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냉전 연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냉전 연표는 1945년부터 1990년대 초까지의 냉전 시기에 발생한 주요 사건들을 연도별로 정리한 문서이다. 얄타 회담, 포츠담 회담 등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의 국제 정세 변화를 시작으로, 1940년대 후반의 트루먼 독트린, 마셜 플랜, 철의 장막, 1950년대의 한국 전쟁, 1960년대의 쿠바 미사일 위기, 1970년대의 데탕트, 1980년대의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1990년대 초의 동유럽 공산 정권 붕괴 및 소련 해체 등 냉전의 전개 과정과 종결 과정을 보여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연표 - 20세기 연표
    20세기 연표는 1900년부터 1999년까지의 주요 사건들을 연도별로 정리한 것으로, 제국주의 경쟁, 세계 대전, 대공황, 냉전, 사회·문화적 변화, 기술 혁신, 소련 붕괴 등 굵직한 사건들을 포함한다.
  • 냉전 - 비동맹 운동
    비동맹 운동은 1961년 유고슬라비아에서 창설된 국제기구로, 특정 강대국 블록에 가담하지 않고 독립적인 국가들의 모임이며, 제국주의, 식민주의 등에 반대하며 주권과 영토 보전을 목표로 한다.
  • 냉전 - 이란 혁명
    1979년 이란에서 모하마드 레자 팔레비 샤의 권위주의 통치와 서구화에 대한 반발로 일어난 이란 혁명은, 루홀라 호메이니의 주도 하에 팔레비 왕조를 무너뜨리고 이슬람 공화국을 수립하여 국제 정세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혁명에 참여했던 여성들의 인권 억압 문제와 함께 현재까지도 그 영향이 이어지고 있다.
냉전 연표
개요
제목냉전 연표
기간1947년 - 1991년
1980년 냉전 구도
1980년의 냉전 구도
주요 사건트루먼 독트린
마셜 계획
베를린 봉쇄
한국 전쟁
수소 폭탄 개발
스푸트니크 1호 발사
베를린 장벽 건설
쿠바 미사일 위기
베트남 전쟁
닉슨 독트린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페르싱 미사일 배치 논란
스타워즈 계획
몰타 회담 (1989년)
소련 붕괴
1940년대 후반
1947년 3월 12일트루먼 독트린 발표
1947년 6월 5일마셜 계획 발표
1948년 6월 24일베를린 봉쇄 시작
1949년 4월 4일북대서양 조약 기구 (NATO) 창설
1949년 8월 29일소련, 첫 번째 핵무기 실험
1949년 10월 1일중화인민공화국 건국
1950년대
1950년 6월 25일한국 전쟁 발발
1952년 11월 1일미국, 첫 번째 수소 폭탄 실험
1953년 3월 5일이오시프 스탈린 사망
1953년 7월 27일한국 전쟁 휴전 협정 체결
1955년 5월 14일바르샤바 조약 기구 창설
1956년헝가리 혁명
1957년 10월 4일소련, 스푸트니크 1호 발사
1960년대
1961년 8월 13일베를린 장벽 건설 시작
1962년 10월 16일쿠바 미사일 위기
1964년 8월 2일통킹만 사건
1968년프라하의 봄
1970년대
1972년미국-소련 전략 무기 제한 협상 (SALT I)
1973년파리 평화 협정으로 베트남 전쟁 종식
1975년헬싱키 협정 체결
1980년대
1979년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1983년페르싱 미사일 배치 논란
1983년 3월 23일스타워즈 계획 발표
1985년미하일 고르바초프 소련 공산당 서기장 취임
1987년미국-소련 중거리 핵전력 조약 (INF) 체결
1989년베를린 장벽 붕괴
1989년 12월 2일몰타 회담 (1989년) 개최, 냉전 종식 선언
1990년대
1990년독일 통일
1991년바르샤바 조약 기구 해체
1991년 12월 26일소련 붕괴

2. 1940년대

제2차 세계 대전의 종전과 함께 시작된 1940년대는 승전국인 미국소련 간의 이념 대립과 세력 경쟁이 격화되면서 냉전이라는 새로운 국제 질서가 형성된 시기이다. 전쟁 막바지에 열린 얄타 회담(1945년 2월)과 포츠담 회담(1945년 7월~8월)에서는 전후 처리 문제가 논의되었으나, 동유럽에서의 소련 영향력 확대와 독일 문제 등을 둘러싸고 연합국 간의 균열이 드러나기 시작했다.[1][7] 특히 소련이 동유럽 국가들에 영향력을 행사하며 공산주의 정부 수립을 지원하자[2][4] 서방 국가들과의 긴장이 고조되었다.

1946년, 전 영국 총리 윈스턴 처칠은 "철의 장막" 연설을 통해 유럽의 분단을 경고했고,[14] 미국 외교관 조지 F. 케넌은 장거리 전보에서 소련의 팽창을 분석하며 봉쇄 정책의 이론적 기반을 제공했다.[13] 이에 미국은 1947년 그리스와 터키에 대한 원조를 시작으로 하는 트루먼 독트린을 발표하고,[18] 서유럽의 경제 부흥을 위한 마셜 플랜을 추진하며 공산주의 확산 저지에 나섰다.[18]

소련은 이에 맞서 동유럽 공산당들의 활동을 조정하는 코민포름(1947년)과 동구권 경제 협력 기구인 코메콘(1949년)을 창설하며 동구권 블록을 형성했다. 독일에서는 서방과 소련의 갈등이 심화되어 1948년 베를린 봉쇄와 서방의 베를린 공수 작전이라는 직접적인 대결을 거쳐, 결국 1949년 서독(독일 연방 공화국)과 동독(독일 민주 공화국)으로 분단되었다. 서방 국가들은 1949년 군사 동맹인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를 창설하여 집단 안보 체제를 구축했다.

아시아에서도 냉전 구도가 형성되었다. 중국에서는 국공 내전 끝에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되었고, 한반도38선 분할 점령 이후 1948년 남북에 각각 정부가 수립되면서 분단이 고착화되었다. 인도, 파키스탄, 인도네시아, 버마 등 많은 식민지가 독립했지만,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발발 등 지역 분쟁이 냉전과 연계되기도 했다.

1949년 소련의 핵무기 개발 성공[92]은 미국의 핵 독점을 깨뜨리고 미소 간 군비 경쟁 시대를 열었다. 이처럼 1940년대는 제2차 세계 대전의 종결과 함께 미소 중심의 양극 체제가 형성되고 냉전적 대립 구도가 본격화된 시기였다.

2. 1. 1945년

2. 2. 1946년


  • 1월: 중국 내전이 중국 공산당과 중국 국민당 세력 간에 재개되었다.
  • 1월 7일: 오스트리아가 1937년 국경을 기준으로 오스트리아 공화국으로 재건되었으나, 미국, 영국, 프랑스, 소련의 4개국 점령 지역으로 분할되었다.
  • 1월 11일: 엔베르 호자알바니아 인민공화국 수립을 선포하고 자신이 총리로 취임했다.
  • 2월 9일: 이오시프 스탈린은 선거 연설에서 자본주의와 제국주의가 미래의 전쟁을 불가피하게 만들 것이라고 주장했다.[90][12]
  • 2월 22일: 미국 국무부 관리 조지 F. 케넌이 소련 지도부의 목표와 의도를 분석한 장거리 전보를 모스크바에서 워싱턴으로 보냈다. 이는 미국의 봉쇄 정책 수립에 영향을 미쳤다.[13]
  • 3월: 그리스 왕국 정부와 그리스 공산당 사이에 그리스 내전이 다시 격화되었다.
  • 3월 2일: 이란 위기 속에서 영국군이 이란 남부 점령지에서 철수했다. 소련군은 북부 지역에 계속 주둔했다.
  • 3월 5일: 전 영국 총리 윈스턴 처칠이 미국 미주리주 풀턴에서 행한 연설에서 소련의 팽창을 경고하며 유럽 대륙에 철의 장막이 드리워졌다고 선언했다. 이는 냉전의 상징적인 표현이 되었다.[14]
  • 4월 5일: 소련이 이란에서 군대를 철수하기로 합의했다. (실제 철수는 12월 완료)
  • 5월 26일: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이 슬로바키아 공산당과 연합하여 총선에서 38%의 득표율로 승리, 제헌 국민 의회의 최대 정당이 되었다.
  • 6월 2일: 국민 투표를 통해 군주제가 폐지되고 이탈리아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 7월 4일: 필리핀이 미국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했으나, 곧이어 공산주의 계열의 후크발라합 반군과의 내전 상태에 돌입했다. 같은 시기 인도에서는 텔랑가나 반란이 일어났다.
  • 9월 6일: 미국 국무장관 제임스 F. 번스가 독일 슈투트가르트에서 독일에 대한 정책의 재진술 연설을 통해 전후 독일 점령 정책의 전환을 시사하며, 가혹한 모겐소 플랜을 사실상 폐기하고 독일의 경제적 자립 지원 및 서방 진영 편입 의사를 밝혔다. 또한 미국이 유럽에 군대를 계속 주둔시킬 것임을 명확히 했다.
  • 9월 8일: 불가리아에서 실시된 국민 투표 결과에 따라 군주제가 폐지되고 불가리아 인민공화국이 수립되었으며, 국왕 시메온 2세는 망명했다. 서방 국가들은 이 투표 과정에 결함이 많았다고 비판했다.[91][15]
  • 9월 24일: 미국 대통령 해리 S. 트루먼에게 클리포드-엘시 보고서가 제출되었다. 이 보고서는 소련이 미국과의 협정을 위반한 사례들을 열거하며 소련에 대한 강경 대응을 주문했다.
  • 9월 27일: 주미 소련 대사 니콜라이 바실리예비치 노비코프가 조지 F. 케넌의 장거리 전보에 대한 반박 성격의 '노비코프 전보'를 본국에 보냈다. 이 전문에서 그는 미국이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세계 지배를 추구"하고 있다고 분석했다.[16]
  • 10월 1일: 나치 독일의 주요 전범들을 재판한 뉘른베르크 재판이 종료되었다.
  • 10월 16일: 뉘른베르크 재판 결과 사형을 선고받은 나치 지도자 11명에 대한 교수형이 집행되었다. 헤르만 괴링은 처형 직전 자살했다.
  • 12월 15일: 소련군이 마침내 이란 북부에서 완전히 철수했다. 이와 함께 소련의 지원을 받던 아제르바이잔 인민 정부와 마하바드 공화국이 이란 정부군에 의해 해체되었다.
  • 12월 19일: 프랑스군이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 재상륙하여 식민 통치를 복원하려 하자, 호찌민이 이끄는 공산주의 계열 독립운동 단체 비엣민과의 무력 충돌이 본격화되면서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이 발발했다.

2. 3. 1947년


  • 1월 1일: 독일미국영국 점령 지역이 통합되어 비존(Bizone)으로 알려지게 된다.
  • 2월 10일: 중립 국가 트리에스테 자유 지구가 설립된다.
  • 2월 25일: 프로이센이 법적으로(de jure) 폐지된다.
  • 2월 27일: 대만에서 2·28 사건이 시작되어 3월 중순까지 지속된다.[17]
  • 3월 7일: 파라과이 내전이 시작된다.
  • 3월 12일: 미국 대통령 해리 S. 트루먼그리스와 터키가 소련의 영향권으로 넘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 원조를 제공하는 트루먼 독트린을 발표한다. 이는 냉전 시대 미국의 봉쇄 정책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사건으로 평가된다.
  • 4월 16일: 버나드 바루흐가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의회 연설에서 미국과 소련 간의 긴장 관계를 묘사하기 위해 "냉전(Cold War)"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다.[18]
  • 5월 22일: 미국은 그리스와 터키에 4억달러의 군사 및 경제 원조를 제공하기로 결정하며, 지중해 지역에서 공산주의 확산을 저지하려는 의도를 분명히 한다.
  • 6월 5일: 미국 국무장관 조지 마셜은 제2차 세계 대전으로 황폐화된 서유럽 국가들의 경제 부흥을 위한 포괄적인 지원 계획을 발표한다. 이는 이후 마셜 플랜으로 알려지게 된다.
  • 7월 11일: 미국은 독일 점령 정책을 수정한다. 기존의 JCS 1067 지침은 독일의 경제 재건을 제한했으나, 새로운 JCS 1779 지침은 "안정적이고 번영하는 유럽은 안정적이고 생산적인 독일의 경제적 기여를 필요로 한다"고 명시하며 독일 경제 부흥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전환된다.
  • 8월 14일: 인도 분할에 따라 파키스탄 자치령이 영국으로부터 독립한다.
  • 8월 15일: 인도 분할에 따라 인도 자치령이 영국으로부터 독립한다.
  • 9월: 소련은 자국의 영향권 아래 있는 국가들의 공산당 활동을 조정하고 지도하기 위한 기구로 코민포름(공산주의 정보국)을 설립한다. 이는 마셜 플랜 등 미국의 영향력 확대에 대한 대응 조치로 해석된다.
  • 10월 20일: 폴란드에서 비공산주의 정당인 폴란드 인민당의 지도자 스타니스와프 미코와이치크가 체포 위협을 피해 국외로 망명한다. 이로써 폴란드 내에서 공산주의에 대한 합법적인 정치적 반대는 사실상 종결된다.
  • 11월 14일: 유엔 총회는 한반도 문제 해결을 위해 외국 군대의 철수, 남북한 총선거 실시, 선거 감시 및 통일 지원을 위한 유엔 한국임시위원단 창설 등을 내용으로 하는 결의안을 채택한다.
  • 11월 29일: 유엔은 팔레스타인 지역을 아랍 국가와 유대인 국가로 분할하는 분할안을 가결한다.
  • 11월 30일: 팔레스타인 분할안 가결에 반발하여 아랍-이스라엘 전쟁의 전초전 성격인 팔레스타인 내전이 발발한다.
  • 12월 30일: 루마니아 왕국에서 루마니아 공산당게오르게 게오르기우데지가 국왕 미하이 1세를 강제로 퇴위시키고 왕정을 폐지한다. 이후 루마니아 인민 공화국이 수립되었으며, 루마니아 공산당은 1989년까지 루마니아를 통치하게 된다.

2. 4. 1948년

2. 5. 1949년

3. 1950년대

1950년대는 냉전이 전 세계적으로 격화된 시기였다. 아시아에서는 한국 전쟁(1950-1953)이 발발하여 미국, 소련, 중화인민공화국 등이 개입하는 국제전으로 비화되었고, 한반도 분단을 고착화했다. 전쟁은 1953년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미국 대통령의 핵무기 사용 위협 이후[29] 정전 협정 체결로 전투가 중단되었다.

유럽에서는 마셜 플랜의 지원 아래 서유럽 국가들이 경제를 재건하고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1951)를 창설하며 통합의 길을 걸었다. 반면 동구권 국가들은 소련 주도로 바르샤바 조약 기구(1955)를 결성하여 군사적 대립 구도를 강화했다. 1953년 이오시프 스탈린 사망[27] 이후 동구권 내 변화 움직임도 있었으나, 1953년 동독 봉기[28]1956년 헝가리 혁명은 소련의 개입으로 진압되었다.

미국 내에서는 매카시즘 열풍이 불었으나[25] 육군-매카시 청문회(1954) 이후 수그러들었다.[30] 미소 간 핵무기 경쟁은 수소 폭탄 개발로 이어졌고(미국 1952, 소련 1953), 영국도 핵무기 보유국이 되었다(1952). 1957년 소련스푸트니크 1호 발사는 우주 경쟁의 시작을 알리며 서방 세계에 큰 충격을 주었다.

제3세계에서는 탈식민주의 운동이 활발했다. 프랑스디엔비엔푸 전투(1954) 패배 후 인도차이나에서 철수했고, 이는 베트남 분단과 베트남 전쟁의 배경이 되었다. 이집트에서는 1952년 이집트 혁명과 수에즈 위기(1956)[33]를 거치며 가말 압델 나세르가 부상했고, 1955년 반둥 회의비동맹 운동 태동의 계기가 되었다. 이란(1953), 과테말라(1954) 등지에서는 CIA 개입 쿠데타가 발생했으며, 쿠바에서는 1959년 피델 카스트로가 이끄는 쿠바 혁명이 성공했다.[35] 이처럼 냉전은 제3세계 국가들의 정치 지형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3. 1. 1950년

3. 2. 1951년


  • 1월 4일: 한국 전쟁 중 중국인민지원군1·4 후퇴로 서울을 점령하였다.
  • 3월 14일: 유엔군이 서울을 다시 수복하였다. 유엔군은 38선까지 진격하여 3월 말까지 방어선을 구축하였다.
  • 3월 29일: 로젠버그 부부가 제2차 세계 대전 중과 전후에 핵무기 기밀을 소련으로 넘긴 간첩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사형은 1953년 6월 19일에 집행되었다.
  • 4월 11일: 미국해리 S. 트루먼 대통령이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을 한국 전쟁 유엔군 사령관 직위에서 해임하였다.
  • 4월 18일: 파리 조약이 체결되어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가 설립되었다. 이는 유럽 통합의 중요한 첫걸음으로 평가받는다.
  • 9월 1일: 뉴질랜드, 미국, 오스트레일리아태평양 안전 보장 조약(ANZUS)에 조인하였다. 이 조약으로 세 나라는 태평양 지역의 안전 보장을 위해 서로 협력하게 되었다.
  • 9월 8일: 일본이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에 서명하였다. 이 조약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의 주권 회복과 국제 사회 복귀를 의미했지만, 대한민국이 서명 당사국에서 제외되고 독도 영유권 문제 등이 명확히 해결되지 않는 등 논란의 소지를 남겼다. (조약 발효는 1952년 4월 28일)
  • 10월 10일: 해리 S. 트루먼 대통령이 미국 의회에서 유고슬라비아에 대한 군사적 및 경제적 지원 방안을 논의하였다.

3. 3. 1952년

3. 4. 1953년

3. 5. 1954년


  • 1월 21일: 미국에서 세계 최초의 원자력 잠수함인 ''USS 노틸러스''가 진수되었다. 이는 핵무기 경쟁 시대에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사건으로, 잠수함을 통한 핵 억제력 확보의 시작을 알렸다.
  • 5월 7일: 베트남 민주 공화국의 비엣민 군대가 디엔비엔푸 전투에서 프랑스군을 상대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이 패배로 프랑스는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서 완전히 철수하게 되었고, 그 결과 라오스, 캄보디아, 베트남 민주 공화국(북베트남), 베트남 공화국(남베트남) 네 나라가 독립했다. 이후 열린 제네바 회담에서는 베트남 통일을 위한 자유 선거 실시에 합의했지만, 미국을 비롯한 서방 국가들은 호찌민이 이끄는 비엣민의 압도적인 승리를 우려하여 선거를 사실상 무산시켰다. 이는 베트남 분단이 고착화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 5월: 필리핀에서 활동하던 공산주의 계열 농민 반란군인 후크발라합이 정부군에 의해 진압되었다.
  • 6월 27일: 과테말라에서 하코보 아르벤스가 이끄는 좌익 성향의 민선 정부가 미국 중앙정보국(CIA)의 비밀 공작과 지원을 받은 군부 쿠데타로 전복되었다. 이 쿠데타는 미국의 과일 회사인 유나이티드 프루트 컴퍼니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도 있었다는 비판이 있다. 쿠데타 이후 들어선 불안정한 우익 군사 정권 하에서 내전이 격화되었고, 정부군과 사회주의 성향 반군 양측 모두에 의한 심각한 인권 침해가 발생했다. 이 우익 정권은 냉전이 끝날 때까지 유지되었다.
  • 9월 3일: 중화인민공화국 군대가 중화민국이 통치하던 진먼섬과 마쭈섬 등 일부 도서 지역에 대규모 포격을 가하면서 제1차 타이완 해협 위기가 시작되었다. 미국중화민국을 지원하며 제7함대를 파견하는 등 군사적으로 개입했다.
  • 9월 8일: 동남아시아 지역에서의 공산주의 확산을 저지한다는 명분 하에 미국 주도로 동남아시아 조약 기구(SEATO)가 창설되었다. 창설 회원국은 뉴질랜드, 미국,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태국, 파키스탄, 프랑스, 필리핀이었다. 이는 아시아판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로서 기능하며 미국의 동남아시아 개입 정책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3. 6. 1955년

3. 7. 1956년

3. 8. 1957년


  • 1월 5일: 아이젠하워 독트린이 발표되어, 미국이 아프가니스탄, 이란, 파키스탄 등 중동 국가들에 대한 공산주의 확산을 막는다는 명분 아래 군사적, 경제적 개입을 시작했다. 이는 미국의 중동 영향력 확대를 위한 정책으로 평가받기도 한다.
  • 3월 2일: 미국의 극단적인 반공주의 선풍, 이른바 매카시즘을 주도했던 조지프 매카시 상원의원이 알코올 중독 관련 질환으로 사망했다.
  • 10월 4일: 소련이 인류 최초의 인공위성인 스푸트니크 1호를 성공적으로 발사했다. 이는 미국에 큰 충격을 안겨주며 우주 경쟁의 본격적인 시작을 알리는 사건이 되었다.
  • 11월 3일: 소련은 스푸트니크 2호를 발사했으며, 이 위성에는 최초로 우주로 나간 생명체인 개 라이카가 탑승했다.

3. 9. 1958년

3. 10. 1959년


  • 1월 1일: 쿠바 혁명. 피델 카스트로가 쿠바에서 집권하였으며, 이후 수 년 동안 쿠바식 게릴라전이 라틴 아메리카 전역으로 확산되었다.[99]
  • 3월 24일: 이라크 신정부가 중앙 조약 기구를 탈퇴하였다.
  • 7월 24일: 모스크바에서 개최된 미국 전시회에서 리처드 닉슨 미국 부통령과 니키타 흐루쇼프 소련 공산당 서기장이 양국의 국력에 대해 공개적으로 논쟁하였다. 이 대화는 부엌 논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 9월: 니키타 흐루쇼프가 13일 동안 미국을 방문하였다.

4. 1960년대

1960년대는 냉전의 긴장이 최고조에 달했던 시기이자, 동시에 변화의 조짐이 나타나기 시작한 격동의 10년이었다. 미국소련의 대립은 전 세계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쿠바 미사일 위기(1962년)는 인류를 핵전쟁 직전까지 몰고 가며 냉전의 위험성을 극명하게 보여주었다. 이 사건 이후 양국은 직접적인 충돌을 피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며 모스크바-워싱턴 핫라인(1963년)을 설치하는 등 위기 관리 체제를 구축하기 시작했다.

우주 경쟁 역시 1960년대에 정점을 찍었다. 소련이 유리 가가린을 인류 최초로 우주 공간에 보내는 데 성공(1961년)하자, 미국은 아폴로 계획을 통해 인간을 달에 착륙시키는 데 성공(1969년)하며 경쟁의 우위를 점하려 했다.

한편, 아시아와 아프리카에서는 탈식민지화가 활발히 진행되어 많은 신생 독립국들이 탄생했다. 그러나 이들 국가는 종종 미소 양극 체제 속에서 이념 대립의 장이 되거나 대리전의 희생양이 되기도 했다. 콩고 위기(1960년 시작), 앙골라 독립 전쟁(1961년 시작), 모잠비크 독립 전쟁(1964년 시작)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베트남 전쟁미국의 군사 개입이 본격화(1964년 통킹만 사건 이후)되면서 장기화되었고, 국제적인 반전 여론을 불러일으켰다.

공산권 내부에서도 변화가 나타났다. 중소 분쟁(1960년대 심화)은 공산주의 진영의 균열을 드러냈으며, 프라하의 봄(1968년)으로 대표되는 동유럽의 자유화 시도는 소련의 군사적 개입으로 좌절되었다.

핵무기 경쟁도 계속되어 프랑스(1960년)와 중화인민공화국(1964년)이 독자적인 핵 개발에 성공했다. 그러나 핵전쟁의 공포 속에서 부분 핵실험 금지 조약(1963년)과 핵확산방지조약(1968년 서명 개시) 등 핵무기 통제를 위한 국제적인 노력도 시작되었다. 1960년대 말에는 미국소련 간의 전략 무기 제한 협상(SALT, 1969년 시작)이 개시되면서 이후 데탕트 시대로 나아가는 기초가 마련되었다.

4. 1. 1960년


  • 2월 16일: 프랑스가 알제리 사하라 사막에서 첫 핵실험인 제르보아즈 블루를 성공적으로 실시했다.
  • 4월: 미국이탈리아주피터 중거리 탄도 미사일(IRBM) 배치를 시작했다. 이 미사일은 소련모스크바를 사정권 안에 두는 것이었다.
  • 5월 1일: U-2 사건이 발생했다. 소련 영공을 정찰 비행하던 미국U-2 정찰기가 격추되었고, 조종사 프랜시스 게리 파워스가 생포되었다. 이 사건은 아이젠하워 미국 대통령에게 상당한 정치적 타격을 주었다.
  • 6월: 중소 분쟁이 본격화되었다. 중국 지도부는 소련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공산주의 노선을 추구하며 소련과의 경쟁을 시작했다. 이는 냉전 구도에 새로운 변수로 작용했다.
  • 7월 5일: 콩고 위기가 시작되었다.
  • 7월 31일: 말라야 비상사태가 공식적으로 종결되었다. 영국 연방군이 말라야 공산당의 무장 봉기를 진압하는 데 성공했다.
  • 8월 3일: 니제르가 프랑스로부터 독립했다.
  • 8월 9일: 라오스에서 파테트 라오가 이끄는 공산주의 반란이 시작되었다.
  • 8월 11일: 차드가 프랑스로부터 독립했다.
  • 8월 17일: 가봉이 프랑스로부터 독립했다.
  • 9월 30일: 인도네시아수카르노 대통령이 제15차 유엔 총회에서 연설하며, 유엔의 중립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뉴욕에 위치한 유엔 본부의 위치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
  • 11월 13일: 과테말라 내전이 시작되었다.
  • 11월 28일: 모리타니가 프랑스로부터 독립했다.

4. 2. 1961년

4. 3. 1962년


  • 2월 13일: 미국의 비행사 프랜시스 게리 파워스가 소련 KGB 소속 첩보원 루돌프 아벨과 교환되었다.
  • 7월 20일: 제네바 회담 합의에 따라 라오스가 중립화되었으나, 베트남 민주 공화국은 병력 철수를 거부했다.[100]
  • 10월 16일: 쿠바 미사일 위기가 발생했다. 소련이 쿠바에 핵무기를 포함한 군사 기지를 건설하기 시작하자, 존 F. 케네디 미국 대통령은 쿠바 봉쇄를 명령하며 위기를 고조시켰다. 이는 미국과 소련을 핵전쟁 직전까지 몰고 갔다. 결국 양측은 소련이 쿠바에서 핵 탄도유도탄을 철수하고, 미국은 비밀 합의에 따라 터키와 이탈리아에서 탄도유도탄을 철수하며 쿠바를 침공하지 않겠다고 보장하는 선에서 타협했다.
  • 10월 20일: 인도-중국 전쟁이 발발했다. 중화인민공화국이 국경 지역 여러 곳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며 인도를 공격했다.
  • 11월 21일: 인도-중국 전쟁이 종결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은 인도 영토 일부를 점령했다.

4. 4. 1963년

4. 5. 1964년

4. 6. 1966년

4. 7. 1967년


  • 3월 11일: 캄보디아 내전이 삼라우트 봉기를 계기로 시작되었다.
  • 3월 12일: 인도네시아에서 수하르토 장군이 수카르노 대통령을 공식적으로 축출하고 새로운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이로써 인도네시아는 수카르노 정권 시기의 소련, 중국동구권과의 우호 관계에서 벗어나 미국을 비롯한 서방 국가들과 가까워지는 정책 변화를 보였으며, 외국 자본과 투자가 다시 유입되기 시작했다.
  • 4월 25일: 멕시코 시티에서 33개의 라틴 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국가들이 모여 틀라텔롤코 조약에 서명했다. 이 조약은 해당 지역에서의 핵무기 개발, 실험, 보유를 금지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 5월 18일: 유리 안드로포프소련KGB 의장으로 임명되었다.
  • 5월 23일: 이집트티란 해협을 봉쇄하고, 유엔 평화유지군을 추방했으며, 시나이 반도에 군대를 집결시켜 이스라엘에 대한 공격 태세를 갖추었다.
  • 5월 25일: 인도 낙살바리에서 낙살바리 봉기가 발생했다. 이는 마오주의 이념이 여러 개발도상국에서 반미, 반소련 성향의 폭력적인 혁명 운동으로 확산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 5월 30일: 나이지리아의 동부 주인 비아프라가 나이지리아로부터 분리 독립을 선언하고 비아프라 공화국 수립을 선포했다.
  • 6월 5일: 이집트의 군사적 움직임에 대응하여 이스라엘이 시나이 반도를 선제공격하면서 6일 전쟁(제3차 중동 전쟁)이 발발했다.
  • 6월 17일: 중국이 첫 수소폭탄 실험에 성공했다.
  • 6월 23일: 미국린든 B. 존슨 대통령과 소련알렉세이 코시긴 수상이 미국 뉴저지주 글래스보로에서 만나 3일간의 정상 회담을 가졌다.
  • 7월 1일: 이스라엘과 이집트 사이에 소모전이 시작되었다.
  • 7월 6일: 비아프라의 독립 선언에 대응하여 나이지리아 연방 정부가 군사 행동에 나서면서 나이지리아 내전이 시작되었다.
  • 8월 8일: 동남아시아 지역의 공산주의 확산을 막고 경제, 사회, 문화적 협력을 증진하기 위해 태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5개국이 방콕 선언을 채택하고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을 창설했다.
  • 10월 8일: 쿠바 혁명의 주역 중 한 명인 체 게바라가 미국 훈련을 받은 볼리비아 레인저에 의해 볼리비아에서 체포되었다.
  • 10월 9일: 체포된 체 게바라가 볼리비아 군부에 의해 처형되었다. 그의 죽음은 전 세계 좌파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1월 29일: 베트남 전쟁 확전에 깊이 관여했던 로버트 맥나마라 미국 국방부 장관이 세계은행 총재로 자리를 옮기기 위해 사임 의사를 발표했다.

4. 8. 1968년


  • 1월 30일: 구정 대공세가 남베트남에서 시작되었다. 이는 베트남 전쟁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 3월 1일: 이탈리아의 고난의 시기가 극우파와 극좌파 무장 세력 간의 충돌인 발레 줄리아 전투를 시작으로 이탈리아에서 시작되었다.
  • 3월 12일: 모리셔스영연방의 일원으로 영국으로부터 독립하였다.
  • 3월 18일: 필리핀 남부에서 모로 분쟁이 시작되었다.
  • 3월 30일: 미국의 린든 B. 존슨 대통령은 북베트남에 대한 폭격을 중단한다고 발표하고, 재선에 출마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이는 베트남 전쟁에 대한 미국 내 여론 악화와 깊은 관련이 있었다.
  • 6월 8일: 구정 대공세가 종료되었다. 군사적으로는 미군과 남베트남군의 승리였으나, 이 사건은 미국 내 반전 여론을 크게 확산시키며 베트남 전쟁 수행 능력에 대한 의문을 증폭시켰다.
  • 6월 17일: 제2차 말레이시아 비상 사태가 시작되었다.
  • 7월 1일: 핵확산방지조약(NPT)이 서명을 위해 개방되었다. 이는 핵무기 확산을 막기 위한 국제적인 노력의 일환이었다.
  • 7월 17일: 이라크에서 아랍 사회주의 바트당 - 이라크 지부가 주도한 7월 17일 혁명으로 압둘 라흐만 아레프 대통령이 축출되고, 바트당 이라크 정부가 수립되었다.
  • 8월 20일: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진행되던 민주화 운동인 프라하의 봄소련군을 주축으로 한 바르샤바 조약 기구 군대의 침공으로 무력 진압되었다. 이는 동구권 내 자유화 움직임에 대한 소련의 강경한 입장을 보여주었다.
  • 9월 6일: 스와질란드(현 에스와티니)가 영국으로부터 독립하였다.
  • 10월 3일: 페루에서 후안 벨라스코 알바라도 장군이 1968년 페루 쿠데타를 일으켜 페르난도 벨라운데 테리 대통령을 축출하고 집권하였다.
  • 10월 12일: 적도 기니가 스페인으로부터 독립하였다.
  • 12월 21일 ~ 27일: 미국의 아폴로 8호가 발사되어 인류 최초로 유인 우주선이 달 궤도를 도는 데 성공하였다. 승무원들은 달에 착륙하지는 않았으나, 달 궤도를 10바퀴 돈 후 지구로 무사히 귀환하였다. 이는 우주 경쟁에서 미국의 중요한 성과로 기록되었다.
  • 12월 23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나포되었던 미국 해군 정보함 USS ''푸에블로''호의 승조원들이 11개월 만에 석방되었다.

4. 9. 1969년

5. 1970년대

1970년대는 냉전 역사상 긴장 완화, 즉 데탕트가 본격화되었으나 동시에 새로운 갈등의 씨앗이 뿌려진 복잡한 시기였다. 미국소련1972년 전략 무기 제한 협상(SALT I)을 체결하여 핵 군비 경쟁을 관리하려는 시도를 보였고, 같은 해 리처드 닉슨 미국 대통령의 중국 방문은 미-중 관계 정상화의 길을 열어 냉전 구도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유럽에서는 1975년 헬싱키 협정이 체결되어 국가 간 협력과 인권 존중 원칙을 확인하며 긴장 완화 분위기를 고조시켰다.

그러나 이러한 데탕트 분위기 속에서도 세계 곳곳에서는 냉전의 대리전과 이념 갈등이 지속되거나 격화되었다. 동남아시아에서는 1975년 사이공 함락으로 베트남 전쟁이 미국의 패배와 베트남의 공산 통일로 막을 내렸고, 이웃 캄보디아에서는 크메르 루주가 집권하여 끔찍한 캄보디아 집단학살을 자행했다. 중동에서는 1973년 욤 키푸르 전쟁이 발발하여 아랍과 이스라엘 간의 갈등이 다시 불붙었으며, 이는 세계적인 석유 파동으로 이어졌다. 아프리카에서는 앙골라, 모잠비크 등 포르투갈 식민지들이 독립 후 곧바로 마르크스주의 정부가 들어서고 앙골라 내전, 모잠비크 내전 등 내전에 휩싸였으며, 이 과정에서 쿠바, 남아프리카 공화국 등 외부 세력의 개입과 미-소 양 진영의 지원 경쟁이 치열하게 벌어졌다. 라틴 아메리카에서는 1973년 칠레에서 미국의 지원을 받은 아우구스토 피노체트군사 쿠데타로 민주적으로 선출된 살바도르 아옌데의 사회주의 정부가 무너지는 비극이 발생했다.

1970년대 후반으로 접어들면서 데탕트는 점차 힘을 잃어갔다. 1979년 이란 혁명은 친미 성향의 팔라비 왕조를 무너뜨리고 반미 이슬람 공화국을 탄생시켜 중동 지역의 전략적 균형을 뒤흔들었다. 결정적으로 같은 해 12월, 소련이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을 침공(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하면서 미국과의 관계는 돌이킬 수 없이 악화되었다. 이 사건은 미국 상원의 SALT II 비준 거부로 이어졌고, 길었던 데탕트 시대의 종식을 고하며 냉전은 다시금 격화되는 '제2차 냉전' 국면으로 접어들게 되었다.[46]

5. 1. 1970년


  • 1월 15일: 나이지리아 내전이 비아프라의 항복과 나이지리아로의 재통합으로 종결되었다.
  • 3월 5일: 미국, 소련, 영국 등이 비준한 핵확산방지조약(NPT)이 발효되어 핵무기 확산 방지를 위한 국제적 노력이 시작되었다.
  • 3월 18일: 미국의 지원을 받은 론 놀 장군이 캄보디아에서 쿠데타를 일으켜 노로돔 시아누크 국왕을 축출하고 크메르 공화국 수립을 선포했다. 이에 크메르 루주와 북베트남은 캄보디아 내 북베트남군 주둔을 문제 삼는 론 놀 정권에 대항하여 무력 충돌을 개시했다.
  • 8월 7일: 이집트이스라엘 간의 소모 전쟁이 유엔의 중재로 휴전에 들어갔다.
  • 8월 12일: 소련서독이 모스크바 조약을 체결하여 전후 유럽의 국경선을 인정하고 양국 관계 개선의 발판을 마련했다. 이는 서독의 동방 정책의 중요한 성과로 평가된다.
  • 8월 17일: 소련금성 탐사를 위한 우주선 베네라 7호를 발사했다.
  • 9월 6일: 요르단에서 후세인 국왕의 정부군과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 게릴라 간의 무력 충돌인 검은 9월 사건이 발생했다.
  • 10월 24일: 칠레 의회는 9월 4일 대통령 선거에서 최다 득표를 한 사회주의자 살바도르 아옌데를 대통령으로 공식 승인했다.
  • 11월 3일: 살바도르 아옌데칠레의 제28대 대통령으로 취임하며, 민주적 선거를 통해 집권한 최초의 마르크스주의 지도자가 되었다.
  • 11월 18일: 미국캄보디아론 놀 정권에 대한 군사 및 경제 원조를 시작했다. 이는 베트남 전쟁의 전선이 캄보디아로 확대되는 결과를 낳았다.
  • 12월 15일: 소련의 우주 탐사선 베네라 7호금성 표면에 성공적으로 연착륙하여, 인류 역사상 최초로 다른 행성 표면에서 신호를 보내왔다.

5. 2. 1971년

5. 3. 1972년

5. 4. 1973년

5. 5. 1974년


  • 2월 7일: 그레나다영국으로부터 독립했다.
  • 4월 25일: 포르투갈 군대가 카네이션 혁명을 일으켜 에스타두 노부 권위주의 정권을 종식시켰다. 이 혁명으로 포르투갈의 파시즘 시대가 끝나고, 당시 유럽에서는 스페인만이 유일한 파시스트 국가로 남게 되었다.
  • 6월: 프랑스가 탈퇴하면서 SEATO가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
  • 6월 26일: NATO는 1957년 이후 처음으로 브뤼셀에서 정상 회담을 열었다.
  • 6월 28일: 모스크바 정상 회담이 시작되었다.
  • 7월 20일: 터키가 그리스 군사 정권이 일으킨 쿠데타 이후 키프로스를 침공했다.
  • 8월 9일: 리처드 닉슨 미국 대통령이 사임하고, 제럴드 포드 부통령이 대통령직을 승계했다.
  • 9월 4일: 미국동독이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
  • 9월 12일: 에티오피아에서 데르그로 알려진 마르크스주의 군사 정권이 쿠데타를 일으켜 친서방 성향의 황제 하일레 셀라시에 1세를 축출했다.
  • 11월 24일: 블라디보스토크 군비 통제 정상 회담에서 미국소련 간의 SALT II 협정 초안이 마련되었다.

5. 6. 1975년


  • 1월 3일: 미국에서 잭슨-바닉 수정안을 포함한 1974년 통상법이 제정되었다. 이 법안은 특정 국가, 특히 소련과 같은 비시장경제 국가들이 이민 자유를 제한할 경우, 미국과의 무역에서 최혜국 대우를 받지 못하도록 규정했다.
  • 4월 13일: 레바논에서 마론파 기독교도와 무슬림 민병대 간의 충돌로 레바논 내전이 발발했다. 이 내전은 이후 주변국들의 개입으로 복잡한 양상을 띠며 장기화되었다.
  • 4월 18일: 캄보디아에서는 폴 포트가 이끄는 공산주의 무장 세력 크메르 루주가 수도 프놈펜을 장악하고 정권을 잡았다. 이후 크메르 루주는 극단적인 농업 사회 건설을 명분으로 지식인, 도시민 등을 학살하는 캄보디아 집단학살을 자행했다.
  • 4월 30일: 베트남 전쟁이 북베트남의 승리로 끝났다. 사이공이 함락되면서 베트남 공화국(남베트남) 정부는 붕괴하였고, 베트남은 공산주의 체제 하에 통일되었다. 이는 미국의 베트남 정책 실패와 동남아시아에서의 영향력 약화를 상징하는 사건이었다.
  • 5월 12일: 크메르 루주타이만에서 미국 상선 마야구에스 호를 나포하는 마야구에스 사건이 발생했다. 미국은 즉각 군사적으로 개입하여 선박과 선원들을 구출했으나, 이 과정에서 미군 사상자가 발생했다.
  • 6월 8일: 소련이 무인 금성 탐사선인 베네라 9호를 발사했다.
  • 6월 25일: 포르투갈이 오랜 식민 지배를 끝내고 앙골라모잠비크에서 철수했다. 두 국가에는 곧바로 마르크스-레닌주의 성향의 정부가 들어섰다. 그러나 독립 직후 앙골라 내전모잠비크 내전이 발발했으며, 이 내전에는 쿠바, 남아프리카 공화국 등이 직접 개입하고 미국소련이 각 진영을 지원하는 등 냉전의 대리전 양상을 보였다.
  • 7월 5일: 카보베르데가 포르투갈로부터 독립했다.
  • 7월 6일: 코모로가 프랑스로부터 독립했다.
  • 7월 12일: 상투메 프린시페가 포르투갈로부터 독립했다.
  • 7월 15일: 미국과 소련의 우주선이 도킹하는 아폴로-소유스 시험 계획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는 냉전 시대 양 초강대국 간의 첫 공동 우주 프로젝트로, 긴장 완화(데탕트) 분위기와 우주 경쟁 시대의 종식을 상징하는 중요한 사건으로 평가받았다.
  • 8월 1일: 미국, 소련, 캐나다 및 대부분의 유럽 국가들이 핀란드 헬싱키에서 유럽 안보 협력 기구(CSCE)의 헬싱키 협정(헬싱키 최종 의정서)에 서명했다. 이 협정은 유럽의 국경선 현상 유지, 경제 및 과학 기술 협력, 그리고 인권 존중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아 데탕트의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 데 기여했다.
  • 10월 9일: 소련의 핵물리학자이자 반체제 운동가인 안드레이 사하로프노벨 평화상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이는 소련 내 인권 문제에 대한 국제적 관심을 환기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 10월 30일: 스페인령 사하라의 탈식민화 과정에서 모로코, 모리타니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을 지지하는 폴리사리오 전선 간의 서사하라 전쟁이 시작되었다.
  • 11월: 남아메리카의 우익 군사 독재 정권들이 좌익 반대파를 탄압하기 위해 비밀리에 공조하는 콘도르 작전이 시작되었다. 이 작전에는 미국의 중앙정보국(CIA)이 연루되었다는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
  • 11월 11일: 앙골라가 포르투갈로부터 공식적으로 독립했으나, 독립 직후 앙골라 인민해방운동(MPLA), 앙골라 완전독립 민족동맹(UNITA), 앙골라 민족해방전선(FNLA) 간의 앙골라 내전이 본격적으로 발발했다.
  • 11월 20일: 스페인의 독재자 프란시스코 프랑코가 사망했다. 그의 죽음은 스페인이 민주주의 체제로 이행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 11월 25일: 수리남이 네덜란드 왕국으로부터 공식적으로 독립했다.
  • 11월 28일: 동티모르의 독립 운동 세력인 프레틸린이 포르투갈로부터의 독립을 선언하고 동티모르 민주 공화국 수립을 선포했다. 이는 짧은 내전 끝에 이루어졌다.
  • 11월 29일: 라오스에서 공산주의 혁명 세력인 파테트 라오가 왕정을 무너뜨리고 권력을 장악했다. 이로써 인도차이나 반도의 세 나라(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 모두 공산화되었다.
  • 12월 7일: 인도네시아 군대가 동티모르를 침공하는 세로자 작전을 개시했다. 이 침공은 제럴드 포드 미국 대통령이 자카르타를 방문하여 수하르토 인도네시아 대통령과 회담한 직후 이루어졌으며, 미국의 암묵적인 승인 하에 진행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도네시아는 이후 25년간 동티모르를 강점했으며, 이 기간 동안 약 10만 명에서 18만 명에 이르는 동티모르 주민들이 학살되거나 기아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5. 7. 1976년


  • 1월 8일: 중화인민공화국 총리 저우언라이가 암으로 사망했다.
  • 2월: 소련군과 쿠바군은 앙골라에 공산주의 정부 수립을 지원했다.
  • 3월 24일: 아르헨티나에서 군사 쿠데타가 성공하여 호르헤 라파엘 비델라를 중심으로 한 군사정권(국가 재조직 과정)이 권력을 장악했다. 이들은 아르헨티나 내 게릴라 세력에 대한 군사 작전을 개시했다.
  • 5월 4일: 코르시카 민족주의자들이 프랑스로부터 독립된 코르시카 국가 건설을 목표로 하는 코르시카 분쟁을 시작했다.
  • 6월 29일: 세이셸영국으로부터 독립하여 영국 연방 내 공화국이 되었다.
  • 7월 2일: 베트남이 남북 통일을 이루었다.
  • 7월 20일: 미국 군대가 태국에서 철수했다.
  • 9월 1일: 반공 정보기관 협력체인 사파리 클럽이 설립되었다.
  • 9월 9일: 중화인민공화국의 최고 지도자 마오쩌둥이 사망했다.
  • 12월 4일: 인도네시아 아체 지역에서 분리 독립을 요구하는 아체 반란이 시작되었다. 같은 날, 장베델 보카사가 스스로 중앙 아프리카 공화국을 중앙 아프리카 제국으로 선포하고 황제임을 자칭했다.

5. 8. 1977년

5. 9. 1978년


  • 1월 29일: 아우주 지구를 둘러싼 차드-리비아 분쟁이 시작되었다.
  • 3월 15일: 오가덴 전쟁이 휴전으로 종결되었다.
  • 3월 16일: 이탈리아 총리 알도 모로가 로마에서 극좌 테러 단체 붉은 여단에 의해 납치되었다. 그는 55일간 억류된 후 5월 9일 시신으로 발견되었다.
  • 4월 27일-28일: 아프가니스탄 공화국에서 친공산주의 반군이 주도한 사우르 혁명으로 쿠데타가 발생하여 모하마드 다우드 대통령이 살해되었다.
  • 4월 30일: 아프가니스탄 민주공화국이 수립되었다.
  • 5월 11일: 자이르 샤바 주에서 두 번째 반란이 발생했다.
  • 10월 1일: 투발루영국으로부터 독립하여 영연방 회원국이 되었다.
  • 11월 3일: 도미니카영국으로부터 독립했다.
  • 12월 18일: 덩샤오핑중국의 개혁 개방 정책을 발표했다.
  • 12월 25일: 베트남캄보디아를 침공했다. 같은 날 아프가니스탄에는 공산 정권이 수립되었다.

5. 10. 1979년


  • 1월 1일: 미국중화인민공화국이 외교 관계를 정상화했다.
  • 1월 7일: 베트남군이 캄보디아를 침공하여 크메르 루주 정권을 전복시키고, 친베트남 및 친소련 성향의 캄푸치아 인민 공화국을 수립했다.
  • 1월 16일: 이란 혁명으로 친미 성향의 모하마드 레자 팔라비 샤가 축출되고, 루홀라 호메이니 아야톨라가 이끄는 신정 정치 체제가 들어섰다. 이 사건은 역내 친서방 동맹이었던 중앙 조약 기구(CENTO)의 해체로 이어졌다.
  • 2월 17일: 중월 전쟁이 발발했다. 중화인민공화국은 베트남의 캄보디아 침공에 대한 보복으로 베트남 북부를 공격했다.
  • 2월 22일: 카리브해의 섬나라 세인트루시아영국으로부터 독립했다.
  • 2월 24일: 예멘 아랍 공화국(북예멘)과 남예멘 사이에 1979년 예멘 전쟁이 발발했다.
  • 5월 4일: 보수당의 마거릿 대처영국의 총리로 선출되었다. 이는 영국 최초의 여성 총리이자 주요 서방 민주주의 국가를 이끄는 첫 여성 지도자였다.
  • 5월 9일: 엘살바도르에서 살바도르 내전이 시작되었다. 마르크스주의를 표방하는 반군과 미국의 지원을 받는 정부군 간의 무력 충돌이 격화되었다.
  • 6월 2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공산주의 체제 하의 고국 폴란드를 처음으로 방문하여 큰 반향을 일으켰다.
  • 6월 18일: 미국의 대통령 지미 카터소련 지도자 레오니트 브레즈네프가 오스트리아 빈에서 만나 SALT II 협정에 서명했다. 이는 양국의 핵무기 보유 및 개발에 대한 제한을 목표로 한 데탕트 노력의 일환이었다.
  • 7월 3일: 카터 미국 대통령은 아프가니스탄 내 친소련 정권에 맞서는 반군 세력(무자헤딘)에 대한 비밀 자금 지원을 승인하는 첫 지침에 서명했다.[101][46]
  • 7월 16일: 이라크에서 사담 후세인이 아흐메드 하산 알 바크르의 뒤를 이어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 7월 17일: 니카라과에서 마르크스주의 성향의 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 (FSLN)이 미국의 지원을 받던 소모사가 독재 정권을 무너뜨리는 데 성공했다(니카라과 혁명). 혁명 직후, 미국 등의 지원을 받는 콘트라 반군의 저항이 시작되었다.
  • 9월: 아프가니스탄의 누르 무함마드 타라키 대통령이 하피줄라 아민 총리에 의해 실각된 후 암살되었다. 아민이 대통령직을 승계했다.
  • 11월 4일: 이란 혁명 지지 시위 중 이슬람주의 성향의 이란 학생들이 테헤란 주재 미국 대사관을 점거하고 외교관 등을 인질로 잡았다. 주이란 미국 대사관 인질 사건은 미국과 이란의 관계를 극도로 악화시켰으며, 1981년 1월 20일까지 444일간 지속되었다.
  • 12월 12일: 북대서양 조약 기구 (NATO)는 바르샤바 조약 기구의 SS-20 미사일 배치에 대응하여, 군축 협상이 실패할 경우 퍼싱 II 중거리 탄도 미사일과 지상 발사 순항 미사일 (GLCM)을 서유럽에 배치하기로 결정했다(나토 이중 결정). 이는 유럽 내 군비 경쟁을 다시 심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 12월 21일: 영국 런던에서 랭커스터 하우스 협정이 체결되어 로디지아 부시 전쟁이 종결되었다. 협정에 따라 짐바브웨 로디지아짐바브웨로 국명을 변경하고 국제적으로 독립을 인정받게 되었다.
  • 12월 24일: 소련군이 하피줄라 아민 정권을 전복시키고 친소련 정권을 수립하기 위해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을 침공했다. 이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의 발발은 미국과 소련 간의 데탕트 시대를 완전히 종식시키고 제2차 냉전 시대를 여는 결정적 사건이 되었다.

6. 1980년대

1980년대는 냉전의 마지막 10년으로, 초기의 극심한 긴장 고조에서 후반부의 극적인 완화와 종식으로 이어진 격동의 시기였다. 1979년 말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은 데탕트 시대를 종식시키고 새로운 긴장을 불러왔다. 이에 대응하여 미국지미 카터 행정부는 SALT II 조약 비준을 철회하고 모스크바 올림픽 보이콧을 주도했으며, 카터 독트린을 발표하여 페르시아만 지역에 대한 군사적 개입 의지를 천명했다.

1981년 취임한 로널드 레이건 미국 대통령은 소련을 "악의 제국"으로 규정하고 강력한 반공 정책을 추진했다. 전략방위구상(SDI, 일명 스타워즈 계획) 발표, 니카라과콘트라 반군 지원(레이건 독트린), 그레나다 침공 등은 미국의 공세적인 대외 정책을 보여주는 사례였다. 이 시기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1983)과 에이블 아처 83 핵전쟁 모의 훈련 등은 미소 간의 군사적 긴장을 최고조로 끌어올렸다. 한편, 폴란드에서는 자유 노조 '연대'가 출범(1980)하여 공산 정권에 도전했으나, 계엄령(1981-1983) 선포로 탄압받기도 했다. 대한민국에서는 광주 민주화 운동(1980)이 신군부에 의해 비극적으로 진압되었다.

1985년 미하일 고르바초프가 소련 공산당 서기장으로 취임하면서 변화의 바람이 불기 시작했다. 그는 페레스트로이카(개혁)와 글라스노스트(개방) 정책을 추진하며 소련 사회의 변화를 모색했고, 서방과의 관계 개선에도 적극 나섰다. 레이건 대통령과의 수차례 정상회담(제네바, 레이캬비크 등)을 통해 군축 논의가 진전되었고, 마침내 1987년 중거리 핵전력 조약(INF)이 체결되어 냉전 시대 최초로 핵무기 감축이 이루어졌다. 이는 냉전 종식의 중요한 분기점으로 평가받는다.[48][49][53]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1986)는 소련 체제의 문제점을 드러내고 개혁의 필요성을 더욱 부각시키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고르바초프의 개혁·개방 정책과 불개입 선언(시나트라 독트린)은 동유럽 위성 국가들의 민주화 운동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1989년은 '혁명의 해'로 기록된다. 폴란드에서 비공산주의 정부가 수립되고, 헝가리가 국경을 개방하면서 범유럽 피크닉을 통해 동독 주민들의 탈출 러시가 이어졌다. 마침내 11월 9일 베를린 장벽이 붕괴되었고, 체코슬로바키아에서는 벨벳 혁명이 성공했으며, 루마니아에서는 혁명으로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독재 정권이 무너졌다. 소련 역시 아프가니스탄에서 군대를 철수(1989)하며 과거의 팽창 정책에서 벗어나는 모습을 보였다.[54][55]

1989년 12월, 조지 H. W. 부시 미국 대통령과 고르바초프 서기장은 몰타 회담에서 공식적으로 냉전의 종식을 선언하며 새로운 국제 질서의 시작을 알렸다.

6. 1. 1980년


  • 1월 3–4일: 지미 카터 미국 대통령은 SALT II 조약의 상원 비준 절차를 철회하고, 소련에 대한 기술 판매 금지 조치를 발표했다. 이는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에 대한 대응 조치였다.
  • 1월 27일: 지미 카터 대통령은 카터 독트린을 발표하여, 외부 세력의 페르시아만 지역 지배 시도를 미국의 핵심 이익에 대한 공격으로 간주하고 군사력을 포함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이를 저지할 것임을 천명했다. 이는 걸프 국가에 대한 미국의 방위 공약을 명확히 한 것이다.
  • 2월 13일: 영국의 해외 정보기관인 MI6는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에서 소련에 맞서는 아프간 무자헤딘을 지원하기 위한 비밀 작전을 개시했다. 이는 간접적 지원과 직접적인 공작 활동을 모두 포함했다.
  • 2월 25일: 수리남에서 데시 바우테르서가 이끄는 군부가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장악하고 군사 통치를 수립했다.
  • 3월 21일: 미국과 그 동맹국들은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에 항의하여 모스크바에서 개최될 예정인 1980년 하계 올림픽 (7월 15일 – 8월 3일) 참가를 보이콧하기로 결정했다.
  • 4월 17일: 로버트 무가베짐바브웨의 초대 총리로 취임하며 백인 소수 통치 종식 이후 새로운 국가 건설을 시작했다.
  • 4월 30일: 영국 런던 주재 이란 대사관이 DRFLA 소속 무장 괴한들에게 점거되어 6일간의 인질극이 벌어졌다.
  • 5월 4일: 1945년부터 유고슬라비아를 이끌어 온 요시프 브로즈 티토 대통령이 류블랴나에서 향년 87세로 사망했다. 그의 죽음은 유고슬라비아 연방 해체의 중요한 변곡점이 되었다.
  • 5월 17일: 페루에서 정부군과 마르크스-레닌주의 게릴라 조직인 빛나는 길 등 반군 세력 간의 내전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 5월 18–27일: 대한민국 광주에서 신군부의 집권 음모를 규탄하고 민주주의를 요구하는 시민들의 반정부 봉기가 발생했다. 이는 신군부에 의해 무력으로 진압되었으나, 이후 한국 민주화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7월 3일: 미국 중앙정보국(CIA)은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에서 소련군과 싸우는 아프간 무자헤딘에게 무기와 자금을 지원하는 대규모 비밀 공작 프로그램인 사이클론 작전을 공식적으로 시작했다.
  • 8월 31일: 폴란드 레닌 조선소에서 시작된 노동자 파업 이후, 정부와 파업 위원회 사이에 그단스크 합의가 체결되었다. 이 합의를 통해 공산당의 통제에서 벗어난 자유 노동조합인 연대의 설립이 허용되는 등 시민적 권리가 확대되었다. 이는 동구권 공산주의 체제에 대한 중대한 도전으로 평가받는다.
  • 9월 22일: 사담 후세인이 통치하는 사담 후세인의 이라크가 이란을 침공하면서 이란-이라크 전쟁이 발발했다. 이 전쟁은 8년간 지속되며 양국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
  • 10월 23일: 소련의 수상이었던 알렉세이 코시긴이 건강 악화를 이유로 사임했다. 그는 같은 해 12월 18일에 사망했다.

6. 2. 1981년

6. 3. 1982년

6. 4. 1983년


  • 1월: 소련 스파이 디터 게르하르트가 미국 뉴욕에서 체포되었다.
  • 3월 8일: 미국 대통령 로널드 레이건은 전국 복음주의자 협회 연설에서 소련을 "악의 제국"이라고 비판하며 냉전의 이념적 대립을 격화시켰다.
  • 3월 23일: 로널드 레이건은 전략방위구상(SDI, 또는 "스타 워즈")을 발표하여 우주 공간에서의 미사일 방어 시스템 구축 계획을 밝혔다. 이는 군비 경쟁을 심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를 낳았다.
  • 6월 5일: 제2차 수단 내전이 시작되었다.
  • 7월 7일: 10세 미국 소녀 서맨사 스미스소련 지도자 유리 안드로포프의 초청으로 부모와 함께 소련을 방문했다. 스미스가 안드로포프에게 보낸 평화를 염원하는 편지가 소련 신문 ''프라우다''에 실린 것이 계기가 되었으며, 이 사건은 경색된 미소 관계 속에서 주목받는 문화 교류 사례가 되었다.
  • 7월 22일: 폴란드의 계엄령이 공식적으로 해제되었다.[53]
  • 7월 23일: 스리랑카에서 타밀일람 해방 호랑이(LTTE)와 스리랑카 정부 간의 스리랑카 내전이 시작되었다.
  • 7월 30일: 스리랑카 정부는 검은 7월 폭동에 연루되었다는 이유로 주요 공산당들의 활동을 금지했으며, 소련은 이에 개입하여 금지 조치 해제를 요구했다.
  • 8월 4일: 토마스 상카라가 쿠데타를 통해 장밥티스트 우에드라오고를 축출하고 상부 볼타 공화국의 대통령이 되었다. 그는 1년 후 국가명을 부르키나파소로 변경했다.
  • 8월 21일: 필리핀의 민주화 운동 지도자이자 전 상원의원인 베니그노 "니노이" 아키노가 망명 생활을 마치고 귀국하던 중 니노이 아키노 국제공항에서 암살당했다. 이 사건은 필리핀 민주화 운동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 9월 1일: 대한민국의 민간 여객기인 대한항공 007편이 소련 영공에서 소련 전투기에 의해 격추되어, 미국 하원의원 래리 맥도널드를 포함한 승객과 승무원 269명 전원이 사망하는 비극적인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은 국제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으며, 냉전의 긴장을 다시 한번 고조시켰다.
  • 9월 26일: 소련의 핵무기 조기경보 시스템이 미국의 대륙간탄도유도탄(ICBM) 다수가 발사되었다는 잘못된 경보를 울리는 1983년 소련 핵 오경보 사건이 발생했다. 당시 근무 중이던 소련 방공군 장교 스타니슬라프 페트로프는 이를 시스템 오류로 판단하고 상부에 보고하지 않아, 자칫 핵전쟁으로 이어질 수 있었던 치명적인 위기를 막았다.
  • 10월 25일: 미국은 카리브해의 섬나라 그레나다에서 발생한 쿠데타 이후 마르크스주의 군사정권이 들어서자, 자국민 보호와 쿠바 및 소련의 영향력 확산 방지를 명분으로 그레나다 침공을 단행했다.
  • 11월 2일 ~ 11일: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가 실시한 군사훈련 에이블 아처 83을 소련 방공군이 실제 핵 공격을 위장한 것으로 오인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에 소련은 핵무기 부대에 최고 수준의 경계 태세를 발령하며 일촉즉발의 위기 상황이 조성되었다.
  • 12월 10일: 아르헨티나에서 국가 재조직 과정으로 불리던 군사 독재 정권이 종식되고, 민주적으로 선출된 라울 알폰신 대통령이 취임하며 민주주의 체제로 복귀했다.

6. 5. 1984년


  • 1월: 로널드 레이건 미국 대통령은 이전 발언을 강화하는 외교 정책을 발표했다.
  • 1월 1일: 브루나이가 영국으로부터 독립했다.
  • 2월 13일: 콘스탄틴 체르넨코가 소련 공산당 서기장으로 임명되었다.
  • 5월 24일: 미국 의회는 볼랜드 수정안을 비준하여 콘트라에 대한 미국의 지원을 금지했다.
  • 6월 1일–10일: 푸른 별 작전이 시작되었다.
  • 7월 28일: 소련의 여러 동맹국들은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린 1984년 하계 올림픽에 불참하며 보이콧에 참여했다.(올림픽 기간: 7월 28일 – 8월 12일).
  • 8월 11일: 주간 라디오 연설을 위한 마이크 음향 점검 중,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은 소련 폭격에 대한 농담을 했다. 레이건은 "미국 시민 여러분, 오늘 러시아를 영원히 불법화하는 법안에 서명했다는 것을 기쁘게 알려드립니다. 5분 안에 폭격을 시작합니다."라고 말했다. 이 농담은 방송되지 않았지만 언론에 유출되었다.[54] 소련은 일시적으로 자국의 방위군을 최고 경계 태세에 돌입시켰다.
  • 10월 31일: 인디라 간디가 암살되었다.
  • 12월 16일: 마거릿 대처와 영국 정부는 소련 지도부 후보들과 새로운 대화 채널을 열기 위해 미하일 고르바초프체커스에서 만났다.

6. 6. 1985년


  • 2월 6일: 레이건 독트린이 발표되어, 미국제3세계의 반공주의 운동을 지원하는 정책을 공식화한다.
  • 3월 10일: 소련 공산당 서기장 콘스탄틴 체르넨코가 사망한다.
  • 3월 11일: 미하일 고르바초프가 소련 공산당 서기장으로 취임하며 소련의 새로운 지도자가 된다.
  • 3월 15일: 브라질에서 군사 정권이 종식된다.
  • 3월 24일: 동독에서 소련 초병이 미 육군 군사 정보 장교 아서 D. 니콜슨 소령을 사살하는 사건이 발생한다. 그는 냉전 시대의 마지막 미국인 사망자로 기록되었다.
  • 4월 11일: 알바니아의 지도자 엔베르 호자가 사망하고, 라미즈 알리야가 알바니아 노동당 제1서기직을 승계하여 알바니아의 실질적인 지도자가 된다.
  • 4월 22일: 아르헨티나에서 이전 군사 정권(국가 재건 과정, 1976년~1983년) 구성원들의 전쟁 범죄와 인도에 반하는 죄에 대한 군사 재판이 시작된다.
  • 5월 20일: FBI가 소련을 위해 스파이 활동을 한 존 앤서니 워커를 체포한다.
  • 8월 6일: 히로시마·나가사키 원자 폭탄 투하 40주년을 맞아, 소련은 핵무기 실험에 대한 5개월간의 일방적인 모라토리엄(유예)을 선언한다. 미하일 고르바초프는 이 조치를 여러 차례 연장했으나, 레이건 행정부는 이를 선전으로 치부하며 동참을 거부했다. 소련의 모라토리엄은 1987년 2월 5일에 종료된다.
  • 11월 19일~21일: 로널드 레이건 미국 대통령과 미하일 고르바초프 소련 공산당 서기장이 스위스 제네바에서 첫 정상회담을 갖고, 추가적인 정상회담 개최에 합의한다.

6. 7. 1986년


  • 1월 13일: 남예멘 내전이 시작되었다.
  • 2월 13일: 프랑스가 리비아의 차드 침공을 격퇴하기 위해 에페르비에 작전을 시작했다.
  • 2월 25일: 필리핀에서 피플 파워 혁명이 일어나 독재자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이 축출되었다. 코라손 아키노가 필리핀 최초의 여성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 4월 15일: 미국 항공기가 엘도라도 캐년 작전으로 리비아를 폭격했다.
  • 4월 26일: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가 발생했다. 소련 우크라이나의 원자력 발전소에서 폭발이 일어나 역사상 최악의 원자력 발전소 사고로 기록되었다.
  • 7월 22일: 수리남 내전이 발생했다.
  • 10월 11일-12일: 레이캬비크 정상회담이 열려 핵무기 제한 및 통제에 대한 돌파구가 마련되었다.
  • 10월 19일: 모잠비크의 친 마르크스주의 임시 대통령 사모라 마셸이 탑승한 항공기가 남아프리카 공화국 상공에서 추락하여 사망했다.
  • 11월 3일: 이란-콘트라 사건이 폭로되었다. 로널드 레이건 행정부가 인질 석방을 대가로 이란에 무기를 판매하고, 그 수익금을 니카라과의 콘트라 반군에게 불법적으로 지원한 사실이 드러났다.

6. 8. 1987년


  • 1월 16일: 미하일 고르바초프 서기장의 경제 재개발 정책(페레스트로이카)에 반대하는 소련 공산당 내 인사들의 움직임이 나타났다. 고르바초프는 개방(글라스노스트), 토론, 참여를 통해 소련 국민들이 페레스트로이카를 지지하도록 유도하고자 했다.
  • 2월 25일: 에스토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환경 문제와 민족 감정이 결합된 인광석 전쟁이 시작되었다.
  • 4월 15일: 스리랑카에서 마르크스-레닌주의 단체인 인민해방전선(JVP)이 정부를 상대로 반란을 일으켰다.
  • 6월 12일: 서베를린을 방문한 미국 대통령 로널드 레이건브란덴부르크 문 앞에서 행한 연설에서 소련 서기장 미하일 고르바초프에게 베를린 장벽을 언급하며 "이 장벽을 허무시오!"라고 공개적으로 촉구했다.
  • 6월 15일: 이탈리아의 유명 가수이자 작곡가인 아드리아노 첼렌타노가 자신의 영화 조안 루이를 소련 극장에서 선보이기 위해 모스크바를 방문했다. 이는 소련이 서방 세계에 문화적으로 더 개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례 중 하나였다.
  • 9월 10일: 앙골라에서 쿠이투 쿠아나발레 전투가 시작되어 남아프리카 국경 전쟁이 더욱 격화되었다.
  • 9월 30일: 모하마드 나지불라아프가니스탄의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그는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을 종식시키고 소련의 영향력을 줄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민족 화해 정책을 추진했다.
  • 12월: 태국라오스 사이에 단기적인 국경 전쟁이 발발했다.
  • 12월 8일: 미국 대통령 로널드 레이건과 소련 서기장 미하일 고르바초프가 워싱턴 D.C.에서 중거리 핵전력 조약(INF)에 서명했다. 이 조약은 사거리 500km에서 5500km 사이의 지상 발사형 탄도 미사일과 순항 미사일을 폐기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냉전 시대 군비 경쟁의 중요한 전환점이자 냉전 종식의 시작을 알리는 사건으로 평가받기도 한다. 또한 고르바초프는 START I 조약 체결에도 합의했다.
  • 12월 9일: 팔레스타인 영토에서 이스라엘의 점령에 저항하는 팔레스타인 민중 봉기인 제1차 인티파다가 시작되었다.

6. 9. 1988년


  • 2월 20일: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사이에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이 발발했다.
  • 2월 22일: USS ''요크타운''과 USS ''캐런''이 소련 영해에 진입한 후 크림 반도 인근에서 충돌하는 1988년 흑해 충돌 사건이 발생했다.
  • 5월 11일: 영국 고위 정보 장교 출신으로 소련에 망명했던 킴 필비가 모스크바에서 사망했다.
  • 5월 15일: 소련군의 아프가니스탄 철수가 시작되었다.
  • 5월 29일 - 6월 1일: 레이건 미국 대통령과 고르바초프 소련 공산당 서기장이 모스크바에서 회담을 가졌다. 이 회담에서 중거리 핵전력 조약이 비준되었다. 레이건은 과거 소련을 '악의 제국'으로 생각하냐는 질문에 그것은 "다른 시대, 다른 시절"에 대해 이야기한 것이라고 답변했다.
  • 10월 5일: 칠레의 아우구스토 피노체트는 그의 통치에 대한 1988년 칠레 국민투표에서 패배했다.
  • 11월 3일: 몰디브에서 쿠데타 시도가 발생했다.
  • 11월 6일: 소련의 과학자이자 저명한 인권 운동가인 안드레이 사하로프가 미국을 2주간 방문하기 시작했다.
  • 11월 15일: 팔레스타인 독립 선언을 통해 팔레스타인 국가가 공식적으로 수립되었다.
  • 12월 7일: 고르바초프는 유엔 총회 연설에서 소련이 동유럽에 더 이상 군사적으로 간섭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
  • 12월 22일: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남서 아프리카 (현 나미비아)에서 철수했다.

6. 10. 1989년


  • 1월 4일: 미국리비아 사이에 시드라만 사건이 발생하였다. 이는 1981년 시드라만 사건과 유사하게 리비아 전투기가 시드라만 상공의 미국 전투기를 공격한 사건으로, 리비아 전투기 2기가 격추되었고 미국 측 손실은 없었다.
  • 1월 7일: 일본쇼와 천황 히로히토가 사망하며 쇼와 시대가 종결되었다.
  • 1월 11일: 공산주의 헝가리가 정치 개혁을 도입하였다.
  • 1월 19일: 폴란드 정부가 노동조합 연대를 합법화하였다.
  • 1월 20일: 조지 H. W. 부시가 미국의 제41대 대통령으로 취임하였다.
  • 2월 3일: 파라과이에서 안드레스 로드리게스가 주도한 쿠데타로 알프레도 스트로에스너가 축출되었다.
  • 2월 14일: 콘트라 전쟁엘살바도르에서 열린 테소로 비치 협정으로 사실상 종결되었다. 이 협정에는 코스타리카, 엘살바도르, 과테말라, 온두라스, 니카라과가 참여했으며, 콘트라 군의 해산과 1990년 2월 자유 선거 개최에 합의했다. 일부 단체는 초기에 합의를 거부했으나 결국 참여하기로 결정했다.[55]
  • 2월 15일: 소련군의 아프가니스탄 철수가 완료되었다. 이후 아프가니스탄 내전이 시작되었다.
  • 2월 19일–21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제2차 자카르타 비공식 회담이 개최되었다. 이 회담은 베트남군의 캄보디아 철수와 캄보디아의 폴 포트 정권 복귀 방지라는 두 가지 중요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성공하였다.
  • 3월 26일: 소련에서 인민 대표 대회 구성을 위한 입법 선거 1차 투표가 실시되었다.
  • 6월 3일: 이란의 최고 지도자 아야톨라 호메이니가 사망하였다.
  • 6월 4일: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에서 발생한 톈안먼 사건 시위가 중국 공산 정부에 의해 무력으로 진압되었다. 정확한 사망자 수는 확인되지 않았다.
  • 6월 4일: 폴란드에서 실시된 총선에서 폴란드 연합노동자당(공산당)이 참패하였다. 연대자유노조가 하원의 모든 가용 의석과 상원 의석의 99%를 차지하며 압승을 거두었다.
  • 8월: 폴란드 의회는 타데우시 마조비에츠키를 총리로 선출하였다. 이로써 동구권 최초로 비공산주의 정부가 수립되었다.
  • 8월 19일: 오스트리아헝가리 국경에서 열린 범유럽 피크닉 행사를 계기로 국경이 일시적으로 개방되면서 수백 명의 동독 주민들이 서방으로 탈출했다. 이는 이후 동독 체제 붕괴와 동구권 해체의 도화선이 되었다.
  • 8월 23일: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의 독립을 요구하는 시민들이 탈린-리가-빌뉴스를 잇는 약 600km의 인간 사슬을 만드는 발트의 길 시위를 벌였다.
  • 10월 7일: 헝가리의 집권당인 헝가리 사회노동자당이 해산되었다.
  • 10월 18일: 헝가리 헌법이 개정되어 다당제와 자유 선거가 허용되었다. 같은 날, 동독에서는 약 20년간 집권했던 공산당 서기장 에리히 호네커가 평화 혁명의 압력으로 실각하였다.
  • 11월 7일: 몰도바에서 시민 불안이 발생하였다.
  • 11월 9일: 동독 정치국 대변인 귄터 샤보브스키가 새로운 여행 규제 완화 조치에 대해 잘못 이해하고 국경 개방을 발표하면서 베를린 장벽이 붕괴되었다. 이는 1989년 혁명의 상징적인 사건이 되었다.
  • 11월 10일: 불가리아의 공산주의 지도자 토도르 지브코프가 35년간의 집권 끝에 해임되었다.
  • 11월 17일–28일: 체코슬로바키아에서 벨벳 혁명이 일어나 평화적으로 공산당의 일당 독재 체제가 종식되었다.
  • 12월 2일: 말레이시아에서 1989년 하트 야이 평화 협정이 체결되어 제2차 말레이 비상 사태가 종결되었다.
  • 12월 3일: 몰타에서 열린 몰타 회담 종료 시점에서 소련 지도자 미하일 고르바초프와 미국 대통령 조지 H. W. 부시는 지속적인 평화 시대의 시작을 선언하였다. 많은 관찰자들은 이 회담을 냉전의 공식적인 종결 시점으로 간주한다.
  • 12월 10일: 몽골에서 몽골 혁명이 시작되었다. 시민들은 일당 통치 종식을 요구하며 평화 시위를 벌였다.
  • 12월 14일: 칠레에서 아우구스토 피노체트의 군사 독재 정권이 끝나고 민주주의가 회복되었다.
  • 12월 16일–27일: 루마니아에서 루마니아 혁명이 발생하였다. 시위대는 니콜라에 차우셰스쿠의 공산 정권을 전복시키고, 그와 부인 엘레나 차우셰스쿠를 처형하였다. 루마니아는 동구권 국가 중 유일하게 폭력 혁명을 통해 공산 정권이 붕괴되고 지도자가 처형된 사례이다.
  • 12월 20일: 미국파나마를 침공(미국의 파나마 침공)하였다.
  • 12월 24일: 라이베리아에서 제1차 라이베리아 내전이 시작되었다.
  • 12월 25일: 루마니아 공산당이 해산되었다.
  • 12월 29일: 벨벳 혁명을 이끈 극작가 출신 바츨라프 하벨이 자유화된 체코슬로바키아의 대통령으로 취임하였다.

7. 1990년대

1990년대는 냉전이 종식되고 세계 질서가 급격하게 재편된 격동의 시기였다. 동유럽의 민주화는 계속되어 1990년 폴란드불가리아에서 공산당이 해체되었고, 같은 해 10월에는 독일이 통일되는 역사적 전환점을 맞이했다.[60]

소련 내부에서는 연방 해체의 움직임이 가속화되었다. 1990년 리투아니아를 시작으로 발트 3국과 다른 공화국들이 잇따라 독립 또는 주권을 선언했다.[57] 특히 소련 내 가장 강력한 공화국이었던 러시아보리스 옐친의 주도로 주권을 선언하면서[58]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연방 유지 노력은 결정적인 타격을 입었다.[59] 고르바초프는 이러한 변화를 이끈 공로 등으로 1990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지만, 연방의 해체를 막지는 못했다.

1991년은 소련 해체의 결정적인 해였다. 7월에는 군사 동맹이었던 바르샤바 조약 기구가 공식 해체되었고, 같은 달 미국과 START I 핵무기 감축 조약이 체결되었다. 그러나 8월, 고르바초프의 신연방조약 추진에 반대한 보수파의 쿠데타 시도는 실패로 돌아갔고, 이는 오히려 공화국들의 독립 의지를 더욱 강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쿠데타 실패 이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몰도바, 중앙아시아 공화국들이 연이어 독립을 선언했다. 결국 1991년 12월 25일, 고르바초프는 소련 대통령직에서 사임했고, 다음 날 소련 최고 소비에트는 소련의 공식 해체를 선언했다. 이로써 냉전은 완전히 종식되었고, 미국은 세계 유일의 초강대국으로 부상했다.

한편, 냉전 종식은 새로운 지역 분쟁의 시작을 알리기도 했다. 1990년 이라크쿠웨이트 침공으로 걸프 전쟁이 발발했으며, 1991년부터는 유고슬라비아의 붕괴 과정에서 발칸 반도에 격렬한 내전이 시작되었다. 아프리카에서도 르완다 내전, 소말리아 내전, 시에라리온 내전 등 기존의 갈등이 격화되거나 새로운 내전이 발생하는 등 불안정한 상황이 이어졌다.

7. 1. 1990년

7. 2. 1991년

7. 3. 1992년

참조

[1] 논문 Stalin at the Tehran, Yalta, and Potsdam conferences. https://www.academia[...] 2007
[2] 웹사이트 HistoryWorld – Cold War Timeline http://www.historywo[...] 2020-03-19
[3] 웹사이트 HistoryWorld – Cold War Timeline http://www.historywo[...] 2020-03-19
[4] 서적 Churchill and Roosevelt, Volume 3: The Complete Correspondence https://books.google[...] Princeton UP 2015
[5] 서적 Winston S. Churchill, Volume 7: Road to Victory, 1941–1945 1986
[6] 서적 Another Such Victory: President Truman and the Cold War, 1945–1953 https://archive.org/[...] Stanford UP
[7] 웹사이트 Milestonesfick so commas: 1937–1945 / The Potsdam Conference, 1945 https://history.stat[...] U.S. Department of State Office of the Historian 2014-05-18
[8] 서적 Douglas MacArthur: American Warrior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2017
[9] 서적 How the Cold War began: The Gouzenko affair and the hunt for Soviet spies 2005
[10] 서적 Nationalism, Democracy and National Integration in Chin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1] 서적 Routledge Handbook of Contemporary Taiwan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2] 웹사이트 Stalin's Speeches to Voters – 1946 http://www.marx2mao.[...] Marx2mao 2014-02-17
[13] 웹사이트 The Long Telegram http://www.johndclar[...] John Dclare 2014-02-17
[14] 웹사이트 The Cold War, Churchill's Iron Curtain, and the Power of Imagery https://historyguild[...] 2021-02-15
[15] 서적 Heads of States and Governments Since 1945 https://books.google[...] Routledge
[16] 웹사이트 Novikov telegram http://academic.broo[...] CUNY 2014-02-17
[17] 서적 Routledge Handbook of Contemporary Taiwan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8] 웹사이트 Bernard Baruch coins term 'Cold War,' April 16, 1947 https://www.politico[...] 2010-04-16
[19] 서적 Chronology of the Cold War, 1917–1992 2006
[20] 서적 Stalin and the bomb: the Soviet Union and atomic energy, 1939–1956 Yale UP 1994
[21] 서적 Konrad Adenauer: From the German Empire to the Federal Republic, 1876–1952 Berghahn Books 1995
[22] 서적 China Under Mao: A Revolution Derailed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3] 서적 Sukarno and the struggle for Indonesian independence. Cornell UP 1969
[24] 웹사이트 Truman announces development of H-bomb https://www.history.[...] 2020-03-19
[25] 웹사이트 Senator McCarthy says communists are in State Department https://www.history.[...] 2020-03-19
[26] 서적 Operation Reflex. The B47 in action https://www.libreria[...] Punto Rojo Libros 2024-09-12
[27] 논문 After Stalin's Death: The Anglo-American Debate Over a New Cold War. 1986
[28] 서적 Uprising in East Germany 1953: the Cold War, the German question, and the first major upheaval behind the Iron Curtain Central European UP 2001
[29] 논문 President Dwight D. Eisenhower and the End of the Korean War. 1986
[30] 웹사이트 Army-McCarthy Hearings https://www.history.[...] 2020-03-19
[31] 웹사이트 Germany – Countries – Office of the Historian https://history.stat[...] 2020-03-19
[32] 서적 The Long-lasting Shadow of the Allied Occupation of Austria on its Spatial Equilibrium https://www.econstor[...] 2024-10-27
[33] 웹사이트 Aswan High Dam completed https://www.history.[...] 2020-03-19
[34] 서적 Operation Overflight: A Memoir of the U-2 Incident Potomac Books, Inc.
[35] 서적 Latin America in the era of the Cuban Revolution Greenwood 2001
[36] 서적 K Blows Top: A Cold War Comic Interlude Starring Nikita Khurshchev, America's Most Unlikely Tourist PublicAffairs
[37] 웹사이트 NASA - NSSDCA - Spacecraft - Details https://nssdc.gsfc.n[...] 2023-04-27
[38] 웹사이트 Accords ending hostilities in Indo-China (Geneva, 20 July 1954) http://www.ena.lu/eu[...] 2014-02-17
[39] 웹사이트 Sino-Indian War https://www.britanni[...] 1962
[40] 서적 The Fourth Man: The Definitive Account of Kim Philby, Guy Burgess and Donald Maclean and Who Recruited Them to Spy for Russia The Dial Press/James Wade
[41] 뉴스 For 60 years, a hotline aims to keep cool between US and Moscow https://economictime[...] 2023-08-30
[42] 웹사이트 Solar System Exploration Research Institute (SSERVI) - SSERVI https://sservi.nasa.[...] 2023-04-27
[43] 웹사이트 NASA - NSSDCA - Spacecraft - Details https://nssdc.gsfc.n[...] 2023-04-27
[44] 웹사이트 East Timor Revisited: Ford, Kissinger and the Indonesian Invasion, 1975–76 http://nsarchive2.gw[...] 2001-12-06
[45] 문서 "Chega!"-Report http://www.cavr-timo[...]
[46] 서적 From the Shadows: The Ultimate Insider's Story of Five Presidents and How They Won the Cold War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47] 웹사이트 Polish government signs accord with Gdansk shipyard workers https://www.history.[...] 2010-09-22
[48] 웹사이트 Timeline: Cold War Timeline of Significant Events https://coldwar.org/[...]
[49] 웹사이트 Solidarity https://www.britanni[...] 2023-09-16
[50] 웹사이트 United Nations Commission on Human Rights, Geneva, 1982. U.S. delegation – P.L. 97-157 http://www.gpo.gov/f[...]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13-12-19
[51] 웹사이트 Ronald Reagan: "Statement on Signing a Bill Concerning Human Rights in the Soviet Union", March 22, 1982 http://www.presidenc[...] University of California – Santa Barbara 2013-12-19
[52] 뉴스 SPAIN ENTERS NATO AS FIRST COUNTRY TO JOIN SINCE 1955 https://www.nytimes.[...] 1982-05-31
[53] 서적 Revolution and Counterrevolution in Poland, 1980-1989: Solidarity, Martial Law, and the End of Communism in Europe University of Rochester Press
[54] 뉴스 Reagan 'jokes' about bombing Soviet Union, Aug. 11, 1984 https://www.politico[...] 2017-08-11
[55] 서적 The Roots and Consequences of 20th-century Warfare: Conflicts that Shaped the Modern World ABC-CLIO
[56] 웹사이트 Boris Yeltsin https://www.britanni[...] 2023-09-10
[57] 서적 Ukraine: Democratization, Corruption, and the New Russian Imperialism Praeger 2023-10-18
[58] 서적 Russia's Border Wars and Frozen Conflicts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59] 서적 Kazakhstan World Almanac Library
[60] 웹사이트 The reunification of Germany https://www.britanni[...] 2023-09-10
[6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Kazakhstan
[62] 뉴스 Kazakhstan declares sovereignty https://www.upi.com/[...] News World Communications 1990-10-25
[63]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Kazakhstan Scarecrow Press
[64] 서적 The Political Economy of Independence in Europe Taylor & Francis 2024-04-11
[65] 서적 PRESIDENTIAL ELECTIONS AND INDEPENDENCE REFERENDUMS IN THE BALTIC STATES, THE SOVIET UNION AND SUCCESSOR STATES: A Compendium of Reports 1991 - 1992 https://www.csce.gov[...] Commission on Security and Cooperation in Europe
[66] 서적 Georgia: A Political History Since Independence Bloomsbury Publishing 2024-04-11
[67] 서적 The Making of Modern Georgia, 1918-2012: The First Georgian Republic and Its Successors Taylor & Francis 2024-04-11
[68] 서적 Georgia: A Political History Since Independence Bloomsbury Publishing 2024-04-11
[69] 서적 How Ukraine Became a Market Economy and Democracy Columbia University Press
[70] 웹사이트 Ukrainian Independence Referendum https://soviethistor[...] 2015-09-28
[71] 웹사이트 Belarus -Soviet Socialist Republic, Emergence, History https://www.britanni[...] 2023-10-18
[72] 웹사이트 45. Moldova (1991-present) https://uca.edu/poli[...] 2024-10-27
[73] 서적 PRESIDENTIAL ELECTIONS AND INDEPENDENCE REFERENDUMS IN THE BALTIC STATES, THE SOVIET UNION AND SUCCESSOR STATES: A Compendium of Reports 1991 - 1992 https://www.csce.gov[...] Commission on Security and Cooperation in Europe
[74] 뉴스 Timeline: Ousted Kyrgyz president leaves for Kazakhstan https://www.reuters.[...] 2023-09-11
[75] 서적 Constructing Yugoslavia: A Transnational History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24-04-11
[76] 서적 Tajikistan: A Political and Social History https://books.google[...] ANU E Press
[77] 서적 PRESIDENTIAL ELECTIONS AND INDEPENDENCE REFERENDUMS IN THE BALTIC STATES, THE SOVIET UNION AND SUCCESSOR STATES: A Compendium of Reports 1991 - 1992 https://www.csce.gov[...] Commission on Security and Cooperation in Europe 2023-09-11
[78] 웹사이트 TURKMENISTAN'S REFERENDUM ON INDEPENDENCE https://www.csce.gov[...] 1991-10-26
[79] 간행물 Contested Sovereignty: The Tragedy of Chechnya https://www.jstor.or[...] 1998-07-01
[80] 웹사이트 61. Kazakhstan (1991-present) https://uca.edu/poli[...] 2024-07-07
[81] 웹사이트 The End of the Soviet Union https://soviethistor[...] 2015-06-29
[82] 웹사이트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https://history.stat[...] 2023-09-11
[83] 웹사이트 Address on Gorbachev Resignatio https://www.c-span.o[...] 2023-09-11
[84] 논문 Stalin at the Tehran, Yalta, and Potsdam conferences. https://s3.amazonaws[...]
[85] 서적 Churchill and Roosevelt, Volume 3: The Complete Correspondence https://books.google[...] Princeton UP 2015
[86] 문서 Winston S. Churchill, Volume 7: Road to Victory, 1941–1945
[87] 서적 Another Such Victory: President Truman and the Cold War, 1945-1953 https://books.google[...] Stanford UP
[88] 웹인용 Milestonesfick so commas: 1937–1945 / The Potsdam Conference, 1945 https://history.stat[...] U.S. Department of State Office of the Historian 2014-05-18
[89] 서적 Douglas MacArthur: American Warrior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2017
[90] 웹인용 Stalin's Speeches to Voters - 1946 http://www.marx2mao.[...] Marx2mao 2014-02-17
[91] 서적 Heads of States and Governments Since 1945 https://books.google[...] Routledge
[92] 문서 Stalin and the bomb: the Soviet Union and atomic energy, 1939-1956 Yale UP
[93] 문서 Konrad Adenauer: From the German Empire to the Federal Republic, 1876-1952 Berghahn Books
[94] 문서 Sukarno and the struggle for Indonesian independence Cornell UP
[95] 논문 After Stalin's Death: The Anglo-American Debate Over a New Cold War.
[96] 문서 Uprising in East Germany 1953: the Cold War, the German question, and the first major upheaval behind the Iron Curtain Central European UP
[97] 논문 President Dwight D. Eisenhower and the End of the Korean War.
[98] 서적 Operation Overflight: A Memoir of the U-2 Incident Potomac Books, Inc.
[99] 문서 Latin America in the era of the Cuban Revolution Greenwood
[100] 웹사이트 Accords ending hostilities in Indo-China (Geneva, 20 July 1954) http://www.ena.lu/eu[...]
[101] 서적 From the Shadows: The Ultimate Insider's Story of Five Presidents and How They Won the Cold War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102] 웹인용 United Nations Commission on Human Rights, Geneva, 1982. U.S. delegation - P.L. 97-157 http://www.gpo.gov/f[...]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13-12-19
[103] 웹인용 Ronald Reagan: "Statement on Signing a Bill Concerning Human Rights in the Soviet Union", March 22, 1982 http://www.presidenc[...] University of California - Santa Barbara 2013-12-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