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국의 문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국의 문화는 오랜 역사와 다양한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사회 구조, 사상, 종교, 예술, 음식 등 다방면에 걸쳐 나타난다. 중국은 다민족 국가로, 한족이 다수를 차지하며, 지역별로 다양한 하위 문화를 형성한다. 고대부터 천하관과 화이 질서를 통해 주변국과의 관계를 정립했으며, 유교, 도교, 불교 등 다양한 사상이 융합되어 발전했다. 건축, 서예, 회화, 음악 등 예술 분야에서 독자적인 양식을 발전시켰으며, 과학, 의학, 농학 분야에서도 뛰어난 업적을 남겼다. 또한, 중국 요리는 지역별 특색과 약식동원 사상을 바탕으로 다양하게 발전했으며, 차 문화도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문화 - 본관
    본관은 한국 씨족의 발상지를 나타내는 지명으로, 신라 말기부터 고려 초기에 형성되어 문벌 귀족의 권력 유지에 기여했으나 조선 시대 이후 관념적 혈연 의식으로 변화하였으며, 현재는 다양한 성씨와 함께 존재하나 사회적 중요성은 감소하고 있다.
  • 중국의 문화 - 사직단
    사직단은 토지의 신과 곡식의 신에게 제사를 지내던 제단으로, 한국의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 중국의 명청시대까지 존재했으며, 현재는 한국의 사직단 터 일부와 중국 베이징의 사직단이 남아 각 지역 문화재로 보호받고 있다.
중국의 문화
개요
화려한 머리 장식을 한 궁중 여인들
당나라의 주방이 그린 화려한 머리 장식을 한 궁중 여인들
정의중국의 문화, 중국 문명
범위지리: 중국과 그 문화가 영향을 미친 지역
역사: 문명의 시작부터 현재까지
특징다양성: 다양한 민족, 언어, 종교, 관습 포괄
통일성: 공통된 가치관, 철학, 예술 공유
중요성세계 문화 유산으로서의 가치, 동아시아 문화에 미친 영향
역사
기원황하 문명
발전상(商): 갑골문자, 청동기 기술
주(周): 봉건 제도, 유교와 도교 철학의 발전
진(秦): 통일 국가, 문자 통일, 만리장성 건설
한(漢): 유교를 통치 이념으로 채택, 실크로드 개척
당(唐): 문화의 황금기, 불교 전파, 국제 교류 활발
송(宋): 경제 발전, 과학 기술 발전, 성리학 발전
원(元): 몽골족 통치, 라마교 유입
명(明): 해금 정책, 자금성 건설
청(清): 만주족 통치, 서양 세력과의 충돌
현대: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사회주의 체제, 개혁개방 정책
문화 혁명전통 문화 파괴 시도, 사회적 혼란 야기
개혁개방 이후전통 문화 부흥 노력, 경제 발전과 함께 문화적 다양성 증가
철학 및 종교
유교창시자: 공자
핵심 사상: 인(仁), 의(義), 예(禮), 지(智)
사회적 영향: 도덕적 가치관, 가족주의, 교육 중시
도교창시자: 노자
핵심 사상: 무위자연(無爲自然), 도(道), 음양오행
사회적 영향: 자연과의 조화, 건강과 장수 추구, 예술에 영향
불교인도에서 전래
중국화: 선불교(禪佛敎) 발전
사회적 영향: 윤회 사상, 자비, 사찰 건축, 예술에 영향
기타 종교민간 신앙: 조상 숭배, 토지신, 용왕신 등 다양한 신 숭배
기독교, 이슬람교: 소수 종교
예술
서예문자의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예술, 정신 수양의 방법
회화산수화: 자연의 아름다움을 표현
인물화: 역사적 인물, 문인, 귀족 등을 그림
화조화: 꽃과 새를 그림
도자기역사: 신석기 시대부터 제작
종류: 청자, 백자, 청화백자, 채색 자기
음악종류: 궁중 음악, 민속 음악, 경극
악기: 비파, 얼후, 피리, 쟁
문학시: 당시
소설: 삼국지연의, 서유기, 수호전, 금병매, 홍루몽
희곡: 원곡
건축특징: 목조 건축, 기와 지붕, 정원
대표적 건축물: 자금성, 만리장성, 천단
언어
표준 중국어보통화(普通話), 만다린어(官話)
방언광둥어(廣東話)
민난어(閩南語)
상하이어(上海語)
우어(吳語)
샹어(湘語)
간어(贛語)
객가어(客家語)
문자한자(漢字), 간체자(簡體字), 번체자(繁體字)
사회 및 생활
가족대가족 제도, 가족 중심주의, 효(孝) 중시
음식주식: 쌀, 밀
요리: 지역별 특색 있는 요리 발달 (사천 요리, 광둥 요리, 상하이 요리, 베이징 요리)
차 문화: 차 마시는 풍습
의복치파오(旗袍), 한푸(漢服), 중산복(中山裝)
전통 의례결혼, 장례, 제사
명절춘절(春節): 설날
청명절(清明節): 조상 숭배
단오절(端午節): 용舟 경기
중추절(中秋節): 달맞이
국경절(國慶節): 건국 기념일
무술쿵푸(功夫), 태극권(太極拳)
영향
주변 국가한국, 일본, 베트남 등 동아시아 국가의 문화에 큰 영향
세계중국 문화는 세계적으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으며, 차이나타운을 통해 세계 각지에 전파

2. 정체성과 특징

중국의 정체성은 어떤 집단이나 공동체에서 오랫동안 전해 내려오는 고유한 생김새나 모양을 말한다. 주나라 때부터 중국 정부는 중국인을 네 계급 (사대부, 농민, 장인, 상인)으로 나누었다. 사대부와 농민이 주요 계급이었고, 상인과 장인은 하위 계급이었다. 이론적으로 황제 자리를 빼고는 세습되는 것은 없었다.

한족동아시아인 민족이자 국민으로, 세계 인구의 약 17%를 차지하는 13억 명이 넘는 세계 최대의 민족이다. 현대 중국에는 공식적으로 56개의 민족이 있다.[9] 역사적으로 많은 비한족 외국인들이 한족에 동화되었고, 다른 집단들은 뚜렷한 민족 정체성을 유지하거나 사라졌다.[10] 한족은 수 세기 동안 뚜렷한 언어적, 지역적 문화적 전통을 유지해 왔다. 중화민족(中华民族|중화민족중국어)이라는 용어는 중국 민족주의 개념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어 왔다. 많은 전통적인 정체성은 성씨를 구별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중국 문명은 세계 "4대 고대 문명의 요람" 중 역사적 연속성을 유지해 온 유일한 문명이다. 중국인은 "끊임없는 자기 갱신", "자기 규율과 사회적 헌신", "다양성에 대한 포용", "현실주의와 변화 적응"의 정신으로 다양한 문화적 전통을 창조했다. 이러한 전통은 중국인을 길러내고 형성해 왔으며, 중국 민족의 피와 영혼 속에 내면화되었다.[12]

2. 1. 천하관과 화이질서

고대 중국인의 정체성은 현대 중국인과는 크게 달랐다. 중화민국 성립 이전에는 중국인들이 자신들이 살고 있는 땅을 천하[120][121][122][123]라고 생각했고, "한자를 사용해 한문을 쓰고, 중국어 문법을 이해할 수 있는 사람들"을 자신들과 같은 중국인, 즉 "자신의 동포"라고 인정했다.[124][125][126]

한편, 일본, 한국, 베트남 등 문자를 한자로 사용하면서도 언어가 중국어와 다른 국가들은 "중국에 종속되는 책봉국"으로 여겨졌다.[127][128][129] 태국, 말레이시아,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 한자를 사용하지 않지만, 목조 건축이나 불교 계열의 종교관, 젓가락과 간장을 기반으로 한 식문화가 중국과 비슷한 국가들은 "중국과 무역을 원하는 조공국"으로 여겨졌다.[130][131][132] 그리고 영국, 프랑스, 독일 등 중국의 문자나 건축, 식문화와는 전혀 다른 국가들은 "어디에서 온 만이"로 취급되었다.[133][134][135]

이것이 고대 중국인이 가진 "화이질서"와 "중국 중심주의"라고 하는 관념이다. 현대 일본어에서는 이 두 관념을 통틀어 "중화사상"이라는 용어로 간략화되어 있다.

2. 2. 한족과 민족 문제

한족중국 인구의 약 92%, 타이완의 95%,[7] 싱가포르 화교의 76%,[8] 말레이시아 화교의 23%를 차지하며, 세계 인구의 약 17%를 차지하는 세계 최대의 민족 집단이다.[7] 중국의 역사를 통틀어 수많은 비한족 외국인들이 한족에 동화되었고,[10] 몽골족만주족만이 한족을 정복하고 동화에 성공했지만, 결국 이들도 한족 문화에 흡수되었다.[141][142][143][144]

청나라 말기 량치차오는 민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화민족"이라는 개념을 제시하여, 청나라 지배하의 모든 민족을 "중국인"으로 정의하였다.[145][146][147][148] 현대 중화인민공화국도 "중화민족" 개념을 계승하여 민족 통합을 추구하고 있으며,[149][150] 현대 중국에는 한족 외 55개의 소수 민족이 존재한다고 공산당 정부가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있다.[9]

3. 지역 및 민족

중국은 중원과 외부 중국으로 나뉘며, 다양한 방언과 지역 문화가 존재한다. 각 지역은 세 가지 대표적인 물품으로 나타내는데, 예를 들어 광둥성은 귤 껍질, 생강, 건초로 대표된다.[16][17] 이러한 지역적 차이는 "십 리마다 바람이 다르고, 백 리마다 풍속이 다르다"는 속담을 낳았다.

한어에는 관화(만다린), 북방어, 동북 관화, 장회 관화, 중원 관화, 서남 관화 등이 있다. 그 외에도 상어, 오어, 월어, 감어, 객가어 등이 있으며, 민어에는 민남어, 민북어 등이 있다.

고대 중국 문명은 황하 문명, 장강 문명, 요하 문명으로 크게 분류된다. 20세기 중기에는 황하 문명이 중심지로 여겨졌고, 장강 문명은 황하 문명을 계승한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1986년 산싱두이 유적 발견 이후, 21세기 중화 문명 탐원 프로젝트에서는 여러 문명이 관련되어 있다고 보고 있다. 최근에는 화하족의 관점에서 '''화하 문명'''으로도 연구되고 있다.

3. 1. 지역별 하위 문화

중국 문화는 넓은 지역에 걸쳐 다양한 하위 문화로 나뉜다. 각 지역은 고유한 특색을 지니는데, 예를 들어 광둥성은 귤 껍질, 생강, 건초로 대표된다.[16][17] 이러한 지역별 문화 차이는 "십 리마다 바람이 다르고, 백 리마다 풍속이 다르다"는 속담을 낳았다.

한족 내에서도 언어적 차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하위 그룹이 존재한다. 주요 하위 문화는 다음과 같다.

북부남부


4. 문자

한자중국 문명의 중요한 상징이며, 일본, 한반도, 베트남 등 주변 국가에 영향을 미쳐 한자 문화권을 형성했다. 갑골문, 금문, 서하 문자, 거란 문자, 여진 문자, 만주 문자 등 다양한 문자가 존재했다.[31]

5. 정치 체제 및 사상

삼황오제 시대부터 중국 군주가 모든 것을 통치하는 주요 통치자였다. 역사적 시기에 따라 사회 내의 다양한 지위에 대한 명칭이 달랐다. 개념적으로 각 제국 또는 봉건 시대는 계층 구조에서 정부와 군사 관리들이 높은 지위를 차지하고, 나머지 인구는 일반적인 중국 법률의 적용을 받는다는 점에서 유사했다.[19] 늦은 주 왕조(기원전 1046–256년)부터 전통적인 중국 사회는 사민이라고 알려진 사회 경제적 계급의 계층적 시스템으로 조직되었다.

송나라(960–1279 CE) 시대에 중국 문화가 상업주의화 된 이후 집단 간의 구분이 모호해졌다. 고대 중국 교육 또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데, 수나라(581–618 CE) 이후 교육받은 지원자들이 과거 시험을 준비했고, 시험 합격자들은 문관으로 정부에 등용되었다. 이것은 실력주의를 낳았지만, 성공은 시험 준비를 할 수 있는 남성에게만 가능했다. 황제 시험은 지원자들이 에세이를 작성하고 유교 경전에 대한 숙달을 입증하도록 요구했다. 가장 높은 수준의 시험에 합격한 사람들은 ''진사''라고 알려진 엘리트 학자 관료가 되었고, 매우 존경받는 사회 경제적 지위를 누렸다.

유가(儒家)는 중국 제국 시대의 대부분 동안 공식 철학이었으며, 유교 경전에 대한 숙달은 제국 관료 체제 진입의 주요 기준이었다. 권위주의적인 법가 사상도 영향력이 컸다. 유교와 법가 사이에는 종종 갈등이 있었는데, 예를 들어 송나라의 신유학자들은 법가가 유교의 본래 정신에서 벗어났다고 믿었다. 시험과 실력주의 문화는 오늘날 중국에서 여전히 매우 중요하게 여겨진다.[25]

유교는 전통, 철학, 종교, 인본주의적 또는 합리주의적 종교, 통치 방식 또는 단순히 삶의 방식으로 묘사된다.[26] 유교는 중국 철학자 공자(기원전 551–479년)의 가르침에서 비롯된, 나중에 제자백가로 불리는 사상에서 발전했다.[27] 한나라(기원전 206년 – 서기 220년) 시대에는 유교적 접근 방식이 "원시 도가" 황로를 제치고 공식적인 이념이 되었으며, 황제들은 이를 법가의 현실주의적 기법과 혼합했다.

주나라 시대 제자백가의 주요 중국 철학자들의 출생지


제자백가는 기원전 6세기부터 기원전 221년까지 고대 중국의 춘추 시대전국 시대에 번성했던 철학 및 학파들을 통칭한다.[28] 이 시기는 혼란과 피비린내 나는 전투로 가득했지만, 중국의 문화적, 지적 확장이 이루어진 시대였다.[29] 다양한 사상과 아이디어가 개발되고 자유롭게 논의될 수 있었기 때문에 중국 철학의 황금기로 알려지게 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백가쟁명'(百家爭鳴; ''bǎijiā zhēngmíng''; "백 개의 학파가 다투어 울린다")으로 불렸다. 이 시대는 제국 진나라의 부상과 그에 따른 이견 탄압으로 끝을 맺었다.

묵가논리, 합리적 사고 및 과학에 대한 고대 중국 철학으로, 묵자(기원전 470년경–기원전 391년경)의 제자였던 학자들에 의해 발전되었다. ''묵자''에 담겨 있다. 병가(兵家)는 전쟁과 전략을 연구했으며, 손자손빈이 영향력 있는 지도자였다. 음양가전국 시대의 철학으로 음양과 오행의 개념을 종합했으며, 추연이 창시자로 여겨진다.[30]

세계를 바라보는 관점으로는 중국 문명을 "세계의 중심=중화·중국"으로 여기고 주변 지역을 변방으로 간주하는 중화사상(화이 질서)이 있다.

6. 건축

중국 건축은 수 세기에 걸쳐 형성되어 동아시아 건축에 영향을 미친 건축 양식이다. 당나라 이후 중국 건축은 일본 및 한국과 같은 동아시아의 건축 양식에 큰 영향을 미쳤다. 2,000년 이상 전의 사례를 찾을 수 있는 중국 건축은 중국 문명만큼 오래되었으며 오랫동안 중국 문화의 중요한 특징이었다. 중국 건축의 구조적 원리는 대체로 변하지 않았으며, 주요 변화는 장식적인 세부 사항에 국한되었다.

중국 건축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대칭으로, 궁궐에서 농가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에 적용되어 웅장함을 연상시킨다. 한 가지 주목할 만한 예외는 정원의 디자인으로, 가능한 한 비대칭적인 경향이 있다. 풍수는 구조 개발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전통적인 중국 건축은 "기둥로 건물을 지탱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붕틀과 박공을 최대한 활용하는 일본 건축"이나 "벽돌 또는 석벽으로 건물을 굳건하게 짓는 서양 건축"과는 대조적이다.

'''두공'''(중국어: 斗拱, 병음: dǒugǒng, 일본어: ときょう)은 중국 특유의 건축 부품으로, 일본 건축의 "구미물"에 해당하지만, 일부 구조가 다르다. 중국의 두공은 "'''두'''(斗, 투)"와 "'''궁'''(拱, 궁)"으로 나뉘는데, 굽은 보와 같이 건물을 지탱하는 목재를 "'''궁'''"이라고 하고, "궁"과 "궁·기둥"을 맞물리게 하는 사각형 목재를 "'''두'''"라고 한다.[151][152][153]

중국 궁궐은 대칭적인 구조를 가지며, 전체적으로 보면 직사각형 형태를 하고 있다. 내부 건물은 바둑판처럼 정연하게 배치되었으며, 이는 일본의 나라교토의 도시 구조에 영향을 주었다.[154][155] 주요 황실 궁궐 외에도, 중국 왕조는 황후, 황태자 또는 다른 황족 구성원이 거주하는 수도에 여러 다른 황실 궁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황제가 여행할 때 거주하는 "이궁"(離宮/离宫)이라고 불리는 수도 밖의 궁궐도 존재했다. 서태후원명원 근처에 이화원을 지었지만, 원명원보다 훨씬 작은 규모였다.

6. 1. 주요 건축물



중국 약식재료: 오미자


개똥쑥


기창원(1506–1521), 명나라 시대에 지어진 남중국 스타일 정원의 전형적인 작품이다.


중국 정원의 달문


'''패방'''(牌坊)은 중국의 전통적인 건축 아치 또는 관문 구조이다.[81] 고대 중국 도시에서 가장 큰 구획은 현재의 구에 해당하는 '''방'''(坊)이었다. 각 방은 벽이나 울타리로 둘러싸여 있었고, 이 구역의 문은 매일 밤 닫히고 지켜졌다. 각 방은 여러 개의 '''패'''(牌)로 더 세분화되었으며, 이는 현재의 (미편입) 커뮤니티와 같다. 원래 '패방'이라는 단어는 방의 문과 건물 단지 또는 마을의 입구를 나타내는 표지판을 지칭했지만, 송나라 시대에 이르러 패루는 순전히 장식적인 기념물로 발전했다.

중국 정원은 수년에 걸쳐 발전해 온 조경 양식이다.[82] 여기에는 즐거움을 위해 지어졌고 사람들에게 깊은 인상을 주기 위한 중국 황제와 황족 구성원들의 광대한 정원과, 성찰과 외부 세계로부터의 도피를 위해 학자, 시인, 전직 정부 관료, 군인, 상인들이 만든 더 친밀한 정원이 포함된다. 그들은 인간과 자연 사이에 존재해야 하는 조화를 표현하기 위한 이상화된 소형 풍경을 만든다.[80]

7. 사상 및 종교

중국은 종교의 자유가 없지만, 세계화의 영향으로 다양한 종교가 존재한다. 유교, 불교, 도교가 주를 이루며, 크리스천도 6700만 명에 달하고, 그중 1000만 명 정도는 가톨릭 신자이다. 대부분의 정신적 수행은 중국 불교, 도교, 유교에서 비롯되었다. 각 학파의 상대적 영향력은 논쟁의 대상이며, 신유교 등 다른 수행이 도입되었다.[20]

현공사도교, 불교, 유교가 결합된 사찰이다.


중국 불교는 예술, 문학, 철학에 영향을 미쳤다. 많은 외국의 불교 경전이 중국어로 번역되었고, 중국에서 저술된 작품과 함께 인쇄된 정전에 포함되어 중국 전역에 불교가 전파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중국 불교는 인도 종교, 중국 민간 신앙, 도교 간의 상호 작용으로 특징지어진다.

하(夏)나라와 상(商)나라 시대에는 최고신 상제(上帝)를 숭배하였고, 왕과 점술가가 사제 역할을 하며 갑골문을 사용했다. 주(周)나라 시대에는 더 넓은 개념의 하늘을 숭배했다. 중국 문화는 영적인 세계에 대한 믿음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수많은 점술 방법이 질문에 답하고 의학의 대안으로 기능하기도 했다. 민속은 설명할 수 없는 것들 사이의 간극을 메웠고, 많은 이야기가 중국의 전통적인 명절로 발전했다. 문신(門神)과 사자상(Imperial guardian lions)과 같은 영적 상징도 존재하며, 신성한 존재와 함께 사악한 존재에 대한 믿음도 있다. 도교의 구마 의식으로 도깨비를 퇴치하거나 복숭아나무 칼로 강시를 퇴치하는 것은 여러 세대에 걸쳐 전해 내려오는 개념이다. 수천 년 동안 정제된 중국 점술 의식은 오늘날에도 사용되고 있다.

도교는 ''(道)''(道중국어, 문자 그대로 "길", 로마자 표기로는 ''Dao'')와 조화를 이루는 삶을 강조한다. ''도''(Tao)는 대부분의 중국 철학 학파에서 근본적인 개념이지만, 도교에서는 존재하는 모든 것의 근원, 패턴, 본질을 나타내는 원리를 의미한다.[21][22] 도교는 유교와 달리 엄격한 의례와 사회 질서를 강조하지 않는다.[21] 도교 윤리는 학파에 따라 다르지만 ''무위(無爲)'' (노력 없는 행위), "자연스러움", 단순성, 자발성, 도교의 삼보(Three Treasures)인 慈 "자비", 儉/俭 "검소함", 謙 "겸손"을 강조한다. 도교는 기원전 4세기 음양가(Yinyang)의 우주론적 개념을 차용했고, ''주역''에 깊은 영향을 받았다.[22][23][24] 노자의 ''도덕경''과 장자의 저술은 도교 전통의 핵심 작품이다.

유교는 중국 제국 시대의 공식 철학이었으며, 유교 경전 숙달은 제국 관료 체제 진입의 주요 기준이었다. 권위주의적인 법가도 영향력이 컸으나, 유교와 법가 사이에는 갈등이 있었다. 시험과 실력주의 문화는 오늘날 중국에서 여전히 중요하게 여겨진다. 최근 신유학자들은 민주주의 이상과 인권이 유교적 "아시아적 가치"와 양립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25]

유교는 공자 (기원전 551–479년)의 가르침에서 비롯된 제자백가 사상에서 발전했다.[27] 한나라 (기원전 206년 – 서기 220년) 시대에 유교는 공식 이념이 되었다.

다음은 중국의 주요 사상 및 종교이다.

주석을 거쳐 발전한 사상으로는 주자학, 양명학, 고증학, 공자학원, 팔고문 등이 있다. 중국의 세계관 및 우주관에는 오행 사상, 음양 사상, 주역, 팔괘, , 중국 계열 불교 등이 있다. 중국 종교에는 도교, 유교, 불교를 묶어 삼교라 하며, 도교에는 신선 사상·민족 종교도 포함된다. 기원으로는 조령 신앙이 있다.

8. 역사서 및 문학

중국은 다양한 역사서와 문학 작품을 남겼다. 삼황오제 시대부터 군주가 통치하는 주요 통치자였다. 역사적 시기에 따라 사회 내의 다양한 지위에 대한 명칭이 달랐다.[19] 늦은 주 왕조 (기원전 1046–256년)부터 전통적인 중국 사회는 사민이라고 알려진 사회 경제적 계급의 계층적 시스템으로 조직되었다. 송나라 (960–1279 CE) 시대에 중국 문화가 상업주의화 된 이후 집단 간의 구분이 모호해졌다. 수나라 (581–618 CE) 이후 교육받은 지원자들이 과거 시험을 준비했고, 시험 합격자들은 문관으로 정부에 등용되었다. 이것은 실력주의를 낳았지만, 성공은 시험 준비를 할 수 있는 남성에게만 가능했다. 황제 시험은 지원자들이 에세이를 작성하고 유교 경전에 대한 숙달을 입증하도록 요구했다. 가장 높은 수준의 시험에 합격한 사람들은 ''진사''라고 알려진 엘리트 학자 관료가 되었고, 매우 존경받는 사회 경제적 지위를 누렸다. 황제 시험 신화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주요 신화 구조가 발전했다. 무역과 수공예는 보통 사부에 의해 가르쳐졌다. 여성 역사가 반자오는 한나라 시대에 ''여계''를 썼고 여성이 준수해야 할 네 가지 덕목을 요약했으며, 주희와 정이와 같은 학자들이 이를 확장했다.[19]

주나라는 종종 중국 문화 발전의 시금석으로 여겨진다. 중국 고전에 포함된 개념에는 시, 점성술, 천문학, 달력 및 별자리가 있다. 가장 중요한 초기 텍스트로는 사서오경 내의 ''주역''과 ''서경''이 있다. 음양, , 하늘과 땅과 관련된 사주와 같은 많은 중국 개념은 제국 이전 시대에 이론화되었다. 청나라 말기에 중국 문화는 일반 시민을 위한 백화문과 함께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 후스루쉰은 당시 현대 문학의 선구자로 여겨졌다.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중국 현대 문학 연구가 점차 증가했다. 현대 시대의 문학은 국가 정체성의 현대적 해석과 민족 정신의 창조에 영향을 미쳤다.

당나라 시대의 난정서 서문 사본, 왕희지 (서기 303–361년)가 쓴 것으로 추정, 진나라 시대


당나라 (618년 6월 18일 – 907년 6월 4일, 무측천의 690–705년 통치 포함) 시대에는 시가 사회 모든 계층의 삶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다. 학자들은 문관 시험을 위해 시를 숙달해야 했지만, 이론적으로는 모든 사람이 시를 쓸 수 있었다.[38] 이 시대의 가장 유명한 시인 두 명은 이백두보였다. 18세기 초에 편찬된 『전당시』("Complete Tang Poems") 선집에는 2,200명 이상의 작가가 쓴 48,900편이 넘는 시가 수록되어 있다.[39]

명나라 시대 천일각 소장 목판본 서적


사(辭/辞)는 고대 중국 시가의 전통에 따라 만들어진 시의 형식으로, 일종의 서정시이다. 고정된 리듬, 고정된 음조, 가변적인 행 길이를 가진 일련의 패턴을 기반으로 하는 일종의 운율을 사용하며, 이는 특정 패턴의 기반이 되는 일련의 모델 예시이다. 사의 리듬과 음조 패턴은 특정하고 확정적인 음악 가락을 기반으로 한다.[42] 육조 시대 시가의 양나라에서 시작된 사는 시경악부의 전통을 따랐다. 즉, 익명의 대중가요에서 정교한 문학 장르로 발전한 가사였지만, 사 형식의 경우 일부 고정 리듬 패턴은 중앙아시아에서 유래되었다. 이 형식은 당나라에서 더욱 발전했다. 이백 (701-762)의 기여는 역사적 의문으로 가득하지만, 분명 당나라 시인 온정균 (812-870)은 사의 위대한 대가였으며, 뚜렷하고 성숙한 형태로 글을 썼다.[43]

취(曲)는 일종의 고전 중국 시 형식으로, 다양한 노래의 곡조에 따라 정해진 특정 음조 패턴으로 작성된 단어로 구성된다. 중국 문학에서 원나라의 시 형식인 '''취'''(曲)는 '원취'(元曲)라고 불릴 수 있다. 취는 중국 오페라에서 파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잡극에서 이러한 취는 '산취'(散曲)라고 불릴 수 있다.[45]

4대 기서[46] 또는 중국 고전 소설[47]은 중국 문학 평론에서 전근대 중국 소설 중 가장 위대하고 영향력 있는 작품으로 널리 여겨지는 네 편의 소설을 말한다. 명나라청나라 시대에 쓰여졌으며, 대부분의 중국인들은 이 작품들을 직접 접하거나, 또는 중국 경극 및 다른 형태의 대중 문화를 통해 접하여 잘 알고 있다.

9. 음악, 악기, 바둑, 서예, 그림, 물감

중국에서는 문인들이 '금기서화'라 하여 거문고(금), 바둑(기), 서예(서), 그림(화)을 즐겼다.


진나라의 시인 왕희지가 쓴 중국 서예


중국 서예 전통에서 사용되는 문방사우 – 붓, 먹, 종이, 벼루

구정, 중국 악기의 한 종류

10. 과학, 의학, 농학, 4대 발명

조지프 니덤은 '''중국 문명'''의 제지술, 인쇄술, 나침반, 화약 발명을 '''4대 발명'''으로 꼽았다.

11. 미술, 공예, 조각

중국 미술은 고대부터 현대까지 중국에서 기원했거나 중국 예술가들에 의해 행해지는 시각 예술을 말한다. 중화민국(대만)의 중국 미술과 화교의 미술 역시 중국 유산과 중국 문화를 기반으로 하는 경우 중국 미술의 일부로 간주될 수 있다. 초기 "석기 시대 미술"은 기원전 1만 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주로 단순한 도기와 조각으로 구성되었다. 이 초기 시기 이후, 중국 미술은 수백 년 동안 지속된 중국 황제의 통치 왕조의 계승에 따라 분류된다.

중국 미술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지속적인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서양의 고전 양식의 붕괴와 점진적인 회복에 해당하는 것이 없는, 그러한 전통 내에서의 유례없는 연속성과 의식을 특징으로 한다. 르네상스 이후 서양에서 장식 미술로 분류된 매체는 중국 미술에서 매우 중요하며, 특히 중국 도자기에서 훌륭한 작품의 상당 부분이 본질적으로 알려지지 않은 예술가들에 의해 대규모 작업장이나 공장에서 제작되었다.

다양한 형태의 예술은 위대한 철학자, 교사, 종교 지도자, 심지어 정치적 인물들의 영향을 받아왔다. 중국 미술은 순수 미술, 민속 예술 및 공연 예술의 모든 측면을 포함한다.


  • 도자기: 구석기 시대의 최초 예술 형태 중 하나였다.
  • 회화: 산수화를 포함하여 궁정에서 매우 높이 평가받는 예술이 되었으며, 명나라 회화와 같은 특화된 스타일을 갖게 되었다.
  • 음악: 초기 중국 음악은 타악기를 기반으로 했으며, 이후 현악기와 리드 악기로 대체되었다.
  • 종이 공예: 한나라 시대에 종이 공예는 종이 발명 이후 새로운 예술 형태가 되었다.
  • 오페라: 중국 오페라 또한 소개되었으며 잡극과 같은 다른 공연 형식 외에도 지역적으로 분화되었다.
  • 등: 축제와 자주 연관되어 있으며, 중국, 일본, 한국, 대만, 그리고 대규모 화교 공동체가 있는 차이나타운에서 흔히 볼 수 있다.
  • 종이 등불: 얇고 밝은 색상의 종이로 만들어진 등불이다.[52]
  • 천등: ''공명 등''이라고도 하며, 종이로 만들어진 작은 열기구이다.
  • 칠기: 조각 칠기 또는 ''치디아오''(漆雕|칠조중국어)는 중국의 독특한 장식 칠기 형태이다.
  • 옥: 중국 옥(玉)은 신석기 시대부터 중국에서 채광되거나 경옥 조각된 을 가리킨다.

12. 희곡, 도박, 무술

중국은 다양한 희곡, 도박, 무술 문화를 발전시켰다.

희곡에는 곤극, 경극, 월극, 황매희, 평탄, 남관, 진강, 월극, 호극, 상극, 쌍황, 상성 등이 있다.[158]


  • '''경극''': '베이징 오페라(Peking opera)'라는 이름으로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졌다. 1790년 안후이성(安徽省)을 기반으로 한 극단이 베이징에 진입하면서 시작되었다. 19세기 중엽, 휘극(徽劇), 한극(漢劇), 진강(秦腔), 곤곡(崑曲), 방자(梆子), 익양강(弋陽腔) 등 다른 지방극의 장점을 흡수하고 황실의 지원을 받아 전국적인 명성을 지닌 전통극으로 자리 잡았다.
  • '''곤극''': 명나라를 대표하는 전기에서 발전했으며, 부드러운 음악과 시적인 대사, 섬세한 동작을 특징으로 한다. 장엄한 스타일의 경극과 구분되는 남방 대표 지방극이다.
  • '''천극''': 쓰촨 지역을 대표하는 전통극이다.
  • '''월극''': 여성 배우들이 연극하는 지방극으로 유명하다.
  • '''상성'''(相聲): 현재 가장 활성화되어 있는 설창예술의 한 장르이다.
  • '''소품'''(小品): 상성과 유사하지만 짧은 콩트 형식을 총칭한다. 90년대 '춘제완후이(春節晩會)'를 통해 TV로 방영되면서 큰 인기를 얻었다. 상성에 현대극 및 전통극의 장점을 접목하여 TV 시트콤 형식으로 발전하였다.[158]


도박에는 마작(마장) 등이 있다. 같은 조각을 사용하는 상하이 솔리테어와 같은 다른 스타일의 게임, 파이 고우, 파이 고우 포커 및 기타 골 도미노 게임, 바둑장기 또한 인기가 높다. 중국 요요와 같은 민속 놀이도 사교 행사에서 공연되기도 한다.

중국 무술에는 쿵후, 기공, , 태극권, 영춘권, 소림 쿵후, 잡기 등이 있다. 중국 무술은 "쿵푸"와 "우슈"라는 포괄적인 용어로 불리며, 수백 가지의 다양한 무술을 지칭한다. "가문"(家), "파"(派) 또는 "문파"(门/門)로 구분되며, 소림권의 오형권 모방을 포함한 신체 훈련이나, 고대 중국 철학, 종교, 전설에서 영감을 얻은 훈련 방법 등이 있다. 조작에 초점을 맞춘 무술은 "내(內)가"(內家拳/内家拳)라고 불리고, 근육 및 심혈관 건강 증진에 집중하는 무술은 "외(外)가"(外家拳)라고 불린다. "북파"(北拳)와 "남파"(南拳)와 같이 지역적인 연관성을 기반으로 한 분류도 흔히 사용된다.

기공은 정신적, 신체적, 의학적 기술을 연마하는 수련법이다. 운동의 한 형태로, 노년층에서 흔히 사용되지만, 모든 연령대의 사람이 자유 시간에 연습할 수 있다.

13. 복식

중국의 패션 역사는 수백 년에 걸쳐 다채롭고 다양한 모습을 보여준다. 시대별, 사회 계급별로 서로 다른 패션 트렌드가 나타났으며, 중국 제국 시대에는 황제에게 노란색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10]

당나라 이현의 묘인 건릉에서 나온 당나라 벽화로, 당시 한족 귀족의 의상을 보여준다.


역사 초창기부터 한푸는 (특히 상류층에서) 실크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였으며, 황제의 부인인 뢰조에 의해 발견되었다고 전해진다. 상나라 (기원전 1600년경 – 기원전 1046년)는 중국 의복의 기본을 발전시켰다. 허리띠로 묶인 좁은 소매, 무릎 길이의 튜닉인 ''의''와 ''비계''와 함께 착용하는 좁고 발목 길이의 치마인 ''상''으로 구성되었다. 당시 기술 수준 때문에 선명한 원색과 녹색이 사용되었다.[10] 상나라의 뒤를 이은 서주는 의복을 신분 지표로 사용하는 엄격한 계급 사회를 확립했고, 의상의 화려함은 지위에 따라 달라졌다. 치마의 길이, 소매의 너비, 장식의 정도 등이 지표에 포함되었다. 이러한 계급적 발전 외에도, 한족 의복은 넓은 소매와 허리띠에 매달린 옥 장식의 도입으로 더욱 헐렁해졌으며, 이는 ''의''를 여미는 역할을 했다. ''의''는 ''교령우인'' 스타일로 겹쳐 입었는데, 이는 오른손잡이 착용자에게 처음에는 더 어려운 일이었다. (중원의 사람들은 다른 많은 역사적 문화와 마찬가지로 왼손잡이를 부자연스럽고, 야만적이며, 문명화되지 않고, 불행하다고 여겨 금기시했다.)[10]

청나라는 중국의 마지막 제국 왕조로, 이 시기 의복에 극적인 변화가 있었다. 대표적인 예시로 치파오 (만다린어로 기파오)가 있다. 청나라 이전 시대의 의복은 한푸 또는 전통적인 한족 의복으로 불린다.[10] 만주족 여성들은 일반적으로 한 조각으로 된 드레스를 입었는데, 이는 ''치파오''(旗袍, 만주어: ''sijigiyan'' 또는 ''배너 가운'')로 불리게 되었다. 만주족 남성과 여성 의복 모두에 대한 일반적인 용어는 ''창파오''(長袍/长袍)였다. ''치파오''는 헐렁하게 몸에 맞았고 몸을 따라 곧게 내려오거나, A라인으로 약간 퍼졌다.[10] 1636년 이후 왕조 법에 따라, 팔기군에 속한 모든 한족은 만주족 남성과 마찬가지로 변발을 하는 만주족 남성 헤어스타일을 하고, 만주족 ''치파오''를 입어야 했다. 그러나 일반 비(非)-팔기군 한족 민간인에게 만주족 의복을 입도록 하는 명령은 해제되었고, 관리로 복무하는 한족만 만주족 의복을 입으면 되었다. 나머지 민간 한족 인구는 원하는 대로 옷을 입을 수 있었다.[10]

한족한푸를 입은 황제


치파오는 여성의 몸 대부분을 덮었으며, 머리, 손, 발가락 끝만 드러냈다. 헐렁한 특성은 나이에 상관없이 착용자의 체형을 가리는 역할도 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치파오''는 더 몸에 맞고 노출이 심하도록 재단되었다. 현재 중국에서 "표준" ''치파오''로 널리 인식되는 현대 버전은 1920년대 상하이에서 처음 개발되었으며, 베이징 스타일의 영향을 받았다. 사람들은 더 현대화된 의복 스타일을 열망했고, 옛 ''치파오''를 변형했다. 날씬하고 몸에 딱 맞는 하이컷 스타일은 전통적인 ''치파오''와 큰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타이트한 ''치파오''를 유행시킨 것은 상하이의 고급 기생과 유명 인사들이었다. 상하이에서는 처음에는 ''잔사이'' 또는 "롱 드레스"(長衫—중국어: chángshān; 상하이 방언: ''zansae''; 광둥어: ''chèuhngsāam'')로 알려졌으며, 이것이 영어에서 "cheongsam"으로 살아남은 이름이다. 대부분의 한족 민간 남성은 자발적으로 만주족 의복을 채택했지만, 한족 여성들은 한족 의복을 계속 입었다. 1911년까지 창파오는 특정 계층의 중국 남성에게 필수적인 의복이었지만, 한족 여성들은 격식을 갖춘 행사에는 오버 스커트를 착용하고 느슨한 재킷과 바지를 계속 입었다. ''치파오''는 1925년경부터 한족 여성들이 입기 시작하면서 새로운 패션 아이템이 되었다. 원래의 ''치파오''는 넓고 헐렁했다. 이후 수십 년 동안 스타킹이 쇠퇴하면서 오늘날의 치파오는 맨 다리로 가장 흔하게 착용하게 되었다.[10]

  • 한푸 (직거, 곡거, 면복, 제흉삼군, 배자, 봉관하피, 오군, 마면군, 곤복, 비어복, 첩리, 주자심의)
  • 만주족 의상
  • 치파오
  • '''호갑투'''(护甲套)는 몸단장 중 하나인 네일 분야에 속한다. 호갑투는 거북이 등껍질로 손톱 모양을 만들고 그 위에 진주, 옥, 수정, 금, 은 등을 장식한 손톱 장식이다. 중국에서 호갑투를 쓰게 된 이유는 긴 손톱이 일을 하기에 불편하기 때문이다. 옛날에는 서민 여성이나 궁녀, 하녀들처럼 매일 일해야 하는 여성들은 손톱을 짧게 했지만, 일을 할 필요가 없는 비빈들은 손톱을 길렀고 가장 낮은 지위의 비빈도 호갑투를 착용했다. 이로 인해 손톱이 긴 것은 지위를 나타내는 상징이 되었다.
  • 치파오: 여성의 원피스 형태의 옷으로, 보통 빨간색이고 짧다.
  • 창파오: 남성의 긴 두루마기 형태의 옷이다.

14. 영산 및 동물

복희 사원(톈수이)에 있는 용 부조


중국 신화, 중국 민속, 동아시아 문화에 등장하는 전설의 생물인 룽은 중국 용으로도 알려져 있다.[75] 거북, 물고기 등 다양한 동물과 같은 형태를 가지지만, 일반적으로 네 다리를 가진 처럼 묘사된다. 전통적으로 물, 강우, 태풍, 홍수를 통제하는 강력하고 상서로운 힘을 상징하며, 힘, 강인함, 행운의 상징이기도 하다. 중화 제국 시대에는 중국 황제가 자신의 황제 권력과 힘의 상징으로 용을 사용했으며, 천자, 천명, 천조, 중국 조공 시스템의 상징이자 대표자이기도 하다.

복희묘(天水)에 있는 펑황 부조. 펑황은 다른 모든 새들을 다스리는 동아시아의 신화 속 새이다.


펑황(鳳凰)은 중국과 동아시아 신화에 등장하는 신화 속 새로, 다른 모든 새들을 다스린다. 원래 수컷은 '펑'(鳳), 암컷은 '황'(凰)이라고 불렀지만, 성별 구분이 없어지고 하나의 여성적 존재로 합쳐져, 전통적으로 남성으로 여겨지는 중국 용과 짝을 이룰 수 있게 되었다. 펑황은 닭을 대신하여 닭띠를 상징하기도 하여 "팔월의 닭"이라고도 불린다. 서양에서는 중국 봉황 또는 봉황이라고 불리지만, 서양의 봉황과의 신화적 유사성은 피상적이다.

용의 머리와 비늘 몸통, 사자의 꼬리, 사슴과 같은 갈라진 발굽을 가진 기린. 신성한 불꽃에 휩싸인 몸. 장수 추대수의 묘 입구 세부 사항 (명나라 묘).


기린(麒麟)은 중국 문화에 등장하는 신화 속의 발굽이 있는 키메라로, 현인이나 훌륭한 통치자의 임박한 도착 또는 죽음과 함께 나타난다고 한다.[76] 뿔이 하나인 짐승인 '린' 신화 속 가족의 특정 유형이다. '기린'에 대한 가장 초기의 언급은 기원전 5세기의 ''좌전''에 있다.[77][78] 봉신연의 등 다양한 후대 중국 역사 및 소설 작품에 등장한다. 한 무제는 기원전 122년에 살아있는 '기린'을 포획한 것으로 보이지만, 사마천은 이에 대해 회의적이었다.[79]

사신 중 하나인 현무(Xuanwu)는 거북이와 뱀이 함께 얽혀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일본어로는 겐부(Genbu), 한국어로는 현무(Hyeonmu)라고 불린다. 북쪽과 겨울을 상징하며, 일본에서는 교토를 보호하는 네 수호신 중 하나로 도시의 북쪽을 수호한다고 전해진다. 일본 교토의 후나오카 산 정상에 위치한 겐쿤 신사에 의해 상징된다. 이 생물의 이름은 도교 신화의 현무와 동일하며, ''서유기''처럼 거북이와 뱀과 함께 묘사되기도 한다.

자이언트 판다

15. 요리

중국 요리는 중국 문화의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중국의 다양한 지역에서 유래된 요리뿐만 아니라 세계 다른 지역에 거주하는 중국인들의 요리도 포함한다. 화교와 중국의 역사적 영향력 때문에, 중국 요리는 아시아의 다른 많은 요리에 영향을 미쳤으며, 현지인의 입맛에 맞게 수정되었다.[86] 중국 지방의 조미료와 중국 요리 기술은 중국 요리의 역사와 중국의 민족 집단 목록의 차이에 따라 달라진다. 산, 강, 숲, 사막과 같은 지리적 특징도 현지에서 구할 수 있는 재료에 큰 영향을 미치며, 중국의 기후는 남부의 열대 사바나 기후에서 북동부의 아한대 기후까지 다양하다. 황실, 왕족 및 귀족의 선호도 중국 요리의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 제국의 확장과 무역으로 인해 다른 문화의 재료와 요리 기술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중국 요리에 통합되었다.

중국에서는 의식주(衣食住) 대신 '식의주(食衣住)'라는 말이 쓰일 정도로 식생활에 가장 먼저 신경을 쓴다. 예로부터 중국인들은 단순히 맛있는 음식을 먹는 것을 넘어 의식동원(医食同源 - 의약과 음식은 본래 그 뿌리가 하나다) 즉, 일상에서 음식으로 몸을 보신하고 병을 예방, 치료하여 장수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중국 요리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재료 선택의 자유로움과 광범위함: 다양한 식물과 동물이 재료로 사용되며, 오리 요리만 해도 50여 가지가 될 정도이다.
  • 다양한 맛: 단맛, 짠맛, 신맛, 매운맛, 쓴맛의 다섯 가지 맛 외에 향과 냄새를 미묘하게 배합한다.
  • 풍부한 조미료와 향신료: 재료 특유의 잡내를 제거하거나 감칠맛을 더해주는 향신료와 조미료의 종류가 다양하며, 일반 식당에서 쓰는 양념의 종류만 해도 50여 가지가 되고, 조미료의 종류도 500여 종에 이른다.
  • 다양한 조리법: 조리기구는 간단하지만 조리법은 매우 다양하여 용어만 해도 100여 개가 넘는다.
  • 불의 세기 중시: 중국요리는 불의 세기와 볶는 시간에 그 요리의 성패가 달려 있다고 할 만큼 불의 세기가 중요하다.[162]


가장 칭송받는 "4대 요리"는 각각 서부, 북부, 남부 및 동부 중국 요리를 대표하는 촨, , , 화이양이다.[87] 현대 중국의 "8대 요리"[88]안후이, 광둥, 푸젠, 후난, 장쑤, 산둥, 사천, 저장이다.[89]

춘권은 중국 요리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종류의 속을 채운 롤 형태의 애피타이저 또는 딤섬이다. 춘권은 중국 춘절(중국 설날)의 주요 음식이다.


색, 냄새, 맛은 중국 음식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는 세 가지 전통적인 측면[90]이며, 음식의 의미, 외관 및 영양도 포함한다. 요리는 사용된 재료, 자르기, 조리 시간 및 조미료를 기준으로 평가해야 한다. 식탁에서 칼을 사용하는 것은 부적절한 것으로 간주된다. 젓가락은 중국 음식의 주요 식기로, 음식을 자르고 집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오른쪽 끝에 있는 공콰이(gongkuai)라고 불리는 젓가락, 가운데 개인 젓가락(putongkuai)과 숟가락을 보여주는 사진. 공콰이는 보통 개인 젓가락보다 더 화려하다.


황실, 왕실 및 귀족의 선호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중국 요리의 변화에 영향을 미쳤다.[96] 황실의 팽창과 무역으로 인해 다른 문화의 식재료와 요리 기술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중국 요리에 통합되었다. 중국 요리의 엄청나게 다양한 종류는 주로 왕조 시대의 관행에서 비롯되었으며, 이때 황제는 한 끼에 100가지가 넘는 요리를 제공하는 연회를 주최했다.[97]

''만한전석''(Manhan Quanxi)은 문자 그대로 '만주 한족 황실 연회'로, 중국 요리에서 기록된 가장 웅장한 식사 중 하나였다. 그것은 청나라 시대의 만주족한족 문화에서 108개 이상의 독특한 요리로 구성되었으며, 오직 황제만을 위해 마련되었다. 식사는 6번의 연회를 통해 3일 동안 진행되었다. 요리 기술은 제국 중국 전역의 요리 방법을 포함했다.[98]

16. 기타


  • 중국 4대 미인
  • 수상학
  • 중국 차

전통적인 중국 차 문화 (茶艺, 茶藝) 세트와 세 개의 개완.


차를 마시는 관습은 중국에서 유래되어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91] 중국 차의 역사는 길고 복잡하며, 중국인들은 수천 년 동안 차를 즐겨 마셨다. 학자들은 차를 다양한 질병의 치료제로 칭송했으며, 귀족들은 좋은 차를 마시는 것을 지위의 표지로 여겼고, 일반 사람들은 단순히 차의 풍미를 즐겼다. 2016년, 시안의 한 경제제 능묘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차의 물리적 증거는, 기원전 2세기에 한나라 황제들이 차나무 속의 차를 마셨음을 보여준다.[92] 차는 이후 당나라(618–907)와 송나라(960–1279)에서 인기 있는 음료가 되었다.[93]

비록 차가 중국에서 유래되었지만, 당나라 시대의 중국 차는 일반적으로 고대 중국에서 물려받은 방법으로 가공된 찻잎을 의미한다. 대중적인 전설에 따르면, 차는 기원전 2737년 중국 황제 신농이 근처 관목에서 떨어진 잎이 끓는 물에 들어가면서 발견되었다고 한다.[94] 차는 중국의 역사와 문화에 깊이 얽혀 있다. 이 음료는 장작, 쌀, 기름, 소금, 간장, 식초와 함께 중국 생활의 일곱 가지 필수품 중 하나로 여겨진다.[95] 춘추 시대 동안 중국 차는 약용으로 사용되었으며, 중국인들이 씹어 먹던 찻잎에서 추출한 즙을 처음 즐기던 시기였다.

중국 차 문화는 중국에서 차가 어떻게 준비되는지, 그리고 사람들이 차를 마시는 경우를 말한다. 중국의 차 문화는 준비, 맛, 그리고 사람들이 차를 마시는 경우에 있어서 영국과 같은 유럽 국가들과 일본과 같은 다른 아시아 국가들과 다르다. 오늘날에도 차는 격식 있는 자리와 격식 없는 자리 모두에서 정기적으로 소비된다. 인기 있는 음료일 뿐만 아니라, 차는 중의학과 중국 요리에서도 사용된다. 녹차는 중국에서 유래된 주요 차 중 하나이다.

  • 중국 술
  • 중국 과학 기술사

참조

[1] 웹사이트 Chinese Dynasty Guide – The Art of Asia – History & Maps https://web.archive.[...] Minneapolis Institute of Art 2008-10-10
[2] 웹사이트 Guggenheim Museum – China: 5,000 years http://pastexhibitio[...] Solomon R. Guggenheim Foundation & Solomon R. Guggenheim Museum 2008-10-10
[3] 서적 East Asia: A New History AuthorHouse
[4] 백과사전 Chinese Ethics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17
[5] 뉴스 Chinese Culture, Tradition, and Customs – Penn State University and Peking University https://web.archive.[...] 2017-09-10
[6] 웹사이트 Chinese Culture: Ancient China Traditions and Customs, History, Religion https://www.travelch[...] 2017-09-10
[7] 서적 The Republic of China Yearbook 2016 http://yearbook.mult[...] 2017-09-08
[8] 보고서 Population in brief 2015 https://web.archive.[...] National Population and Talent Division 2016-02-14
[9] 서적 China's Multicultural Economies: Social and Economic Indicator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3-11-26
[10] 웹사이트 Common traits bind Jews and Chinese http://www.atimes.co[...] Asia Times Online 2015-09-23
[11] 서적 Chinese culture and mental health Academic Press 1985
[12] 서적 On Chinese Culture Springer Singapore : Imprint: Springer 2016
[13] 서적 Mandarins: The Circulation of Elites in China, 1600–1900 Ayer 1980-06
[14] 문서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 13, p. 30.
[15] 문서 Rui Wang, The Chinese Imperial Examination System (2013) p. 3.
[16] 웹사이트 廣東三寶之一 禾稈草 https://web.archive.[...] 2009-03-26
[17] 웹사이트 1/4/2008 three treasures https://web.archive.[...] 2009-06-20
[18] 웹사이트 說三與三寶 https://web.archive.[...] 2009-03-19
[19] 서적 The Chinese Have a Word for it: The Complete Guide to Chinese thought and Culture McGraw-Hill Professional 2000
[20] 문서 Chinese Culture, Organizational Behavior, and International Business Management Praeger Publishers 2003
[21] 서적 Worlds Together Worlds Apart Norton
[22] 서적 What Is Taoism?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0
[23] 서적 Chinnamastā, the Aweful Buddhist and Hindu Tantric Goddess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2010
[24] 서적 Sages and Filial Sons: Mythology and Archaeology in Ancient China https://books.google[...] Chinese University Press 1991
[25] 웹사이트 Constructive Engagement with Asian Values http://www.columbia.[...] Columbia University
[26] 서적 An Introduction to Confucianism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27] 문서 Rickett, Guanzi – "all early Chinese political thinkers were basically committed to a reestablishment of the golden age of the past as early Zhou propaganda described it."
[28] 웹사이트 Chinese philosophy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014-06-04
[29] 웹사이트 Graham, A.C., Disputers of the Tao: Philosophical Argument in Ancient China (Open Court 1993). https://www.questia.[...]
[30] 백과사전 Zou Yan https://www.britanni[...] 2011-03-01
[31] 문서 Wurm, Li, Baumann, Lee (1987)
[32] 서적 The Languages of China Princeton University Press
[33] 문서 Stanley-Baker (2010)
[34] 문서 書 being here used as in 楷书/楷書, etc, and meaning "writing style".
[35] 서적 王力古漢語字典 中華書局
[36] 웹사이트 Shodo and Calligraphy http://www.vincentpo[...] 2016-05-28
[37] 서적 Cihai Zhonghua 1936
[38] 문서 2019-03
[39] 문서 Poetry of the T'ang Dynasty
[40] 문서 Poetry of the T'ang Dynasty
[41] 문서 Poetry of the T'ang Dynasty
[42] 문서 2019-03
[43] 문서 2019-03
[44] 문서 2019-03
[45] 문서 2019-03
[46] 간행물 The Encyclopedia of the Novel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1
[47] 간행물 Modern China https://books.google[...] ABC-CLIO 2016
[48] 간행물 The Ancient World, Vol. V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
[49] 문서 2019-03
[50] 문서 2019-03
[51] 서적 Four Masterworks of the Ming Novel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7
[52] 웹사이트 Chinese lantern http://www.thefreedi[...] The Free Dictionary 2014-05-18
[53] 웹사이트 articles – brief history of fans http://www.aboutdeco[...] 2019-01-08
[54] 웹사이트 Chinese Hand Fans http://www.hand-fan.[...] 2019-01-08
[55] 문서 2023-06
[56] 문서 2023-06
[57] 문서 2023-06
[58] 문서 2023-06
[59] 웹사이트 armour / 盔甲 (MAS 621) http://www.britishmu[...] The British Museum
[60] 문서 2023-06
[61] 문서 2023-06
[62] 문서 2023-06
[63] 문서 2023-06
[64] 서적 Austere luminosity of Chinese classical furnitur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7-10-30
[65] 서적 Chinese Furniture: A Guide to Collecting Antiques https://books.google[...] Tuttle Publishing 2017-10-30
[66] 서적 Paper and printing, Volume 5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10-30
[67] 서적 Things Korean https://books.google[...] Tuttle Publishing 2017-10-30
[68] 서적 Chinese pictorial art as viewed by the connoisseur: notes on the means and methods of traditional Chinese connoisseurship of pictorial art, based upon a study of the art of mounting scrolls in China and Japan https://books.google[...] Hacker Art Books 2017-10-30
[69] 서적 遊宦紀聞 (yóuhuàn jìwén) 1200s
[70] 서적 Pictures and visuality in early modern China https://books.google[...] Reaktion Books 2017-10-30
[71] 서적 The Humanistic Tradition McGraw-Hill
[72] 문서 Pope-Henessey, Chapter II. 2019-03
[73] 문서 Pope-Henessey, Chapter IV. 2019-03
[74] 서적 Arts of China, 1600–1900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17-10-30
[75] 서적 The Illustrated Book of Dragons and Dragon Lore Cognoscenti Books
[76] 백과사전 qilin (Chinese mythology) https://www.britanni[...] 2011-07-24
[77] 웹사이트 Chinese Literature – Chunqiu-Zuozhuan 春秋左傳, Gongyangzhuan 公羊傳, Guliangzhuan 穀梁傳 (www.chinaknowledge.de) http://www.chinaknow[...] 2019-01-08
[78] 웹사이트 古建上的主要装饰纹样——麒麟 古建园林技术-作者:徐华铛 http://engine.cqvip.[...] 2007-09-30
[79] 문서 zh:s:史記/卷028
[80] 서적 Les Jardins – paysagistes, jardiners, poḕts
[81] 서적 Story of the Stupa https://books.google[...] Asian Educational Services 2017-11-01
[82] 서적 Les Jardins - paysagistes, jardiners, poḕts
[83] 문서 'Feng Chaoxiong, The Classical Gardens of Suzhou, preface, and Bing Chiu, Jardins de Chine, ou la quete du paradis, Editions de La Martiniere, Paris 2010, p. 10–11.'
[84] 문서 Tong Jun, Records of Jiang Gardens, cited in Feng Chanoxiong, The Classical Gardens of Suzhou.
[85] 문서 Che Bing Chiu, "Jardins de Chine, ou la quete du paradis"
[86] 간행물 Food, eating behavior, and culture in Chinese society 2015-12
[87] 웹사이트 Four Major Cuisines in China http://www.cits.net/[...] 2017-01-10
[88] 웹사이트 Eight Cuisines of China – Shandong & Guangdong http://www.travelchi[...] 2017-11-01
[89] 웹사이트 Fujian Cuisine https://web.archive.[...] beautyfujian.com 2011-07-10
[90] 문서 This standard starts from [[Tang dynasty]] in the 6th century by [[Bai Juyi]] from the ''Preface of [[Lychee]] Diagram'': After leaving branch...for four and five days, the color, smell and taste (of lychee) will be gone. (《荔枝圖序》:「若離本枝......四五日外,色、香、味盡去矣」。)
[91] 서적 Inscribed landscapes : travel writing from imperial Chin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4
[92] 간행물 Earliest tea as evidence for one branch of the Silk Road across the Tibetan Plateau 2016-01-07
[93] 서적 Chinese Tea Cambridge University Press
[94] 웹사이트 Tea and the Chinese way of life http://en.radio86.co[...] radio86.com 2012-01-09
[95] 웹사이트 Notes on Chinese Culture – Food and Drinks (08) – Chinese Tea http://ketang.dict.c[...] dict.cn 2012-01-09
[96] 서적 Origin of Confucian cuisine https://books.google[...] 清华大学出版社有限公司 2006-01-01
[97] 서적 The Food of Asia Tuttle Publishing
[98] 서적 City on Fire: Hong Kong Cinema Verso publishing
[99] 웹사이트 Chinese Culture: Customs & Traditions of China https://www.livescie[...] 2017-09-09
[100] 웹사이트 晉語的使用範圍與歷史起源 https://kknews.cc/hi[...]
[101] 웹사이트 晉語是中國北方的唯一一個非官話方言,但是否歸屬官話 https://kknews.cc/cu[...] 2017-09-07
[102] 웹사이트 山西方言與山西文化 https://kknews.cc/cu[...]
[103] 웹사이트 Chinese Dynasty Guide – The Art of Asia – History & Maps http://www.artsmia.o[...] Minneapolis Institute of Art 2008-10-10
[104] 웹사이트 Guggenheim Museum – China: 5,000 years http://pastexhibitio[...] Solomon R. Guggenheim Foundation & Solomon R. Guggenheim Museum 2008-10-10
[105] 서적 華夏文明史 朝華出版社
[106] 웹사이트 Central Themes for a Unit on China https://afe.easia.co[...] ASIA for educators 2024-09-08
[107] 웹사이트 The Chinese Axial Age began around 530 BCE https://humanjourney[...] The HUMAN JOURNEY 2024-09-08
[108] 웹사이트 ChinaSource Quarterlies on Church and Culture https://www.chinasou[...] 華源協作 2024-09-08
[109] 뉴스 Chinese Culture, Tradition, and Customs – Penn State University and Peking University https://web.archive.[...] 2017-09-10
[110] 웹사이트 Chinese Culture: Ancient China Traditions and Customs, History, Religion https://www.travelch[...] 2017-09-10
[111] 웹사이트 History of China {{!}} Events, People, Dates, Flag, Map, & Fac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9-08
[112] 서적 East Asia: A New History AuthorHouse
[113] 간행물 Chinese Ethics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17
[114] 문서 Social and Political Thought in Chinese Philosophy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2
[115] 웹사이트 The Chinese Model of Development and Its Implications https://scholarworks[...] Merrimack College Merrimack ScholarWorks 2024-09-08
[116] 논문 L'Ancien Régime Legacy of the Chinese Governance: Grand Union and the Common Good https://link.springe[...] 2023-06-01
[117] 논문 Is China a Status Quo Power? https://www.jstor.or[...] 2003
[118] 웹사이트 China's State Organizational Structure {{!}} CECC https://www.cecc.gov[...] 2024-09-08
[119] 웹사이트 The “Three Reforms” in China: Progress and Outlook https://www.jri.co.j[...] 2024-09-08
[120] 웹사이트 深刻理解和把握中国人的宇宙观、天下观、社会观、道德观 https://www.ccdi.gov[...] 中共中央纪律检查委员会 2024-09-09
[121] 웹사이트 中华文化中最具气象和格局的天下观 https://wappass.baid[...] 2024-09-09
[122] 웹사이트 中国文化“天下观”的魅力,美国学者说中国的标准就是文明的标准 https://wappass.baid[...] 2024-09-09
[123] 웹사이트 传承中华文化“天下观” http://scjg.hebei.go[...] 2024-09-09
[124] 서적 China's Multicultural Economies: Social and Economic Indicator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3-11-26
[125] 웹사이트 許介鱗教授專欄 http://www.japanrese[...] 2024-09-09
[126] 웹사이트 100%的人没想过,汉族为什么叫汉族,用的是汉字,讲的是汉语,穿的是汉服 http://www.360doc.co[...] 2024-09-09
[127] 웹사이트 Common traits bind Jews and Chinese http://www.atimes.co[...] Asia Times Online 2015-09-23
[128] 웹사이트 日本是中原王朝的附属国吗?1784年日本出土国宝,刻着5个字 https://www.163.com/[...] 2024-09-09
[129] 웹사이트 中日關係再認識(七):日本承認中國是「東亞中心」嗎? https://www.thenewsl[...] 2024-09-09
[130] 웹사이트 泰國古國與中華之交往 {{!}} 中華文化無遠弗屆 {{!}} 皇甫容 {{!}} 大紀元 https://www.epochtim[...] 2024-09-09
[131] 웹사이트 eHanlin 翰林雲端學院2 https://www.ehanlin.[...] 2024-09-09
[132] 웹사이트 誰是暹羅人的偉大祖國? https://hmssulphur.b[...] 2024-09-09
[133] 웹사이트 中国人是最值得骄傲的一个地方,欧洲文明几次断层但中国从来没有 https://wappass.baid[...] 2024-09-10
[134] 웹사이트 中国最主流的说法是,欧洲也是文明之地,但这个其实是有问题的?_风闻 https://user.guancha[...] 2024-09-10
[135] 웹사이트 遍地是黄金,人均寿命200岁,古代欧洲这么看中国?_西方 https://www.sohu.com[...] 2024-09-10
[136] 논문 The Han "Minzu", Fragmented Identities, and Ethnicity https://www.jstor.or[...] 2013
[137] 웹사이트 The Han https://library.oape[...] Studies on Ethnic Groups in China 2024-09-10
[138] 웹사이트 Han-Nationalism Throughout the Ages https://works.swarth[...] Washington University in St. Louis 2024-09-10
[139] 서적 The Republic of China Yearbook 2016 http://yearbook.mult[...] 2017-09-08
[140] 보고서 Population in brief 2015 https://web.archive.[...] National Population and Talent Division 2016-02-14
[141] 논문 Chinese Identity During the Age of Division, Sui, and Tang https://www.cambridg[...] 2020-01
[142] 웹사이트 History and Development of Xinjiang http://www.lawinfoch[...] 2024-09-10
[143] 웹사이트 East Asia Civ Idea- Xianbei https://forums.ageof[...] 2021-08-11
[144] 웹사이트 遼 -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https://ctext.org/da[...] 2024-09-10
[145] 웹사이트 中華文化所謂的(漢)民族其實是一種中國人掩耳盜鈴謊言。|方格子 vocus https://vocus.cc/art[...] 2022-02-26
[146] 웹사이트 "「中華民族」的幽靈,如何混淆了台灣認同的實質意義" https://buzzorange.c[...] 曹立寬的沙龍 2025-09-09
[147] 웹사이트 自由開講》何謂「中華民族」?台灣人民是中華民族一份子嗎? https://talk.ltn.com[...] 自由時報 2024-09-09
[148] 웹사이트 中華民族是一種數典忘祖的漢奸民族 貳 https://blog.udn.com[...] 三民主義 2024-09-09
[149] 웹사이트 “四史”微学堂 {{!}} 何为“中华民族”? https://mp.weixin.qq[...] 2024-09-09
[150] 웹사이트 【铸牢中华民族共同体意识应知应会】中华民族是什么? https://mp.weixin.qq[...] 2024-09-09
[151] 웹사이트 中国古建筑之魂—斗拱 - 四川园冶古建园林设计研究院 http://www.yuanyeguj[...] 2024-09-09
[152] 웹사이트 ▲斗拱是力學與美學的完美結合體-如是我聞:樵客老師的國文教學網站|痞客邦 https://rueylin0119.[...] 2021-06-07
[153] 웹사이트 斗拱 https://religion.moi[...] 전국 국가정보망 2024-09-09
[154] 웹사이트 『平安京はいらなかった』 ~古代の夢を喰らう中世~ https://www.kyoto-be[...] 慶應義塾大学文学部 2024-10-13
[155] 웹사이트 KATO Toru's website 加藤徹 https://www.isc.meij[...] 2024-10-13
[156] 블로그 네이버 블로그 동양부스
[157] 블로그 네이버 블로그 동양부스 https://m.blog.naver[...]
[158] 백과사전 네이버 지식백과
[159] 뉴스 한식의 메뉴 보물함 약식동원 https://month.foodba[...] 월간식당
[160] 저널 약식동원(藥食同源)
[161] 저널 약식동원(藥食同源)에 입각한 약선식(藥膳食)의 이해와 활용 https://www.dbpia.co[...] 2024-09-19
[162] 블로그 네이버 블로그 동양부스 출처 https://m.blog.naver[...]
[163] 뉴스 춘완서 등장한 중국 문양에 온라인 들썩 http://kr.people.com[...] 인민일보 인민망 2024-03-04
[164] 저널 중국 전통 문양 요소의 모바일 게임 UI에서의 응용 https://koreascience[...] 2024-09-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