년 걸프 전쟁에서는 대한민국군이 다국적군 자격으로 쿠웨이트 현지에 참전하였다. 대한민국의 대(對)쿠웨이트 수출은 3억4891만USD, 쿠웨이트의 대(對)대한민국 수출은 82억5395만USD(각 2021년 12월)에 달하여, 쿠웨이트는 대한민국에 있어서 제76위의 수출국이자 제15위의 수입국이다. 모두 532명(재외국민 521명, 시민권자 11명)의 한민족들이 쿠웨이트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5. 1. 40. {{국기|키르기스스탄}}

키르기스스탄과 한국은 한소수교 이후인 1992년 1월 31일에 수교하였으며[391] 1993년 대전 세계박람회에 CIS공동관 국가로 참여한 적이 있다. 비슈케크에 대한민국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모두 20,229명(재외국민 1,276명, 시민권자 18,953명)의 한민족들이 키르기스스탄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5. 1. 41. {{국기|키프로스}}

한국은 1960년 키프로스를 승인하였으며 1995년 12월 29일에 공식수교하였다.[392] 아테네의 주 그리스 대사관이 주 키프로스 대사관을 겸하고 있으며, 현재 대한민국은 터키계 분단 정부인 북키프로스 문제에 관해서 (남)키프로스 공화국의 입장을 지지하고 있다. 모두 52명(재외국민 36명, 시민권자 16명)의 한민족들이 키프로스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5. 1. 42. {{국기|타지키스탄}}

타지키스탄이 1991년 9월 9일 독립을 선언한 이후, 양국은 1992년 4월 27일에 수교하였다. 1994년 3월에 서건이 초대 대사가 부임하였다.[393] 2008년 2월에 두샨베에 대한민국 대사관이 개설되었다. 2022년 12월 기준, 모두 778명(재외국민 135명, 시민권자 643명)의 한민족들이 타지키스탄에 거주하고 있다.

5. 1. 43. {{국기|태국}}

태국대한민국의 관계는 고려 말에서 조선 초인 14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1391년, 1393년 두 차례에 걸쳐 대한민국(당시 고려, 조선)에 교역사절단을 파견했다. 1394년에는 조선의 사절단이 태국을 방문했다. 그러나 해로에 나타나는 해적 때문에 교류가 중단되었다.[394]

단절된 양국관계는 1950년 태국정부가 3,650명의 태국 젊은이들을 유엔군의 일부로써 한국전쟁에 파견해 대한민국을 지원함으로써 재개되었다. 태국 육군은 129명의 사상자와 1,139명의 부상자를 냈다. 전쟁이 끝난 후에도 대한민국1972년까지 주둔하였다. 1958년 10월 1일에 양국은 수교하였다. 방콕에 대한민국 대사관이, 서울에 주한 태국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대한민국의 대(對)태국 수출은 85억2422만USD, 태국의 대(對)대한민국 수출은 70억1475만USD(각 2021년 12월)에 달하여, 태국은 대한민국에 있어서 제16위의 수출국이자 제20위의 수입국이다. 모두 20,353명(재외국민 20,288명, 시민권자 65명)의 한민족들이 태국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태국을 방문하는 대한민국 국적 관광객이 70만명을 넘어서면서 양국간에 교류와 이해가 증진되고 있다. 태국은 대한민국-태국 비자면제협정에 의거, 관광 및 방문, 행사참여 등 영리 목적으로의 입국이 아닌 경우는 90일 무비자로 입국이 가능하다.[394]

5. 1. 44. {{국기|튀르키예}}

튀르키예는 1949년 8월 13일 대한민국을 공식적으로 승인하였고[395], 1950년 7월에 한국 전쟁 참전을 결정하였다. 튀르키예는 한국 전쟁 시, 미국 다음으로 큰 규모로 파병하였고 희생자도 미군 다음으로 컸다. 한국과 튀르키예는 1957년 3월 8일에 공식 수교하였고, 대한민국의 대(對)튀르키예 수출은 70억2598만USD, 튀르키예의 대(對)대한민국 수출은 12억3712만USD(각 2021년 12월)에 달하여, 튀르키예는 대한민국에 있어서 제17위의 수출국이자 제45위의 수입국이다. 1980년대에 튀르키예는 대한민국일본과 같은 동아시아의 경제 강국과 자동차나 고속 열차같은 운송 장비의 공동 생산에서 전자 제품, 가전 제품, 건설 자재, 군사 설비에 이르기까지 여러 산업 분야에서 점차 협력하기 시작하였다. 모두 2,697명(재외국민 2,697명, 시민권자 0명)의 한민족들이 튀르키예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또한 튀르키예와 대한민국은 형제의 나라라고 부르면서 서로의 동맹과 돈독한 우정을 중요시하고 있었으나 최근 한국 전쟁 때 튀르키예 사병으로 대다수 참전한 튀르키예 쿠르드족 학살문제로 국민 감정이 상당히 나빠졌다. 그러나 2020년대 들어서 튀르키예 축구리그인 쉬페르리그 페네르바흐체 SK김민재가 입단하는 등, 문화교류 자체는 계속 이어지고 있다.

1996년에 한국의 현대로템은 아다나 경전철을 처음 수출한 이후, 10년간 품질 및 납기 등에서 높은 사업 수행 능력으로 튀르키예에서 평가를 받아왔다. 2008년 7월에는 TÜVASAŞ 디젤 동차 84량을 수주하는 등, 현재까지 튀르키예에 7차례에 걸쳐 철도 사업(총 806량, 16억 달러)을 수행하고 있다. 2008년 11월에 현대로템은 튀르키예 교통부 철도 항만 공항 건설 총국이 발주한 1조 원대 규모의 전동차 440량에 대한 최종 공급자로 선정되어 계약을 체결, 창립 이후 최대 규모의 전동차 수주 계약을 확보했음을 밝혔다[326]

2015년7월 11일, 튀르키예 이스탄불에서 중국 정부신장 위구르 자치구위구르족에 대해 라마단 의식을 제한했다는 보도에 촉발된 민족주의자 행동당을 지지하는 단체가 반중 시위를 일으켰는데, 이 과정에서 한국인 관광객을 중국인으로 오인하여 폭행하는 사건이 있었다[327]。 이에 대해 민족주의자 행동당의 당수인 데블레트 바흐첼리는 사건을 옹호하며, "한국인과 중국인이 뭐가 다르냐? 그들은 모두 찢어진 을 가지고 있다"라고 말했다[327]

5. 1. 45. {{국기|투르크메니스탄}}

투르크메니스탄과 한국은 1992년 2월 7일 수교하였으며 1993년 대전 세계박람회에서 CIS(독립국가연합) 공동관 국가로 참여하였다. 아시가바트에 대한민국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2022년 12월 기준 모두 687명(재외국민 28명, 시민권자 659명)의 한민족들이 투르크메니스탄에 거주하고 있다.

5. 1. 46. {{국기|파키스탄}}

파키스탄과 대한민국은 1968년 영사 관계를 맺고, 1983년 11월 7일에 공식 외교관계를 수립하였다. 양국은 이때 각각 오재희 주(駐) 파키스탄 총영사와 자베드 마수드 주한(駐韓) 파키스탄 총영사를 각각 대사대리로 임명하였다.[396] 이슬라마바드에 대한민국 대사관이, 카라치에 분관이 개설되어 있다. 서울에 주한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모두 879명(재외국민 879명, 시민권자 0명)의 한민족들이 파키스탄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5. 1. 47. {{국기|팔레스타인}}

공식적인 외교 관계는 없지만, 팔레스타인 라말라에 대한민국 대표 사무소가 개설되어 있다. 대한민국 측은 팔레스타인의 독립 국가 지위를 불인정하고 있다. 대한민국이 이스라엘과 대외관계가 상당히 우호적인 국가라서 팔레스타인과 대외관계는 상당히 나쁘다.

5. 1. 48. {{국기|필리핀}}

1949년 3월 3일 외교 관계 수립 이후, 필리핀과 대한민국 간의 관계는 발전해 왔다. 필리핀은 대한민국을 외교적으로 승인한 최초의 국가 중 하나였다. 이는 필리핀 정부가 1950년대 한국 전쟁 동안 공산주의 북한의 남침에 맞서 대한민국을 돕기 위해 필리핀 한국 파병 부대 (PEFTOK)를 파견하면서 굳건해졌다. 전쟁 이후, 필리핀은 대한민국에 개발 지원을 제공하고 국가 재건을 도왔다.

그 이후, 필리핀과 한국의 관계는 발전해 왔으며, 한국은 미국, 중국, 일본과 더불어 필리핀의 가장 중요한 양자 파트너 중 하나가 되었다. 필리핀 정부는 한국의 국가 내 입지가 증가함에 따라 한국과의 전략적 관계를 구축하고자 한다. 필리핀은 향후 수 년 동안 한국으로부터 전례 없는 기회를 모색하여 국가의 무역 및 경제, 국방 및 안보, 사회 및 문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한다.

필리핀과 대한민국은 1949년 3월에 수교했다. 6.25 전쟁 당시에는 유엔군의 일원으로서 참전하여 필리핀군을 파병했다. 1954년 1월과 11월에 각각 마닐라와 서울에 공사관이 설치되었고, 1958년 2월에는 대사관으로 승격되었다. 필리핀은 동남아시아 국가 중 냉전 시대에 한국 정부를 적극적으로 지지해 온 전통적인 우방이다. 필리핀은 한국의 IAEA 이사국 피선(1987년 9월), WTO 서태평양 사무총장 피선(1988년 9월), 남북한의 유엔 동시 가입(제46차 유엔 총회), 1996년도 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 비상임 이사국 진입 등을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협력했다. 황장엽 전 조선 노동당 비서가 탈북했을 때에도 필리핀 정부의 적극적인 협력이 있었다.

한편, 영어 어학 연수를 위해 필리핀으로 간 한국인 유학생 등이 필리핀 여성에게 불법 매춘, 변태적인 성행위, 폭력 행위를 하거나, 낳은 아이를 유기하고 한국으로 귀국하는 등 사회 문제가 발생하여, 한국인은 필리핀인으로부터 좋지 않은 시선을 받고 있다. 이러한 아이들을 코피노라고 부른다.

5. 2. 유럽

1950년 6월 25일에 발발한 한국 전쟁 이전에, 대한민국을 승인하고 지지한 서유럽 제국은 영국, 프랑스 외에 바티칸 시국(1949년 4월 13일), 네덜란드(1949년 7월 25일), 그리스(1949년 8월 4일), 벨기에(1949년 8월 15일), 룩셈부르크(1949년 8월 29일), 아이슬란드(1950년 2월 12일)였다.

대체로 한국과 서유럽 제국과의 외교 관계는 두 시기로 구분된다. 1기는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건국부터 한국 전쟁을 거친 1960년대 이전의 창시 시기, 2기는 외교 관계의 성장 발전기라고 할 수 있는 1960년대 이후라고 할 수 있다.

서유럽 제국 중에서도 조선 시대부터 우호 관계를 맺어온 나라는 영국과 프랑스였다. 양국은 한국 전쟁에 국제 연합군의 일원으로서 참전하여 영국군, 프랑스군을 파병, 군사·경제 지원 등을 통해 한국에 매우 큰 공헌을 했을 뿐만 아니라, 국제 연합을 포함한 다른 많은 국제기구에서의 활동을 통해 한국의 지위 향상·보전 및 우호 증진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양국은 한국의 대서유럽 제국 관계사에서 중추적인 존재이며, 전통적으로 대서유럽 외교 전개의 두 주요 거점 국가라고 할 수 있다.

한국이 서유럽 제국과 국교를 수립한 연도별 순위를 보면,

: 1949년 - 영국, 프랑스

: 1950년 - 스페인

: 1955년 - 서독

: 1956년 - 이탈리아

: 1959년 -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

: 1961년 - 벨기에, 그리스, 네덜란드, 포르투갈

: 1962년 - 아이슬란드, 스위스, 룩셈부르크

: 1963년 - 오스트리아, 바티칸

: 1965년 - 몰타

: 1973년 - 핀란드

: 1983년 - 아일랜드

의 순서이다.

1989년에 동유럽 국가 중 처음으로 헝가리와 국교를 수립한 것을 시작으로, 같은 해에 폴란드유고슬라비아와도 국교를 수립했다. 한국은 그 후에도,

: 1990년 - 소련, 루마니아, 불가리아

: 1991년 -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우크라이나, 알바니아

: 1992년 - 벨라루스, 몰도바,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

: 1993년 - 체코, 슬로바키아

: 1995년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와 같이, 구 공산권 국가와도 잇따라 국교를 수립했다.

특히 서독과는 상표·기술·비자 면제·경제·재정·무역 협정 등 각종 협정이 1961년 이후에 체결되었고, 국가 원수로서 박정희 대통령이 1964년 12월에 80년 이상에 걸친 독일-한국 관계 역사상 처음으로 서독을 공식 방문했으며, 뤼프케 대통령이 그 답례로 1967년 3월에 한국을 방문한 것 등에서도 볼 수 있듯이, 1960년대 이후의 대서유럽 제국 관계에서 독한 관계가 다른 모든 서유럽 국가보다 매우 긴밀한 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다. 한국 외교의 전체적인 모습을 볼 때, 서독은 미국, 일본 다음으로 한국과 밀접한 유대 관계를 형성·구축해 왔다고 평가할 수 있다.

무엇보다 1970년대 이후부터는 중립국 외교의 확대·증진, 경제 외교 활동을 통해 협력국을 모색하고, 적극적이고 전진적인 노력을 기울이며, 통상·무역 정책상의 과감한 행동 반경 및 진폭의 증대를 시도하는 등, 한국의 외교 자세는 이전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유연성을 가지고 전개되었다. 이러한 방향 전환이 시사하는 바와 같이, 한국 외교는 장래적으로 서유럽 제국뿐만 아니라, 과거에는 "철의 장막"을 사이에 두고 긴장 관계에 있던, 러시아를 포함한 동유럽 제국과도 항구적인 우호 관계의 수립을 모색해야 할 필요가 있다. 간략히 말하면, 오늘의 시대적 배경에 역행하지 않는 현실 적응적·전진적 자세 속의 자주적 다원 외교야말로 한국의 생존과 번영, 국제 사회에서의 일원으로서의 책임 완수를 위해 필요불가결한 요체라고 할 수 있다. 미래의 한국 외교는 서유럽 제국과의 관계에 국한된 시야가 아니라, 세계 외교의 소용돌이 속에서 건설적이고 전진적인 역할을 남김없이 수행할 수 있는 기초를 만들어나가야 한다고 할 수 있다.[397]

유럽 연합(EU)과 대한민국은 중요한 교역 상대국이며, 2006년 대한민국이 우선적인 자유 무역 협정 파트너로 지정된 이후 여러 해 동안 자유 무역 협정을 협상해 왔다. 자유 무역 협정이탈리아자유 무역 협정에 대한 거부권을 조건부로 철회한 후 2010년 9월에 승인되었다.[44] 이탈리아의 타협안은 자유 무역 협정이 2011년 7월 1일부터 잠정적으로 발효된다는 것이었다. 대한민국은 EU의 8번째로 큰 무역 파트너이며, EU는 대한민국의 두 번째로 큰 수출 대상이 되었다. EU와 대한민국의 교역 규모는 2008년에 650억 유로를 초과했으며, 2004년에서 2008년 사이에 연평균 7.5%의 성장률을 기록했다.[45]

EU는 1962년 이후 대한민국에 단일 최대 외국인 투자국이었으며, 2006년 대한민국의 전체 외국인 직접 투자 유입액의 거의 45%를 차지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EU 기업들은 엄격한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표준 및 테스트 요구 사항으로 인해 한국 시장에 접근하고 운영하는 데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는 종종 무역 장벽을 만든다. EU는 대한민국과의 정기적인 양자 간 접촉과 자유 무역 협정을 통해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고자 노력하고 있다.[45]

5. 2. 1. {{국기|그리스}}

1949년 8월 대한민국한반도의 유일한 합법국가로 승인한 이래 한국전쟁 참전 우방국(전투병력 5219명 참전, 수송기 7대 파견)으로서 국제무대에서 대한민국을 적극 지지하는 등 전통적인 우호관계를 유지해오고 있다. 1961년 4월 5일에 정식으로 수교하고[398] 아테네에 대한민국 대사관(주 알바니아, 주 키프로스 대사관 겸임)이 개설되어 있다. 서울에 주한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대한민국의 대(對)그리스 수출은 20억2990만USD, 그리스의 대(對)대한민국 수출은 13억879만USD(각 2021년 12월)에 달하여, 그리스는 대한민국에 있어서 제35위의 수출국이자 제44위의 수입국이다. 최근 그리스가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對그리스 교역량이 크게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모두 301명(재외국민 260명, 시민권자 41명)의 한민족들이 그리스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5. 2. 2. {{국기|네덜란드}}

조선 시대에 벨테브레가 풍랑을 만나 제주도에 들어온 일[341], 헨드릭 하멜도 풍랑을 만나 제주도에 도착한 일 등으로 대한민국과 처음으로 만나게 된 유럽 국가이다. 네덜란드는 1949년 7월 25일, 대한민국한반도의 유일한 합법 정부로 승인하였으며, 한국 전쟁 때에는 유엔군의 일원으로 참전해 대한민국을 지원하였다. (보병 1개 대대, 군함 1척) 1961년 4월 4일에 수교하였다. 헤이그에 대한민국 대사관(주 헤이그 국제기구 대표부 겸임)이 개설되어 있다. 서울에 주한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대한민국의 대(對)네덜란드 수출은 58억1086만USD, 네덜란드의 대(對)대한민국 수출은 91억6308만USD(각 2021년 12월)에 달하여, 네덜란드는 대한민국에 있어서 제21위의 수출국이자 제14위의 수입국이다. 모두 9,398명(재외국민 4,126명, 시민권자 5,272명)의 한민족들이 네덜란드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네덜란드는 유럽 국가 중 최초로 한국에 투자한 국가이기도 하며, 아시아 통화 위기 당시에도 필립스 등 네덜란드 기업은 한국에서 철수하지 않았다. 2002년 FIFA 월드컵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감독으로 네덜란드인인 거스 히딩크가 취임한 것과 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이 지역 예선에서 탈락한 것 등으로 인해 네덜란드 국민의 많은 수가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을 응원하게 되어 양국의 거리는 더욱 가까워졌다.

5. 2. 3. {{국기|노르웨이}}

노르웨이는 한국 전쟁 때 UN군으로 참전하여 야전병원 등의 의료지원을 하였다. 양국은 1959년 3월 2일 수교하였다. 1959년 5월 20일, 주노르웨이 초대 공사 김유택이 올라프 5세 왕에게 신임장을 제정하였다.[399] 2000년 김대중 대통령이 노벨 평화상 수상을 위해 노르웨이를 방문하였다. 오슬로에 대한민국 대사관(주 아이슬란드 대사관을 겸임)이 개설되어 있고, 서울에 주한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모두 6,670명(재외국민 1,452명, 시민권자 5,218명)의 한민족들이 노르웨이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5. 2. 4. {{국기|덴마크}}

덴마크는 한국 전쟁 때 대한민국에 병원선 유틀란디아호로 의료 지원을 했다.[342] 전쟁이 끝나고 병원선의 의료 기자재를 한국에 기증하고 한국에 국립의료원을 설립하여 한국의 의료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342] 1959년 3월 11일에 한국과 덴마크는 정식으로 수교하였다. 코펜하겐에 대한민국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서울에 주한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2011년 5월 13일 비안보분야 동맹으로는 처음으로 녹색 성장 동맹을 체결했다.[342]대한민국 지식경제부와 덴마크 기후에너지부 간의 녹색성장협력 양해각서를 비롯해 정부와 기업간 친환경사업과 녹색기술협력 분야에서 9개의 양해각서도 체결하였다.[342] 현대자동차·기아와 코펜하겐 시청 간의 수소 연료 전지 자동차 협력 MOU, 삼성물산과 단포스 간의 건축 부문 녹색 기술 협력 MOU 등 9개의 MOU를 체결했다. 모두 8,844명(재외국민 768명, 시민권자 8,076명)의 한민족들이 덴마크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또한 2007년 기준으로 덴마크에는 약 9,000명의 한국 입양인이 있다. 한국 대사관, KOTRA, 한인교회, 한국센터, 한글학교가 있고 정한친선협회, 유틀란트 모임, 코리안 클럽, 한인회가 있다.

5. 2. 5. {{국기|독일}}

독일과 한국은 1883년 11월 26일[400] 독일전권대신 주(駐)요코하마 독일총영사 에드워드 잡페(Edward Zappe)와 조선전권대신 민영목간에 통상조약을 체결하면서 외교관계를 맺었다가 경술국치로 불가피하게 끊어졌다. 대한민국은 서독간의 외교관계는 1955년 12월 1일[384] 정상화되었다. 베를린에 대한민국 대사관이, 프랑크푸르트, 함부르크에 각 총영사관이, 에 분관이 개설되어 있다. 서울에 주한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이후 서독은 대한민국의 경제발전에 많은 지원을 해 주었다. 대한민국의 대(對)독일 수출은 111억989만USD, 독일의 대(對)대한민국 수출은 219억9634만USD(각 2021년 12월)에 달하여, 독일은 대한민국에 있어서 제10위의 수출국이자 제8위의 수입국이다. 모두 49,683명(재외국민 38,475명, 시민권자 11,208명)의 한민족들이 독일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2020년 7월, 베를린 왕궁 전시 공간 계획에서 한국관의 면적이 중국관과 일본관의 10분의 1 크기인 60제곱미터에 불과하다는 것이 알려지자, 대한민국 미디어인 『국민일보』에서 "대한민국·종속국…독일 대표 박물관의 터무니없는 왜곡", "대한민국의 고대 문화를 바라보는 박물관 측의 왜곡된 인식"이라고 비판했다.[344] 결정의 근저에는 독일인의 한국에 대한 "조선유사(有史) 이래 19세기까지 종속국이었고, 1905년부터는 일본식민지였기 때문에 고대 문화가 빈약하며, 중국일본과 달리 볼품없어서 전시할 가치가 없다"는 인식이 있다.[344] 게다가 한국관은 중국관과 일본관 사이에 작게 배치되어 있으며, 특히 중국관 내 한쪽에 배치된 것은 대한민국이 중국의 변방 문화에 지나지 않는다는 독일인의 인식이 있기 때문이다.[344][343] 확보한 중국일본의 전시품은 수천 점에 이르지만, 대한민국의 유물은 예산 문제로 160점에 불과하며, 실제로 현지 한국인 예술계 관계자는 "온라인 워크숍을 참관한 결과, 한국관 전시 담당 큐레이터가 '대한민국16세기부터 1945년까지 중국일본종속국 또는 식민지였기 때문에 고대 유물이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현대 설치 미술을 전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344]

5. 2. 6. {{국기|라트비아}}

라트비아와 대한민국은 1991년 10월 22일 수교하였다. 스톡홀름의 주 스웨덴 대한민국 대사관이 주 라트비아 대사관을 겸임하며, 주 일본 라트비아 대사관이 주한 대사관을 겸임한다. 2022년 12월 기준으로 모두 47명(재외국민 45명, 시민권자 2명)의 한민족들이 라트비아에 거주하고 있다.

5. 2. 7. {{국기|러시아}}

대한민국과의 관계는 처음부터 소련과 적대적인 관계였고, 한국 전쟁에 소련이 간접적으로 지원한 것이 알려지면서, 양국간 적대관계는 심화되었다. 하지만 고르바초프가 등장하면서 대한민국과의 관계는 해빙기를 맞이했다.[401][402]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는 소련대표팀이 참가하여 소련이 금메달 55개로 종합 1위를 차지하였다. 1990년 9월 30일에는 한·소 수교가 이루어졌고, 소련 해체 이후에도 러시아와 외교관계를 줄곧 유지하고 있었으나,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러시아가 대한민국, 대만, 일본, 미국, 유럽 국가 등의 자유민주주의 체제를 가진 국가들을 비우호 국가 목록에 올리면서 최근 관계가 나빠졌다.

한국의 이명박 대통령과 러시아의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대통령


1991년 소련의 급속한 해체가 이루어지면서 대한민국은 러시아 연방 등 옛 소련을 구성했던 11개 공화국을 각각 독립된 주권 국가로 승인하는 동시에 러시아를 소련의 법통을 공식적으로 계승한 국가로 승인하였다. 이에 따라 주한 소련 대사관은 러시아 대사관으로 명칭이 바뀌었으며, 1992년 11월 18일 한·러 기본관계조약을 체결하였다. 또한 러시아 정부는 대한민국 정부측에 한국전쟁과 KAL기 격추사건 등 과거문제에 대한 사과를 표명했다. 2004년 9월 한·러 공동선언을 통해 양국 관계는 ‘상호 신뢰하는 포괄적인 동반자 관계’로 격상되었다. 모스크바에 대한민국 대사관(주 아르메니아 대사관 겸임)이, 블라디보스토크, 상트페테르부르크, 이르쿠츠크에 각 총영사관이, 유즈노사할린스크에 출장소가 개설되어 있다. 서울에 주한 러시아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고, 부산에는 총영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1980년대 노태우 대통령의 북방 외교와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신사고"는 모두 양국의 최근 역사를 바꾸려는 시도였다. 고르바초프는 1986년 7월 블라디보스토크 연설과 1988년 8월 크라스노야르스크 연설에서 설명했듯이,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모든 국가와의 관계 개선에 대한 소련의 관심을 표명했다.

북방 외교를 시작하면서 노태우 대통령의 비밀 외교 정책 고문이 소련 정책 입안자들과 상의하기 위해 러시아 모스크바를 방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영삼은 1989년 6월 2일부터 6월 10일까지 러시아 연방의 모스크바를 방문했으며, 크렘린은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소련 사할린 섬에 있던 약 30만 명의 소련-한국인들이 영구적으로 한국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허용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모스크바는 심지어 김영삼의 소련 주재 북한 대사와의 만남도 주선했다. 1990년 6월, 노태우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고르바초프 대통령과 첫 정상회담을 가졌다.

한국과 소련은 1990년 9월 30일에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 이러한 관계는 1991년 12월 27일 러시아 연방에 의해 계속되었다. 러시아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은 2001년 2월 서울을 방문했으며, 노무현 한국 대통령은 2004년 9월 러시아 모스크바를 방문했다.[37][38]

러시아 연방 우주청과 한국 우주인 배출 프로그램은 한국 최초의 우주인 발사를 위해 협력했다. 이소연은 2008년 4월 8일 소유즈 TMA-12가 바이코누르 우주 기지에서 발사되면서 한국 최초의 우주인이자 세 번째 여성 우주인이 되었다.[39]

1990년대 이후 러시아 연방과 한국 간의 무역 및 협력이 증가했다. 2003년 한국과 러시아 간의 총 무역 규모는 42억 미국 달러였다.[40]

1948년8월 15일 대한민국 건국 당시부터 동서 냉전의 맥락 속에서 소련과의 관계는 적대적이었으며, 1950년 6월 25일에 발발한 한국 전쟁에 소련이 간접적으로 참가하면서 양국의 관계는 더욱 악화되었다. 그 후에도 1978년1983년에 각각 대한항공기를 총격・격추한 사건이 일어나는 등, 그 관계는 항상 긴장 상태에 있었다.

그러나 1988년에 취임한 노태우 대통령에 의한 "북방 외교"가 전개된 것과, 소련 측에서도 "신사고 외교"를 내세운 고르바초프서기장이 등장하면서, 양국 관계는 해빙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1988년서울 올림픽에는 대표 선수단을 파견하여 55개의 금메달을 획득하여 종합 1위를 차지했다. 1990년에 양국은 국교를 수립했다.

1991년 12월의 소련 붕괴에 따라, 대한민국 정부는 러시아 연방 등 옛 소련을 구성했던 11개의 공화국을 각각 독립된 주권 국가로 승인했고, 동시에 러시아를 소련의 정식 계승 국가로 승인했다. 이로 인해, 주한 소련 대사관은 러시아 대사관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1992년11월 18일에 한-러 기본 관계 조약이 체결되었다. 러시아 정부도 대한민국 정부에 한국 전쟁과 대한항공기 격추 사건에 대해 사죄의 뜻을 표명했다. 2004년 9월에 한-러 공동 선언을 통해, 양국 관계는 "상호 신뢰하는 포괄적인 파트너 관계"로 격상되었다.

주러시아 대한민국 대사관은 모스크바에 개설되어 있으며, 주아르메니아 대사관도 겸임하고 있다. 또한, 블라디보스토크・상트페테르부르크・이르쿠츠크에 총영사관, 유즈노사할린스크에는 분관이 각각 개설되어 있다. 러시아는 서울에 대사관, 부산에 총영사관을 개설하고 있다.

2010년 시점에서, 양국의 교역량은 176억 5천만 미국 달러이며, 대러 수출은 77억 6천만 미국 달러, 수입은 98억 9천만 미국 달러이다. 주요 수출 품목은 자동차 및 부품류, 전자 기기, 플라스틱 등이며, 주요 수입 품목은 석유, 석탄, 천연 가스 등 에너지 자원과 철강, 니켈, 목재 등 원자재 제품 등이다.

대한민국의 대(對)러시아 수출은 99억7954만USD, 러시아의 대(對)대한민국 수출은 173억5669만USD(각 2021년 12월)에 달하여, 러시아는 대한민국에 있어서 제12위의 수출국이자 제9위의 수입국이다. 주요 수출 품목은 자동차 및 부품류, 전자기기, 플라스틱 등이며, 주요 수입 품목은 석유, 석탄, 가스 등 에너지 자원과 철강, 니켈, 목재 등 원자재 제품 등이다. 모두 124,811명(재외국민 3,623명, 시민권자 121,188명)의 한민족들이 러시아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5. 2. 8. {{국기|루마니아}}

1948년에서 1989년까지는 북한과만 단독수교하였다. 대한민국과는 1988년 하계 올림픽 참가한 이후 1990년 3월 30일에 수교하였다. 부쿠레슈티에 대한민국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서울에 주한 루마니아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1994년 3월 1일 전(前) 일리에스쿠 대통령, 2001년 외무장관·상원의장, 2005년 바세스쿠 대통령이 대한민국을 방문하여 강한 우호 관계가 유지되고 있다. 대한민국과 1990년 체육교류협정·무역협정·경제과학기술협정·투자보장협정, 1991년 항공협정·문화협정, 1993년 이중과세방지협정·비자면제협정, 1996년 일반사증면제협정, 1997년 투자보장협정 개정 각서, 항공협정 등을 체결하였다.

대한민국의 대(對)루마니아 수출은 5억8805만USD, 루마니아의 대(對)대한민국 수출은 6억2742만USD(각 2021년 12월)에 달하여, 루마니아는 대한민국에 있어서 제63위의 수출국이자 제59위의 수입국이다. 수출품은 수송기계, 산업용전자제품, 철강제품, 기초산업기계이며 수입품은 농산물(밀, 옥수수), 철강제품, 기초산업기계, 섬유제품 등이다. 모두 309명(재외국민 309명, 시민권자 0명)의 한민족들이 루마니아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5. 2. 9. {{국기|룩셈부르크}}

룩셈부르크는 1949년에 대한민국을 승인하고, 한국 전쟁 참전국으로 UN군으로 참전하여 44명의 병력을 파병하였다.[384] 1962년 3월 16일 대한민국과 수교하였으며 해운협정(1987년)과 항공협정(2003년)을 체결하였다.[384] 브뤼셀에 있는 주 벨기에 대사관이 주 룩셈부르크 대사관을 겸하고 있다. 서울특별시 중구에 룩셈부르크 대사관이 위치해 있다. 2022년 12월 기준으로 모두 846명(재외국민 193명, 시민권자 653명)의 한민족들이 룩셈부르크에 거주하고 있다.

5. 2. 10. {{국기|리투아니아}}

리투아니아는 구 소련으로부터 독립하게 된 1991년 10월 14일에 한국과 외교관계를 수립하였으며 1993년 투자 상호증진을 위한 협정을 체결하였다. 바르샤바의 주 폴란드 대사관이 주 리투아니아 대사관을 겸하고 있다. 모두 76명(재외국민 72명, 시민권자 4명)의 한민족들이 리투아니아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5. 2. 11. {{국기|리히텐슈타인}}

리히텐슈타인은 대한민국과 1993년 3월 1일 공식적으로 외교관계를 수립했으며 주 스위스대사관이 겸임하고 있다. 국제사회상에서는 대한민국의 입장을 지지하고 있다. 1988년 서울올림픽때는 외교관계가 없었지만 IOC 정회원국으로서 선수 및 임원단을 서울에 파견하였다. 모두 3명(재외국민 2명, 시민권자 1명)의 한민족들이 리히텐슈타인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5. 2. 12. {{국기|모나코}}

모나코2007년 3월에 대한민국과 수교했다.[403] 파리의 주 프랑스 대사관이 겸임한다. 2022년 12월 기준으로 모두 6명(재외국민 6명, 시민권자 0명)의 한민족들이 모나코에 거주하고 있다.

5. 2. 13. {{국기|몬테네그로}}

대한민국은 2006년 6월 21일에 몬테네그로가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가연합의 헌법 및 국내법에 의거하여 합법적인 국민투표 결과에 따라 독립하게 된 것을 승인했으며, 완전한 분리독립국가로 승인하였다. 2006년 9월 4일에 수교하였고, 주 세르비아 대한민국 대사관이 겸임하고 있다. 2022년 12월 기준 모두 3명(재외국민 2명, 시민권자 1명)의 한민족들이 몬테네그로에 거주하고 있다. 2005년 몬테네그로부터의 입국자는 48명이며 출국자는 24명이다.

5. 2. 14. {{국기|몰도바}}

대한민국과 몰도바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보다 하루 늦은 1992년 1월 31일에 수교하였으며,[404]우크라이나 대사관이 겸임하고 있다. 2022년 12월 기준으로 몰도바에는 총 81명(재외국민 21명, 시민권자 60명)의 한민족들이 거주하고 있다.

5. 2. 15. {{국기|몰타}}

몰타는 한국과 1965년 4월에 처음 외교관계를 체결하였으나, 1971년 9월에 노동당 정부가 집권하면서 대한 외교관계가 동결되었고, 1987년 5월에 국민당 정부로 정권이 교체된 후 1988년 1월에 비로소 양국관계가 정상화되었다. 로마의 주 이탈리아 대사관이 주 몰타 대사관을 겸하고, 주 중국 몰타 대사관이 주한 대사관을 겸한다. 대한민국의 대(對)몰타 수출은 6억5969만USD, 몰타의 대(對)대한민국 수출은 9596만USD(각 2017년 12월)에 달하여, 몰타는 대한민국에 있어서 제62위의 수출국이자 제88위의 수입국이다. 모두 133명(재외국민 133명, 시민권자 0명)의 한민족들이 몰타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5. 2. 16. {{국기|바티칸 시국}}

교황청1831년 9월 9일 교황 그레고리오 16세로마 가톨릭교회 조선 교구를 설정하면서 한반도 지역과 정식으로 접촉하게 되었다. 1919년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의 교황사절이 한국의 교황사절을 겸임하였으며, 광복 후 1947년에 고유한 교황사절이 최초로 파견되었다. 교황청은 1949년 4월에 대한민국을 한반도의 유일한 합법정부로 승인하였으며, 1963년 12월 11일 대한민국과 정식 외교관계를 수립함으로써 교황공사관이 설치되었다. 이것이 1966년 9월에 교황대사관으로 승격되었으며, 1974년 4월에 대한민국은 주 교황청 상주대사관을 개설했다. 서울에도 주한 교황청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1983년1989년에는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대한민국을 방문하였다.

교황청이 발간한 2011년판 교회통계연감에 따르면, 현재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신자 수는 503만 5천명(전체 인구의 10.1%)으로, 세계 227개 국가에서 45번째이며, 아시아에서는 5번째로 신자가 많다. 대한민국 교회가 교황청에 보내는 분담금은 세계 7위, 교황주일 헌금은 8위이며, 납부금 총액은 전체 9위이다. 이는 아시아 교회에서는 가장 높은 수치로, 대한민국은 아시아 국가 중 유일하게 10위 안에 포함된다.

2009년도 한국 가톨릭교회 통계 지표에 따르면, 추기경 1명을 포함한 주교가 30명, 추기경 및 주교를 제외한 교구 소속 신부는 3608명, 수도회 소속 신부는 617명, 선교회 소속 신부는 148명, 부제는 138명이다. 대신학생 수는 1399명이다. 수사는 1555명, 수녀는 1만 73명이다. 본당은 1571개소, 공소는 1017개소이다. 대한민국의 가톨릭 신자수는 2000년에 400만 명을 넘어선 이후 해마다 2~3%씩 꾸준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2014년에는 교황 프란치스코가 대한민국을 방문하였다.

5. 2. 17. {{국기|벨기에}}

벨기에는 1901년 3월 23일에 대한제국과 우호통상조약과 함께 수교하였으나, 일본의 개입으로 1905년에 단교되었다.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함께 한국을 한반도의 유일한 합법 정부로 승인하고,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대한민국을 지원하였다. 양국은 1961년 5월 2일에 국교가 정상화되었고[405], 브뤼셀에 대한민국 대사관(주 룩셈부르크 대사관, 주 유럽연합 대표부 겸임)이 개설되어 있다. 서울에 주한 벨기에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대한민국의 대(對)벨기에 수출은 27억9532만USD, 벨기에의 대(對)대한민국 수출은 12억7346만USD(각 2017년 12월)에 달하여, 벨기에는 대한민국에 있어서 제30위의 수출국이자 제38위의 수입국이다. 모두 5,221명(재외국민 1,135명, 시민권자 4,086명)의 한민족들이 벨기에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5. 2. 18. {{국기|벨라루스}}

벨라루스는 독립 이후 1992년 2월 10일 대한민국과 수교하였다. 민스크에 대한민국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2022년 12월 기준으로 모두 454명(재외국민 54명, 시민권자 400명)의 한민족들이 벨라루스에 거주하고 있다.

5. 2. 19. {{국기|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1995년 12월 15일에 대한민국과 수교하였다. 주 크로아티아 대사관이 겸임한다. 2022년 12월 기준으로 모두 11명(재외국민 11명, 시민권자 0명)의 한국 교민들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 거주하고 있다.

5. 2. 20. {{국기|북마케도니아}}

대한민국은 1991년에 건국된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독립을 승인했지만, 국교는 수립하지 않았다. 마케도니아 공화국 측은 대한민국과의 국교 수립을 희망했지만, 국명 문제로 인접국인 그리스와 대립하고 있었다. 대한민국에게 그리스는 한국 전쟁[346] 이후의 우방국이었기 때문에, 대한민국 측이 적극적으로 국교 수립을 추진하지 않았다고 여겨졌다[347]. 그러나 2019년에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북마케도니아로 국명을 변경하고, 그리스와 화해한 것을 계기로 2019년 7월 18일자로 한국과 북마케도니아는 국교를 수립했다[348].

2019년 7월 18일에 대한민국과 수교하였다. 소피아의 주 불가리아 대한민국 대사관에서 북마케도니아에 대한 외교 업무를 관할하고 있다. 모두 13명(재외국민 11명, 시민권자 2명)의 한민족들이 북마케도니아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5. 2. 21. {{국기|불가리아}}

불가리아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전통적으로 우방 관계를 유지하여 왔다. 대한민국과는 1980년대 후반부터 소련의 개방·개혁 추진에 따른 불가리아의 대(對) 대한민국과의 관계 개선 의지와 대한민국의 북방정책으로 급속히 관계가 개선되었고 1990년 3월 23일 외교 관계를 수립하였다. 서울특별시에서 열린 1988년 하계 올림픽이 끝난 이후 그해 11월에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와 불가리아 상공회의소는 상호 무역 사무소 개설에 합의하였으며, 1989년 4월에는 소피아에 7월에는 서울특별시에 양국 무역 사무소가 설치되었다. 1990년 경제 과학 기술 협력 협정, 1994년 문화 협정, 1995년 항공 협정·이중 과세 방지 협정, 1996년 무역 협정을 체결하였다. 불가리아에 진출한 대한민국 기업으로는 삼성물산, LG전자, 대우, 현대중공업, (주)아이피에스 등이 있다. 소피아에 대사관(대 북마케도니아 외교 업무 겸임)이 개설되어 있다. 서울특별시에 주한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모두 224명(재외국민 221명, 시민권자 3명)의 한민족들이 불가리아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5. 2. 22. {{국기|산마리노}}

산마리노와 한국은 2000년 9월 25일에 수교하였으며 주 이탈리아 한국대사관이 겸임하고 있다. 2022년 12월 기준으로 모두 1명(재외국민 0명, 시민권자 1명)의 한민족들이 산마리노에 거주하고 있다.

5. 2. 23. {{국기|세르비아}}

유고슬라비아 시절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만 수교하고 있었으며 1950년 한국 전쟁 때는 친소(親蘇) 노선으로 인하여 UN의 대한(對韓)지원에 UN 비상임이사국으로서 기권의사를 밝힌 적이 있었다. 1989년 12월 27일에 비로소 대한민국과 공식수교하였다. 그러나 1993년 유고사태 악화로 관계가 소원해져 주 유고 한국대사관이 철수 및 폐쇄하여 주 루마니아 한국대사관이 겸임하였다가, 2002년 베오그라드에 주세르비아-몬테네그로 한국대사관(현재 주 세르비아 대사관)을 재설치하였다. 세르비아도 한국에서 주한대사관을 철수 및 폐쇄하고 주일본대사관이 겸임하였다가 2004년 주한국대사관을 재설치하였다. 모두 145명(재외국민 145명, 시민권자 0명)의 한민족들이 세르비아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5. 2. 24. {{국기|스웨덴}}

스웨덴은 한국과 1959년 3월 11일에 수교하였다. 스웨덴은 한국 전쟁 때 연합군의 일원으로서 야전병원선을 파견하였다. 대한민국은 스톡홀름(주 라트비아 대사관 겸임)에, 스웨덴은 서울에 각각 대사관을 두고 있다. 2022년 12월 기준으로 모두 12,986명(재외국민 1,871명, 시민권자 11,115명)의 한민족들이 스웨덴에 거주하고 있다.

5. 2. 25. {{국기|스위스}}

스위스는 영세중립국으로서, 대한민국과는 1962년 12월 19일에 수교하였다.[406] 1957년 7월 22일 주(駐)제네바 국제기구 및 유엔 구주 사무소 대표부를 설치한데 이어, 1962년 12월 19일, 양국은 외교관계 수립에 관한 합의하였다. 1963년 3월 29일 이한빈 초대 주스위스 한국 대사의 신임장 제정되고, 베른에 상주공관(주 리히텐슈타인 대사관을 겸임)이 설치되었다. 서울에 주한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1965년 1월 28일 장 드 람(Jean de RHAM) 주한 겸임 스위스 대사의 신임장이 제정되었다.[407] 한국과 항공협정, 공업협정, 사증면제협정, 이중과세방지협정 등을 체결하였다. 모두 4,109명(재외국민 2,183명, 시민권자 1,926명)의 한민족들이 스위스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스위스의 태권도 인구는 4만5천여명(1999)이며 언론의 호응을 얻어 "태권도"라는 한국어도 어느 정도 알려져 있다. 최홍희의 제자들의 활동으로 스위스에서는 북한식 태권도가 주류를 이루었었다.[408] 최근 2016년 대북제재에 가담하여 우리나라와 우방의 관계를 가진다.

대한민국-스위스 간 항공노선
거점 도시공항
IATA
공항
ICAO
거점 공항
이름
항공사 및 상대국 취항지
서울/인천ICNRKSI인천대한항공(1개) : 취리히


5. 2. 26. {{국기|스페인}}

스페인과 한국은 1950년 3월 17일 수교한 이래 외교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384] 마드리드에 대사관이, 라스팔마스에 분관이 개설되어 있다. 서울에 주한 스페인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대한민국의 대(對)스페인 수출은 27억9057만USD, 스페인의 대(對)대한민국 수출은 19억5308만USD(각 2017년 12월)에 달하여, 스페인은 대한민국에 있어서 제31위의 수출국이자 제33위의 수입국이다. 지금까지 경기도를 비롯한 6개의 시도가 스페인 자치 정부와 자매결연하고 있다.[409] 2022년 12월 기준 모두 4,774명(재외국민 3,757명, 시민권자 1,017명)의 한민족들이 스페인에 거주하고 있다.

대한민국-스페인 간 항공노선
거점 도시공항
IATA
공항
ICAO
거점 공항
이름
항공사 및 상대국 취항지
서울/인천ICNRKSI인천대한항공(1개) : 마드리드


5. 2. 27. {{국기|슬로바키아}}

1993년 체코슬로바키아에서 슬로바키아의 독립을 승인하고 외교관계를 수립하였다. 브라티슬라바에 대한민국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서울에 주한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대한민국의 대(對)슬로바키아 수출은 27억7278만USD, 슬로바키아의 대(對)대한민국 수출은 1억7708만USD(각 2017년 12월)에 달하여, 슬로바키아는 대한민국에 있어서 제32위의 수출국이자 제74위의 수입국이다. 슬로바키아에는 대한민국의 자동차 공장 해외 지부가 있다. 기아자동차가 진출해 있으며 질리나의 현지 공장에서 기아자동차의 5도어 해치백 모델인 씨드를 생산하여 유럽에 공급한다. 모두 1,481명(재외국민 1,481명, 시민권자 0명)의 한민족들이 슬로바키아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5. 2. 28. {{국기|슬로베니아}}

대한민국은 슬로베니아를 1992년 4월 15일에 승인했으며, 1992년 11월 18일에 수교하였다. 주 오스트리아 대사관이 겸임하고 있으며, 슬로베니아는 한국공관을 주 일본 대사관이 겸임하고 있다. 모두 47명(재외국민 37명, 시민권자 10명)의 한민족들이 슬로베니아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수도인 류블라냐에 코트라사무소가 상주하였다.

5. 2. 29. {{국기|아이슬란드}}

아이슬란드는 1950년 2월 12일에 대한민국을 승인하였고, 대한민국과는 1962년 10월 10일에 수교하였다.[410] 한국은 주 노르웨이 대한민국 대사관이 대사업무를 겸임하며, 아이슬란드도 주중국 아이슬란드 대사관을 통해 대사업무를 겸임하고 있다. 1976년 7월, 대한민국 정부는 주노르웨이 한상국 대사를 주아이슬란드 겸임대사로 발령하였다.[411] 2022년 12월 기준으로 23명(재외국민 14명, 시민권자 9명)의 한민족들이 아이슬란드에 거주하고 있다.

5. 2. 30. {{국기|아일랜드}}

대한민국과 1983년 10월 4일에 공식 수교하였으며, 그 이전인 1967년에도 아일랜드 정부가 주한 영국대사관을 통해 재한(在韓) 아일랜드인(人)에 대한 영사 업무를 대행해달라고 대한민국 정부에게 요청한 일이 있었다. 한국은 더블린에 대사관을 개설하였고, 아일랜드는 서울에 주한 대사관을 개설하였다. 모두 1,176명(재외국민 726명, 시민권자 450명)의 한민족들이 아일랜드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국제사회에서는 영국과 보조를 맞추어 한국의 입장을 적극 지지하였다.

5. 2. 31. {{국기|안도라}}

안도라는 1995년 2월 23일에 대한민국과 수교하였으며 주 스페인 대사관이 공관을 겸임하고 있다. 1988년 서울올림픽 때는 선수, 임원단을 파견하였다. 모두 5명(재외국민 3명, 시민권자 2명)의 한민족들이 안도라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5. 2. 32. {{국기|알바니아}}

알바니아는 1991년 8월 22일 한국과 수교하였다. 당시 동구권 공산주의 국가로서는 유일하게 1988년 하계 올림픽에 불참하였다. 대한민국과 1995년 5월에 과학기술협력협정이 체결되었고 1998년 11월에는 알바니아 외무장관이 대한민국을 방문하였으며, 2001년 2월에는 알바니아 국회의장이 비공식적으로 대한민국을 방문하였다. 2004년 기준으로 알바니아의 대한(對韓) 수입 규모는 500만 달러이며 전자제품이 주종을 이룬다. 2022년 12월 기준, 모두 140명(재외국민 137명, 시민권자 3명)의 한민족들이 알바니아에 거주하고 있다. 주 그리스 대한민국 대사관이 주 알바니아 대한민국 대사관을 겸하고 있고, 알바니아의 경우 주중 알바니아 대사관 대신 알바니아 외무부를 통해 주한 대사관을 겸하고 있다.

5. 2. 33. {{국기|에스토니아}}

에스토니아는 1991년 구 소련 해체 및 탈퇴 이후 한국과 1991년 10월 17일 수교하였다.[412] 헬싱키의 주 핀란드 대한민국 대사관이 주 에스토니아 대사관을 겸임한다. 모두 281명(재외국민 73명, 시민권자 208명)의 한민족들이 에스토니아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5. 2. 34. {{국기|영국}}

영국은 한국 전쟁 참전 16개국 중 하나로 군사·경제 지원을 통해 한국에 크게 공헌했으며, 유엔을 비롯한 여러 국제기구에서 한국의 지위 향상과 우호 증진을 위해 노력한 국가이다. 영국은 프랑스와 함께 한국의 대서구 관계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며, 전통적으로 대서구 외교 전개의 2대 거점국이자 우방국이다. 1883년 11월 26일 우호통상조약이 조인되어 양국에 영사 또는 공사를 파견하였으나, 일본에 의해 외교 관계가 단절되었다가 1949년 1월 18일 재수교하였다.[413] 런던에는 대한민국 대사관이, 서울에는 주한 영국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2017년 12월 기준 대한민국의 대영국 수출은 81억 2180만 USD, 영국의 대 대한민국 수출은 63억 1922만 USD로, 영국은 대한민국의 제14위 수출국이자 제18위 수입국이다. 같은 기간 대한민국의 대 버뮤다(영국의 해외영토) 수출은 8억 5159만 USD, 버뮤다의 대 대한민국 수출은 4189 USD로, 버뮤다는 대한민국의 제57위 수출국이자 제229위 수입국이다. 2022년 12월 기준 영국에는 39,097명(재외국민 28,078명, 시민권자 11,019명)의 한민족이 거주하고 있다.

|thumb|2024년 7월 라오스에서 열린 조태열 대한민국 외교부 장관과 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외무부 장관]]

양국 간 주요 인사 교류는 다음과 같다.

대한민국에서 영국 방문:

영국에서 대한민국 방문:

5. 2. 35. {{국기|오스트리아}}

오스트리아는 1892년 6월 23일에 조선과 수교하였으나 일본에 의해 단교되었고, 1963년 9월 18일에 재수교하였다.[414] 비엔나에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이 대사관은 주 슬로베니아 대사관, 주 빈 국제기구 대표부, 대 코소보 외교업무를 겸임한다. 서울에 주한 오스트리아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한국과는 무역협정, 사증면제협정, 한-오스트리아 투자협정을 체결하였다. 모두 2,681명(재외국민 2,120명, 시민권자 561명)의 한민족들이 오스트리아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이승만 전(前) 대통령의 영부인 프란체스카 도너가 이 나라 출신이다.

5. 2. 36. {{국기|우크라이나}}

우크라이나는 1991년 독립 이후 1992년 2월 10일에 대한민국과 외교관계를 맺었으며 북한과는 같은 해에 외교관계를 맺었다. 그러나 북한은 1998년 현지공관을 폐쇄, 철수하였다. 키에프에 대사관(주 몰도바 대사관 겸임)이 개설되어 있다. 서울에 주한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모두 13,070명(재외국민 359명, 시민권자 12,711명)의 한민족들이 우크라이나에 거주(2017년 11월 기준)하고 있다.

5. 2. 37. {{국기|이탈리아}}

1884년 6월 26일에 조선과 이탈리아 왕국 간의 수교가 이루어졌으나, 일본의 외교권 박탈로 인해 관계가 단절되었다.[384] 1956년 11월 24일 대한민국과 이탈리아 공화국 간의 외교 관계가 재개된 이후 우호적인 관계가 지속되고 있다.[384] 로마에 주 이탈리아 대한민국 대사관(주 몰타, 산마리노 대사관 겸임)이, 밀라노에 총영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서울에는 주한 이탈리아 대사관이 설치되어 있다.

이탈리아는 한국 전쟁 때 UN군의 일원으로 의료 및 시설을 지원하였다. 2017년 12월 기준 대한민국의 대 이탈리아 수출은 37억 5790만 달러, 이탈리아의 대 대한민국 수출은 56억 9557만 달러로, 이탈리아는 대한민국의 제27위 수출국이자 제21위 수입국이다. 2022년 12월 기준 4,499명(재외국민 4,126명, 시민권자 373명)의 한민족이 이탈리아에 거주하고 있다.

이탈리아는 한국 전쟁 당시 유엔군에 의료진을 파견했다. 양국은 1956년에 국교를 수립했다. 양국은 1961년 3월에 특허권·상표권 보호에 관한 양해 각서 교환, 1965년 3월에 무역·문화 협정, 1975년에 비자 및 비자 수수료 면제에 관한 양해 각서 교환, 1982년 5월에 경제 협력 협정, 1984년 2월에 과학 및 기술 협력 협정, 1989년 1월에 투자 증진 및 상호 보호 협정, 이중 과세 및 탈세 방지 협약, 2000년 3월에 관광 협력 협정, 2005년 3월에 이탈리아-한국 사회 보장 협력 협정을 각각 체결했다.

5. 2. 38. {{국기|체코}}

체코는 대한민국과 체코슬로바키아 시절인 1990년 3월 22일에 정식 수교하였으며 1993년 체코와 슬로바키아가 분리된 이후에도 두 국가 모두 외교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프라하에 대한민국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서울에 주한 체코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대한민국의 대(對)체코 수출은 22억1193만USD, 체코의 대(對)대한민국 수출은 7억1583만USD(각 2017년 12월)에 달하여, 체코는 대한민국에 있어서 제33위의 수출국이자 제48위의 수입국이다. 체코에는 현대자동차의 노르비체 현지공장이 있다. 모두 2,824명(재외국민 2,814명, 시민권자 10명)의 한민족들이 체코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5. 2. 39. {{국기|코소보}}

2008년 코소보 독립선언 이후에 대한민국코소보를 승인하였으나, 주변국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아직 공식적인 외교 관계는 없는 상태이다. 주 오스트리아 대사관이 대 코소보 외무를 관할하고 있다. 2022년 12월 기준, 모두 25명(재외국민 25명, 시민권자 0명)의 한민족들이 코소보에 거주하고 있다.

5. 2. 40. {{국기|크로아티아}}

대한민국은 1992년 11월 18일에 크로아티아와 수교하였다. 자그레브에 대사관(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대사관을 겸임)이 개설되어 있다. 2022년 12월 기준으로 크로아티아에는 142명(재외국민 128명, 시민권자 14명)의 한민족들이 거주하고 있다.

5. 2. 41. {{국기|크림 공화국}}

2014년 3월에 크림이 독립을 선언하였으나, 현재 대한민국은 아무런 입장도 내놓지 않고 있다.

5. 2. 42. {{국기|포르투갈}}

포르투갈은 대한민국과 1961년 4월 15일에 수교하였다. 현지인들은 한국인에 대해 매우 좋은 감정을 가지는 사람이 대다수이며 2002년 FIFA 월드컵 이후 한국을 아는 사람이 상당수 증가했다. 2007년 9월 기준으로 한국의 영화 '괴물'이 스크린 점유율과 관객 점유율 1위를 기록해 '한국'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또한 한국의 여러 기업들(삼성, LG 등)의 제품 소비가 늘고 있다. 리스본에 대한민국의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고, 서울에 주한 포르투갈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모두 314명(재외국민 271명, 시민권자 43명)의 한민족들이 포르투갈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5. 2. 43. {{국기|폴란드}}

폴란드와 한국은 1989년 11월 1일에 수교하였다. 바르샤바에 대사관(주 리투아니아 대사관 겸임)이 개설되어 있다. 서울에 주한 폴란드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대한민국의 대(對)폴란드 수출은 31억1636만USD, 폴란드의 대(對)대한민국 수출은 6억2825만USD(각 2017년 12월)에 달하여, 폴란드는 대한민국에 있어서 제28위의 수출국이자 제53위의 수입국이다. 모두 4,386명(재외국민 4,328명, 시민권자 58명)의 한민족들이 폴란드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5. 2. 44. {{국기|프랑스}}

프랑스는 한국 전쟁에 참전한 16개국 중 하나로서 군사·경제 지원 등을 통해 대한민국에 크게 기여하였으며, 유엔을 비롯한 여러 국제기구에서 대한민국의 지위 향상, 보전 및 우호 증진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프랑스는 영국과 더불어 대한민국의 대서구 관계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전통적으로 대서구 외교 전개의 2대 거점국이자 우방국이라 할 수 있다. 조선 후기 프랑스인 선교사들이 포함된 천주교 신자들을 조선 정부가 탄압(병인박해)하면서 외교 문제가 되었고, 이를 빌미로 프랑스군과 조선군이 격돌하는 병인양요가 일어났다. 이때 강탈당한 외규장각 문서 등 문화재 반환 문제는 현재까지도 미해결 상태로 남아 있다.

1886년 6월 4일 조선과 수교하였으나, 1906년 8월 을사조약으로 인해 양국 관계가 단절되었다. 하지만 프랑스 조계 지역 경찰들은 대한민국 임시정부김구 주석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등 임시정부의 존재를 암묵적으로 인정하는 분위기였다. 그러나 이는 정치적인 이유 때문이었을 뿐, 프랑스가 조선의 독립운동을 공식적으로 지지한 것은 아니었다. 1949년 2월 15일 프랑스는 대한민국을 승인하고 외교 관계를 수립하였다. 파리에 대한민국 대사관이, 서울주한 프랑스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한국 전쟁 당시 프랑스는 유엔군의 일원으로 대한민국에 파병했다. 2017년 12월 기준 대한민국의 대(對)프랑스 수출은 29억 9467만 USD, 프랑스의 대(對)대한민국 수출은 57억 4578만 USD로, 프랑스는 대한민국의 제29위 수출국이자 제20위 수입국이다. 2022년 12월 기준 27,055명(재외국민 14,349명, 시민권자 12,706명)의 한민족이 프랑스에 거주하고 있다. 파리는 한국의 군사정권 시기 정치적 망명자들이 자주 찾는 곳이기도 하였다. 현재 한국과 프랑스는 긴밀한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5. 2. 45. {{국기|핀란드}}

핀란드와 한국은 1973년 8월 24일에 외교관계를 맺었다. 핀란드는 앞서 한국을 1973년 4월 13일에 승인하였다. 핀란드는 서울에 대사관을, 한국은 헬싱키에 대사관(주 에스토니아 대사관을 겸임)을 각각 두고 있다. 서울에 주한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모두 935명(재외국민 935명, 시민권자 0명)의 한민족들이 핀란드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5. 2. 46. {{국기|헝가리}}

헝가리는 공산권 국가였으므로 한국과는 1989년까지는 정식 외교관계를 맺지 않고 있었다. 그러나 1980년대에 들어 헝가리의 총리 그로스 카로이/Grósz Károlyhu의 개혁과정과 한국의 노태우 대통령의 북방정책에 의해 양자대화의 기틀을 마련하게 되었다. 1988년 7월 초와 8월 초의 양자 간 회담 및 상주대표부 설치 합의에 이어 1989년 2월 1일 양국은 정식 외교관계를 맺게 되었다. 한국으로서는 중앙유럽의 공산권 국가 중에서는 헝가리와 처음으로 외교관계를 맺은 것이다. 1989년 수교 직후 대한민국 대통령 노태우가 중앙유럽 국가로서는 처음으로 헝가리를 방문하였으며, 이후 대한민국과 헝가리는 우호 관계를 유지하면서 경제 분야를 중심으로 협력을 강화해 가고 있다. 부다페스트에 주 헝가리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서울에 주한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경제 분야에서는 정식 외교 관계가 수립되기 전부터 이미 교류가 시작되었었다. 대한민국의 대(對)헝가리 수출은 12억608만USD, 헝가리의 대(對)대한민국 수출은 7억602만USD(각 2017년 12월)에 달하여, 헝가리는 대한민국에 있어서 제48위의 수출국이자 제50위의 수입국이다. 모두 6,352명(재외국민 6,345명, 시민권자 7명)의 한민족들이 헝가리에 거주(2022년 12월 기준)하고 있다. 1989년의 헝가리 인민 공화국과 한국의 국교 수립은 대한민국 최초의 동유럽 사회주의 국가와의 국교 정상화였다.

5. 3. 아프리카

대한민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외교 경쟁에서 아프리카 국가들과의 관계를 시작하였으나, 1990년대 이후 실리 외교로 전환하였다. 2011년 기준으로 남수단을 포함한 아프리카 54개국과 수교를 맺고 있다.[273][274][275][276][279][280][281][283][284]

참조

[1] 뉴스 'K-Silk Road' puts Korea, Central Asia together https://www.koreatim[...] 2024-07-27
[2] 웹사이트 Introducing the Indo-Pacific Strategy https://www.mofa.go.[...]
[3] 웹사이트 FTA Trend in Korea https://www.customs.[...]
[4]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Economy and Trade https://web.archiv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5] 웹사이트 산업통상자원부 블로그 http://blog.naver.co[...] Naver Blog 2015-08-12
[6] 웹사이트 우리나라와 FTA체결한국가 : 지식iN http://kin.naver.com[...] Kin.naver.com 2015-08-12
[7] 뉴스 호감→비호감, 서로를 보는 눈이 변했다 http://news.naver.co[...] Naver News 2009-02-11
[8] 뉴스 The Japan syndrome https://www.economis[...] 2018-12-26
[9] 웹사이트 S Korea posts record-high trade surplus in 2009 https://web.archive.[...] 2010-12-27
[10] 웹아카이브 http://www.mofat.go.[...] 2011-08-13
[11] 뉴스 South Korea-Taiwan relations 'in a rut' https://web.archive.[...] 2008-02-05
[12] 웹아카이브 http://www.mofat.go.[...] 2011-08-13
[13] 뉴스 South Korean leader bids farewell to Japanese emperor https://web.archive.[...] CNN 2007-01-19
[14] 뉴스 S Korean fury over island dispute http://news.bbc.co.u[...] BBC 2007-01-19
[15] 뉴스 Japan unveiled a "diplomatic blue book" https://www.mk.co.kr[...] 2024-04-16
[16] 뉴스 Yoon says Japan is partner sharing universal values, pursuing common interests https://en.yna.co.kr[...] 2023-08-15
[17] 웹아카이브 http://mng.mofat.go.[...] 2014-02-27
[18] 웹아카이브 http://www.mofat.go.[...] 2011-08-13
[19] 웹사이트 Quan hệ hợp tác giữa Việt Nam và Hàn Quốc đang phát triển mạnh mẽ, toàn diện, thực chất https://dangcongsan.[...] 2022-12-09
[20] 웹사이트 South Korean foreign trade in figures - Santandertrade.com https://santandertra[...] 2022-12-09
[21] 웹사이트 SRV-ROK joint statement about the Comprehensive Strategic Partnership https://dangcongsan.[...] 2022-12-09
[22] 웹사이트 Việt Nam sẽ là cầu nối cho Hàn Quốc với ASEAN https://tuoitre.vn/n[...] 2022-12-09
[23] 웹사이트 Tổng thống Hàn Quốc: 'Việt – Hàn anh em thân thiết với nhau' https://tuoitre.vn/n[...] 2022-12-09
[24] 뉴스 N Korea 'deploying more missiles' http://news.bbc.co.u[...] 2009-02-23
[25] 뉴스 North Korea tears up agreements http://news.bbc.co.u[...] 2009-03-08
[26] 뉴스 N Korea warning over 'satellite' http://news.bbc.co.u[...] 2009-03-08
[27] 뉴스 CNN.com – Koreas agree to military hotline – Jun 4, 2004 https://web.archive.[...] Edition.cnn.com 2010-02-18
[28] 뉴스 Anger at North Korea over sinking http://news.bbc.co.u[...] 2010-05-23
[29] 웹아카이브 http://apnews.myway.[...] 2010-05-28
[30] 뉴스 Text from North Korea statement https://www.reuters.[...] Reuters 2010-05-25
[31] 웹사이트 South Korea Formally Declares End to Sunshine Policy http://www.voanews.c[...] Voanews.com 2015-08-12
[32] 웹사이트 South Korea dumps Sunshine Policy with North, opts to go solo http://www.ibtimes.c[...] Ibtimes.com 2015-08-12
[33] 뉴스 North, South Korea exchange fire; 2 marines killed http://www.washingto[...] 2015-08-12
[34] 웹아카이브 2014 World Service Poll http://www.globescan[...] 2015-03-05
[35] 웹사이트 Poll: Growing Number of S. Koreans See N. Korea as Enemy https://www.voanews.[...] 2016-01-19
[36] 뉴스 In South Korea, daily stresses outweigh North Korea missile worries https://www.reuters.[...] 2017-10-04
[37] 뉴스 Russia makes up lost ground with Korean proposals http://www.atimes.co[...] Asia Times 2007-05-29
[38] 뉴스 South Korean president's visit to boost ties with Russia http://english.peopl[...] 2007-05-28
[39] 뉴스 Why South Korea's Only Astronaut Quit https://abcnews.go.c[...]
[40] 뉴스 Russia ends WTO talks with S. Korea http://english.peopl[...] 2007-05-28
[41]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Europe https://web.archiv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42] 뉴스 Moon holds summit talks with British PM https://en.yna.co.kr[...] 2021-06-13
[43] 뉴스 Moon declares South Korea's commitment to cut carbon emissions by 40 percent by 2030 https://english.hani[...] 2021-11-02
[44] 뉴스 EU agrees free trade deal with S.Korea https://web.archive.[...] AFP 2009-09-16
[45] 뉴스 Bilateral Relations: Korea http://ec.europa.eu/[...] European Commission
[46] 뉴스 Mutual Defense Treaty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Republic of Korea; October 1, 1953 http://avalon.law.ya[...] Yale Law School
[47] 뉴스 South Korean Attitudes toward the ROK–U.S. Alliance: Group Analysis https://web.archiv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12-27
[48] 웹아카이브 http://seoul.usembas[...] 2010-05-27
[49] 문서 On this significant occasion, all Koreans pay tribute to the heroes fallen in defense of freedom and democracy. I firmly believe that future generations in both countries will further advance the strong the Republic of Korea-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lliance into one befitting the spirit of the new age.
[50] 문서 U.S. Government 2009-06-16
[51] 뉴스 Defense minister urges stronger joint military drills with U.S. to counter North Korea https://koreajoongan[...] 2024-10-10
[52] 웹사이트 Countries & Regions https://www.mofa.go.[...] 2023-05-24
[53] 웹사이트 http://overseas.mofa[...] 2019-12-06
[54] 웹사이트 All Countries https://history.stat[...] 2021-11-12
[55] 웹사이트 Länder https://www.auswaert[...] 2023-07-23
[56] 웹사이트 สาธารณรัฐเกาหลี (South Korea) https://www.mfa.go.t[...] 2023-05-24
[57] 서적 Korea & World Affairs - Volume 10 Research Center for Peace and Unification
[58] 웹사이트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Mar 26, 1962 https://web.archive.[...] 2023-11-17
[59]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Europe https://web.archive.[...] 2016-10-22
[60] 웹사이트 India-Republic of Korea Bilateral Relations https://www.mea.gov.[...] 2023-12-30
[61] 웹사이트 Diplomatic relations of the Holy See https://holyseemissi[...] 2022-09-05
[62] 서적 Korea & World Affairs Volume 6 Research Center for Peace and Unification.
[63] 웹사이트 Bilateral Relations http://overseas.mofa[...] Embassy of the Republic of Korea in Ireland 2020-10-30
[64]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Asia Pacific http://www.mofa.go.k[...] 2015-09-04
[65] 웹사이트 Bilateral relations https://www.mfa.gov.[...] 2021-05-04
[66] 뉴스 S. Korea, South Sudan establish ties https://www.koreaher[...] 2023-06-20
[67] 웹사이트 http://www.mofa.go.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20-11-07
[68] 웹아카이브 http://www.argentina[...] 2014-05-16
[69]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MOFAT 2015-02-21
[70] 웹사이트 http://www.mofa.go.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20-11-07
[71] 웹아카이브 https://web.archive.[...] 2011-08-13
[72]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North America https://web.archiv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73] 뉴스 Embassy of Canada to Korea http://www.canadaint[...] Canadainternational.gc.ca 2009-05-22
[74] 웹사이트 Embassy of the Republic of Korea to Canada https://wayback.arch[...] Can-ottawa.mofa.go.kr 1963-01-14
[75] 웹사이트 Canada-Korea Free Trade Agreement https://web.archive.[...] International.gc.ca 2015-08-12
[76] 웹사이트 http://www.mofa.go.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20-11-07
[77] 웹사이트 http://www.mofa.go.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20-11-07
[78] 웹아카이브 https://web.archive.[...] 2013-03-08
[79]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Latin America and Caribbean https://web.archiv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80] 웹사이트 http://www.mofa.go.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20-11-07
[81] 웹사이트 http://www.mofa.go.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20-11-07
[82] 웹사이트 Embassy of Paraguay in the Republic of Korea http://www.embaparco[...] 2015-02-21
[83]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MOFAT 2015-02-21
[84] 보고서 https://web.archiv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2009-05-21
[85] 웹사이트 http://www.mofa.go.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20-11-07
[86] 웹사이트 미합중국 정보 http://www.mofa.go.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20-11-07
[87]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North America https://web.archiv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88] 웹사이트 Embassy of the Republic of Korea in the USA https://web.archive.[...] Usa.mofa.go.kr 2015-08-12
[89] 웹사이트 Home | Seoul, Korea – Embassy of the United States https://web.archive.[...] Seoul.usembassy.gov 2015-08-12
[90] 웹사이트 http://www.mofa.go.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20-11-07
[91]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MOFAT 2015-02-21
[92] 웹사이트 http://www.mofa.go.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20-11-07
[93]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Asia Pacific https://web.archiv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94] 뉴스 Taliban say S.Korea paid over $20 mln ransom http://in.news.yahoo[...] 2007-09-01
[95] 뉴스 Seoul would not talk about ransom https://archive.toda[...] Naver News 2007-09-06
[96]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Asia Pacific https://web.archiv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97] 웹아카이브 https://web.archive.[...] 2013-08-14
[98] 웹사이트 https://archive.toda[...] 2022-01-27
[99] 웹아카이브 https://web.archive.[...] 2011-08-13
[100] 웹사이트 http://www.mofa.go.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20-11-07
[101]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Asia Pacific https://web.archiv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102] 웹사이트 Brunei-South Korea Relations https://web.archiv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Brunei) 2014-02-15
[103]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Asia Pacific https://web.archiv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104]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Asia Pacific https://web.archiv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105]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Chn.mofa.go.kr 2015-08-12
[106] 웹사이트 http://www.chinaemb.[...] Embassy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Seoul 2015-08-12
[107] 뉴스 http://news.khan.co.[...] Kyunghyang Shinmun 2012-08-21
[108] 웹사이트 http://terms.naver.c[...] Terms.naver.com 2015-08-12
[109] 웹사이트 http://taiwan.mofa.g[...] Republic of Korea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28
[110] 웹사이트 http://www.mofa.gov.[...]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the Republic of China (Taiwan) 2015-08-12
[111] 웹사이트 http://www.mofa.gov.[...]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the Republic of China (Taiwan) 2015-08-12
[112]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Asia Pacific http://www.mofa.go.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113] 웹사이트 http://terms.naver.c[...] Terms.naver.com 2015-08-12
[114]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Asia Pacific http://www.mofa.go.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115] 웹사이트 Consulate General of the Republic of Korea in Hong Kong http://hkg.mofa.go.k[...] Hkg.mofa.go.kr 2015-08-12
[116] 웹사이트 The Republic Of Korea Cheong Wa Dae http://english1.pres[...] English1.president.go.kr 2015-08-12
[117]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Asia Pacific http://www.mofa.go.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118]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2008-12-16
[119]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Asia Pacific http://www.mofa.go.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120]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2011-08-13
[121] 웹사이트 Indonesia teams up with S. Korea to develop fighter jet http://news.xinhuane[...] News.xinhuanet.com 2015-08-12
[122] 웹사이트 Junotane Korea https://archive.toda[...] 2015-02-21
[123] 웹사이트 South Korea, Indonesia sign pact to shift away from dollar https://nigerianobse[...] 2023-05-04
[124]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Asia Pacific http://www.mofa.go.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125] 웹사이트 http://jpn-tokyo.mof[...] Jpn-tokyo.mofa.go.kr 2015-08-12
[126] 웹사이트 Embassy of Japan in Korea http://www.kr.emb-ja[...] Kr.emb-japan.go.jp 2015-08-12
[127]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Asia Pacific http://www.mofa.go.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128] 웹사이트 http://terms.naver.c[...] Terms.naver.com 2015-08-12
[129]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Asia Pacific http://www.mofa.go.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130] 뉴스 Najib Dijangka Kukuhkan Hubungan Dua Hala M'sia-Korea Selatan (Najib plans strong Malaysia-South Korea bilateral relations) http://bernama.com.m[...] 2007-03-08
[131]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2011-08-13
[132]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Asia Pacific http://www.mofa.go.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133]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Asia Pacific http://www.mofa.go.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134]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Asia Pacific http://www.mofa.go.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135]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Asia Pacific http://www.mofa.go.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136]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2011-08-13
[137]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Asia Pacific http://www.mofa.go.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138]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Asia Pacific http://www.mofa.go.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139]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2011-08-13
[140]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Asia Pacific http://www.mofa.go.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141] 웹아카이브 http://www.mofat.go.[...] 2011-08-13
[142]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Asia Pacific https://web.archiv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143] 웹아카이브 http://www.mofat.go.[...] 2011-08-13
[144]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Asia Pacific https://web.archiv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145] 웹아카이브 http://tha.mofat.go.[...] 2013-11-11
[146] 웹아카이브 http://tha.mofat.go.[...] 2013-03-13
[147]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Asia Pacific https://web.archiv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148] 웹아카이브 http://www.mofat.go.[...] 2011-08-13
[149] 웹사이트 https://shindonga.do[...] The Dong-A Ilbo 2020-11-07
[150] 웹아카이브 http://www.mofat.go.[...] 2011-08-13
[151] 웹사이트 Embassy of the Republic of Korea to the Commonwealth of Australia https://wayback.arch[...] Aus-act.mofa.go.kr 1961-10-30
[152] 웹사이트 Home – Australian Embassy http://southkorea.em[...] Southkorea.embassy.gov.au 2015-08-12
[153] 웹사이트 Power and Passion as Julia Gillard Shows Her Seoul http://www.dailytele[...] Dailytelegraph.com.au 2015-08-12
[154]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2015-02-21
[155] 웹아카이브 http://www.dfat.gov.[...] 2014-09-04
[156]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Asia Pacific https://web.archiv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157] 웹아카이브 http://fji.mofat.go.[...] 2013-03-13
[158] 웹사이트 Embassy of South Korea in Fiji http://south-korea.v[...] 2015-02-21
[159] 웹사이트 Embassy of Fiji in South Korea http://fiji.visahq.c[...] 2015-02-21
[160]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Asia Pacific https://web.archiv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161] 웹사이트 Embassy of the Republic of Korea to New Zealand https://web.archive.[...] Nzl-wellington.mofa.go.kr 1962-03-26
[162] 웹사이트 Korea https://web.archive.[...] NZEmbassy.com 2015-08-12
[163] 웹아카이브 http://www.mofat.go.[...] 2011-08-13
[164]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Press Releases https://web.archiv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165]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Europe https://web.archiv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166]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Press Releases https://web.archiv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167]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Europe https://web.archiv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168]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Europe https://web.archiv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169]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Press Releases https://web.archiv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170]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Europe https://web.archiv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171] 웹사이트 Außenministerium Österreich -> Botschaft -> Seoul https://archive.toda[...] 2012-07-22
[172] 웹아카이브 http://aut.mofat.go.[...] 2013-03-13
[173] 웹사이트 Bundespräsident Heinz Fischer zu Staatsbesuch in Südkorea eingetroffen https://web.archive.[...] Federal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Austria 2008-11-18
[174]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Europe https://web.archiv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175]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Disarmament/International Security https://web.archiv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176]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Europe https://web.archiv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177] 웹사이트 Äèïëîìàòè÷åñêèå ïðåäñòàâèòåëüñòâà Ðåñïóáëèêè Áåëàðóñü https://web.archive.[...] 2015-02-21
[178]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Europe https://web.archiv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179]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Press Releases https://web.archiv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180]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Europe https://web.archiv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181] 웹사이트 Министерство на външните работи https://web.archive.[...] Mfa.bg 2015-08-12
[182] 웹사이트 http://bgr.mofat.go.[...]
[183]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Europe https://web.archiv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184]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Europe https://web.archiv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185]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Europe https://web.archiv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186] 웹사이트 http://cze.mofat.go.[...]
[187] 웹사이트 Czech embassy in Seoul http://www.mzv.cz/ww[...] 2015-02-21
[188] 뉴스 덴마크·한국 수교 110주년, 함께해요 http://news.khan.co.[...] Kyunghyang Shinmun 2012-02-27
[189] 웹사이트 http://dnk.mofat.go.[...]
[190] 웹사이트 http://www.ambseoul.[...]
[191]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MOFAT 2015-02-21
[192] 뉴스 http://media.daum.ne[...] 2015-02-21
[193]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Europe https://web.archiv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194] 웹사이트 http://www.vm.ee/eng[...]
[195]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Europe https://web.archiv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196] 웹사이트 Ambassade de la République de Corée en France https://web.archive.[...] Fra.mofa.go.kr 2015-08-12
[197]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Europe https://web.archiv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198] 웹사이트 Coopération politique – La France en Corée – Ambassade de France à Séoul https://web.archive.[...] Ambafrance-kr.org 2015-08-12
[199] 웹사이트 La France en Corée – Ambassade de France à Séoul https://web.archive.[...] Ambafrance-kr.org 2015-08-12
[200]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Europe https://web.archiv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201]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Deu.mofa.go.kr 2015-08-12
[202]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Europe https://web.archiv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203] 웹사이트 Deutsche Botschaft Seoul – Startseite https://web.archive.[...] Seoul.diplo.de 2015-02-25
[204] 웹사이트 Auswärtiges Amt – Bilateral relations http://www.auswaerti[...] Auswaertiges-amt.de 2015-08-12
[205]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Europe https://web.archiv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206]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MOFAT 2015-02-21
[207] 웹사이트 https://www.vatican.[...]
[208]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Europe https://web.archiv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209] 웹사이트 Korea (Nunciature) [Catholic-Hierarchy] http://www.catholic-[...] 2015-02-21
[210] 웹사이트 Papal Address to South Korean Ambassador https://web.archive.[...] 2015-02-21
[211] 블로그 Vatican Information Service News Archives – Monday, March 6, 2000: John Paul II Welcomes First Head of State from Korea http://visnews-en.bl[...]
[212] 웹사이트 Mass for the canonization of Korean martyrs, Homily of John Paul II, 6 May 1984 https://www.vatican.[...] 2015-02-21
[213] 웹사이트 VIS news – Holy See Press Office: Monday, March 06, 2000 http://visnews-en.bl[...] 2015-02-21
[214]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Europe http://www.mofa.go.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South Korea) 2015-08-12
[215]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Europe http://www.mofa.go.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South Korea) 2015-08-12
[216]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Europe http://www.mofa.go.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South Korea) 2015-08-12
[217] 웹사이트 Irish embassy in Seoul http://www.embassyof[...] Embassyofireland.or.kr 2009-11-24
[218] 웹사이트 South Korean embassy in Dublin http://irl.mofat.go.[...] Irl.mofat.go.kr 2010-10-24
[219] 웹사이트 한국과의 관계 http://overseas.mofa[...]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20-11-19
[220]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Europe http://www.mofa.go.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South Korea) 2015-08-12
[221]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Europe http://www.mofa.go.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South Korea) 2015-08-12
[222]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Europe http://www.mofa.go.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South Korea) 2015-08-12
[223] 뉴스 'Baltic, stupid!': Latvia tells Korean Foreign Ministry https://www.koreatim[...] 2019-03-22
[224] 웹사이트 주 스위스 대한민국 대사관 – 겸임국 리히텐슈타인 개황 http://overseas.mofa[...]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20-11-07
[225]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Europe http://www.mofa.go.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South Korea) 2015-08-12
[226]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Europe http://www.mofa.go.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South Korea) 2015-08-12
[227] 뉴스 S. Korea establishes diplomatic ties with North Macedonia https://en.yna.co.kr[...] 2019-07-18
[228]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Europe http://www.mofa.go.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South Korea) 2015-08-12
[229]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Europe http://www.mofa.go.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South Korea) 2015-08-12
[230]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Europe http://www.mofa.go.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South Korea) 2015-08-12
[231]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Europe http://www.mofa.go.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South Korea) 2015-08-12
[232]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Press Releases http://www.mofa.go.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South Korea) 2015-08-12
[233]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Europe http://www.mofa.go.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South Korea) 2015-08-12
[234]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Europe http://www.mofa.go.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South Korea) 2015-08-12
[235] 웹사이트 Embassy of the Republic of Korea to the Kingdom of the Netherlands http://nld.mofa.go.k[...] Nld.mofa.go.kr 1961-04-04
[236] 웹사이트 Netherlands Embassy in Seoul, South Korea http://southkorea.nl[...] Southkorea.nlembassy.org 2015-08-12
[237]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Europe http://www.mofa.go.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South Korea) 2015-08-12
[238] 웹사이트 Embassy of the Republic of Korea to Norway http://nor.mofa.go.k[...] Nor.mofa.go.kr 1959-03-02
[239]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Europe http://www.mofa.go.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South Korea) 2015-08-12
[240] 웹사이트 주 폴란드 대한민국 대사관 http://pol.mofa.go.k[...] Pol.mofa.go.kr 2015-08-12
[241] 웹사이트 Ambasada Rzeczypospolitej Polskiej w Seulu http://www.seul.msz.[...] Seul.msz.gov.pl 2015-08-12
[242]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Europe http://www.mofa.go.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South Korea) 2015-08-12
[243] 웹사이트 HONORARY CONSULATE of ROMANIA http://www.romanask.[...] 2015-02-21
[244] 웹사이트 http://rou.mofat.go.[...]
[245] 웹사이트 http://www.mofat.go.[...]
[246] 웹사이트 러 외무부, 朝-러 수호통상조약 원본 공개 https://www.donga.co[...] The Dong-a Ilbo 2004-07-09
[247]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Europe http://www.mofa.go.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248]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Europe http://www.mofa.go.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249] 웹사이트 Embassy of the Republic of Serbia in the Republic of Korea http://www.seoul.mfa[...] Seoul.mfa.gov.rs 2015-08-12
[250]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Europe http://www.mofa.go.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251] 웹사이트 주한 슬로바키아대사관: 네이버 지도 http://map.naver.com[...] Map.naver.com 2015-02-27
[252]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Europe http://www.mofa.go.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253] 웹사이트 슬로베니아 : 지식백과 http://terms.naver.c[...] Terms.naver.com 2015-08-12
[254]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Europe http://www.mofa.go.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255] 웹사이트 주 스페인 대한민국 대사관 http://esp.mofa.go.k[...] Esp.mofa.go.kr 2015-08-12
[256] 웹사이트 Páginas – Home http://www.exteriore[...] Exteriores.gob.es 2015-08-12
[257]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Europe http://www.mofa.go.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258]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Europe http://www.mofa.go.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259] 웹사이트 http://che-berne.mof[...]
[260]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Europe http://www.mofa.go.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261]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Europe http://www.mofa.go.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262]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Europe http://www.mofat.go.[...] 2011-01-14
[263]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Europe http://www.mofa.go.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264]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Europe http://www.mofa.go.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265] 웹사이트 외교부 홈페이지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http://ukr.mofat.go.[...] MOFAT 2015-02-21
[266] 웹사이트 Посольство України в Республіці Корея http://www.mfa.gov.u[...] 2015-02-21
[267]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Europe http://www.mofa.go.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268] 웹사이트 조영 수호 통상 조약 http://contents.hist[...]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2020-11-19
[269] 웹사이트 Embassy of the Republic of Korea in the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 http://gbr.mofa.go.k[...] Gbr.mofa.go.kr 2015-08-12
[270] 웹사이트 UK and South Korea – UK and the world https://www.gov.uk/g[...] GOV.UK 2015-08-12
[271] 웹사이트 주 교황청 대한민국 대사관 – 공관 약사 http://overseas.mofa[...]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20-11-07
[272] 웹사이트 주한 교황 대사관 : 지식백과 http://terms.naver.c[...] Terms.naver.com 2015-08-12
[273]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Middle East and Africa http://www.mofa.go.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274]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Middle East and Africa http://www.mofa.go.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275]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Middle East and Africa http://www.mofa.go.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276]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Middle East and Africa http://www.mofa.go.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277] 웹사이트 Error-2010-f3 http://seoul.mfa.gov[...] 2015-02-21
[278] 웹사이트 Embassy of the Republic of Korea in the State of Israel http://isr.mofat.go.[...]
[279]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Middle East and Africa: Cote d'Ivoire http://www.mofa.go.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280]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Middle East and Africa: Kingdom of Jordan http://www.mofa.go.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281]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Middle East and Africa: Kenya https://web.archiv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282] 뉴스 Acting president calls for expanded economic cooperation with Saudi Arabia http://english.yonha[...] 2017-03-08
[283]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Middle East and Africa: Somalia https://web.archiv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284]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Middle East and Africa: South Africa https://web.archiv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8-12
[285] 웹사이트 South Korea-South Africa Relations https://web.archive.[...] 2015-04-06
[286] 웹사이트 Bilateral Relationship https://www.mofa.gov[...]
[287] 문서 대한국은 そもそも、朝鮮が米ソに分割占領されている状況下で、アメリカ軍政庁が主体となって南朝鮮(アメリカ軍占領下の朝鮮)のみを実効支配する国家として誕生した。
[288]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http://www.imf.org/e[...] 2011-09
[289] 뉴스 대통령 따라 출렁거린 한·미 관계 30년 http://article.joins[...] 2008-11-07
[290] 뉴스 <2> 外交 https://newslibrary.[...] 1993-02-16
[291] 뉴스 韓-헝가리 代表部설치 http://dna.naver.com[...] 1988-09-13
[292] 웹사이트 韓国は「ネガティブ外交」!?…関係国を「選り好み」か=韓国メディア http://news.searchin[...] サーチナ 2015-05-07
[293] 웹사이트 北朝鮮(North Korea)基礎データ https://www.mofa.go.[...]
[294] 웹사이트 日本の主な輸出入相手国:韓国 http://www.jftc.or.j[...] 日本貿易会
[295] 웹사이트 大韓民国(Republic of Korea)基礎データ https://www.mofa.go.[...] 外務省
[296] 웹사이트 국가별 수출입(한국무역협회) http://stat.kita.net[...]
[297] 뉴스 韓国に最新ミサイルTHAAD、米韓が配備決定 http://www.yomiuri.c[...] 2016-07-08
[298] 뉴스 中国「強烈な不満」…在韓米軍へTHAAD配備 http://www.yomiuri.c[...] 2016-07-08
[299] 뉴스 中国、THAAD報復でロッテ狙い撃ちか 「禁韓令」で韓流スター締め出しも http://www.sankei.co[...] 2016-12-07
[300] 뉴스 【社説】「三不」を廃棄し、THAADを上回るミサイル防衛強化を http://www.chosunonl[...] 2019-11-02
[301] 뉴스 【社説】中国側に漂流する韓国、その結果に責任を取れるのか http://www.chosunonl[...] 2021-02-22
[302] 뉴스 韓日米「空母」連合訓練、韓国が拒否 http://japanese.join[...] 2017-11-11
[303] 뉴스 <W寄稿>「中国の三不」と「日本の三不」で四面楚歌に陥った韓国(1) https://www.wowkorea[...] 2021-06-29
[304] 뉴스 美·日엔 침묵, 韓엔 보복...중국 '사드 이중잣대' https://www.ytn.co.k[...] 2017-01-14
[305] 뉴스 中 “日의 사드 배치는 방어용” 이중잣대 https://www.donga.co[...] 2017-04-04
[306] 뉴스 「韓国は事実上中国の一部だった」…習主席がトランプ大統領に衝撃の発言 https://japanese.joi[...] 2017-04-20
[307] 뉴스 トランプ氏の「韓国は中国の一部」発言に反発=韓国政府 http://japanese.yonh[...] 2017-04-19
[308] 뉴스 韓国大統領が「一人飯」、中国側の冷遇との声も―米華字メディア https://www.recordch[...] 2017-12-16
[309] 뉴스 <W寄稿>「中国の三不」と「日本の三不」で四面楚歌に陥った韓国(1) https://www.wowkorea[...] 2021-06-29
[310] 뉴스 【社説】「三不」を廃棄し、THAADを上回るミサイル防衛強化を http://www.chosunonl[...] 2019-11-02
[311] 뉴스 文在寅が菅首相をストーカーするのはなぜか 「北京五輪説」「米国圧力説」……やはり「監獄回避説」が有力 https://www.dailyshi[...] 2021-07-16
[312] 뉴스 文大統領訪中効果、韓国の大手企業が中国のために慣例破る―米華字メディア https://www.recordch[...] 2017-12-27
[313] 뉴스 In Mongolia, sex tourism by S. Korean males leads to anti-Korean sentiment http://english.hani.[...] 2008-07-15
[314] 뉴스 “한국인 노골적 성매매” 몽골서 커지는 반한 감정 http://www.hani.co.k[...] 2008-07-15
[315] 뉴스 モンゴルで高まる反韓感情 http://www.chosunonl[...] 2005-10-10
[316] 뉴스 朝青龍の侮辱発言、協会はきちんとした対応をとるべき http://www.sanspo.co[...] 2003-05-08
[317] 뉴스 元朝青龍ツイート「キムチやろう!!」 https://www.daily.co[...] 2014-09-30
[318] 뉴스 朝青龍問題 ナショナリズム高揚の反映 現代のモンゴルを読み解く 毎日新聞出版 2007-10-16
[319] 뉴스 極右化するモンゴルの反中感情、強まる警戒感 https://www.afpbb.co[...] 2010-09-01
[320] 뉴스 中国とモンゴル:中国を毛嫌いするモンゴル人 DNAに記録された蛮行の歴史~中国株式会社の研究(102) http://jbpress.ismed[...] 日本ビジネスプレス 2011-03-18
[321] 뉴스 韓国に対する視線が・・と駐モンゴル韓国大使館が注意喚起、韓国ネットは「勝って恥ずかしかった」「いまやモンゴルにまで…」 http://www.excite.co[...] 2014-10-06
[322] 뉴스 대한민국 외교통상부 해외안전여행사이트 http://www.0404.go.k[...] 외교부
[323] 서적 日本の植民地の真実 扶桑社 2003-10-31
[324] 뉴스 イラン「韓国が食べ物と薬奪った…敗者は韓国になるだろう」 https://japanese.joi[...] 2021-01-21
[325] 뉴스 カザフスタンとMOU締結、国内企業の進出を推進 http://www.wowkorea.[...] 2006-09-25
[326] 뉴스 現代ロテム、トルコで電動車1兆ウォン相当を受注 http://www.wowkorea.[...] 2008-11-11
[327] 뉴스 韓国人襲撃でトルコ野党代表が「差別発言」=激怒する韓国ネットユーザーを日本ネットは冷笑 https://www.recordch[...] 2015-07-11
[328] 웹사이트 ‘ニュージーランドでの勤務時にセクハラ’疑惑の韓国外交官、帰任発令で14日ぶりに帰国 https://www.wowkorea[...] WoWKorea 2020-08-17
[329] 웹사이트 韓国外交部長官「大統領を心地悪くさせて恐縮…ニュージーランドに謝罪しない」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20-08-26
[330] 뉴스 Bilateral Relations http://fji.mofat.go.[...]
[331] 뉴스 韓国、フィジー沖で鉱物資源の独占探査権を確保 http://japanese.join[...] 2011-11-11
[332] 뉴스 Korea Fiji trade 'can improve' http://www.fijitimes[...] 2011-11-25
[333] 뉴스 韓国人は共存できない民族? http://www.chosunonl[...] 2001-02-12
[334] 뉴스 「韓国人はマフィア」メキシコ在住同胞が反発 http://www.chosunonl[...] 2003-11-12
[335] 뉴스 韓国メディア、「韓・キューバ国交正常化」 http://japanese.kore[...] 2016-06-10
[336] 뉴스 Revolutionary Solidarity: Castro's cozy relationship with North Korea https://www.nknews.o[...] 2016-08-28
[337] 뉴스 北朝鮮に義理通すキューバ、韓国とは修交不可能か http://japan.hani.co[...] 2015-02-03
[338] 뉴스 DPRK-Cuba relations showcase mutual support and solidarity https://kcnawatch.co[...] Pyongyang Times 2016-08-27
[339] 뉴스 韓国、北朝鮮の「兄弟国」キューバと国交樹立 1959年の国交断絶以来65年ぶり https://www.chosunon[...] 2024-02-15
[340] 뉴스 콜롬비아, 거북선 모형 한국전 참전기념비 준공식 http://www.newsis.co[...] 2008-11-02
[341] 문서 朴淵、あるいは朴燕とも伝えられる。
[342] 뉴스 韓国とデンマーク、「グリーン成長同盟」を締結 http://japanese.yonh[...] 2011-05-12
[343] 뉴스 韓国、最愛のドイツが“G7参加”に反対…こだわる文在寅への冷めた視線 https://www.dailyshi[...] 2020-08-04
[344] 뉴스 “한국은 중·일 속국”…독일 대표 박물관의 황당한 왜곡 http://news.kmib.co.[...] 2020-07-28
[345] 뉴스 平成22年度 第4回ミニ展示「昭和7年上海爆弾事件の記録」 http://www.pref.kana[...] 神奈川県庁 2011-03-01
[346] 문서 朝鮮戦争の際に、ギリシャは「国連軍」の一員として兵力1,000人を韓国へ派遣していた。
[347] 뉴스 미수교국 쿠바 경제사절단 방한…다른 미수교국은? http://media.daum.ne[...] 2012-05-07
[348] 뉴스 Korea, North Macedonia establish diplomatic relations http://www.koreatime[...] 2019-07-19
[349] 문서 国際司法裁判所への付託は、紛争当事国の一方が拒否すれば審判を行うことができず、強制管轄権はない。
[350] 뉴스 韓中関係 近代 2. 間島問題 http://japanese.hist[...] 東北アジア歴史財団
[351] 뉴스 중국 "이어도 한국땅 인정못한다” http://www.segye.com[...] 2006-09-15
[352] 서적 http://www.mofat.go.[...] 2011-09-06
[353] 서적
[354] 서적
[355] 문서 국제환경과 국가간의 관계에서 영향을 주기보다는 영향을 받는 경향이 더 강한 약소국들의 경우, 외교 정책을 결정하는 데 있어 선택의 범위가 극히 한정되어 있는 것은 사실이다. 한국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다.
[356] 서적
[357] 문서 할슈타인 독트린은 1971년까지 한국 외교정책의 중요한 명맥으로 유지되었다. 할슈타인 원칙이란 '두 개의 한국'을 거부하는 정책으로, 한국과 외교관계를 가진 국가가 북한과 외교관계를 수립한 경우 한국은 국교관계의 단절을 불사한다는 강력한 보복정책이다. 그러나 이 원칙은 다행스럽게도 1960년대 말에 이르기까지 적용(適用)될 만한 사건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358] 서적
[359] 서적
[360] 서적
[361] 웹인용 http://article.joins[...] 2012-07-07
[362] 뉴스 http://dna.naver.com[...]
[363] 뉴스 http://dna.naver.com[...]
[364] 웹인용 http://contents.arch[...] 2009-07-11
[365] 웹사이트 정부, 히로히토 일본 천황 장례식에 강영훈 국무총리 파견 http://imnews.imbc.c[...]
[366] 뉴스 http://newslibrary.n[...]
[367] 서적
[368] 웹사이트 2017 BBC World Service poll http://www.globescan[...] BBC World Service 2017-07-04
[369] 웹사이트 2014 BBC World Service poll http://downloads.bbc[...] BBC World Service 2014-06-03
[370] 논문 한국군의 동티모르 평화유지활동에 관한 연구 http://www.riss.kr/l[...]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2005
[371] 웹인용 http://mys.mofat.go.[...] 2011-09-06
[372] 저널
[373] 웹인용 http://lka.mofat.go.[...] 2012-04-29
[374] 서적
[375] 뉴스 http://newslibrary.n[...]
[376] 논문 한·GCC FTA 기대효과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2-08
[377] 뉴스 http://newslibrary.n[...]
[378] 서적
[379] 서적
[380] 뉴스 한국, 사상최대 47조규모 UAE原電 수주(종합) :: 네이버 뉴스 https://news.naver.c[...]
[381] 뉴스 http://newslibrary.n[...]
[382] 웹인용 http://jor.mofat.go.[...] 2012-04-29
[383] 뉴스 http://newslibrary.n[...]
[384] 서적 http://www.mofat.go.[...] 2015-02-21
[385] 뉴스 인도네시아 대통령 "한국과 방산 협력 강화" http://news.hankooki[...] 한국일보 2010-12-09
[386] 서적 아빠까바르 인도네시아(외교관이 본 인도네시아의 사회 문화 한류) 그린누리
[387] 뉴스 South Korea, Kazakhstan Agree to Work Closer on Construction http://au.biz.yahoo.[...] Asia Pulse News
[388] 뉴스 캄보디아通信보도 對韓修交정식수립 http://dna.naver.com[...] 매일경제신문 1970-08-17
[389] 뉴스 試練속의 多難... 政街75年 4 傷處입은外交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75-12-25
[390] 웹인용 공관장 인사 http://khm.mofat.go.[...] 외교통상부 2010-05-01
[391] 뉴스 몰도바등과 대사급 수교 http://newslibrary.n[...] 한겨레신문 1992-02-02
[392] 뉴스 韓-키프로스 修交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5-12-29
[393] 웹인용 주요업무 http://tjk.mofat.go.[...] 2012-04-29
[394] 웹사이트 대한민국 외교통상부 해외안전여행사이트 http://www.0404.go.k[...]
[395] 웹인용 호주·터키, 한국 승인 http://db.history.go[...] 서울신문 1949-08-14
[396] 뉴스 韓國, 파키스탄과 修交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신문 1983-11-07
[397] 서적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도서출판 범한
[398] 뉴스 希臘과 外交樹立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61-07-12
[399] 뉴스 信任狀을 提呈 金駐노르웨이 公使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59-05-21
[400] 문서 한독 수교일
[401] 웹인용 Russian government approves list of unfriendly countries https://tass.com/pol[...] Russian News Agency TASS 2021-05-14
[402] 웹인용 Russian government approves list of unfriendly countries and territories https://tass.com/pol[...] Russian News Agency TASS 2022-03-07
[403] 웹인용 주불대사, 모나코 대공 앞 신임장 제정 http://www.mofat.go.[...] 2018-11-13
[404] 뉴스 몰도바등과 대사급 수교 http://newslibrary.n[...] 한겨레신문 1992-02-02
[405] 문서 대한제국과 수교
[406] 문서 한-오스트리아 수교일
[407] 웹인용 한국과의 관계: 외교 관계 http://che-berne.mof[...] 주스위스 대한민국 대사관
[408] 뉴스 맨주먹으로 일군 '태권 스위스'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사 1999-07-27
[409] 웹사이트 한_스페인 자매결연 http://esp.mofat.go.[...]
[410] 뉴스 아이슬란드와國交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62-10-10
[411] 뉴스 아이슬란드 韓相國씨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76-07-24
[412] 뉴스 에스토니아와 修交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1-10-18
[413] 문서 한-독 수교일
[414] 문서 한-러 수교일
[415] 웹인용 공관약사 http://nga-abuja.mof[...] 주 나이지리아 대한민국 대사관 2009-06-21
[416] 서적 대한민국 건설 지성사
[417] 뉴스 "리비아, 한국인 선교사 영사접근 불허"(종합)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0-07-25
[418] 뉴스 형님까지 나섰지만 소용없었다…한-리비아 관계 '위기' http://www.cbs.co.kr[...] 노컷뉴스 2010-07-27
[419] 뉴스 한-리비아 외교급랭..건설업계 불똥 '우려' http://www.asiae.co.[...] 아시아경제 2010-07-27
[420] 웹인용 부르키나파소(와가두구, 보보디울라소 제외) 전역 여행경보 3단계(철수권고)로 상향 조정 http://0404.go.kr/de[...] 2020-09-15
[421] 웹인용 세계각국소개: 수단 http://portal.nis.go[...] 대한민국 국가정보원 2009-07-08
[422] 문서
[423] 뉴스 韓·잠비아 國交수립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0-09-05
[424] 웹인용 지부티 약황 https://web.archive.[...] 2009-07-11
[425] 뉴스 阿洲六國과修交...孫親善特使合意報告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60-07-22
[426] 뉴스 白善燁씨赴任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63-08-28
[427] 웹인용 한국과의 관계 http://congo.mofat.g[...] 2009-07-11
[428] 뉴스 한국-콩고민주공화국, 수자원-광물 공동 개발 http://news.donga.co[...] 동아일보사 2009-03-05
[429] 뉴스 큐-바 政府서 大韓民國承認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49-07-14
[430] 문서
[431] 웹인용 공관장 인사 https://web.archive.[...] 2009-07-10
[432] 서적 콜롬비아 그리고 한국전쟁 한국학술정보(주)
[433] 웹인용 우리나라와의 관계 약사 https://web.archive.[...] 중남미연구소 - 한국외국어대학교 2002
[434] 뉴스 콜롬비아, 거북선 모형 한국전 참전기념비 준공식 http://www.newsis.co[...] 뉴시스 2008-11-02
[435] 뉴스 朴東鎭브라질大使 駐『페루』大使兼任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64-04-29
[436] 웹인용 세계각국소개:나우루 http://portal.nis.go[...] 대한민국 국가정보원 2009-07-09
[437] 뉴스 南太 바누아투 독립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0-07-28
[438] 웹인용 Political relations https://web.archive.[...] ROK embassy in Fiji 2009-07-28
[439] 뉴스 Fiji to open embassy in South Korea http://www.koreahera[...] Korea Herald 2011-12-11
[440] 뉴스 중국 "이어도 한국땅 인정 못한다” http://www.segye.com[...] 세계일보 2006-09-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